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627A -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 Google Patents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627A
KR20150073627A KR1020130161566A KR20130161566A KR20150073627A KR 20150073627 A KR20150073627 A KR 20150073627A KR 1020130161566 A KR1020130161566 A KR 1020130161566A KR 20130161566 A KR20130161566 A KR 20130161566A KR 20150073627 A KR20150073627 A KR 2015007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base boom
bas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13016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627A/ko
Publication of KR2015007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는 복수의 와이어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와이어와, 상기 구동와이어가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베이스 붐대 및, 상기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연동되는 신축 붐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구동와이어에만 집중되는 동작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구동와이어 안정성 확보가 용이하고, 같은 단수에 고가사다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와이어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어 제작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장 거리에 따라 독립적으로 사다리 붐대를 신장 및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고가사다리 장치 운용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의 사다리 붐대를 먼저 인출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전복 안전율 및 작업반경 증대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Expansion and contraction structure of aerial ladder device}
본 발명은 소방용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붐대 신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적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화재시에 이를 진압하고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가사다리 장치(1)가 탑재된 고가사다리 소방차(10)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가사다리 소방차(10)에 탑재되는 고가사다리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단위 사다리 붐(12)으로 이루어져 있어 너비가 작은 크기의 사다리 붐이 상대적으로 너비가 큰 크기의 사다리 붐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안테나 절첩식으로 조립된다.
한편, 종래의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축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Turntable) 등의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붐대(11)와; 상기 고정붐대(11)의 내측에 감삽되어 있어 일측에 연결된 구동와이어(14)에 장력을 부가시킴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베이스 붐대(12a)와; 상기 베이스 붐대(12a)의 내측에 감삽되어 있어 일측에 연결된 신축 와이어(15)에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방향에 의해 장력을 부가시킴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신축 붐대(12b, 12c, 12d, 12e);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붐대(12a)와 신축 붐대(12b, 12c, 12d, 12e)는 신축 와이어(15)로 연결되어 있어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의해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베이스 붐대(12a)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와이어 구동장치(13)에 연결된 구동와이어(14)에 부가되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 붐(12)의 와이어(14, 15) 연결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다리 붐(12)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신축 와이어(15)를 이용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 구동장치(13)에 의해 구동와이어(14)에 장력을 부가시킴에 따라 다수 개의 사다리 붐들이 동시에 서로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종래의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장 및 수축구조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와이어(14)에 장력을 부가시키는 와이어 구동장치(13)에 의해 구동와이어(14)를 A 방향으로 당기는 장력이 가해지면, 구동와이어(14)의 끝단부가 고정된 베이스 붐대(12a)에는 C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되고, 베이스 붐대(12a)에 발생된 이동력에 의해 베이스 붐대(12a)는 고가사다리 장치(1)를 신장시키는 C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베이스 붐대(12a)에 내측에 삽입되어 절첩되어 있는 제 1 신축 붐대(12b)에는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의해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는 제 1 신축 와이어(15a)에 의해 C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되는데, 결과적으로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 1 신축 붐대(12b)도 함께 C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신축 와이어(15a)의 일단부는 제 1 신축 붐대(12b)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붐대(12a)의 가이드 롤러(G2)를 경유하여 고정붐대(11)에 고정되는데,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G2)에 의해 제 1 신축 와이어(15a)에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순차적으로, 제 1 신축 붐대(12b)가 신장 방향인 C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신축 와이어(15b)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12b)의 내측에 삽입되어 절첩되어 있는 제 2 신축 붐대(12c) 역시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장 방향인 C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신축 붐대(12c)가 이동되면 제 3 신축 와이어(15c)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 2 신축 붐대(12c)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 3 신축 붐대(12d)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3 신축 붐대(12d)가 이동되면 제4 신축 와이어(15d)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제 3 신축 붐대(12d)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4 신축 붐대(12e)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론적으로, 와이어 구동장치(13)에 의해 구동와이어(14)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부여되면 베이스 붐대(12a)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신장 방향인 C 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 1 신축 붐대(12b)와 제 2 신축 붐대(12c), 제 3, 4 신축 붐대(12d)(12e)가 C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가사다리 장치(1)가 신장되게 된다.
반대로, 신장된 상태의 고가사다리 장치(1)를 수축시키기 위해서 와이어 구동장치(13)를 이용 구동와이어(14)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을 부가시키면 구동와이어(14)의 끝단부가 고정된 베이스 붐대(12a)에는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되어 고가사다리 장치(1)를 수축시키는 D 방향으로 이동된다.
