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01U -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 Google Patents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01U
KR20170000701U KR2020150005440U KR20150005440U KR20170000701U KR 20170000701 U KR20170000701 U KR 20170000701U KR 2020150005440 U KR2020150005440 U KR 2020150005440U KR 20150005440 U KR20150005440 U KR 20150005440U KR 20170000701 U KR20170000701 U KR 201700007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safety
building
fixing bel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효
오기령
배장환
장대영
서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to KR2020150005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701U/ko
Publication of KR20170000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현장에서 사용하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과,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망(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200)과;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망(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안전망 설치 후 안전망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개구부의 안전난간이나 창호 설치 등 후속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안전망의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Building vertical safety net}
본 고안은 건축 현장에서 사용하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후 건축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하여 개구부에서의 후속 작업이 용이하게 한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에 관한 것이다.
다층 구조 건축물 공사 과정에 있어서, 건축물의 베란다나 창호 등을 설치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건축물의 기초 골조 공사가 완료된 후, 베란다용 안전난간이나 창호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개방된 상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공사 과정에서 각종 건축 자재가 개구부를 통해서 지상으로 낙하하여 지상에서 작업중이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하거나, 고층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개구부를 통해 지상으로 추락하여 큰 부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사망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건축관련법령에서는 안전방망을 설치하여 고층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이나,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건축물 공사 과정에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안전방망은 건축물 외벽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낙하하는 건축 자재나 추락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수평형 안전방망과,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막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건축 자재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수직형 안전방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수직형 안전방망은 건축물 벽체의 개구부 내면에 로프연결부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앵커볼트의 수나사부에 링을 형성한 아이 너트를 나사 결합한 후, 가장자리를 따라서 로프가 끼워진 안전망의 로프를 상기 아이너트의 링에 일일이 끼운 후 안전망과 앵커볼트 간의 로프를 팽팽하게 긴장시켜 수직형 안전방망을 설치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안전방망은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개구부의 상하좌우 내면 모두에 일정 간격으로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각 앵커볼트마다 아이너트를 결합한 후, 각 아이너트에 안전망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된 로프를 일일이 끼워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수직형 안전방망의 설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며,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수직형 안전방망의 설치 구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치 구조를 개선한 수직형 안전방망에 관한 기술은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5949호에는 첨부도면 도 11과 같이 아파트 등의 건축공사 작업시 각 세대별 벽면 구조물(1)에 베란다 또는 창틀 등의 개방구(2)에 마련하고 안전망(10) 일측에 길이방향의 고정벨트(11)를 다수 개 고정하되 고정벨트(11)의 일측에는 구조물(1)에 고정하는 걸구(20)와 탈착 가능한 걸공(1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고정벨트(11)를 연장하여 구조물(1)에 고정하는 텐션구(30)에 의해 안전망(10)의 텐션을 조정하는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텐션구(30)는 몸체(31) 하부에 앵커볼트와 고정하는 고정공(35)을 형성한 바닥판(34)을 마련하고 몸체(31) 외부에는 랫치기어(40)와 랫치편(50)을 마련하여 랫치결합하고 상기 랫치기어(40)의 하부에는 고정벨트공(42)을 형성한 회전축(41)을 마련하여 몸체(31)의 회전공(32)을 통해 내부의 공간부(33)에 마련하여 몸체(31)에 랫치기어(40)를 회전가능케 고정하고, 상기 랫치편(50)의 일측에는 랫치기어(40)와 맞물리는 스톱퍼(5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누름구(54)를 형성하고 상면에 스프링공(53)을 형성하여 스프링(60)을 연결하여 볼트공(52)을 통해 볼트(70)로 몸체(31)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5949호(2011. 03. 04.) 등록특허공보 제10-0493800호(2005. 06. 0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0085호(2000. 07. 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705호(2001. 10. 29.)