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456B1 -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456B1
KR100918456B1 KR1020090026891A KR20090026891A KR100918456B1 KR 100918456 B1 KR100918456 B1 KR 100918456B1 KR 1020090026891 A KR1020090026891 A KR 1020090026891A KR 20090026891 A KR20090026891 A KR 20090026891A KR 100918456 B1 KR100918456 B1 KR 10091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edge
case
formwork
wed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병준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공영
임세완
이준용
정기택
유도상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공영, 임세완, 이준용, 정기택, 유도상, 박성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공영
Priority to KR102009002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거푸집은 판넬; 상기 판넬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한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장치는 내부공간과, 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통하는 제1개구를 갖으며 상기 제1개구가 상기 프레임의 체결공과 마주보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 웨지공을 갖는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웨지핀; 및 상기 케이스의 제1개구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joint apparatus for mold and construcion mold having the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아파트나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높은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 외벽면을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거푸집(일명 갱폼이라고 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거푸집은 벽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조립되는 판재들로 구성되고, 판재들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간격으로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은 상호간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핀인 웨지핀(wedge pin)들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웨지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의 해체 작업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작업자는 웨지핀을 분리하기 위해 망치 등으로 웨지핀을 타격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웨지핀이 튕겨지면서 해체 작업자의 신체를 가격하거나 또는 아래(바닥)로 낙하되면서 건설현장 아래에 위치한 작업자를 가격하게 된다.
둘째,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웨지핀들은 거의 대부분 수거되지 못하고 자재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웨지핀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유실 방지를 위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웨지핀을 잡고 다른 한손은 망치를 들고 두드리기도 하는데, 이는 해체 작업자의 능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피로도를 높이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셋째, 웨지핀의 설치 및 분리 작업시 작업자가 마대 같은 곳에 수십,수백개를 담아서 운반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재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의 취급이 용이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푸집 조인트 장치는 웨지공을 갖는 웨지핀; 상기 웨지핀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기 웨지핀이 인출되는 제1개구를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제1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웨지핀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지핀은 상기 웨지공이 형성된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제1개구를 통해 인출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핀부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인출되도록 작업자가 조작하는 푸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부는 플레이트 형상이거나 또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추 형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드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거푸집은 판넬; 상기 판넬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한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장치는 내부공간과, 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통하는 제1개구를 갖으며 상기 제1개구가 상기 프레임의 체결공과 마주보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 웨지공을 갖는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웨지핀; 및 상기 케이스의 제1개구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웨지핀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고정핀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스트링, 와이어, 끈 또는 체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지핀은 상기 웨지공이 형성된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제1개구를 통해 인출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핀부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푸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 낙하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그로 인한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지핀 및 고정핀의 손실을 방지하여 자재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의 취급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건축용 갱폼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용 갱폼 시스템(1)은 외부벽체(W)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거푸집(일명 유로폼이라고 함)(10)과, 외부벽체(W)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거푸집(일명 갱폼이라고 함)(10) 그리고, 외측 거푸집(10)에 설치되는 케이지(Cage)(20)를 포함한다. 외측 거푸집(10)에는 케이지 설치를 위해 고정 연결 되는 수평(32) 및 수직바(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지(20)는 갱폼 시스템(1)에서 외측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거푸집 설치/해체작업, 후속 미장, 치장(견출) 등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발판(22), 안전난간(24)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벽체 거푸집에 결합된 부분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조인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조인트 장치는 건축용 거푸집들을 상호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건축용 거푸집에는 목재폼, 금속폼, 유로폼, 갱폼, 클라이밍폼, 슬라이딩폼, 슬립폼, 트레블링 폼 등의 다양한 거푸집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축용 거푸집(10)은 판넬(12)과 판넬(12)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바(14) 그리고 프레임바(14)에 설치되는 조인트 장치(100)들을 포함한다. 참고로, 거푸집(10)에는 보강을 위한 수직바(18)들 및 수평바(19)들이 설치된다.
건축용 거푸집(10)의 프레임바(14)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16)들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6)들은 조인트 장치(100)에 의해 이용된다.