베이스 붐대(12a)에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 1 신축 붐대(12b)는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의해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는 제 1 신축 와이어(15a)에 의해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되는데, 결과적으로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 1 신축 붐대(12b)도 함께 D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 1 신축 와이어(15a)의 일단부는 제 1 신축 붐대(12b)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붐대(12a)의 가이드 롤러(G2)를 경유하여 고정붐대(11)에 고정되는데, 상기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G2)에 의해 제 1 신축 와이어(15a)에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순차적으로, 제 1 신축 붐대(12b)가 수축 방향인 D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신축 와이어(15b)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12b)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 2 신축 붐대(12c) 역시 고가사다리 장치(1)의 수축 방향인 D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신축 붐대(12c)가 이동되면 제 3 신축 와이어(15c)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제 2 신축 붐대(12c)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 3 신축 붐대(12d)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3 신축 붐대(12d)가 이동되면 제4 신축 와이어(15d)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 3 신축 붐대(12d)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4 신축 붐대(12e)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론적으로, 와이어 구동장치(13)에 의해 구동와이어(14)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부여되면 베이스 붐대(12a)가 고가사다리 장치(1)의 수축 방향인 D 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 붐대(12a)의 이동에 연동하여 신축 붐대들(12b, 12c, 12d, 12e)이 D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가사다리 장치(1)가 수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고가사다리 장치(1)는 사다리 붐(12)을 인출하려는 길이에 따라 구동와이어(14)를 조정하여 사다리 붐(12)들을 신장하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지층의 사람이나 화물을 대차에 실어 고층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역으로 고층의 화물을 대차에 실어 지층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가사다리 장치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때문에, 안전율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다수의 신축 와이어는 사다리 붐들을 서로 연결하여 이들을 신장 및 수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신축 와이어의 안전율을 확보하여 고가 사다리를 설계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사다리 붐들은 단 한번의 동작으로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축 붐대들이 작동되므로 최하단에 위치한 베이스 붐대를 구동시키는 구동와이어에는 매우 큰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고가사다리 장치의 제작시 사다리 붐의 단수(사다리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최하단에 위치한 구동와이어에 요구되는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동와이어의 직경을 증가시켜야만 하고, 상기 구동와이어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되면 구동와이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출력도 함께 증가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제작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 번의 동작으로 모든 사다리 붐대가 연동되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사다리를 신장시켰을 때 발생되는 차량 전복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존재하므로 작업 반경을 증대시키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63344(1998.11.16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차체에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붐대와, 상기 고정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와 별도로 형성되어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신축붐대 및, 상기 제 2 신축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신축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 신축구조는 다수의 베이스 붐대가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장 거리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신장 및 수축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구동와이어에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구동와이어의 안전률을 용이하게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고가 사다리 장치를 신장시킴에 있어 중량이 가벼운 최상단에 위치한 신축 붐대를 먼저 신장시키고 중량이 무거운 하단의 신축 붐대를 나중에 신장시키는 방법으로 전복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 및 작업범위를 증대 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 신축구조는, 차체에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붐대와; 상기 고정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와 별도로 형성되어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신축붐대; 및 상기 제 2 신축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신축 와이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된 구동와이어에 장력을 부가하여 베이스 붐대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최하단에 배치된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와이어에 집중되던 하중을 복수의 구동와이어로 분산시킬 수 있어 구동와이어의 안전률 확보가 용이해지게 된다.
따라서, 같은 단수에 고가사다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와이어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어 제작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와이어와 연결되는 베이스 붐대가 고가사다리 장치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고가사다리 장치의 부분 작동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가 고가사다리 장치 운용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다리 붐대를 먼저 인출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전복 안전율 및 작업반경 증대가 가능하다.
