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022B1 -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022B1
KR101163022B1 KR1020090074274A KR20090074274A KR101163022B1 KR 101163022 B1 KR101163022 B1 KR 101163022B1 KR 1020090074274 A KR1020090074274 A KR 1020090074274A KR 20090074274 A KR20090074274 A KR 20090074274A KR 101163022 B1 KR101163022 B1 KR 10116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gangform
elastic
support portion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659A (ko
Inventor
고정화
Original Assignee
상진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건설(주) filed Critical 상진건설(주)
Priority to KR102009007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0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방지라는 공사 안전측면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면서 갱폼에 설치된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충돌할 때 갱폼의 전체 무게가 실린 상태로 충격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완화시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갱폼의 뒷면에 용착배치된 수직파이프들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의 수직파이프들에 맞닿아 일체로 용착되는 한 개 이상의 각관파이프와; 상기 각관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선회 가능한 걸고리 형태의 수직지지부 및 수평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후단으로부터 각관파이프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각관파이프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할 때 작용하는 충격력을 탄성지지부가 완화시켜 줌으로써 갱폼의 추락방지라는 안전측면의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갱폼, 추락, 충격, 구조물, 크랙, 각관, 걸고리, 선회, 걸림부재, 탄성

Description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Support bracket for preventing fall gang form and concreat structure crack}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추락방지라는 안전측면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면서 갱폼에 설치된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충돌할 때 갱폼의 전체 무게가 실린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완화시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Gang Form)(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가설재인 대형 철재의 거푸집으로서, 스틸폼(steel form)(2)의 뒷면에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파이프(4)(5)가 다수 구비되어 스틸폼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5)에 수평지지대(3a)와 작업발판(3b) 및 핸드레일(hand rail) 등이 설치된 케이지(3)가 함께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갱폼(1)의 스틸폼(2)은 내측 거푸집(6)과 함께 고정용 볼트(7)에 의해 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스틸폼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갱폼(1)의 1개 중량은 대략 3톤 내지 4톤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20회 이상 사용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갱폼은 다음층 공사를 위하여 타워크레인에 의해서 인양 또는 교체되어 사용된다.
상기 갱폼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의 중간에서 좌,우측 서로 동일한 이격거리, 즉 대칭으로 스틸폼(2)의 뒷면 수직파이프(5) 상단부 양측에 역U자형 인양고리(8)들을 용착하고, 상기 인양고리(8)들을 후크(h)가 구비된 타워크레인의 호이스트(T)가 잡아주게 된다.
상기 갱폼의 인양 방법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성형된 구조물(C)로부터 갱폼(1)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구조물의 최하단에 매설 고정된 고정용 볼트(7)를 해체한 후, 성형된 콘크리트 구조물(C)로부터 상단부를 밀어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타워크레인 조작자와 갱폼 최종 해체자 간의 사인이 서로 맞지 않아 갱폼을 타워크레인의 호이스트가 잡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최하단에 매설 고정된 고정용 볼트를 해제하게 되면, 대형 철재의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갱폼의 가설재가 추락하게 됨으로써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9)을 갱폼(1)의 뒷면 상단부 좌,우측에 설치하여 갱폼의 추락시 상기 갱폼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9)이 콘크리트 구조물(C)의 최상단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갱폼(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갱폼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9)은 수직의 지지관(9a) 상부 일측에 수평관(9c)의 단부가 용착되고, 이 용착된 수평관(9c)의 타측 단부 하부측에 지지관(9a)보다 길이가 짧은 수직관(9d)을 용착시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관(9a)과 수평관(9c)의 사이, 그리고 수평관(9c)과 수직관(9d)의 사이는 보강리브(9e)에 의해서 지지되고, 수직의 지지관(9a) 하부측에 복수개의 체결공(9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갱폼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체결공(9b)이 형성된 수직의 지지관(9a)을 갱폼(1)의 스틸폼(2) 뒷면의 수직파이프(5)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관(9c)은 콘크리트(C) 측으로 돌출되고, 수직관(9d)은 콘크리트 구조물(C)과 소정거리로 이격된다.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 조작자와 갱폼 최종 해체자 간의 사인이 서로 맞지 않아 갱폼(1)이 추락하게 되면, 갱폼(1)에 설치된 갱폼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9)의 수직관(9d)이 콘크리트 구조물(C)에 걸리게 되어 갱폼(1)을 지지함으로써 갱폼(1)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갱폼 추락방지용 지지브래킷은 갱폼의 추락시 상기 지지브래킷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지브래킷이 구조물에 충돌할 때 갱폼 전체의 무게가 실린 상태로 충격력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그대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에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구조물의 시공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갱폼의 추락방지라는 안전측면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면서, 갱폼에 설치된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충돌할 때 갱폼의 전체 무게가 실린 상태로 충격력이 구조물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완화시켜 크랙 및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가 선회 작동되도록 하여 걸림부재 사용 및 보관에 따른 취급이 보다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작업도 