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02B1 -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Google Patents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2002B1 KR102202002B1 KR1020200095758A KR20200095758A KR102202002B1 KR 102202002 B1 KR102202002 B1 KR 102202002B1 KR 1020200095758 A KR1020200095758 A KR 1020200095758A KR 20200095758 A KR20200095758 A KR 20200095758A KR 102202002 B1 KR102202002 B1 KR 102202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net
- plate
- fixture
- building
- fixedly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낙하방지용 안전망의 설치를 위한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구비된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낙하방지용 안전망의 설치를 위한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구비된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근로자와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 낙하물방지망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낙하물방지망은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부재들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그 외벽의 도장 작업 시 발생되는 근로자의 추락과 부재 및 기구 등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낙하물방지망은 사각프레임의 다수개 지점을 와이어로 걸어서 와이어 일단을 클립으로 고정한 후 건축물의 외측 난간이나 벽면에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낙하물방지망은 와이어를 통해서만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힘이 약했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 낙하물방지망의 사각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보강대를 설치하였으나, 낙하물이 보강대에 튕긴 후 지면으로 추락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가 보강대에 부딪쳐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낙하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155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구비된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는 제1 내지 제3고정나사;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에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플레이트; 상기 제2고정나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클램프;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에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 보다 외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제3플레이트, 제1 및 제3고정나사, 제1플레이트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제1부분과 상기 아이볼트, 제2고정나사, 제2플레이트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제2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상하로 설치된 상기 안전망에 고정된 복수의 상기 안전망 고정구에 있어서, 건물의 하층으로 갈수록 상기 안전망 고정구의 상기 압축스프링의 개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기 안전망에 고정된 상기 안전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모서리에 안전망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먼 모서리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안전망의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본 발명은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구비된 안전망 고정구에 압축 용수철을 형성함으로써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나 안전망이 파손되는 확률이 감소하여 안전망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작업자가 안전망에 추락하는 경우에도 안전망 고정구가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망에 추락한 후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추락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망 고정구가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설치된 안전망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강바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보강바에 낙하물이 부딪힌 후 튕겨져 나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작업자가 추락할 때 보강바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각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가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압축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되되 층별로 안전망 고정구의 완충스프링 개수를 달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되되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모서리에만 안전망 고정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각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가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압축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되되 층별로 안전망 고정구의 완충스프링 개수를 달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되되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모서리에만 안전망 고정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각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가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의 압축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100, 이하 '안전망 고정구'라 함)는 제1 내지 제3고정나사(141, 142, 143)와,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141, 142, 143)에 다수개의 고정볼트(15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31, 132, 133)와, 상기 제1플레이트(131)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는 아이볼트(110)와, 상기 제3플레이트(133)의 하단에 고정 형성되는 클램프(120)와, 상기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의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141, 142, 143)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볼트(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31)를 관통하여 상단으로 연장된 제2고정나사(142)의 최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아이볼트(100)는 상기 제2고정나사(14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생산 과정에서 상기 아이볼트(100) 및 제2고정나사(1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120)는 상기 제3플레이트(133)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된 별도의 고정나사(140)에 고정볼트(150)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나사(141) 및 제3고정나사(143)는 상기 제1 내지 제3플레이트(131, 132, 133)를 모두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31) 및 제3플레이트(133)는 상기 제1고정나사(141) 및 제3고정나사(143)에 고정볼트(150)를 통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1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고정나사(141) 및 제3고정나사(143) 보다 외경이 큰 관통구멍(132a)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나사(141) 및 제3고정나사(143)와 상기 제2플레이트(132)가 서로 간섭 없이 상하 승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나사(142)는 상기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를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132)는 상기 제2고정나사(142)에 고정볼트(150)를 통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31)의 중앙에는 상기 제2고정나사(142) 보다 외경이 큰 관통구멍(132a)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나사(142)와 상기 제1플레이트(131)가 서로 간섭 없이 상하 승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20)가 하단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상기 클램프(1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3플레이트(133)와, 상기 제3플레이트(13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3고정나사(141, 143)와, 상기 제1 및 제3고정나사(141, 14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플레이트(131)가 일체로 하강하게 되고(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성들), 상기 아이볼트(110)와, 상기 아이볼트(11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고정나사(142)와, 상기 제2고정나사(14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플레이트(132)는 승강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한다(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구성들). 즉, 상기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에 형성된 관통구멍(131a, 132a)에 의해 안전망 고정구(100)의 2개의 부분들(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클램프(120), 제3플레이트(133), 제1 및 제3고정나사(141, 143), 제1플레이트(131)와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아이볼트(110), 제2고정나사(142), 제2플레이트(132))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132)는 제자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131)가 하강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압축스프링(160)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132)를 상기 제2고정나사(142)에 고정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132)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고정볼트(150)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제2플레이트(13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20)가 안전망(200)의 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아이볼트(110)가 와이어(310)를 통해 건물의 앵커(300)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안전망(200)의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 부근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전망(200)을 건물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의 사이에 제1 내지 제3고정나사(141, 142, 143)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160)의 개수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고정구(100)가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안전망 고정구(100)에 의해 안전망(200)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전망(200)에 낙하물(작업자 포함)이 충돌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200)의 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120)가 하단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1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3플레이트(133)와, 상기 제3플레이트(13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3고정나사(141, 143)와, 상기 제1 및 제3고정나사(141, 14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131)가 일체로 하강하게 된다(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성들).