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는 사각형의 안전망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벨트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벨트의 일측에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걸구와 탈착 가능한 걸공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텐션구의 회전축에 감기면서 랫치기어에 의해 역회전을 방지하여 고정력을 증가시켜 안전망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망의 탈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의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는 먼저 안전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개방구의 둘레면 구조물 일측에 걸구의 나사를 고정하고 타측에는 텐션구의 고정공에 앵커볼트로 고정해야 하는데, 종래 기술의 명세서상에는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종래 기술의 명세서 내용과 도면을 참고할 때, 걸구와 텐션구는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걸구와 텐션구를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의 내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방구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체의 내면에 설치된 걸구와 텐션구 간에 설치된 안전망으로 인해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의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망을 해체해야 하는데, 안전망을 해체한 상태에서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의 설치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안전망이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걸구와 텐션구를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의 외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걸구나 텐션구의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가 건축물 외부로서 걸구나 텐션구의 설치 작업을 진행해야 함으로써 걸구나 텐션구의 안전한 설치 작업을 위한 갱폼이나 시스템비계의 설치가 불가피함으로써 그에 따른 공기 지연과, 공사비 인상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부에서 외벽에 걸구나 텐션구 등의 설치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건축물 내부에서 작업하는 것보다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사고의 발생률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층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안전망의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안전망 설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안전망 설치 후 안전망의 위치를 건축물의 내/외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안전망이 설치되는 개구부의 안전난간이나 창호 설치 등 후속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사각틀 형태로 보강부(101)를 형성하고, 보강부(101) 내부에는 망지로 된 네트부(10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101) 양측에는 다수의 고정벨트(103)(104)를 구비하되, 일측 고정벨트(103)는 양단부를 보강부(101)의 전후면에 고정하여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타측 고정벨트(104)는 일단부를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하여 고정벨트(104)의 장력 조절이 가능케 하여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과;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상기 두 면 중 일측면에는 구축되는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수직설치장공(201)을 형성하고, 상기 두 면 중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벨트(103)(104)가 끼워지는 지지장공(202)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망(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200)과;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설치면(301)에는 수평설치장공(302)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설치면(301)에 직각으로 된 지지면(303)에는 상기 안전망(100)의 고정벨트(103)(104)가 끼워지는 지지장공(304)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망(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안전망 설치 후 안전망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하여 개구부의 안전난간이나 창호 설치 등 후속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망의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은 개구부에 안전망을 설치한 상태에서 앵커볼트를 풀어서 브라켓의 위치를 건축물의 내/외측 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개구부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안전하고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을 건축물의 개구부 내면에 앵커볼트로 설치하고, 브라켓에 안전망 고정벨트를 끼운 상태에서 장력조절래칫을 이용해 고정벨트를 당겨서 안전망을 긴장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방망 설치 작업시 위험성이 감소하며, 건축물의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 수행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은 설치 구조와 구성품의 수가 간소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자재 구입비 절감에 따른 공사비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 설치시 하부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9, 도 10은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하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1은 종래 기술의 건축용 안전방망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은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과,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망(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200)과;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망(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전망(100)은 사각틀 형태로 보강부(101)를 형성하고, 보강부(101) 내부에는 망지로 된 네트부(10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101) 양측에는 다수의 고정벨트(103)(104)를 구비하되, 일측 고정벨트(103)는 양단부를 보강부(101)의 전후면에 고정하여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타측 고정벨트(104)는 일단부를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하여 고정벨트(104)의 장력 조절이 가능케 한다.