간단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갱폼의 추락시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촉되는 지지점을 추가하여 지지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여 갱폼 추락방지의 안전성을 보다 증대시키는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갱폼의 추락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지지되는 상기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의 접촉부에 탄성받침재를 설치하여 구조물에 직접 강재 재질의 걸림부재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의 한 형태는, 갱폼의 뒷면에 설치된 수직파이프들 중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일정위치의 수직파이프들에 각각 맞닿아 일체로 용착되는 한 개 이상의 각관파이프와; 상기 각관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선회 가능한 걸고리 형태의 제1수직지지부 및 수평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후단으로부터 각관파이프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지지부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각관파이프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걸림부재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각관파이프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통과한 걸림부재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측 걸림부재의 외측에 삽입되어 탄성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한 걸림부재의 외측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갱폼 추락시 갱폼에 설치된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걸리게 되어 갱폼을 지지함으로써 추락방지라는 안전측면의 기본적인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탄성지지부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에 의하면, 갱폼의 추락시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걸려 지지되고, 각관파이프들의 하측에 구비된 탄성스프링들에 의해서 갱폼의 전체적인 무게가 실린 충격력이 걸림부재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갱폼 추락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상기 충격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방지 및 구조물의 불량 시공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재가 선회 작동되도록 하여 걸림부재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걸림부재의 사용 및 보관에 따른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작업도 간단하여 경제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의 완충기능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최소화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걸림부재가 갱폼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배가시킴으로써 갱폼 추락의 안전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걸림부재에 장착된 탄성지지재에 의해서 갱폼 추락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이 갱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갱폼(1)의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수직파이프(5)들에 용착되는 각관파이프(10)들과, 상기 각관파이프(10)들의 내부에 선회 및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20)와, 상기 걸림부재(20)를 각관파이프(10)의 하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0)로 크게 구별된다.
상기 각관파이프(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이 개방된 통상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갱폼(1)의 중간으로부터 좌, 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된 갱폼(1)의 뒷면 수직파이프(5)들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갱폼(1)의 폭이 10m 이하인 경우 갱폼(1)의 배면 좌,우측에 2개 설치되고, 갱폼(1)의 폭이 10m 이상일 경우에는 갱폼(1)의 배면 중간부와 좌,우측에 3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관파이프(10)들의 상측 내부에 걸림부재(20)가 관통하는 삽입홀(11a)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가 용착되고, 각관파이프(10)들의 상단부에는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가 끼워 지지되는 설치홈(12) 및 보관홈(13)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0)는 수직의 길이가 긴 봉 형태로 형성되고, 각관파이프(10) 의 상단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제1수직지지부(21) 및 수평지지부(22)가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22)의 후단으로부터 각관파이프(10)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지지부(23)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지지부(30)는 각관파이프(10)의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20)의 외면에 수나사부(31)가 형성되고, 각관파이프(10)의 하단 개방부에 상부 플레이트(32)가 밀착되어 용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2)의 하측에 탄성스프링(35)이 게재되어 하부 플레이트(33)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하부 플레이트(32)(33)의 중앙부에 걸림부재(20)의 하측이 삽입 관통하는 관통홀(3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재(2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1)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32), 탄성스프링(35) 및 하부 플레이트(33)의 중앙 관통홀(34)을 관통하여 하부플레이트(33)의 하단에서 고정너트(36)로 고정 체결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32)는 각관파이프(10)와 함께 이동되는 고정단이 되고, 하부플레이트(33)는 걸림부재의 수나사부(31)와 너트(36)에 의해 걸림부재(20)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한 가동단이 됨으로써 걸림부재(20)를 각관파이프(10)의 하측에서 탄력지지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의 뒷면 수직 파이프(5)들에 맞닿아 각관파이프(10)들이 용착됨으로써 갱폼(1)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며, 걸고리 형태를 이루는 걸림부재(20)의 전면부인 제1수직지지부(21) 및 수평지지부(22)가 콘크리트 구조물(C) 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지지부(21)의 하단은 콘크리트 타설된 구조물(C)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수평지지부(22)의 후단은 각관파이프(10)의 설치홈(12)에 끼워져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된 갱폼의 추락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걸고리 형태를 형성하는 제1수직지지부(21) 및 수평지지부(22)의 전면 돌출부의 걸림부재(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20)를 탄성지지부(30)의 탄성스프링(3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상측으로 인출시킨 뒤, 상기 설치홈(12)과 직각을 이루는 각관파이프(10)의 