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501B1 -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501B1
KR100364501B1 KR1020000010700A KR20000010700A KR100364501B1 KR 100364501 B1 KR100364501 B1 KR 100364501B1 KR 1020000010700 A KR1020000010700 A KR 1020000010700A KR 20000010700 A KR20000010700 A KR 20000010700A KR 100364501 B1 KR100364501 B1 KR 10036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ilding
support
wir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800A (ko
Inventor
여봉구
Original Assignee
여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봉구 filed Critical 여봉구
Priority to KR2020000005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085Y1/ko
Priority to KR1020000010700A priority patent/KR10036450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서 모든 조립이 완료되도록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망의 상부에서 내려오는 지지파이프의 수를 감소시켜 낙하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슬라브(S-1)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12)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10)과;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일정 각도로써 비스듬히 고정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22)와,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일측 끝단과 연결 지지되고, 그 지지 파이프(22)와 동일한 기울기로써 약간 비스듬하게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 파이프(24) 및 그 중간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파이프(26)로 구성된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와;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끝단과 상층의 건축물 슬라브(S-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0); 및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에 고정 결합된 각 파이프 지지대(30)의 끝단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걸림부(43)가 형성된 제 1 와이어(42), 상기 제 1 와이어(42)와 평행상태를 이루고 각 고정 브래킷(10)의 일측에 걸리도록 된 제 2 걸림부(45)가 형성된 제 2 와이어(44)와, 상기 각 와이어(42)(44)상에 걸쳐져 설치되는 그물망(46)으로 구성된 망체(40); 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SAFTY NET STRUCTUR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시에 공구 및 자재의 낙하,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비계틀에 설치하는 건축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모든 조립이 완료되도록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망의 상부에서 내려오는 지지파이프의 수를 감소시켜 낙하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용 안전망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 또는 비계틀에 지지시키도록 하는 가로방향의 하부 파이프(110)와, 그 하부 파이프(110)의 양 끝지점에서 건축물로부터 약간 비스듬하게 직교되도록 세우는 세로 파이프(120)와, 상기 세로 파이프(120)의 상부 끝지점에서 하부 파이프(110)와 평행으로 설치되는 상부 파이프(130) 및 각 세로 파이프(120) 사이에 견고한 구조를 이루도록 개재 설치되는 가로 파이프(140) 등으로 구성되는 망 지지틀(1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망 지지틀(100)의 상부 및 하부 파이프(130)(110)를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200)와, 그 와이어(200)상에 양측이 걸쳐지고 반대양측이 세로 파이프(120)의 각 일측에 결속선(210)에 의해 4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되는 그물망(220)이 구비되며,
또한 상부 파이프(130)의 각 양측에 각 일측이 고정 연결되고 타측에는 망지지틀(100)의 설치높이 보다 높은 건축물의 상측 외벽이나 비계틀에 고정시켜 망 지지틀(100)을 지지하는 2가닥이 1조로 이루어지는 틀 지지로우프(30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안전망의 구조에서 상기 망 지지틀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소요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망지지틀을 지지하는 틀 지지로우프가 망 지지틀의 형상에 의해 부득이 2가닥의 1조로 다수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시 그물망에 떨어지지 않고 자칫 틀 지지로우프에 떨어지면서 오히려 작업자의 추락을 조장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안전망은 그 설치방법에 있어, 먼저 망 지지틀의 하부 파이프를 벽면 및 비계틀에 고정한 다음 세로 파이프를 직교되게 연결 설치하고, 가로 파이프 및 상부 파이프를 연속되게 설치해야 하며, 상부 파이프와 하부 파이프를 관통하여 그물망을 설치한 와이어를 끼워야 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설치는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할 수 없고 부득이 건축물 외부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축물의 내부에서 모든 조립이 완료되도록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망의 상부에서 내려오는 지지파이프의 수를 감소시켜 낙하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슬라브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일정 각도로써 비스듬히 고정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와,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측 끝단과 연결 지지되고, 그 지지 파이프와 동일한 기울기로써 약간 비스듬하게 고정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 파이프 및 그 중간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파이프로 구성된 파이프 조립 유니트와;
상기 지지 파이프의 끝단과 상층의 건축물 슬라브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 및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에 고정 결합된 각 파이프 지지대의 끝단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걸림부가 형성된 제 1 와이어, 상기 제 1 와이어와 평행상태를 이루고 각 고정 브래킷의 일측에 걸리도록 된 제 2 걸림부가 형성된 제 2 와이어와, 상기 각 와이어 상에 걸쳐져 설치되는 그물망으로 구성된 망체; 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에서, 건축물의 슬라브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S1);
건축물 내부에서, 지지 파이프의 선단과 보조 파이프의 선단끼리 체결수단으로써 고정 설치하고, 그 중간부분에 중간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것을 하나의 파이프 조립 유니트로써 다수의 유니트를 구성하여 각 고정 브래킷에 설치하는 단계;
건축물 내부에서, 제 1 와이어와, 이와 평행되는 제 2 와이어 사이에 그물망이 걸쳐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각 와이어의 양 끝단을 각각 말아 결속하여 제 1 및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망체를 구성하는 단계;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를 건축물 외부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상층 슬라브로부터 고정되는 각 파이프 지지대에 그물망이 걸쳐진 제 1 와이어의 양 끝단을 끼우고, 또한 지지 파이프의 선단과 파이프 지지대의 선단끼리 서로 결합 고정하여 건축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그물망이 걸쳐진 제 2 와이어의 양 끝단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각 고정 브래킷의 일측에 장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건축용 안전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망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을 도시한 도 2 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망의 설치방법을 모식화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 브래킷, 12: 가로대,
14: 조임핸들, 20; 파이프 조립 유니트,
22: 지지 파이프, 24: 보조 파이프,
26: 중간 파이프, 28: 연결 브래킷,
30: 파이프 지지대, 40: 망체,
42, 44: 제 1, 제 2 와이어, 43, 45: 제 1, 제 2 걸림부,
46: 그물망, 47: 고정클립,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망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을 도시한 도 2 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망의 설치방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슬라브(S-1)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12)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10)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10)은 상기 슬라브(S-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핸들(14)이 구성된다.