상기 보강부(101)는 상기 네트부(102)의 둘레를 감싸거나, 상기 네트부(102)의 가로 세로 길이가 긴 경우에 네트부(102)를 여러 부분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감싼 후, 봉제를 통해서 네트부(102)와 일체로 형성하며, 강도 유지를 위해서 내구성과 내마모성 및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합성섬유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강부(101)의 강도 향상을 위해서 보강부(101) 내부에는 와이어와 같은 심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고정벨트(103)(104)는 사각틀 형태로 된 보강부(101)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보강부(101)의 가로 세로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보강부(101)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하고, 보강부(101)의 가로 세로 길이가 긴 경우에는 길이가 긴 변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벨트(103)(104)를 형성하며, 고정벨트(103)(104)는 상기 보강부(101)와 같은 소재로 제작하고, 보강부(101)에 고정하는 수단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봉제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브라켓(2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상기 두 면 중 일측면에는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수직설치장공(201)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안전망(100)의 고정벨트(103)(104)가 끼워지는 지지장공(202)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브라켓(200)은 강도 유지와 내구성 및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제작하며, 상기 수직설치장공(201)을 형성한 일측면과, 상기 지지장공(202)을 형성한 타측면은 좌우 폭과 상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설치장공(201)과, 상기 지지장공(202) 역시 좌우 폭과 상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방향 구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가 상기 수직설치장공(201)에 끼워지도록 상부브라켓(200)을 설치함으로써 상부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안전망(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앵커볼트를 완전 해체하지 않고, 체결력만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부브라켓(200)을 세로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망(10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개구부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고정벨트(103)는 양단부가 상기 안전망(100)의 보강부(101) 전후면에 고정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측 고정벨트(103)의 양단부를 보강부(101)에 고정하기 전에 고정벨트(103)가 지지장공(202)에 미리 끼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장공(202)에 끼워지는 또 다른 고정벨트(104)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벨트(104)의 일단부가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된 상태에서 장력조절래칫(105)을 이용해 고정벨트(104)를 당기면, 지지장공(202)에 끼워진 고정벨트(104)가 장력조절래칫(105)에 감기면서 고정벨트(104)가 긴장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이 팽팽하게 펴지게 된다.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설치면(301)에는 수평설치장공(302)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설치면(301)에 직각으로 된 지지면(303)에는 상기 안전망(100)의 고정벨트(103)가 끼워지는 지지장공(304)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상기 상부브라켓(20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며, 지지면(303)으로 안전망(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각종 건축자재나 작업자에 의해 물리력이 작용할 때, 건축물의 구조상 슬라브의 바닥면과 가까운 곳에서 더 큰 물리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하부브라켓(300)의 설치면(301)의 면적은 안전망(100)을 통해 전달되는 물리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면(301)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면(301)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면(301)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설치장공(302)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각 수평설치장공(302)을, 개구부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볼트와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안전망(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앵커볼트를 완전 해체하지 않고, 체결력만을 조절한 상태에서 하부브라켓(300)을 건축물의 내/외측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망(10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개구부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고정벨트(103)는 양단부가 상기 안전망(100)의 보강부(101) 전후면에 고정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측 고정벨트(103)의 양단부를 보강부(101)에 고정하기 전에 고정벨트(103)가 지지장공(304)에 미리 끼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장공(304)에 끼워지는 또 다른 고정벨트(104)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벨트(104)의 일단부가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된 상태에서 장력조절래칫(105)을 이용해 고정벨트(104)를 당기면, 지지장공(304)에 끼워진 고정벨트(104)가 장력조절래칫(105)에 감기면서 고정벨트(104)가 긴장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이 팽팽하게 펴지게 된다.
상기 하부브라켓(300)에 형성되는 각 수평설치장공(302)에는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끼워지는 단속홈(305)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를 더 구비함으로써 개구부의 내측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하부브라켓(300)을 설치한 후, 하부브라켓(300)이 안전망(100)에 가해지는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건축물의 내/외측으로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망(1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때문에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300)에 형성되는 수평설치장공(302)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수평설치장공(302)이 지그재그로 이어지도록 수직연결장공(306)으로 수평설치장공(302)을 연결한다.
따라서 개구부의 내측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하부브라켓(300)을 설치할 때, 앵커볼트가 수평연결장공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앵커볼트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하부브라켓(300)을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앵커볼트가 수직연결장공(306)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하부브라켓(300)을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하부브라켓(300)에 안전망(100)이 지지되도록 안전망(100)을 설치한 후에, 안전망(100)을 해체하지 않고도 안전망(100)의 하단부 위치를 건축물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건축물의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은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축물의 신축 공사시에 베란다 또는 창호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부(400)를 통해서 각종 건축 자재가 낙하하거나, 건축물의 실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개구부(400)를 통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즉,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400) 내측면 양측 상부에는 앵커볼트(500)를 이용하여 상부브라켓(200)을 동일한 높이 상에 설치하고, 내측면 양측 하부에는 앵커볼트(500)를 이용하여 하부브라켓(300)을 동일한 높이 상에 설치한다.