도 1은 사다리 붐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신장 및 수축되는 고가사다리 장치를 탑재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의 사다리 붐대를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신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가사다리 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가사다리 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의 제 1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2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는 도 5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가사다리 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2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가사다리 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모두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고가사다리 장치(100)는 사용 유무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상호 중첩 가능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고지점과 저지점 간에 사람 또는 화물 등이 용이하게 이송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100)는 고정붐대(110)와, 제 1, 2 베이스 붐대(120, 150)와, 제 1, 2 베이스 붐대(120, 150)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2 와이어 구동장치(140, 160) 및 제 1, 2 베이스 붐대(120, 150)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작동되는 복수의 신축 붐대들(130a, 130b, 130c)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붐대(110)는 차량의 후방부에 턴테이블과 같은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붐대(110)가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고가사다리 장치(100)를 신장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신장 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고정붐대(110)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고가사다리 장치(100)의 상승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붐대(110)의 측면부와, 하측부와, 내측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 또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가 장착되기도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가 모두 고정붐대(110)의 하측부 상에 장착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120)는 고정붐대(110)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측에 형성된 제 2 와이어 고정구(R2)에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와 연결된 제 1 구동와이어(141)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구동와이어(141)는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제 2 와이어 고정구(R2)에 연결되어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에 의해 부가되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제 1 베이스 붐대(120)를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는 제 1 구동와이어(141)에 장력을 부가시켜 제 1 베이스 붐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내측에는 신축 붐대(130)가 삽입 절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붐대(130)가 한 개로 이루어진 경우로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를 위해 제 1 신축 붐대(130a)라 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내측에는 제 1 신축 붐대(130a)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1 신축 붐대(130a)의 일측에 형성된 제 3 와이어 고정구(R3)에는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이동에 의해 장력이 부가되는 제 1 신축 와이어(170a)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신축 와이어(170a)는 상단부가 제 1 신축 붐대(130a)의 제 3 와이어 고정구(R3)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고정붐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와이어 고정구(R1)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1 베이스 붐대(120)에 설치된 가이드 릴(G3)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이동에 의해 제 1 신축 와이어(170a)에 장력이 부가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 붐대(150)는 제 1 베이스 붐대(120)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서는 제 1 신축 붐대(130a)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에 연결되는 제 2 구동와이어(161)는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4 와이어 고정구(R4)에 연결되어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에 의해 부가되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는 제 2 구동와이어(161)에 장력을 부가시켜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일측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구(R4)에는 제 2 구동와이어(161)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제 2 구동와이어(161)의 하단부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에 연결되어 장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신축 붐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붐대(130)가 두 개로 이루어진 경우로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를 위해 제 2, 3 신축 붐대(130b, 130c)라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내측에는 제 2 신축 붐대(130b)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2 신축 붐대(130b)의 일측에 형성된 제 5 와이어 고정구(R5)에는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이동에 의해 장력이 부가되어 제 2 베이스 붐대(150)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신축 와이어(170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신축 와이어(170b)는 상단부가 제 2 신축 붐대(130b)의 제 5 와이어 고정구(R5)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 1 신축 붐대(130a)의 와이어 고정구(R3)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신축 와이어(170b)는 제 2 베이스 붐대(150)에 설치된 가이드 릴(G6)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이동에 의해 제 2 신축 와이어(170b)에 장력이 부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신축 붐대(130b)의 내측에는 제 3 신축 붐대(130c)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3 신축 붐대(130c)의 일측에 형성된 제 6 와이어 고정구(R6)에는 제 2 신축 붐대(130b)의 이동에 의해 장력이 부가되어 제 2 신축 붐대(130b)와 함께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제 3 신축 와이어(170c)가 연결된다.