또한 건축물의 상에 비스듬히 고정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22)와,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일측 끝단과 연결 지지되고, 그 지지 파이프(22)와 동일한 기울기로써 약간 비스듬하게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 파이프(24) 및 그 중간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파이프(26)로 구성된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구성한다.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의 지지 파이프(22)에 보조 파이프(24) 및 중간 파이프(26)가 설치되기 위한 연결 지지수단은 연결되는 각도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통상의 연결 브래킷(28)이다.
또한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끝단과 상층의 건축물 슬라브(S-2)측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에 고정 결합된 각 파이프 지지대(30)의 끝단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걸림부(43)가 형성된 제 1 와이어(42), 상기 제 1 와이어(42)와 평행상태를 이루고 각 고정 브래킷(10)의 일측에 걸리도록 된 제 2 걸림부(45)가 형성된 제 2 와이어(44)와, 상기 각 와이어(42)(44)상에 걸쳐져 설치되는 그물망(46)으로 이루어진 망체(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42)(44)의 걸림부(43)(45)는 와이어 끝단을 약간 말아 고정클립(47)으로써 결속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건축용 안전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에서, 건축물의 슬라브(S-1)에 2EA를 1조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12)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10)을 약 10M∼15M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S1)를 거친다.
또한 건축물 내부에서, 지지 파이프(22)의 선단과 보조 파이프(24)의 선단끼리 체결수단으로써 고정 설치하고, 그 중간부분에 중간 파이프(26)를 연결 설치하는 것을 하나의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로써 다수의 유니트를 구성하여 각 고정 브래킷(10)에 설치하는 단계(S2)를 거친다.
이와 연속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제 1 와이어(42)와 이와 평행되는 제 2 와이어(44) 사이에 그물망(46)이 걸쳐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각 와이어(42)(44)의 양 끝단을 각각 말아 결속하여 제 1 및 제 2 걸림부(43)(45)가 형성되는 망체(40)를 구성하는 단계(S3)를 거치며,
또한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건축물 외부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상층 슬라브(S-2)로부터 고정되는 각 파이프 지지대(30)에 그물망(46)이 걸쳐진 제 1 와이어(42)의 양 끝단을 끼우고, 또한 지지 파이프(22)의 선단과 파이프 지지대(30)의 선단끼리 서로 결합 고정하여 건축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단계(S4)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그물망(46)이 걸쳐진 제 2 와이어(44)의 양 끝단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각 고정 브래킷(10)의 일측에 장전하는 단계(S5)를 거치므로써 안전망 1구간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망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망 지지틀을 지지하게 되는 수단(파이프 지지대)의 구성이 종래의 2개에서 1개로 줄어들는 반면에 작업자의 낙하시 안전망에 떨어지게 되는 범위는 넓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고, 또한 종래에 비해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작단가 및 조립성이 양호하게 되며,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은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를 모두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종래에 비해 훨씬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설치하게 되는 종래의 작업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결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건축용 안전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슬라브(S-1)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12)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10)과;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일정 각도로써 비스듬히 고정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22)와,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일측 끝단과 연결 지지되고, 그 지지 파이프(22)와 동일한 기울기로써 약간 비스듬하게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 파이프(24) 및 그 중간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파이프(26)로 구성된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와;
    상기 지지 파이프(22)의 끝단과 상층의 건축물 슬라브(S-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0); 및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에 고정 결합된 각 파이프 지지대(30)의 끝단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걸림부(43)가 형성된 제 1 와이어(42), 상기 제 1 와이어(42)와 평행상태를 이루고 각 고정 브래킷(10)의 일측에 걸리도록 된 제 2 걸림부(45)가 형성된 제 2 와이어(44)와, 상기 각 와이어(42)(44)상에 걸쳐져 설치되는 그물망(46)으로 구성된 망체(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2. 건축용 안전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에서, 건축물의 슬라브(S-1)에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가로대(12)가 설치된 고정 브래킷(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S1);
    건축물 내부에서, 지지 파이프(22)의 선단과 보조 파이프(24)의 선단끼리 체결수단으로써 고정 설치하고, 그 중간부분에 중간 파이프(26)를 연결 설치하는 것을 하나의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로써 다수의 유니트를 구성하여 각 고정 브래킷(10)에 설치하는 단계(S2);