반면, 와이어(310)를 통해 앵커(300)와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아이볼트(110)와, 상기 아이볼트(11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나사(142)와, 상기 제2고정나사(14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132)는 승강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한다(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구성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132)는 제자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131)가 하강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압축스프링(160)이 압축되면서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310)나 안전망(200)이 파손되는 확률이 감소하여 안전망(20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작업자가 안전망(200)에 추락하는 경우에도 안전망 고정구(100)가 안전망(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망(200)에 추락한 후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추락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망 고정구(100)가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100)를 통해 설치된 안전망(200)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강바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보강바에 낙하물이 부딪힌 후 튕겨져 나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작업자가 추락할 때 보강바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안전망의 경우 사각프레임의 다수개 지점을 와이어로 걸어서 와이어 일단을 클립으로 고정한 후 건축물의 외측 난간이나 벽면에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와이어를 통해서만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힘이 약했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 안전망의 사각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보강대를 설치하여야만 했다. 이에 따라, 낙하물이 보강대에 튕긴 후 지면으로 추락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특히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가 보강대에 부딪쳐 부상을 당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100)는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100)를 통해 설치된 안전망(200)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강바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보강바에 낙하물이 부딪힌 후 튕겨져 나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작업자가 추락할 때 보강바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건물의 3개의 층에 안전망(200)을 설치하되 3층의 안전망 고정구(100)에는 압축스프링(160)을 1개 설치하고, 2층의 안전망 고정구(100)에는 압축스프링(160)을 2개 설치하고, 3층의 안전망 고정구(100)에는 압축스프링(160)을 3개 설치하여 각각의 층마다 안전망 고정구(100)의 탄성력이 달라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하층으로 갈수록 낙하물이 떨어지는 높이가 더 높아짐에 따라 안전망(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하층에 있는 안전망 고정구(100)가 더 큰 충격을 흡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층으로 갈수록 안전망 고정구(100)에 더 많은 압축스프링(160)을 설치하여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건물에 안전망(200)을 설치하되 안전망의 4개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2개의 모서리에는 안전망 고정구(100)를 설치하고 건물의 외벽과 먼 2개의 모서리에는 와이어(310)를 안전망(200)의 프레임(210)에 바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낙하물이 안전망(200)에 떨어져 안전망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와이어(310)로 연결된 건물의 외벽과 먼 안전망(200)의 2개의 모서리 부분은 하강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문 상태로 안전망 고정구(100)가 설치된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안전망(200)의 2개의 모서리 부분만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일정 거리만큼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안전망(200)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모서리 부분이 하단 방향에 위치하도록 안전망(200)이 기울어지면서 낙하물이 안전망(200)에 떨어진 후 건물의 외벽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낙하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는,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구비된 안전망 고정구에 압축 용수철을 형성함으로써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나 안전망이 파손되는 확률이 감소하여 안전망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작업자가 안전망에 추락하는 경우에도 안전망 고정구가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망에 추락한 후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추락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망 고정구가 낙하물에 의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의 안전망 고정구를 통해 설치된 안전망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강바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보강바에 낙하물이 부딪힌 후 튕겨져 나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작업자가 추락할 때 보강바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전망 고정구
110 : 아이볼트
120 : 클램프
131 : 제1플레이트
131a : 관통구멍
132 : 제2플레이트
132a : 관통구멍
133 : 제3플레이트
140 : 고정나사
141 : 제1고정나사
142 : 제2고정나사
143 : 제3고정나사
150 : 고정볼트
160 : 압축스프링
200 : 안전망
210 : 프레임
300 : 앵커
310 : 와이어
110 : 아이볼트
120 : 클램프
131 : 제1플레이트
131a : 관통구멍
132 : 제2플레이트
132a : 관통구멍
133 : 제3플레이트
140 : 고정나사
141 : 제1고정나사
142 : 제2고정나사
143 : 제3고정나사
150 : 고정볼트
160 : 압축스프링
200 : 안전망
210 : 프레임
300 : 앵커
310 : 와이어
Claims (5)