상기 제 3 신축 와이어(170c)는 상단부가 제 3 신축 붐대(130c)의 일측에 형성된 제 6 와이어 고정구(R6)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4 와이어 고정구(R4)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3 신축 와이어(170c)는 제 2 신축 붐대(130b)에 설치된 가이드 릴(G7)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므로 제 2 신축 붐대(130b)의 이동에 의해 제 3 신축 와이어(170c)에 장력이 부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 및 제 2 구동와이어(161)는 사다리 붐대의 개수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베이스 붐대(15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 및 제 2 구동와이어(161)가 한 개씩 구비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 160)는 제 1, 2 베이스 붐대(120, 150)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 160)가 모두 유압을 이용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도 있고, 유압을 이용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유압 실린더와 유압모터를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 160)가 모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장 및 수축 동작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가사다리 장치(100)의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에 연결된 제 1 구동와이어(141)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부가되면, 제 1 구동와이어(141)에는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된 상기 제 1 구동와이어(141)에 연결된 제 1 베이스 붐대(120)에는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고정붐대(110)는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 차량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베이스 붐대(120)는 C방향으로 이동되어 신장되기 시작하고, 제 1 베이스 붐대(120)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3)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신축 와이어(170a)에는 A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1 신축 와이어(170a)와 연결된 제 1 신축 붐대(130a)에도 C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의 구동으로 제 1 구동와이어(14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베이스 붐대(120)를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이동으로 인해 제 1 신축 와이어(170a)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130a)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축 붐대(130a)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에 연결된 제 2 구동와이어(161)에 A′방향으로의 장력이 부가되면, 제 2 구동와이어(161)에는 A′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A′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된 상기 제 2 구동와이어(161)에 연결된 제 2 베이스 붐대(150)에는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150)는 C′방향으로 이동되어 신장되기 시작하고, 제 2 베이스 붐대(150)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6)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2 신축 와이어(170b)에는 A′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2 신축 와이어(170b)와 연결된 제 2 신축 붐대(130b)에도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의 구동으로 제 2 구동와이어(16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이동으로 인해 제 2 신축 와이어(170b)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2 신축 붐대(130b)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신축 붐대(130b)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 3 신축 붐대(130c)는 제 2 신축 붐대(130b)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7)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3 신축 와이어(170c)에 A′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키고, 장력이 발생된 제 3 신축 와이어(170c)에 의해 제 3 신축 붐대(130c)도 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가사다리 장치(100)의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에 의해 제 1 구동와이어(141)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1 구동와이어(141)에 B 방향 장력이 가해지면 제 1 구동와이어(141)에 연결된 제 1 베이스 붐대(120)에는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고정붐대(110)는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 차량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베이스 붐대(120)는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축되어 고정붐대(110)의 내측으로 삽입 절첩되기 시작하고, 제 1 베이스 붐대(120)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3)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신축 와이어(170a)에는 B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1 신축 와이어(170a)와 연결된 제 1 신축 붐대(130a)에도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40)의 구동으로 제 1 구동와이어(14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베이스 붐대(120)를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베이스 붐대(120)의 이동으로 인해 제 1 신축 와이어(170a)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130a)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1 신축 붐대(130a)의 내측으로 삽입 절첩되는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에 의해 제 2 구동와이어(161)에 B′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2 구동와이어(161)에 연결된 제 2 베이스 붐대(150)에는 D′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 2 베이스 붐대(150)는 D′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축되기 시작하고, 제 2 베이스 붐대(150)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6)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2 신축 와이어(170b)에는 B′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2 신축 와이어(170b)와 연결된 제 2 신축 붐대(130b)에도 D′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160)의 구동으로 제 2 구동와이어(161)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 2 구동와이어(161)의 장력으로 제 2 베이스 붐대(150)를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이동으로 인해 제 2 신축 와이어(170b)에 장력을 발생시켜 제 2 신축 붐대(130b)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신축 붐대(130b)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 3 신축 붐대(130c)는 제 2 신축 붐대(130b)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7)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3 신축 와이어(170c)에 B′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키고, 장력이 발생된 제 3 신축 와이어(170c)에 의해 제 3 신축 붐대(130c)도 D′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붐대(120)와 제 2 베이스 붐대(15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120) 만을 신장시킨 후 제 2 베이스 붐대(150)는 수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붐대(150) 만을 수축시킨 후, 제 1 베이스 붐대(120)는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120) 만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붐대(150)만을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사다리 붐대(110, 120, 130, 1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120) 만을 수축시킨 후, 제 2 베이스 붐대(150)는 신장시킨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고가사다리 장치가 수축된 상태에서의 도면이고, 도 10과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각각 개별적으로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고가사다리 장치에서 제 1, 2 베이스 붐대가 모두 신장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차량의 후방부에 턴테이블과 같은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붐대(210)의 내측에 삽입 절첩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베이스 붐대(220)는 제 1 구동와이어(241)와 연결되며, 제 1 구동와이어(241)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에 연결되어 장력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붐대(210)의 측면부와, 하측부와, 내측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 또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가 장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가 모두 고정붐대(210)의 하측부 상에 장착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내측에는 제 1 신축 붐대(230a)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1 신축 붐대(230a)에는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 신축 와이어(270a)가 연결된다.