보관홈(13) 방향으로 선회시켜 놓게 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20)는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의 후단은 각관파이프(10)의 보관홈(13)에 끼워짐으로써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해진다(도 8a 및 도 8b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 8a 및 도 8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의 뒷면 수직파이프(5)에 각관파이프(10)가 용착되고, 상기 각관파이프(10)에 삽입된 걸림부재(20)의 제1수직지지부(21)와 수평지지부(22)는 콘크리트 구조물(C)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직 지지부(21)는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상면과 소정의 낙하거리(L1)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 후단으로부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수직지지부(23)의 하측에 각관파이프(10)의 하측으로 걸림부재(20)가 탄력 지지되는 탄성지지부(30)의 탄성스프링(35)에 의해 제1수직지지부(21)의 낙하거리(L1)보다 크게 스프링 지지거리(L2)를 갖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중력 가속도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하는 낙하거리(L1)가 증가할수록 낙하물체의 충격력이 커지므로 콘크리트 구조물(C)과 제1수직지지부(21) 간의 낙하거리(L1)를 최소한 짧은 거리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유리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갱폼(1)이 추락하면, 걸림부재(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지지부(21)가 콘크리트 구조물(C)에 걸려 지지되고, 각관파이프(10)를 포함한 갱폼(1)은 계속 추락하게 된다. 이때, 각관파이프(10)의 하측에 용착된 탄성지지부(30)의 상부 플레이트(32)는 각관파이프(10)와 함께 하강하므로 가동단이 되고, 탄성스프링(3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33)는 걸림부재(20)의 하단부측 수나사부(31)에 체결된 고정너트(36)에 걸려 고정되므로 고정단이 된다.
따라서, 탄성지지부(30)의 탄성스프링(35)은 갱폼(1)의 추락과 함께 하강하는 각관파이프(10) 및 상부 플레이트(32)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링 지지거리(L2)에서 압축거리(L3)로 압축 변형되면서 걸림부재(2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C)로 전달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걸림부재(20)의 구조물 지지에 의한 갱폼의 추락 방지와,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C)과 상기 걸림부재(20)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crack)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본 발명의 브래킷이 갱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폼(1)의 좌우 양측 대칭으로 위치한 수직파이프(5)들이 서로 마주보는 수직파이프들 사이에 본 발명의 1쌍의 각관파이프(10)들이 각각 용착 및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각관파이프(10)에 각각 삽입된 걸림부재(20)는 중간연결부재(40)에 의해서 서로 연동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갱폼 낙하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지지점이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지지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걸림부재(20)의 지지력을 배가시키고, 약간의 거리를 띠고 지점이 추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각관파이프(10)에 삽입된 각각의 걸림부재(20)의 제2수직지지부(23)에는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봉관통홀(25)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단에 고정나사부(40a)가 형성된 중간연결부재(40)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연결부재(40)를 걸림부재(20)의 봉관통홀(25)에 삽입 관통시킨 후, 양측 고정나사부(40a)에 체결너트(40b)로 고정함으로써 양측 한 쌍으로 구비된 각관파이프(10) 내의 걸림부재(20)들이 서로 상하 연동되도록 결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갱폼 추락시 갱폼(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2개의 걸림부재(20)가 중간연결부재(40)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거리의 간격을 갖고 지점이 추가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갱폼의 안정적 지지와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탄성스프링(35)에 의한 완충효과도 배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충격력을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중공 파이프 부재로 된 걸림부재를 사용하는 형태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 추락시 본 발명은 철제 재질의 중공의 걸림부재(20)가 콘크리트 구조물(C)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걸림부재(20)의 착지 안정성을 위하여 걸림부재(20)의 제1수직지지부(21)의 하단에 고무 재질로 제작된 탄성 발톱(51)을 중공파이프 내부에 끼움으로써 구조물에 탄성 착지부(50)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20)의 제1수직지지부(21)의 하단 내부의 공간부(24) 내부로 고무 재질의 탄성 발톱(51)이 끼워짐으로써 갱폼 추락시 콘크리트 구조물(C)에 착지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제 재질의 걸림부재(20)의 제1수직지지부(21)의 하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C)에 직접 닿지 않게 되어 탄성 접촉됨으로써 크랙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착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시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충돌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의 외측을 감싸는 탄성캡(52)이 장착된다. 상기 탄성캡(5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에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진 탄성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상부측 개방부(52a)를 통하여 수평지지부(22)의 하부 외측에 끼워져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갱폼의 추락시 상기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가 콘크리트 구조물(C)과 충돌하더라도 탄성캡(52)의 완충기능으로 수평지지부(22)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시 걸림부재의 제1수직지지부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관파이프의 하부측에 구비된 탄성지지부에 의해서 갱폼의 전체적인 무게가 실린 상태로 걸림부재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각관파이프를 갱폼의 좌,우측 각각에 한 쌍의 걸림부재를 배치 구성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지지점이 추가됨으로써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갱폼의 인양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갱폼 추락방지용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갱폼 추락방지용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갱폼 추락방지용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갱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걸림부재 사용 및 보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갱폼에 1쌍의 걸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1쌍의 걸림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의 걸림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탄성 캡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각관파이프 11: 고정플레이트
