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213A -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213A
KR20210150213A KR1020200067290A KR20200067290A KR20210150213A KR 20210150213 A KR20210150213 A KR 20210150213A KR 1020200067290 A KR1020200067290 A KR 1020200067290A KR 20200067290 A KR20200067290 A KR 20200067290A KR 20210150213 A KR20210150213 A KR 2021015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ladder
boom assembly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135B1 (ko
Inventor
조이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0006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1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부,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부, 복수의 제1 플레이트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입 브라켓 및 인입 브라켓에 연결되고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스터드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 및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설치되는 인출 고정부를 포함하며, 제한된 폭의 사다리에 구동 와이어,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와 이의 설치를 위한 풀리 등이 모두 설치될 수 있는 사다리차의 붐대 신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TELESCOPIC BOOM ASSEMBLY FOR LADDER TRUCK}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동 와이어, 인출보조 와이어 및 인입보조 와이어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다리붐에 각 와이어의 끝단과 각각의 와이어가 감기는 안내풀리를 일체의 프레임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사다리차의 붐대 신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고층의 건물에 짐을 운반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고가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건물에 고가 사다리를 접촉시킨 후에 와이어를 감아 적재물 운반함에 이삿짐을 얹은 상태로 고가 사다리를 따라 적재물 운반함을 이동시켜서 건물에 대기중인 작업자가 짐을 받아 이삿짐을 운반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는 다단 구조의 붐대로 이루어지며, 붐대에 연결된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에 의해 다단 구조의 붐대가 인출되고 인입되도록 신축 작동함에 따라 고가 사다리를 요구되는 높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에 설치되어 와이어들을 연결하는 로프 풀리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붐대의 프레임에 수직축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설치되는데, 붐대의 프레임에는 구동 와이어의 로프 풀리(시브; sheave)에 더하여 인출 와이어 또는 인입 와이어가 감기는 로프 풀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붐대의 프레임 내에 여러 개의 로프 풀리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는 무게 및 부피 등을 고려하면 사다리의 폭이 좁게 설계되어야 하므로 붐대의 프레임의 폭이 좁게 되는 바 로프 풀리들에 더하여 각각의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프레임의 설치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는 상기와 같은 설치 공간 부족으로 인해 붐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바를 별도로 구비하고 로프 풀리와 고정부재의 위치를 다르게 설치하여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나, 추가의 고정바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는 인출 와이어와 인입 와이어가 붐대의 선단측 및 후단측 프레임에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므로, 각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붐대의 선단측 및 후단측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통해 조절해야하는 바, 인출 와이어와 인입 와이어의 각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가 달라지게 되면 작업 장소가 분리되므로 조절작업이 번거로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5018호(2001.08.21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8-063344호(1998.11.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한된 폭의 사다리에 구동 와이어,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와 이의 설치를 위한 풀리 등이 모두 설치될 수 있고 사다리차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대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의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대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사다리 및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풀리부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로서,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부,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부, 복수의 제1 플레이트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입 브라켓 및 인입 브라켓에 연결되고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스터드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 및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설치되는 인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입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 및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고정부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출 브라켓 및 인출 브라켓에 연결되고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출 스터드를 포함하는 인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출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인출 고정부재 및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고정부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설치되어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는,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나사 결합하는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입 와이어 장력 조절부는,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와이어 풀리 및 풀리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나사 결합되는 인입 장력 조절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입 고정부재 또는 인출 고정부재가 각 연결 플레이트의 외면에 설치되므로 제한된 폭의 사다리에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가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고서 각 와이어들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차의 제조 비용을 점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입 고정부재 또는 인출 고정부재가 각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므로 인입 와이어들의 설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위한 각 장력조절부가 사다리의 일측에 모두 설치되므로 한 위치에서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의 장력을 모두 조절할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에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를 나사 결합되는 스터드를 통해 고정하게 되므로 체결량 조절을 통해 인입 와이어 및 인출 와이어의 장력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를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의 제1 플레이트부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의 제2 플레이트부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사다리 및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풀리부로 구성된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100)는 제1 플레이트부(30), 제2 플레이트부(40), 인입 고정부(50) 및 인출 고정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100)의 복수의 사다리(10)는 다단으로 결합되며 구동 와이어(1),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를 통해 신축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다리(10)는 일 예시로서 