이때, 안전망(10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벨트(103)(104) 중 일측 고정벨트(103)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400) 일측 내면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200)과 하부브라켓(300)의 지지장공(202)(304)에 끼워져 안전망(100)의 일측을 지지하며, 타측 고정벨트(104)는 일단부가 안전망의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개구부(400) 타측 내면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200)과 하부브라켓(300)의 지지장공(202)(304)을 통과시켜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함으로써 장력조절래칫(105)을 이용해 고정벨트(104)의 장력을 조절하면 안전망(100)이 팽팽하게 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안전망(100)이 건축물 외벽의 개구부를 막도록 설치되면, 건축물 내부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도중에 개구부를 통해서 각종 건축 자재가 낙하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축물의 개구부에 안전망(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브라켓(200)과 하부브라켓(300)에 의해 지지되는 안전망(100)을 해체하지 않고, 하부브라켓(300)을 고정하는 앵커볼트(500)를 조금 푼 상태에서 안전난간(600)이나 창호 등의 설치를 위한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부브라켓(300)을 개구부(40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한 후, 다시 앵커볼트(500)를 조이면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안전망(100)의 하단부가 건축물의 개구부(400)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망(100)이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안전난간(600)이나 창호 등의 설치를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안전망(100)이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건물 내부에서 개구부(400)에 안전난간(600)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개구부에 안전난간이나 창호 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개구부를 통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 수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안전망 101: 보강부
102: 네트부 103: 고정벨트
104: 암벨크로테이프 105: 수벨크로테이프
200: 상부브라켓 201: 수직설치장공
202: 지지장공 300: 하부브라켓
301: 설치면 302: 수평설치장공
303: 지지면 304: 지지장공
305: 단속홈 306: 수직연결장공
400: 개구부 500: 앵커볼트

Claims (3)

  1. 사각틀 형태로 보강부(101)를 형성하고, 보강부(101) 내부에는 망지로 된 네트부(10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101) 양측에는 다수의 고정벨트(103)(104)를 구비하되, 일측 고정벨트(103)는 양단부를 보강부(101)의 전후면에 고정하여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타측 고정벨트(104)는 일단부를 보강부(101)의 전면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보강부(101)의 후면에 부착된 장력조절래칫(105)에 연결하여 고정벨트(104)의 장력 조절이 가능케 하여 건축물의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0)과;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상기 두 면 중 일측면에는 구축되는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수직설치장공(201)을 형성하고, 상기 두 면 중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벨트(103)(104)가 끼워지는 지지장공(202)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망(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200)과;
    평면상에서 볼 때, 직각 형태로 절곡된 두 면을 형성하되,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하는 설치면(301)에는 수평설치장공(302)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설치면(301)에 직각으로 된 지지면(303)에는 상기 안전망(100)의 고정벨트(103)(104)가 끼워지는 지지장공(304)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망(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300)에 형성되는 수평설치장공(302)에는 수평설치장공(302)과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끼워지는 단속홈(30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300)에 형성되는 수평설치장공(302)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수평설치장공(302)이 지그재그로 이어지도록 수직연결장공(306)으로 수평설치장공(302)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20150005440U 2015-08-13 2015-08-13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1700007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40U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5-08-13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40U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5-08-13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01U true KR20170000701U (ko) 2017-02-23

Family

ID=5826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40U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5-08-13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70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79B1 (ko) * 2017-08-25 2018-07-18 주식회사 제이엠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210000371U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이지스앤아이 건물의 추락방지용 안전망 결합구조
KR20210017638A (ko) * 2019-08-09 2021-02-17 이태진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7-15 여봉구 건축용 안전망
KR200233705Y1 (ko) 1998-11-08 2001-10-29 김영진 건축용 안전망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5-06-08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015949B1 (ko) 2009-12-29 2011-03-04 박상호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05Y1 (ko) 1998-11-08 2001-10-29 김영진 건축용 안전망
KR200190085Y1 (ko) 2000-03-03 2000-07-15 여봉구 건축용 안전망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5-06-08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015949B1 (ko) 2009-12-29 2011-03-04 박상호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79B1 (ko) * 2017-08-25 2018-07-18 주식회사 제이엠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210000371U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이지스앤아이 건물의 추락방지용 안전망 결합구조
KR20210017638A (ko) * 2019-08-09 2021-02-17 이태진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646A (en) Retractable fall restraint device
US20090223743A1 (en) Safety scaffolding
KR101263002B1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EP2378032B1 (en) Soft net containment
JP5292441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US20150211247A1 (en) Construction safety screen system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200400993Y1 (ko)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100599003B1 (ko)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2264367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102291060B1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0726445B1 (ko)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KR200339868Y1 (ko)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1277515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200367314Y1 (ko) 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