제 1 신축 와이어(270a)는 상단부가 제 1 신축 붐대(230a)의 일측에 형성된 제 3 와이어 고정구(R3)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고정붐대(210)의 재 1 와이어 고정구(R1)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1 신축 와이어(270a)는 제 1 베이스 붐대(220) 상에 설치된 가이드 릴(G3)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이동에 의해 제 1 신축 와이어(270a)에 장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신축 붐대(230a)의 내측에는 제 2 신축 붐대(230b)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2 신축 붐대(230b)에는 제 1 신축 붐대(230a)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 신축 와이어(270b)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신축 와이어(270b)는 상단부가 제 2 신축 붐대(230b)의 일측에 형성된 제 4 와이어 고정구(R4)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와이어 고정구(R2)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2 신축 와이어(270b)는 제 1 신축 붐대(230a)에 설치된 가이드 릴(G5)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 1 신축 붐대(230a)의 이동에 의해 제 2 신축 와이어(270b)에 장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2 신축 붐대(230b)의 내측에는 제 2 베이스 붐대(250)가 삽입 절첩되어 있고,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제 2 구동와이어(261)와 연결되며, 제 2 구동와이어(261)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에 의해 장력이 부가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내측에는 제 3 신축 붐대(230c)가 삽입 절첩되어 있는데, 제 3 신축 붐대(230c)의 일측에 형성된 제 6 와이어 고정구(R6)에는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 3 신축 와이어(270c)가 연결된다.
제 3 신축 와이어(270c)는 상단부가 제 3 신축 붐대(230c)의 제 6 와이어 고정구(R6)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 2 신축 붐대(230b)의 와이어 고정구(R4)에 연결되는데, 이때, 제 3 신축 와이어(270c)는 제 2 베이스 붐대(250)에 설치된 가이드 릴(G8)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므로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이동에 의해 제 3 신축 와이어(270c)에 장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25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 및 제 2 구동와이어(261)는 사다리 붐대의 개수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베이스 붐대(250)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 및 제 2 구동와이어(261)가 한 개씩 구비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 260)는 제 1, 2 베이스 붐대(220, 250)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 260)가 모두 유압을 이용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고, 유압을 이용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유압 실린더와 유압모터를 모두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 260)가 모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장 및 수축 동작을 도 9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가사다리 장치(200)의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에 의해 제 1 구동와이어(241)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1 구동와이어(241)에 A 방향 장력이 가해지면 제 1 구동와이어(241)에 연결된 제 1 베이스 붐대(220)에는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고정붐대(210)는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 차량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베이스 붐대(220)는 C방향으로 이동되어 신장되기 시작하고, 제 1 베이스 붐대(220)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3)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신축 와이어(270a)에는 A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1 신축 와이어(270a)와 연결된 제 1 신축 붐대(230a)에도 C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의 구동으로 제 1 구동와이어(24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베이스 붐대(220)를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이동으로 인해 제 1 신축 와이어(270a)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230a)를 이동시키게 된다.
제 1 신축 붐대(230a)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 2 신축 붐대(230b)는 상기 제 1 신축 붐대(230a)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5)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2 신축 와이어(270b)에 A 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키고, 장력이 발생된 제 2 신축 와이어(270b)에 의해 제 2 신축 붐대(230b)도 C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2 신축 붐대(230b)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어 있는 제 2 베이스 붐대(25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에 의해 제 2 구동와이어(261)에 A′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2 구동와이어(261)에 연결된 제 2 베이스 붐대(250)에는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C′방향으로 이동되어 신장되기 시작하고, 제 2 베이스 붐대(250)가 신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8)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3 신축 와이어(270c)에는 A′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3 신축 와이어(270c)와 연결된 제 3 신축 붐대(230c)에도 C′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의 구동으로 제 2 구동와이어(26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2 베이스 붐대(250)를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이동으로 인해 제 3 신축 와이어(270c)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3 신축 붐대(230c)를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가사다리 장치(200)의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에 의해 제 1 구동와이어(241)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1 구동와이어(241)에 B 방향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241)에 연결된 제 1 베이스 붐대(220)에는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고정붐대(210)는 차량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베이스 붐대(220)는 D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축되어 고정붐대(210)의 내측으로 삽입 절첩되기 시작하고, 제 1 베이스 붐대(220)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3)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신축 와이어(270a)에는 B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1 신축 와이어(270a)와 연결된 제 1 신축 붐대(230a)에도 D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40)의 구동으로 제 1 구동와이어(241)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베이스 붐대(220)를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베이스 붐대(220)의 이동으로 인해 제 1 신축 와이어(270a)에 장력이 발생되어 제 1 신축 