총 7단의 사다리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사다리(10)는 7단 이하 또는 7단 이상의 다단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상에서 하부에 위치한 제1단의 제1 사다리붐(11)으로부터 도면상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7단의 제7 사다리붐(17)까지 다단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다리(10)는 제1 사다리붐(11)의 프레임 내측에 제2 사다리붐(12)이 삽입되고, 제2 사다리붐(12)의 프레임 내측에 제3 사다리붐(13)이 삽입되는 결합 구조가 반복되며 윗단의 사다리붐이 아랫단의 사다리붐 내측에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다리(10)는 제1 사다리붐(11)에서 제7 사다리붐(17)까지 구동 와이어(1)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 와이어(1)에 의해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사다리(10)에는 인출 동작을 보조하는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동작을 보조하는 인입 와이어(3)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사다리(10) 중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붐 각각에는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가 서로 엇갈리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들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는 복수의 사다리(10) 중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붐마다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 각각은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붐 한 조에 대해 한 쌍의 와이어 로프로 구비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는 총 7단의 사다리붐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 5조의 와이어 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다리(10)에 연결되는 구동 와이어(1),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 각각은 풀리부(20)를 통해 사다리붐에 걸쳐지며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사다리(10)는 각각의 사다리붐이 구동 와이어(1), 인출 와이어(2) 및 인입 와이어(3)에 의해 연계 작동되며 인출 또는 인입됨에 따라 전체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 플레이트부(30)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부(30)는 제3 사다리붐(13)에 설치되는 제1 연결 플레이트(32)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부(30)는 복수의 사다리(10)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 각각은 복수의 사다리(10) 각각의 후단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0)는 복수의 사다리(10) 각각에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 각각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41, 42, 43, 44, 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41, 42, 43, 44, 45) 각각은 복수의 사다리(10) 각각의 선단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인입 고정부(50)는 인입 브라켓(51a, 52a) 및 인입 스터드(51b, 52b)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재(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입 브라켓(51a, 52a)은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 각각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입 스터드(51b, 52b)는 인입 브라켓(51a, 52a)에 연결될 수 있고 인입 와이어(3)가 연결될 수 있다.
종래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는 무게 및 부피 등을 고려하여 사다리의 폭이 좁게 설계되어야 하므로, 사다리에 설치되는 제1 연결 플레이트의 폭도 좁게 설계되었다. 이에, 좁은 폭의 제1 연결 플레이트에 설치 가능한 부품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제1 연결 플레이트에 구동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재(51, 52)가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의 외면에 설치되므로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에 구동 와이어(1) 및 인출 와이어(2)와 함께 인입 와이어(3)가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봄 조립체에 의하면 인입 고정부재(51, 52)가 외면에 설치되어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고정부재(51, 52)는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 및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는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52)는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와 제2 인입 고정부재(52)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 및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52)는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구동 와이어(1) 및 인출 와이어(2)와 함께 인입 와이어(3)가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는 인출 안내풀리부(22)가 설치된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상부로 우회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52)는 인출 안내풀리부(22)가 설치된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하부로 우회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제1 연결 플레이트부(30)에 설치되는 인출 안내풀리부(22) 및 인출 안내풀리부(22)에 연결된 인출 와이어(2)와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인입 고정부재(51, 5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므로 인입 와이어들의 설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여 인입 브라켓(51a, 52a) 및 인입 스터드(51b, 52b)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51)의 제1 인입 브라켓(51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52)의 제2 인입 브라켓(52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입 스터드(51b, 52b)는 제1 및 제2 인입 브라켓(51a, 52a)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인입 와이어(3)의 선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인입 브라켓(51a, 52a)은 소정 길이를 가진 판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다리붐들이 완전히 인입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부(30)의 각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들은 적층 구조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인접한 제1 연결 플레이트와의 상하 간격이 매우 협소하게 설계되었다. 이에, 각각의 제1 연결 플레이트(31, 32, 33, 34, 35)의 상부와 하부에는 고정 볼트가 결합될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인입 브라켓(51a, 52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인입 브라켓(51a, 52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절곡되는 꺽쇠 형상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입 브라켓(51a, 52a)은 수평판(미도시)과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수직판(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판이 고정 볼트(B)에 의해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인입 브라켓(51a, 52a)의 타측에는 인입 스터드(51b, 52b)가 결합되고, 인입 스터드(51b, 52b) 각각에 인입 와이어(3)의 선단이 연결됨에 따라 인입 와이어(3)를 제1 연결 플레이트(3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50)는 인입 브라켓(51a, 52a)이 제1 플레이트(3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되 절곡부를 통해 제1 플레이트(31)의 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32)의 상부와 하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인입 와이어(3)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50)는 제1 플레이트부(30)의 적층 구조에 따른 좁은 상하 간격에도 인입 브라켓(51a, 52a)을 제1 플레이트부(3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50)는 인입 브라켓(51a, 52a)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부(51c, 5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부(51c, 52c)는 인입 브라켓(51a, 52a)의 수직판에서 이격되어 수직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잇다.
