KR200377476Y1 -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476Y1
KR200377476Y1 KR20-2004-0034190U KR20040034190U KR200377476Y1 KR 200377476 Y1 KR200377476 Y1 KR 200377476Y1 KR 20040034190 U KR20040034190 U KR 20040034190U KR 200377476 Y1 KR200377476 Y1 KR 200377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vehicle body
outrigg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20-2004-0034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는 크로스멤버와 일체를 이루어 차체의 폭 방향으로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차체의 폭 방향으로는 안정성을 갖출 수 있으나, 차체의 길이방향으로는 아웃트리거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없어 붐대를 과도하게 인출시킨 상태에서 붐대를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이동되는 무게중심을 지지하지 못해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수평바(100)를 이루고 있는 수평1·2·3바(110)(120)(130)의 내부에 가이드브라켓(420)을 갖춘 신축실린더(400)와, 인출와이어(432) 및 인입와이어(134)의 일단이 고정된 수평보울트(132)와, 수평2바(120)의 내측단에 설치된 인입로울러(134)에 의해 수평1·2·3바(110)(120)(130)는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태에 따라 연동되어 수평바(100)의 길이는 간단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붐대(5)의 작업방향에 따라 회전실린더(300)를 이용하여 아웃트리거(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등, 차체(1)의 무게중심 이동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Out-Trigger for high place works car}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소작업차량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힌지축을 이용하여 차체의 무게중심에 근접하게 설치하고, 아웃트리거의 수평바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아웃트리거의 수직바의 위치가 차체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차체의 길이방향으로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은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이며, 최근에는 작업자를 탑승시켜 고공에 설치된 구조물을 정비 또는 교체하는 작업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중량물 운반을 위한 고소작업차량과 시설물 정비 및 교체를 위한 작업용 고소작업착량은 기동성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에 탑승함을 갖춘 붐대를 설치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은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적재대(2)와 탑(3)으로 이루어진 차체(1)를 이루고, 상기 차체(1)의 작업대(2) 중앙에는 링기어를 이용한 회전장치(4)를 매개로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대(5)가 설치되어 있으며, 붐대(5)의 선단에는 바스켓(6)이 장착되고, 작업대(5)의 양측으로 한 쌍의 아웃트리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7)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신축작용을 하는 수평바(8)와 수직바(9)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바(8)는 도면상 미도시 되어 있으나 차체의 메인프레임인 크로스멤버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적재대(2)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설치된 아웃트리거(7)를 이용하여 차체(1)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웃트리거(7)의 수평바(8)를 신장시키고, 아웃트리거(7)의 수직바(9)를 신장시키게 되면, 붐대(5)를 포함한 차체(1)는 아웃트리거(7)에 의해 지지되어 차체(1)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차체(1)가 아웃트리거(7)에 의해 지지된 안정된 상태에서 차체(1)의 적재대(2)에 설치된 붐대(5)를 작동시켜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붐대(5)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붐대(5)의 회전장치(4)에 의해 붐대(5)가 차체(1)의 폭방향 또는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이동된 붐대(5)에 의해 차체(1)의 무게중심이 이동해도 신장된 아웃트리거(7)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커(7)는 크로스멤버와 일체를 이루어 차체(1)의 폭 방향으로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차체(1)의 폭방향으로는 안정성을 갖출 수 있으나,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는 아웃트리거(7)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없어 붐대(1)를 과도하게 인출시킨 상태에서 붐대(5)를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이동되는 무게중심을 지지하지 못해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웃트리거(7)의 수평바(8)는 단순히 유압실린더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평바(8)를 3단 이상의 다단구조를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수평바(8)의 가변되는 길이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소작업차량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힌지축을 이용하여 차체의 무게중심에 근접하게 설치하고, 아웃트리거의 수평바를 3단이상의 다단구조를 갖춰 신축·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아웃트리거의 수직바의 위치가 차체폭방향 뿐만 아니라 차체길이방향으로도 신축·신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영역이 확장되어 차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수평바와 수직바가 일체를 이루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수평1·2·3바로 이루어져 수평1바의 일단에는 차체와 일체를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차체와 수평1바 사이에는 회전실린더가 설치되고, 수평1바와 수평2바 간에는 신축실린더가 설치되어 지되, 수평2바의 내측단 하부에는 인입로울러가 설치되고, 신축실린더의 튜브 측 일단에는 가이드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하부가이드로울러와 지지로울러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의 가동봉 단부에는 공지의 인출장력조정보울트를 갖춘 인출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어 가동봉의 단부가 수평1바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인출와이어의 타단은 상·하부가이드로울러를 거쳐 수평3바에 설치된 수평보울트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울트에 