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800B1 -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800B1
KR100493800B1 KR1020040025298A KR20040025298A KR100493800B1 KR 100493800 B1 KR100493800 B1 KR 100493800B1 KR 1020040025298 A KR1020040025298 A KR 1020040025298A KR 20040025298 A KR20040025298 A KR 20040025298A KR 100493800 B1 KR100493800 B1 KR 10049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afety net
bar
building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환
조승종
서병환
Original Assignee
(주)삼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삼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4002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는,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건물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30); 건물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바(20); 상기 수직지지바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외측연장바(42); 상기 외측연장바의 외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지지바(44); 그리고 내측부분은 상기 수평지지바에 연결 설치되고, 외측부분은 상기 외측지지바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안전망(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사고 발생시 가장 바람직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시에도 건물 내에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높이 이상의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낙하사고 발생시 피해를 줄이고, 건축재 또는 기타 물품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측벽에 안전망을 설치한다.
종래의 안전망은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이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개 연설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안전망의 설치 및 지지에 있어서는, 안전망의 외측단부에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대 또는 와이어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이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즉 안전망의 상부에 설치됨)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떨어지게 되면 이러한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에 부딪혀서 부상을 당할 우려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안전사고의 예방에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타 작업물이 낙하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에 부딪히게 되면, 안전망의 외측으로 튕겨 나가게 되어, 지상으로 떨어질 수 있는 바, 이 역시 안전사고의 예방이라는 안전망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안전망의 설치에 있어서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측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망 시공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우려는 안전망의 설치시 뿐만 아니라 해제시에도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하물이 지상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낙하물이 다른 구조물(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안전망을 건물의 내부에서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전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용 부자재의 추락시 지상의 사람이 부상당하지 않도록 하는 점과, 공사현장에서 작업자가 추락시 안전망의 내부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여러가지 인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는,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건물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 건물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바; 상기 수직지지바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외측연장바; 상기 외측연장바의 외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지지바; 그리고 내측부분은 상기 수평지지바에 연결 설치되고, 외측부분은 상기 외측지지바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안전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고,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설되며,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설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나사결합되고, 외측단부에는 발코니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구비되는 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한 전후방이동에 의하여, 상기 밀착판이 발코니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지지바는 발코니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슬라브에 설치되고,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설되고,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는 고정용바와; 상기 고정용바에 나사결합되고, 하측단부에는 슬라브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밀착판이 구비되는 나사부와; 상단부에는 상기 슬라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바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한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밀착판과 하부밀착판이 슬라브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수직지지바가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건물의 외벽 일부에 밀착되는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지지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은, 네트부와;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네트부를 감싸도록 봉제에 의하여 연결되는 테두리부분과; 상기 네트부의 외측단부와 양측면을 따라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에는 상기 네트부에는 일측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테프론 보강제가 봉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측지지바의 상단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된 고리형상의 이중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이중고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안전망의 외측부분이 외측지지바에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의 외측중간부분과 수직지지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안전망의 외측부분이 더욱 경사진 이중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망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안전망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낙하물이 안전망 외측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건물의 내부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망 설치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추락하는 낙하물을 중간에서 차단하기 위한 안전망(10)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안전망(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낙하물이 상기 안전망(10)의 상부에 떨어질 때, 낙하물이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거나 충돌하여, 안전망 외측으로 튕겨 나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10)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측에 발코니(B)(수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건축되어 있는 외벽부분)에 안전망(10)이 설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망(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는, 상기 발코니(B)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지지바(3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바(30)는, 안전망(10)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B)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건물의 외측벽와 거의 인접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수평지지바(3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바(30)는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바(30)는, 건물의 외측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안전망(10)과 같이, 건물의 외벽면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수직지지바(20)가 수직상태로 밀착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바(20)는, 그 상단부에서 대체로 수평방향(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후방)으로 설치되는 연결바(22)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22)의 후단부 또는 후방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가 연결 설치되거나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4)의 중간 또는 그 하부에는,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하여 건물의 외측방향(발코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부(28)가 설치된다. 