이러한 삽입돌부(51c, 52c)는 인입 브라켓(51a, 52a)이 제1 연결 플레이트(32)에 배치되면 제1 연결 플레이트(3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돌부(51c, 52c)에는 고정 볼트(B)가 결합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볼트(B)에 의해 인입 브라켓(51a, 52a)과 함께 제1 연결 플레이트(32)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50)는 삽입돌부(51c, 52c)로 인해 인입 브라켓(51a, 52a)을 제1 연결 플레이트(32)에 단단히 결속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고정부(50)는 삽입돌부(51c, 52c)를 통해 인입 브라켓(51a, 52a)을 제1 연결 플레이트(32)의 두 지점에서 고정시키므로, 진동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인출 고정부(60)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41)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출 브라켓(미도시) 및 인출 브라켓에 연결되고 인출 와이어(2)가 연결되는 인출 스터드(미도시)를 포함하는 인출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41)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출 고정부재(미도시) 및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41)의 각각의 상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출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 고정부(60)는 제1 플레이트부(30)가 아닌 제2 플레이트부(40)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입 고정부(50)와 동일한 구성 및 연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고정부재가 제2 연결플레이트부의 외면에 설치되므로 구동 와이어(1) 및 인입 와이어(3)와 함께 인출 와이어(2)가 제2 연결 플레이트부(4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출 고정부재가 외면에 설치되어 제2 연결 플레이트부(40)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인출 고정부재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므로 인출 와이어의 설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인출 와이어(2)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100)에 의하면, 여러 개의 와이어와 안내풀리가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와이어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플레이트부(240)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부(240)는 일 예시로서 제3 사다리붐(213)에 설치되는 제2 연결 플레이트(242)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200)는, 고정부 및 와이어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출 고정부(260)는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는 제2 연결 플레이트(2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인출 와이어(20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는 제2 플레이트부(240)에 설치되므로 사다리붐의 선단측에서 인출 와이어(20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는 한 쌍의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271, 272)는 인출 와이어(20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플레이트(24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271, 272)는 제2 연결 플레이트(24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너트부재(C)에 의해 단부가 체결되어 제2 연결 플레이트(24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 와이어 장력 조절부(270)는 너트부재(C)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271, 27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스터드에 연결된 인출 와이어(202)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길게 설정하면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출 와이어 장력 조절부(270)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2 플레이트부(240)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체결량 조절을 통해 장력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200)는 인입 와이어 장력 조절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는 제2 연결 플레이트(242)에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인입 와이어(203)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는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의 구조와는 다르게 인입 와이어(203)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풀리부(223)를 통해 인입 와이어(20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는 인입 와이어(203)가 연결되는 인입 와이어 풀리(223) 및 인입 와이어 풀리(223)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241-2) 각각에 나사 결합되는 인입 장력 조절 스터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는 인입 와이어 풀리(2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브라켓(28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282)은 인입 와이어 풀리(22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양 판재에 인입 와이어 풀리(223)가 축결합될 수 있다.