인입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와이어는 수평2바의 인입로울러를 거쳐 수평1바에 설치된 인입장력조정보울트와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서, 상기 신축실린더의 작동으로 수평2바와 수평3바가 동시에 인입·인출이 되며, 특히 수평1바와 차체 간에 설치된 회전실린더에 의해 수평바가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아웃트리거의 수평바 길이가 차체의 폭방향은 물론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도 가변이 되어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영역을 확장할 수 있어 보다 작업의 안정성을 갖출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설치된 고소작업차량의 사시도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은 따른 아웃트리거가 중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수평바와 수직바가 일체를 이루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00)는 수평1·2·3바(110)(120)(130)로 이루어져 수평1바(110)의 일단에는 차체(1)와 일체를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축(200)이 설치되며, 차체(1)와 수평1바(110) 사이에는 회전실린더(300)가 설치되고, 수평1바(110)와 수평2바(120) 사이에는 유압실린더(400)가 설치되며, 수평3바(130)의 내측으로 수평보울트(132)가 설치되어 지되, 수평2바(120)의 내측단 하부에는 인입로울러(122)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400)의 튜브(410)측 일단에는 가이드브라켓(42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420)에는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와 지지로울러(426)가 설치되고,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 단부에는 공지의 인출장력조정보울트(10)를 갖춘 인출와이어(432)의 일단이 설치되어 가동봉(430)의 단부가 수평1바(110)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인출와이어(432)의 타단은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를 거쳐 수평3바(130)에 설치된 수평보울트(13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울트(132)에는 인입와이어(134)의 일단이 설치되어 수평2바(120)의 인입로울러(122)를 거쳐 수평1바(110)에 설치된 공지의 인입장력조정보울트(12)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14는 수직바(9)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설치된 공지의 신축실린더에 유압(전원)을 공급하는 호우스(케이블)를 보호하는 케이블베이어 이고, 도면중 종래의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와 동일한 구성부분은 종래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또한 차체(1)의 적재대(2)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아웃트리거는 그 구조가 동일함으로 하나의 아웃트리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적재대(2)에는 회전장치(4)를 매개로 붐대(5)가 설치되어 적재대(2)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붐대(5)를 작동시킬 때, 차체(1)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재대(2)의 양측으로 한 쌍의 아웃트리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7)는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수평바(100)와 수직바(9)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바(100)는 안테나식의 중첩된 상태인 수평1·2·3바(110)(120)(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1바(110)의 일단은 적재대(2)와 힌지축(200)에 일해 일체를 이루며, 그 사이에 회전실린더(3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실린더(300)의 작동에 의해 수평바(100)전체가 힌지축(2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바(100)는 회전실린더(300)의 길이가 짧아지면, 수평바(100)는 적재대(2)의 측면에 밀착되고, 이와 반대로 회전실린더(300)의 길이가 늘어나면, 수평바(100)는 평면상 적재대(2)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수평바(100)는 예시도 4 내지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설치된 신축실린더(400)가 작동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테나식으로 중첩되어 있는 수평1바(110)와 수평2바(120) 사이에 신축실린더(400)가 설치되어 지되, 신축실린더(400)의 튜브(410) 일단은 수평2바(120)의 내측단에 고정되어 있고,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은 수평1바(110)에 고정되어 있어 신축실린더(400)가 늘어나게 되면 수평2바(120)는 수평1바(1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수평2바(120)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실린더(400)의 튜브(410) 타단에는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와 지지로울러(426)를 갖춘 가이드브라켓(4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420)의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에는 인출와이어(432)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와이어(432)의 일단에는 인출장력조정보울트(10)가 갖춰져 수평1바(110)에 고정된 가동봉(430)의 단부에 설치되고, 인출와이어(432)의 타단은 수평3바(130)의 내측에 설치된 수평보울트(13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신축실린더(400)가 늘어나면, 수평2바(120)는 수평1바(110)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수평3바(130)는 수평2바(120)로부터 인출되어 수평바(100)의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즉, 수평1바(110)와 수평3바(130) 사이에 설치된 인출와이어(432)를 신축실린더(400)의 튜브(410)측에 설치된 가이드브라켓(420)이 밀고 나가게 되어 수평1·2·3바(110)(120)(130)는 동시에 동일한 간격으로 인출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늘어난 신축실린더(400)가 줄어들게 되면, 수평2바(120)는 수평1바(110)측으로 인입되면서 수평3바(130)와 수평1바(110) 사이에 설치된 인입와이어(134)를 수평2바(120)의 내측단에 설치된 인입로울러(122)가 밀고 들어오게 되어 수평3바(130)는 수평2바(120)에 인입되어 수평바(100)의 전체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수평바(100)를 이루고 있는 수평1·2·3바(110)(120)(130)의 내부에 가이드브라켓(420)을 갖춘 신축실린더(400)와, 인출와이어(432) 및 인입와이어(134)의 일단이 고정된 수평보울트(132)와, 수평2바(120)의 내측단에 설치된 인입로울러(122)에 의해 수평1·2·3바(110)(120)(130)는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태에 따라 연동되어 수평바(100)의 길이는 간단하게 가변된다.