상기 나사부(28)의 전면측에는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8)의 내측단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2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바(22)와 지지바(24)는, 발코니(B)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28)가 회전함으로써 그 단부에 설치된 밀착판(26)이 상기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 상기 수직지지바(20)는 발코니(B)의 외측벽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가 발코니(B)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측면에 밀착상태로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직지지바(20)와 연결바(22) 또는 연결바(22)와 지지바(24)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코니(B)의 전면에 밀착되는데, 발코니(B)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지지바(20)의 양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재(21)는 수직지지바(20)의 해당부분이 발코니(B)의 전면에 더욱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어 안전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 넓혀진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21)는 수직지지바(2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부재(21a,21b)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21)는 상기 수직지지바(20)에 직접 부착(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측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바(22)의 상면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양측면을 위치하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21)는,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밀착부재의 하단부는 수직지지바(20)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21)는 발코니(B)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되는 것이면 그 형상 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지지바(30)는, 상기 연결바(22)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즉,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발코니(B)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연결바(22)에, 상기 수평지지바(30)가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바(30)는 발코니(B)와 거의 평행한 상태로 수평으로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30)와 연결바(22)는 클램프(Ca)(도 1 및 도 3 참조)에 의하여 서로 체결상태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클램프(Ca)는 봉형상의 연결바(22) 및 수평지지바(30)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로 양자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건축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품이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Ca)는, 봉형상의 바(22,30)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부분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바(22,30)가 체결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이 부품은 현재 공지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는, 안전망(10)이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외측연장바(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연장바(42)의 외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지지바(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연장바(42)는 수직지지바(2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부품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단부와, 상기 외측연장바(42)의 하단부를,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공지의 클램프(Cb)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상태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클램프(Cb)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바(20)와 외측연장바(4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Cb)를 수직지지바(20)에 대하여 풀고, 클램프(Cb)의 위치를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상하방향에서 조절하여 다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궁극적으로는 안전망(10)의 경사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와 외측연장바(42)의 체결 고정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클램프(Cb)이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바(20)와 외측연장바(42)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외직지지바(20) 또는 외측연장바(42)의 어느 일측 단부를 타측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연장바(42)의 외측단부에서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외측지지바(44)는, 그 상단부에서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지지바(20)에서 외측연장바(42)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외측지지바(44)도, 상기 수직지지바(20)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로 설치되어,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10)의 내측은 수평지지바(3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안전망(10)의 외측은 상기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안전망(10)의 내측은, 상술한 수평지지바(3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 때 상기 수평지지바(30)와 안전망(10)의 내측은, 별도의 부재(예를 들면 체결용 로프, 밴드, 와이어 등)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연장바(42)와 외측지지바(4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측연장바(42)와 외측지지바(44)는,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상기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가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상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안전망(10)에 대하여 도 5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안전망(10)은 일정한 폭(건물의 외측벽에 대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10)은, 내측부분에서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네트부(12)와, 상기 네트부(12)를 감싸는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는 테두리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부(12)는 낙하물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테두리부(14)는 상기 네트부(12)를 감싸도록 봉제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테두리부(14)는 고무 및 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네트부(12)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봉제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부(12)의 테두리부분을 감싸도록 고무재(14b)를 설치하고, 상기 고무재(14b)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섬유재(14a)를 설치한 후, 네트부(12)를 사이에 두고 봉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10)의 외측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와이어(16)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6)는 안전망(10) 자체에 소정의 강도를 부여함과 같이, 상술한 외측지지바(44)에 연결되어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는 안전망의 후면(건물측에 밀착되는 면)을 제외한 전면과 양측면을 따라서 상기 네트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16)의 구성은, 안전망의 설치시 네트부(12)의 외측테두리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적절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망(10)의 