11a: 삽입홀 12: 설치홈
13: 보관홈
20: 걸림부재 21: 제1수직지지부
22: 수평지지부 23: 제2수직지지부
24: 공간부 25: 봉관통홀
30: 탄성지지부 31: 수나사부
32,33: 상,하부 플레이트 34: 관통홀
35: 탄성스프링 36: 고정너트
40: 중간연결부재 40a: 고정홀
50: 탄성 착지부 51: 탄성 발톱
52: 탄성 캡

Claims (6)

  1. 갱폼(1)의 뒷면에 설치된 수직파이프들 중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일정위치의 수직파이프(5)들에 각각 맞닿아 일체로 용착되는 한 개 이상의 각관파이프(10)와;
    상기 각관파이프(10)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선회 가능한 걸고리 형태의 제1수직지지부(21) 및 수평지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22)의 후단으로부터 각관파이프(10)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지지부(23)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20)와;
    상기 각관파이프(1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재(2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관파이프(10)의 상단부에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홈(12) 및 보관홈(13)이 형성되어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의 후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30)는 걸림부재(2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1) 와;
    상기 각관파이프(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용착되어 중앙부에 관통홀(34)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3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2)의 관통홀(34)을 통과한 걸림부재(20)의 하부 외측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5)과;
    상기 탄성스프링(35)의 하측으로 걸림부재(20)의 외측에 삽입되어 탄성스프링(3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33)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3)의 관통홀(34)을 관통한 걸림부재(20)의 외측 수나사부(3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6);로 구성되어 상, 하부 플레이트(32)(33)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5)이 탄력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방지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위치의 수직파이프들중 이웃하는 수직파이프 사이에 용착된 한 쌍의 각관파이프(10)에 걸림부재(20)를 각각 수용하고, 상기 1쌍의 걸림부재(20)에는 봉관통홀(25)들을 형성하여, 상기 봉관통홀(25) 사이에 고정나사부(40a)들이 양단에 형성된 중간연결부재(40)를 끼워 체결너트(40b)들에 의해 고정나사부(40a)들이 고정결합됨으로써 중간연결부재(40)로 연결된 1쌍의 걸림부재(20)가 상하 연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방지용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0)는 중공 파이프의 형상으로서, 제1수직지지부(21)의 하단에서 중공 내부로 고무재의 탄성발톱(51)이 끼워지는 탄성 착지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방지용 브래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0)의 수평지지부(22)에는 상측에 개방부(52a)가 형성된 탄성캡(52)에 의해서 수평지지부(22)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방지용 브래킷.
KR1020090074274A 2009-08-12 2009-08-12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KR10116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74A KR101163022B1 (ko) 2009-08-12 2009-08-12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74A KR101163022B1 (ko) 2009-08-12 2009-08-12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59A KR20110016659A (ko) 2011-02-18
KR101163022B1 true KR101163022B1 (ko) 2012-07-09

Family

ID=4377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274A KR101163022B1 (ko) 2009-08-12 2009-08-12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259B1 (ko) * 2022-06-20 2023-02-24 미래테크(주) 슬라브형틀 분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1770A (zh) * 2015-10-29 2016-03-23 重庆建工第九建设有限公司 一种确保立杆轴心受压状态的钢管主楞可调扣件托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527Y1 (ko) 2006-01-13 2006-04-07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527Y1 (ko) 2006-01-13 2006-04-07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259B1 (ko) * 2022-06-20 2023-02-24 미래테크(주) 슬라브형틀 분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59A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970B1 (ko)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101310595B1 (ko) 갱폼
KR101163022B1 (ko) 갱폼의 추락방지 및 크랙 방지용 브래킷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068077B1 (ko) 전기통신장비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복합 내진 구조 시스템
KR200425806Y1 (ko)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100918456B1 (ko)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28173Y1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KR200384349Y1 (ko) 높이조절과 하중측정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CN209874371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CN216587570U (zh) 一种粘滞阻尼器的安装平台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KR20090113042A (ko) 갱폼 어셈블리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2202002B1 (ko) 충격완화 구조를 구비한 안전망 고정구
KR200445692Y1 (ko)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KR102011506B1 (ko)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KR101310845B1 (ko)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JP5914175B2 (ja) 解体防護部材と解体防護工法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1126770B1 (ko)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KR102656619B1 (ko) 슬래브 패널 지지 장치
CN214412061U (zh) 安全带挂接器和安全带挂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