인입 장력 조절 스터드(281)는 봉상 부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가이드 브라켓(28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재(C)를 통해 제2 플레이트(2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입 와이어 장력 조절부(280)는 너트부재(C)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인입 장력 조절 스터드(28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스터드에 연결된 인입 와이어(203)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길게 설정하면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의하면, 인입 와이어 장력 조절부(280)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2 플레이트부(240)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체결량 조절을 통해 장력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는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와 함께 제2 플레이트부(240)에 설치되므로 사다리붐의 선단측에서 인출 와이어(202)와 함께 인입 와이어(20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 및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가 사다리붐의 선단측에 위치한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240)에 설치되므로, 설치 방향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인출 와이어(202)와 인입 와이어(203)의 장력을 한 곳에서 모두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실제 작업 환경상 사다리차에 고정되는 부분인 사다리붐의 후단측에서는 구조적으로 와이어 로프의 장력 조절 작업이 제한되기 때문에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270) 및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280)가 사다리붐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200)에 의하면, 와이어 로프의 장력 조절 작업을 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신축 붐 조립체
1, 201 : 구동 와이어 2, 202 : 인출 와이어
3, 203 : 인입 와이어 10, 210 : 복수의 사다리
20, 220 : 풀리부 30, 230 : 제1 플레이트부
40, 240 : 제2 플레이트부 50 : 인입 고정부
60, 260 : 인출 고정부 270 :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
280 :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

Claims (8)

  1. 구동 와이어, 인출 와이어 및 인입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사다리 및 상기 구동 와이어, 상기 인출 와이어 및 상기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풀리부로 구성된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복수의 사다리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입 브라켓 및 상기 인입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스터드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입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설치되는 인출 고정부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고정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인입 고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입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는 인출 브라켓 및 상기 인출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출 스터드를 포함하는 인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고정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인출 고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인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는,
    상기 인출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나사 결합하는 인출 장력 조절 스터드를 포함하는 사라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상기 인출 와이어 장력조절부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와이어 장력 조절부는,
    상기 인입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입 와이어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플레이트 각각에 나사 결합되는 인입 장력 조절 스터드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KR1020200067290A 2020-06-03 2020-06-03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KR10237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90A KR102374135B1 (ko) 2020-06-03 2020-06-03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90A KR102374135B1 (ko) 2020-06-03 2020-06-03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213A true KR20210150213A (ko) 2021-12-10
KR102374135B1 KR102374135B1 (ko) 2022-03-14

Family

ID=7886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90A KR102374135B1 (ko) 2020-06-03 2020-06-03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1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44A (ko) 1996-12-03 1998-10-07 아기라 마쯔하라 스토퍼 스위치
KR200245018Y1 (ko) 2001-06-05 2001-10-29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사다리차 다단붐대의 신축장치
KR20060039164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101446690B1 (ko) *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20150073627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에버다임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44A (ko) 1996-12-03 1998-10-07 아기라 마쯔하라 스토퍼 스위치
KR200245018Y1 (ko) 2001-06-05 2001-10-29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사다리차 다단붐대의 신축장치
KR20060039164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101446690B1 (ko) *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20150073627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에버다임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135B1 (ko)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7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 retractable netting system
JPH05195677A (ja) カーテン用布を引き入れかつ引き出すための開閉装置及び付属のカーテン
KR102374135B1 (ko)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US20180029854A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20220081637A (ko) 사다리차의 신축 붐 조립체
JP5343635B2 (ja) 電動昇降ボード装置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071506B1 (en) Lift assembly with tapered drums
EP3772295B1 (de) Bildschirmaufzugsanlage zur anordnung in möbeln oder einbaumöbeln
JP3734851B2 (ja) 液圧式エレベータの懸架装置
JPH1095596A (ja) 昇降ユニット
CN212571938U (zh) 一种楼宇通信线缆布线架
KR100364501B1 (ko)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DE102018129691B4 (de) Wäscheaufhängevorrichtung
US20200190900A1 (en) Spring winder and curtains using the spring winder
JP2001310897A (ja) 格納装置
CN220397054U (zh) 机电装备组装合成法的预制组件
KR200255735Y1 (ko)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선케이블 및 에어호스의 행거장치
KR20220134916A (ko) 장력조절 보상 기능을 갖는 로프타입 펜스
CN210178247U (zh) 一种三合一隐形防盗网窗框型材
CN215564363U (zh) 一种脚手架组装用固定结构
JP2523176B2 (ja) 多段伸縮ブ―ム装置
CN219067728U (zh) 一种具有可调节布线组件的电缆桥架
CN216105751U (zh) 一种基于钢丝绳传动的舞台电动吊杆
CN111824899B (zh) 电梯以及补偿绳索支承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