와이어(16)는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16)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상기 외측지지바(44)에 연결하여 안전망(1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이 부분에 대한 구성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10)의 네트부(12)의 강도를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테프론보강부(15)를 봉제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테프론보강부(15)는 가로방향으로 봉제에 의하여 네트부(12)에 부착되어 있어서, 네트부(1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안전망(10)의 외측부분[테두리부(14)의 일부]의 일측을 따내어 공간부(18)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18)에는 실질적으로 와이어(16)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공간부(18) 이외에는, 상기 와이어(16)가 테두리부(14)에 감싸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도 5에서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부(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16)가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체결상태로 조립되기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수직지지바(2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방향의 보조수평바(21)를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클램프(Cc)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6에 기초하면서, 상기 와이어(16)가 외측지지부(44)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지지부(44)의 상단부에는 이중고리(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망(10)의 외측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16)는, 상술한 공간부(18)를 이용하여, 상기 이중고리(46)의 내측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중고리(46)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개구된 한쌍의 고리(46a,46b)로 구성되고 있다. 즉, 하나의 고리(46a)는 건물내측을 향하여 개구된 하방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고리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고리(46a)와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하나의 고리(46b)는, 상기 고리(46a)와는 반대방향인 건물의 외측으로 열린 하방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고리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6)는, 이중고리의 각각의 개구부를 이용하여 한쌍의 고리(46a,46b) 속으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16)가 한쌍의 고리(46a,46b) 속으로 넣어지면, 상기 와이어가 어느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고 해도, 상기 고리(46a,46b)의 개구된 방향이 각각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상기 고리(46)의 내측에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한쌍의 고리(46a,46b)를 이용하여, 와이어(16)를 고정하는 경우 이외에도, 다른 부품 또는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16)를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고정하거나, 안전망(10) 자체를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바(20)와 외측연장바(42)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로프(R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로프(Ra)는,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의 외측부분을 지지하는 외측연장바(42)와 외측지지바(44)의 하중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망(10) 자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10)의 외측중간부분과, 외측지지바(44) 사이에는 탄성부재(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9)는, 스프링 또는 고무재밴드 등과 같이 탄성력 및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망(10)의 중간외측부분을 더욱 하방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49)의 구성에 의하여, 안전망(10)은 이중의 경사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안전망(10)의 외측단부의 경사도를 더욱 높이게 하여, 안전망(10)의 내측부분에 낙하물이 떨어지더라도 낙하물이 안전망의 외측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안전망(10) 상으로 떨어지는 물체가 안전망(10)의 내부에 안전하게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재(49)의 양측에 각각 고리부(49a,49b)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49a,49b)를 안전망의 하측에 설치된 고리(10a)와 외측지지바(44)에 설치된 고리(44a)에 걸어서, 상기 탄성부재(49)가 양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49)를 외측지지바(44)와 안전망(10)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에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10)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직지지바(20)를 발코니(B)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복수개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수직지지바(20)는 연결바(22), 지지바(24), 나사부(29) 그리고 밀착판(26)를 이용하여 발코니(B)에 고정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 후, 수평지지바(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클램프(Ca)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지지바(30)를 연결바(22)에 연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바(30)가 고정되면, 로프 또는 밴드를 이용하여 안전망(10)의 내측을 상기 수평지지바(30)에 고정한다.
그리고 외측연장바(42)의 외측단부에서 직립하도록 연장된 상기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고리(46)에, 안전망(10)의 와이어(16)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술한 탄성부재(49)를, 안전망(10)과 외측지지부(44)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클램프(Cb)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연장바(42)의 내측단부를 수직지지바(20)의 하단부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클램프(Cb)를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적절한 높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안전망(10)의 경사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Cb)를 수직지지바(20)의 높은 부분에 결합하에 되면,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의 외향 경사각도가 커지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 안전망이 설치되면, 안전망의 외측단부에 있는 와이어(16)를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등의 조작을 통하여, 와이어(16)의 장력을 조절하여 안전망이 완전하게 펼쳐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상기 수직지지바(2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수평바(21)를 설치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주요 시공순서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건물의 외측에 나가지 않고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수직지지바(20) 및 수평지지바(30)의 설치 및 안전망의 내측을 수평지지바(30)에 고정하는 것은, 건물의 내부(즉 발코니의 내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내부의 하부측에서 안전망의 외측을 외측지지바(44)의 상단부에 연결한 다음, 상기 외측연장바(42) 및 그 단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바(44)를 건물의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외측지지바(44)의 내측단부를 수직지지바(20)의 하단부에 연결하게 되는 과정도 건물의 내부에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은 실질적으로 건물의 내부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완전하게 해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시공순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전망(10)은 건물의 외벽에서 연속적으로 설치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안전망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건물의 발코니(B)를 통하여 안전망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할 본 실시예는 건물의 슬라브(수평단부)를 통하여 안전망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건물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수평단부(슬라브)에 안전망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에 대하여 수평지지바(30) 및 수직지지바(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수평지지바(30)가 건물의 