    건축물 내부에서, 제 1 와이어(42)와 이와 평행되는 제 2 와이어(44) 사이에 그물망(46)이 걸쳐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각 와이어(42)(44)의 양 끝단을 각각 말아 결속하여 제 1 및 제 2 걸림부(43)(45)가 형성되는 망체(40)를 구성하는 단계(S3);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 조립 유니트(20)를 건축물 외부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상층 슬라브(S-2)로부터 고정되는 각 파이프 지지대(30)에 그물망(46)이 걸쳐진 제 1 와이어(42)의 양 끝단을 끼우고, 또한 지지 파이프(22)의 선단과 파이프 지지대(30)의 선단끼리 서로 결합 고정하여 건축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단계(S4); 및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그물망(46)이 걸쳐진 제 2 와이어(44)의 양 끝단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각 고정 브래킷(10)의 일측에 장전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망의 설치방법.
KR1020000010700A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36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956U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KR1020000010700A KR100364501B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700A KR100364501B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56U Division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800A KR20010086800A (ko) 2001-09-15
KR100364501B1 true KR100364501B1 (ko) 2002-12-16

Family

ID=196519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56U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KR1020000010700A KR100364501B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56U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3-03 건축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00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08B1 (ko) * 2004-10-11 2006-11-10 김미옥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CN102418423A (zh) * 2011-09-30 2012-04-18 湖南省第三工程有限公司 安全装置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7-02-23 주식회사 엠앤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CN112282402B (zh) * 2020-10-27 2022-03-08 河南城建学院 一种预制装配式建筑可折叠整体式抛网及安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641A (en) * 1991-10-29 1992-11-10 Arthur Nusbaum Jointly movable safety net and curtain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US5299654A (en) *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19980062452U (ko) * 1997-03-27 1998-11-16 배백일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EP0878597A1 (de) * 1997-05-15 1998-11-18 Karl-Heinz Söhring Schutznetz zum Auffangen von abstürzenden Personen und/oder Gegenständen bei Bau- und/oder Montagearbeiten
JPH11117524A (ja) * 1997-10-16 1999-04-27 Yuhara Corporation:Kk スタンドブラケ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641A (en) * 1991-10-29 1992-11-10 Arthur Nusbaum Jointly movable safety net and curtain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US5299654A (en) *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19980062452U (ko) * 1997-03-27 1998-11-16 배백일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EP0878597A1 (de) * 1997-05-15 1998-11-18 Karl-Heinz Söhring Schutznetz zum Auffangen von abstürzenden Personen und/oder Gegenständen bei Bau- und/oder Montagearbeiten
JPH11117524A (ja) * 1997-10-16 1999-04-27 Yuhara Corporation:Kk スタンドブラ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085Y1 (ko) 2000-07-15
KR20010086800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0364501B1 (ko)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36224Y1 (ko)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JPH11343742A (ja) 防護装置
KR101407063B1 (ko) 휀스용 연결장치
JP3911798B2 (ja) 仮設梯子用ケージ
KR200389452Y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KR200392830Y1 (ko) 건축용 안전망 장치
JP3051359B2 (ja) 安全建築作業方法および安全建築作業用具
JP7443279B2 (ja) 外部枠組み足場の養生用屋根枠及び外部枠組み足場の養生用屋根枠を用いた外部枠組み足場用雨除け装置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100752031B1 (ko) 단층 설치식 가설구조용 추락방지대
KR200271804Y1 (ko) 사다리를 이용한 안전망 구조물
JP3485534B2 (ja) 足場用防護装置、足場用パイプ装置及び足場装置
KR200495121Y1 (ko) 비계설치부와 건물면의 간격에 설치되는 안전쪽망
KR1025112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0403206Y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JP6462037B2 (ja) ネットフェン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007757B2 (ja) パネル取付構造
JP3177905B2 (ja) 外部養生用被覆体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JP3381090B2 (ja) 建築現場の仮設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419

Effective date: 200502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