이와 같이 수평바(100)의 길이는 신축실린더(400)의 작동으로 가변되며, 수평바(100)의 위치는 회전실린더(300)가 작동됨에 따라 힌지축(200)이 회전축이 되어 회전됨으로 차체(1)의 적재대(2)에 설치된 붐대(5)의 작업방향에 따라 아웃트리거(7)의 방향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영역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바(100)와 일체를 이루는 수직바(9)는 그 내부에 일반적으로 신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그 높이(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실린더의 동력원은 유압이나 배터리의 전원이 이용되고,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직바(9)의 내부에 설치된 신축실린더에 유압(전원)을 공급하는 호우스(케이블)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평바(100)의 외측에 케이블베이어(14)가 설치되어 호우스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베이어(14)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공작기계에는 폭넓게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바(100)를 이루고 있는 수평1·2·3바(110)(120)(130)의 내부에 가이드브라켓(420)을 갖춘 신축실린더(400)와, 인출와이어(432) 및 인입와이어(134)의 일단이 고정된 수평보울트(132)와, 수평2바(120)의 내측단에 설치된 인입로울러(134)에 의해 수평1·2·3바(110)(120)(130)는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태에 따라 연동되어 수평바(100)의 길이는 간단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붐대(5)의 작업방향에 따라 아웃트리거(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차체(1)의 무게중심 이동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설치된 고소작업차량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은 따른 아웃트리거가 중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평바, 110 - 수평1바,
120 - 수평2바, 122 - 인입로울러,
130 - 수평3바, 132 - 수평보울트,
134 - 인입와이어,
200 - 힌지축, 300 - 회전실린더,
400 - 신축실린더, 410 - 튜브,
420 - 가이드브라켓, 422 - 상부가이드로울러,
424 - 하부가이드로울러, 426 - 지지로울러,
430 - 가동봉, 432 - 인출와이어.

Claims (1)

  1. 다단으로 이루어진 수평바와 수직바가 일체를 이루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00)는 수평1·2·3바(110) (120)(130)로 이루어져 수평1바(110)의 일단에는 차체(1)와 일체를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축(200)이 설치되며, 차체(1)와 수평1바(110) 사이에는 회전실린더(300)가 설치되고, 수평1바(110)와 수평2바(120) 사이에는 유압실린더(400)가 설치되며, 수평3바(130)의 내측으로 수평보울트(132)가 설치되어 지되, 수평2바(120)의 내측단 하부에는 인입로울러(122)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400)의 튜브(410)측 일단에는 가이드브라켓(42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420)에는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와 지지로울러(426)가 설치되고, 신축실린더(400)의 가동봉(430) 단부에는 공지의 인출장력조정보울트(10)를 갖춘 인출와이어(432)의 일단이 설치되어 가동봉(430)의 단부가 수평1바(110)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인출와이어(432)의 타단은 상·하부가이드로울러(422)(424)를 거쳐 수평3바(130)에 설치된 수평보울트(13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울트(132)에는 인입와이어(134)의 일단이 설치되어 수평2바(120)의 인입로울러(122)를 거쳐 수평1바(110)에 설치된 공지의 인입장력조정보울트(12)와 일체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20-2004-0034190U 2004-12-02 2004-12-02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200377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190U KR200377476Y1 (ko) 2004-12-02 2004-12-02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190U KR200377476Y1 (ko) 2004-12-02 2004-12-02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476Y1 true KR200377476Y1 (ko) 2005-03-08

Family

ID=4367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190U KR200377476Y1 (ko) 2004-12-02 2004-12-02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4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11B1 (ko) * 2008-02-27 2010-08-19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차량 이동식 기계장치 받침대
KR101138100B1 (ko) * 2008-11-17 2012-04-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KR101817338B1 (ko) * 2016-12-30 2018-01-10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20200144431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월드 견인차량용 아웃트리거
KR20210088321A (ko)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20220020149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프레임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11B1 (ko) * 2008-02-27 2010-08-19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차량 이동식 기계장치 받침대
KR101138100B1 (ko) * 2008-11-17 2012-04-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KR101817338B1 (ko) * 2016-12-30 2018-01-10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20200144431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월드 견인차량용 아웃트리거
KR20210088321A (ko)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102365652B1 (ko) * 2020-01-06 2022-02-24 미노언 주식회사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20220020149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프레임 구조
KR102407194B1 (ko) 2020-08-11 2022-06-10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4108A1 (en) Method of raising a crane boom
JP2008120525A (ja) 伸縮ブーム付きクレーン装置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JP6235854B2 (ja) 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CN113501430A (zh) 架廊机
IT201800001069A1 (it) Macchina operatrice mobile
KR20120131896A (ko)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CA2881002A1 (en) Torque stabilization for a rig mast
KR101559766B1 (ko)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KR20150073627A (ko)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CN104555839B (zh) 高空作业车
CN215979426U (zh) 一种可伸缩和旋转的支护平台
JP2006206242A (ja) 作業車の伸縮ブーム
KR102174081B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KR100632398B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101850144B1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CN210687725U (zh) 摄像头支撑结构及起重机
KR101741372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US20200270968A1 (en) Assembly with two energy guide chains and adjustable fixed point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102646249B1 (ko)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200230269Y1 (ko) 크레인차량의 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