외측벽면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수직지지바(20)가 건물의 외측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지지바(20)는 고정용바(23)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바(30)는 클램프(Cd)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고정용바(23)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바(23)에는 복수개의 나사부(28a)가 상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8a)는 상기 고정용바(23)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8a)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밀착판(25)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부(28a)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29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29a)을 잡고 나사부(28a)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28a)가 하향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부밀착판(25)이 슬라브(S)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브(S)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는 하부밀착판(20d)이 하부지지바(20c)를 통하여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지지바(20c)는 수직지지바(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외측에는, 하부지지바(20c)와 연결되는 원통상의 연결브라켓(20m)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에는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공(20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상의 연결브라켓(20m)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공(20n)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지지바(20c)의 적절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양측의 체결공(20h 및 20n)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0m)을 수직지지바(2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0m)이 소정 높이에서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브라켓(20m)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지지바(20c)는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밀착판(25)과 하부밀착판(20d)을 슬라브(S)에 끼운 상태에서, 나사부(28a)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부밀착판(25)이 하향이동하면서 슬라브(S)의 상면에 접근하여 완전하게 밀착된다. 상기 하부밀착판(20d)과 상부밀착판(25)이 슬라브(S)의 상하부에서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고정용바(23)가 완전하게 고정되어 유지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바(23)가 슬라브(S)에 완전하게 고정되면, 실질적으로 수평지지바(30) 및 수직지지바(20)가 완전하게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안전망(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수평지지바(30)는 클램프(Cd)를 이용하여 고정용바(23)에 고정되고 있고, 수직지지바(20)는 상기 고정용바(23)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분의 구성, 즉 수평지지바(30)와 수직지지바(20)를 상기와 같이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외측연장바(42) 및 외측지지바(44)의 구성과, 안전망(10)의 지지를 위한 구성 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망의 설치방법도, 실질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기 상부밀착판(25) 및 하부밀착판(20d)을 이용하여 슬라브(S)에 고정용바(23)와 수평지지바(30) 및 수직지지바(20)를 고정하는 과정이 진행된 후에는, 상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한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망(10)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바(30)가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수직지지바(20)가 수직상태로 밀착 설치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상단부는 연결바(22)와 연결되고, 연결바(22)의 후단부 또는 후방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가 연결 설치되는 것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4)의 중간 또는 그 하부에는,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하여 건물의 외측방향(발코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부(28)가 설치되고, 나사부(28)의 전면측에는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8)의 내측단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2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28)가 회전함으로써 그 단부에 설치된 밀착판(26)이 상기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 상기 수직지지바(20)는 발코니(B)의 외측벽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가 발코니(B)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측면에 밀착상태로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코니(B)의 전면에 밀착되는데, 발코니(B)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지지바(20)의 양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밀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바(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Ca)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22)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부에는 외향연장부재(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예를 들면 볼트(Ba)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그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Ba)에 의하여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대략적으로 V형상을 한 메인바(61)와, 상기 메인바(61)의 외측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향바(62)로 구성되고 이들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안전망(10)을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외측단부라고 할 수 있는 메인바(61)의 상단부가 상기 수평지지바(3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외향연장부재(60)는, 제1실시예의 외측연장바(42)와 외측지지바(44)가 일체로 성형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외향연장부재(60)는 보조지지부재(70)에 의하여, 구조적 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재(70)는, 일측(내측)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되고 타측(외측)단부가 상기 외향연장부재(6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재(70)는, 내측단부가 수직지지부(20)에 고정되는 보조아암(72)과, 상기 보조아암(72)의 외측단부에 고정되고, 파이프형상의 외향연장부재(60)의 저면을 받치는 서포터(74)로 구성되어, 외향연장부재(6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향연장부재(60)의 외측단부인 상향바(62)의 일측과, 상기 안전망(10)의 외측 중간부분 사이에는 탄성부재(49)가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상향바(62)의 상단부에는 이중고리(46)가 설치되어 있어서, 안전망(10)의 외측단부에 내장된 와이어(16)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도, 외향연장부재(60)의 외측 상단부와, 수평지지바(30) 사이에서 안전망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실질적으로 상기 안전망(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안전망(10)의 하부에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발코니(B)에 적용된 구성예를 통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슬라브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그 하부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낙하물이 안전망 주위로 낙하할 때, 다른 구조물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낙하물이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서 지상으로 낙하하거나 사람이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여 상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은, 실질적으로 건물의 내측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망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수직지지바의 하부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망에 대한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망의 외측부분의 결합상태 예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안전망 지지장치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직지지바의 하부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예시도.