- 제1 내지 제3고정나사;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에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플레이트;
상기 제2고정나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와이어가 연결되는 아이볼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안전망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클램프;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에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나사 보다 외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제3플레이트, 제1 및 제3고정나사, 제1플레이트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제1부분과 상기 아이볼트, 제2고정나사, 제2플레이트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제2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건물의 외벽에 상하로 설치된 상기 안전망에 고정된 복수의 상기 안전망 고정구에 있어서, 건물의 하층으로 갈수록 상기 안전망 고정구의 상기 압축스프링의 개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기 안전망에 고정된 상기 안전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인접한 모서리에 안전망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망의 모서리 중 건물의 외벽과 먼 모서리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안전망의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758A KR102202002B1 (ko) | 2020-07-31 | 2020-07-31 |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758A KR102202002B1 (ko) | 2020-07-31 | 2020-07-31 |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2002B1 true KR102202002B1 (ko) | 2021-01-11 |
Family
ID=7412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5758A KR102202002B1 (ko) | 2020-07-31 | 2020-07-31 |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200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9915A (zh) * | 2022-01-24 | 2022-04-12 | 张柏红 | 一种建筑工程用具有缓冲功能的安全防坠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313A (ko) * | 2003-10-06 | 2005-04-12 | 서종대 |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
KR100493800B1 (ko) * | 2004-04-13 | 2005-06-08 | (주)삼아이엔지 |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
KR20070094074A (ko) * | 2006-03-16 | 2007-09-20 | 깨뱉시스템주식회사 | 대형거푸집의 자주식 상승장치의 설치구조 |
KR100923135B1 (ko) * | 2009-06-18 | 2009-10-23 | 김정구 |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
KR100925539B1 (ko) * | 2009-02-12 | 2009-11-05 | 김주성 | 벽체용 피톤 및 이에 의한 벽체용 낙하방지시스템 |
KR20200088681A (ko) * | 2019-01-15 | 2020-07-23 |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 복원형 댐퍼 및 다지점 층간변위억제용 케이블을 이용한 기존건축물의 내진보강 시스템 |
-
2020
- 2020-07-31 KR KR1020200095758A patent/KR1022020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313A (ko) * | 2003-10-06 | 2005-04-12 | 서종대 |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
KR100493800B1 (ko) * | 2004-04-13 | 2005-06-08 | (주)삼아이엔지 |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
KR20070094074A (ko) * | 2006-03-16 | 2007-09-20 | 깨뱉시스템주식회사 | 대형거푸집의 자주식 상승장치의 설치구조 |
KR100925539B1 (ko) * | 2009-02-12 | 2009-11-05 | 김주성 | 벽체용 피톤 및 이에 의한 벽체용 낙하방지시스템 |
KR100923135B1 (ko) * | 2009-06-18 | 2009-10-23 | 김정구 |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
KR20200088681A (ko) * | 2019-01-15 | 2020-07-23 |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 복원형 댐퍼 및 다지점 층간변위억제용 케이블을 이용한 기존건축물의 내진보강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9915A (zh) * | 2022-01-24 | 2022-04-12 | 张柏红 | 一种建筑工程用具有缓冲功能的安全防坠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2866B1 (ko) |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 |
KR102202002B1 (ko) |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 |
CN110206329B (zh) | 一种土木工程用施工防护装置 | |
KR101945325B1 (ko) | 비계용 화물 승강기 | |
KR20200126688A (ko) |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 |
CN108750859B (zh) | 一种升降式电梯防坠落装置 | |
KR20090113042A (ko) | 갱폼 어셈블리 | |
KR20130116619A (ko) | 보강형 방호울타리 | |
CN213445918U (zh) | 一种建筑机械施工塔式起重机塔身结构 | |
KR102276294B1 (ko) |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 |
KR101553609B1 (ko) |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 |
KR101163022B1 (ko) |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 |
WO2021097762A1 (zh) | 附着升降作业安全防护平台金属防护网的全方位防护连接结构 | |
CN215055590U (zh) | 一种建筑幕墙施工用防坠装置 | |
WO2001007730A1 (en) | Scaffolding | |
CN219411767U (zh) | 一种外墙施工用的缓震防护吊篮 | |
CN216740764U (zh) | 用于防坠落底部缓冲装置 | |
CN218117746U (zh) | 一种防坠落装置及爆破孔钻机 | |
CN220487172U (zh) | 一种防坠网-栏一体装置 | |
CN213569151U (zh) | 一种塔式起重机起吊用固定装置 | |
KR102698182B1 (ko) | 건축용 알폼 슬래브 패널 거푸집 조립체 | |
CN216340820U (zh) | 一种建筑幕墙施工防坠装置 | |
KR102259942B1 (ko) |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 |
KR100767973B1 (ko) | 건축물의 안전 그물망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 |
CN219471504U (zh) | 一种建筑工程用碰撞缓冲保护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