붐대(230a)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 1 신축 붐대(230a)의 내측에 삽입 절첩되는 제 2 신축 붐대(230b)는 제 1 신축 붐대(230a)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5)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2 신축 와이어(270b)에 B 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키고, 장력이 발생된 상기 제 2 신축 와이어(270b)에 의해 제 2 신축 붐대(230b)도 D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 신축 붐대(230b)의 내측으로 삽입 절첩되는 제 2 베이스 붐대(25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에 의해 제 2 구동와이어(261)에 B′방향으로의 장력이 발생되고, 제 2 구동와이어(261)에 연결된 제 2 베이스 붐대(250)에는 D′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D′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축되기 시작하고, 제 2 베이스 붐대(250)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릴(G8) 상에 권취되어 있는 제 3 신축 와이어(270c)에는 B′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 3 신축 와이어(270c)와 연결된 제 3 신축 붐대(230c)에도 D′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260)의 구동으로 제 2 구동와이어(261)에 장력이 발생되고, 제 2 구동와이어(261)의 장력으로 제 2 베이스 붐대(250)를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이동으로 인해 제 3 신축 와이어(270c)에 장력을 발생시켜 제 3 신축 붐대(230c)를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붐대(220)와 제 2 베이스 붐대(25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220)만을 신장시키고,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수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붐대(250)만을 수축시키고, 제 1 베이스 붐대(220)는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220) 만을 수축시키고,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사다리 붐대(210, 220, 230, 250)가 신장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 붐대(220) 만을 수축시키고, 제 2 베이스 붐대(250)는 신장시킨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서 설명한 제 2 베이스 붐대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제 2 구동와이어 및 신축 붐대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베이스 붐대 및 신축 붐대의 각 측면에는 가이드 릴(G)과 연결 고리(R)를 더 장착하여 제 2 구동와이어 및 신축 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나,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의 내측에 신축 붐대가 반드시 삽입 절첩되는 구조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의 내측에 신축 붐대가 아닌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가 삽입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제 1, 2 베이스 붐대에 전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동 와이어를 이용하여 구동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 작동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이외에도,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를 모두 유압 실린더 타입으로 구성하여 직선 방향으로 구동되는 실린더 로드에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또는 제 2 베이스 붐대의 끝단부가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실린더 로드의 신장 및 수축에 따라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또는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는 직접 구동방식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제 1, 2 베이스 붐대에 전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상술한 직접 구동방식과 와이어 작동방식을 혼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먼저,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를 유압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하여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 로드의 끝단부가 제 1 베이스 붐대를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시킨 후에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의 실린더 로드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에 따라 제 1 베이스 붐대도 함께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유압모터 타입으로 형성하여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의 구동부에 제 2 베이스 붐대와 연결된 제 2 구동와이어를 연결시킨 후에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의 구동부를 구동시켜 제 2 구동 와이어에 장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제 2 구동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제 2 베이스 붐대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직접 구동방식과 와이어 작동방식을 혼용하는 방법은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를 유압 실린더로 형성하여 실린더 로드의 끝단부를 제 2 베이스 붐대에 연결되도록 형성시킨 후 실린더 로드를 구동시킴에 따라 제 2 베이스 붐대도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를 유압 실린더 또는 유압모터 타입으로 형성하여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 제 1 베이스 붐대와 연결된 제 1 구동와이어를 연결시킨 후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제 1 베이스 붐대가 이동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통상,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고정붐대의 양측부 또는 내측부, 또는 하부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가 유압 실린더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붐대의 양측부 또는 내측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가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붐대의 하측부 상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붐대에 설치되는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의 장착위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는 복수의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와, 상기 구동 와이어가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베이스 붐대 및, 상기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연동되는 복수의 신축붐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동작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구동 와이어의 안정성 확보가 용이하고, 같은 단수에 고가사다리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 와이어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어 제작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장 거리에 따라 독립적으로 사다리 붐대를 신장 및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고가사다리 장치 운용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다리 붐대를 먼저 인출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전복안전율 및 작업반경 증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고가사다리 장치
110, 210 : 고정붐대
120, 220 : 제 1 베이스 붐대
150, 250 : 제 2 베이스 붐대
130a, 230a : 제 1 신축 붐대
130b, 230b : 제 2 신축 붐대
130c, 230c : 제 3 신축 붐대