Claims (11)

  1.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건물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
    건물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바;
    상기 수직지지바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외측연장바;
    상기 외측연장바의 외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지지바;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지지바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보조수평바를 포함하고;
    건물의 외벽 일부에 밀착되는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지지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구비되며;
    안전망의 내측부분은 상기 수평지지바에 연결 설치되고, 외측부분은 상기 외측지지바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2.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건물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
    건물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바;
    상기 수직지지바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수평지지바 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는 외향연장부재;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에 지지되는 보조아암과, 상기 보조아암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터로 구성되는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안전망의 내측부분은 상기 수평지지바에 연결 설치되고, 외측부분은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고,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설되며,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설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나사결합되고, 외측단부에는 발코니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구비되는 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한 전후방이동에 의하여, 상기 밀착판이 발코니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지지바는 발코니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슬라브에 설치되고,
    수직지지바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설되고, 상기 수평지지바를 지지하는 고정용바와;
    상기 고정용바에 나사결합되고, 하측단부에는 슬라브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밀착판이 구비되는 나사부와;
    상단부에는 상기 슬라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바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한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밀착판과 하부밀착판이 슬라브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수직지지바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은,
    네트부와;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네트부를 감싸도록 봉제에 의하여 연결되는 테두리부분과;
    상기 네트부의 외측단부와 양측면을 따라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부에는 일측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테프론 보강부가 봉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상단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된 고리형상의 이중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이중고리에는 안전망의 외측단부에 삽입된 와이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망 지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의 외측중간부분과 외향연장부재의 상단부분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안전망의 외측부분이 더욱 경사진 이중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바와 외측연장바 사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조로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KR1020040025298A 2004-04-13 2004-04-13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049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98A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4-04-13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98A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4-04-13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800B1 true KR100493800B1 (ko) 2005-06-08

Family

ID=3730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298A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4-04-13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8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0343A (zh) * 2013-06-13 2013-11-27 安徽建工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缓冲性能好的安全防护棚盖
KR101477063B1 (ko) 2012-12-18 2015-01-06 최완석 낙하 방지 장치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7-02-23 주식회사 엠앤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2202002B1 (ko) * 2020-07-31 2021-01-11 이완희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CN114135113A (zh) * 2021-12-22 2022-03-04 赵彩 一种建筑施工的安全防护装置
CN115030542A (zh) * 2022-07-21 2022-09-09 刘爽 一种建筑工程预留窗用防高空坠物安防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63B1 (ko) 2012-12-18 2015-01-06 최완석 낙하 방지 장치
CN103410343A (zh) * 2013-06-13 2013-11-27 安徽建工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缓冲性能好的安全防护棚盖
CN103410343B (zh) * 2013-06-13 2015-09-09 安徽四建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缓冲性能好的安全防护棚盖
KR20170000701U (ko) 2015-08-13 2017-02-23 주식회사 엠앤디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2202002B1 (ko) * 2020-07-31 2021-01-11 이완희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CN114135113A (zh) * 2021-12-22 2022-03-04 赵彩 一种建筑施工的安全防护装置
CN115030542A (zh) * 2022-07-21 2022-09-09 刘爽 一种建筑工程预留窗用防高空坠物安防装置及使用方法
CN115030542B (zh) * 2022-07-21 2024-05-03 广东志创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预留窗用防高空坠物安防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154A (ko)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0493800B1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US6279879B1 (en) Corner fence post bracing system
KR101562227B1 (ko) 맨홀의 안전한 출입과 보행자 추락보호를 위한 다기능 맨홀 안전대
JPH11343742A (ja) 防護装置
JP3911798B2 (ja) 仮設梯子用ケージ
KR10081906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건축용 추락방지망
KR100579826B1 (ko) 건축물의 외부 구조물 지지장치
KR100392835B1 (ko) 건축용 낙하추락 겸용 안전 구조체
JP2000356052A (ja) フェンス用支柱及びフェンス
KR100533371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용 브라켓
KR100534640B1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392830Y1 (ko) 건축용 안전망 장치
KR101146879B1 (ko) 스키장 안전 펜스 및 그 시공방법
JP3555139B2 (ja) 衝撃吸収柵
KR20060107080A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60111907A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GB1572015A (en) Safety apparatus for breaking falls
KR20060107082A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339611Y1 (ko) 전주용 승주 장치
KR200335577Y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용 브라켓
KR200164235Y1 (ko) 낙하방지용 구조물
JP4143760B2 (ja) フェンスバリケードの取付金具
SU1208253A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крепь
JP3917005B2 (ja) 縦立構造体支持装置による梯子縦立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