140, 240 :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
160, 260 :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
141, 241 : 제 1 구동와이어
161, 261 : 제 2 구동와이어
170a, 270a : 제 1 신축 와이어
170b, 270b : 제 2 신축 와이어
170c, 270c : 제 3 신축 와이어
G1, G2, G3, G4, G5, G6, G7, G8 : 가이드 롤러
R1, R2, R3, R4, R5, R6 : 와이어 고정구

Claims (16)

  1. 차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사다리 붐대들이 서로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회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붐대와;
    상기 고정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와 별도로 형성되어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와;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내측에 절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신축붐대; 및
    상기 제 2 신축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신축 와이어;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붐대의 측면부와, 하측부와, 내측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 또는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장력의 방향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장력의 방향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와 제 2 구동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와 제 2 구동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작동방식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직접 제 1, 2 베이스 붐대에 전달하는 직접 구동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가 직접 연결되고,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는 제 2 베이스 붐대와 연결된 제 2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제 1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제 1 베이스 붐대로 직접 전달하는 직접 구동방식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제 2 구동와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와이어 작동방식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가 연결되고,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제 1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제 1 구동와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와이어 작동방식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제 2 베이스 붐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제 2 베이스 붐대로 직접 전달하는 직접 구동방식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붐대는,
    내측에 제 1 신축 붐대가 절첩식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 붐대는,
    내측에 상기 제 2 베이스 붐대가 절첩식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 붐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신축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축 붐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신축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 구동장치는,
    유압을 이용 직선 방향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 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베이스 붐대는,
    상기 구동와이어가 경유되는 가이드 릴과;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축 붐대는,
    상기 신축 와이어가 경유되는 가이드 릴과;
    상기 신축 와이어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 붐대는,
    상기 신축 와이어가 경유되는 가이드 릴과;
    상기 신축 와이어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 장치.
KR1020130161566A 2013-12-23 2013-12-23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KR20150073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66A KR20150073627A (ko) 2013-12-23 2013-12-23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66A KR20150073627A (ko) 2013-12-23 2013-12-23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627A true KR20150073627A (ko) 2015-07-01

Family

ID=5378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566A KR20150073627A (ko) 2013-12-23 2013-12-23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6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6731A (zh) * 2018-04-09 2018-06-29 保定市恒信达电气有限公司 一种机载超声波局放检测设备
WO2019152394A1 (en) * 2018-01-31 2019-08-08 Spartan Motors, Inc. Multi-stance aerial device control and display
KR20210150213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우성이앤에스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2394A1 (en) * 2018-01-31 2019-08-08 Spartan Motors, Inc. Multi-stance aerial device control and display
US10974702B2 (en) 2018-01-31 2021-04-13 Spartan Fire, Llc Multi-stance aerial device control and display
US11851035B2 (en) 2018-01-31 2023-12-26 Spartan Fire, Llc Multi-stance aerial device control and display
CN108226731A (zh) * 2018-04-09 2018-06-29 保定市恒信达电气有限公司 一种机载超声波局放检测设备
CN108226731B (zh) * 2018-04-09 2023-11-17 保定市恒信达电气有限公司 一种机载超声波局放检测设备
KR20210150213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우성이앤에스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285B2 (en) Method of raising a crane boom
RU2532204C2 (ru) Расширитель оттяжек для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содержащий его кран и способ его наладки
JP5675041B2 (ja) クレーンブームの起立方法
JP2008120525A (ja) 伸縮ブーム付きクレーン装置
JP2008523678A (ja) 伸縮可能なカメラクレーン
CN102358580A (zh) 折叠臂架结构以及展开和折叠该折叠臂架结构的方法
KR20150073627A (ko)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CA2881002C (en) Torque stabilization for a rig mast
US11465887B2 (en) Support for the rear anchoring line of a telescopic crane
KR101559766B1 (ko)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JP7287030B2 (ja) 伸縮ブーム用の伸縮シリンダアセンブリ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101850144B1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CN105143588B (zh) 成组梯、特别是消防梯以及装备有这种成组梯的车辆
JP2022076467A (ja) ジブ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クレーン
CN114105000A (zh) 一种吊装组件及塔式起重机
CN206437835U (zh) 用于双绳绳排的自平衡伸展机构
CN103569885B (zh) 建造机械
JP6242250B2 (ja) ブームの起立方法
CN218147821U (zh) 一种斜拉桥索塔内可伸缩通用操作平台
CN111411783B (zh) 多节伸缩复合桁架及具有其的电梯井式直臂施工设备
CN214059675U (zh) 一种带移动式栈桥的塔式起重机
RU2492132C2 (ru) Башенный кран
CN202897927U (zh) 板材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