조인트 장치(100)는 이웃하는 거푸집(10)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조인트 장치(100)는 케이스(110), 웨지핀(120), 고정핀(130) 탄성부재(140) 그리고 연결구(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공간(112)을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몸체(110a)와 고정판(110b)을 포함한다. 몸체(110a)는 개방된 전면과 밀폐된 후면(110c)을 갖으며, 후면(110c)에는 내부공간(112)과 통하는 제2개구(116)가 형성된다. 고정판(110b)은 몸체(110a)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하도록 몸체(110a)에 설치되고 프레임바(14)의 내측면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10b)에는 내부공간(112)과 통하는 제1개구(114)가 형성된다. 케이스(110)의 고정판(110b)은 제1개구(114)가 프레임바(14)의 체결공(16)과 마주보도록 프레임바(14)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케이스(110)의 고정판(110b)은 프레임바(14)의 내측면에 용접이나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웨지핀(120)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2)에 수납되고 제1개구(114)를 통해 체결공(16)에 삽입되는 핀부(122)와, 핀부(12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케이스(110)의 제2개구(1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시부(126) 그리고 그 사이에 폴둘되어 형성된 플랜지부(128)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28)는 탄성부재(140)가 탄력 지지하는 부분이다. 웨지핀(120)의 핀부(122)에는 웨지공(124)이 형성된다. 핀부(122)는 체결공(1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공(16)이 원형인 경우에는 핀부(122)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서와 같이, 체결공(16)이 슬릿형인 경우, 핀부(1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40)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2)에 웨지핀(120)의 플랜지부(128)와 케이스(110)의 고정판(110b)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40)는 고정핀(130)이 웨지핀(120)의 웨지공(124)으로부터 분리되면 웨지핀(120)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2)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플랜지부(128)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웨지핀(120)은 작업가가 푸시부(1126)를 밀거나 또는 고정핀(130)이 웨지공(124)에 체결된 상태를 제외하고는 항상 케이스(110)의 내부공간(11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인트 장치(100)는 웨지핀(120)이 자동적으로 케이스(110) 내부 공간(112)으로 수납됨으로써 거푸집(10)들을 분리하거나 또는 인양할 때 웨지핀(120)에 걸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의 조인트 장치(100)에서 탄성부재(140)는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기는 하지만, 탄성부재(140)가 있음으로 해서 거푸집(10)들의 분리 작업성이 향상되는 각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정핀(130)은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드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핀(130)은 케이스(110)의 제1개구(114)로부터 인출되어 체결공(16)에 삽입되는 웨지핀(120)의 웨지공(124)에 체결된다.
연결구(150)는 고정핀(130)과 케이스(110)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구(150)는 스트링, 와이어 또는 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조인트 장치에 의해 이웃하는 건축용 거푸집이 상호 결합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좌측 거푸집(10)의 체결공(16)과 우측 거푸집(10)의 체결공(16)이 일치하도록 정렬한 다음, 작업자가 웨지핀(120)의 푸시부(126)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웨지핀(120)의 핀부(122)가 서로 이웃하고 있는 거푸집910)의 플랜지바(14)들에 형성된 체결공(16)들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핀(130)을 핀부(122)의 웨지공(124)에 끼워넣으면 좌측 거푸집(10)과 우측 거푸집(10)이 조인트 장치(10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도 6a 및 도 6b는 조인트 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된 건축용 거푸집의 해체 과 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들의 해체 작업은 더욱 간단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핀(130)의 아래부분을 상방향으로 타격하면, 고정핀(130)이 핀부(122)의 웨지공(124)으로부터 이탈된다. 고정핀(130)이 웨지공(124)으로부터 분리되면, 웨지핀(120)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되면서 웨지핀(120)의 핀부(122)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2)으로 수납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고정핀(130)을 분리하기 위해 망치로 타격하더라도 고정핀(130)은 연결구(150)에 의해 케이스(110)와 이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신체를 가격하거나 또는 아래로 낙하되어 분실되지 않는다. 또한, 한 번의 망치 타격으로 조인트 장치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건축용 갱폼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조인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조인트 장치에 의해 이웃하는 건축용 거푸집이 상호 결합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조인트 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된 건축용 거푸집의 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플레이트 형상의 핀부를 갖는 조인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조인트 장치
110 : 케이스
120 : 웨지핀
130 : 고정핀
140 : 탄성부재
150 : 연결구

Claims (11)

  1. 거푸집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웨지공이 형성된 핀부와, 상기 핀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푸시부 그리고 상기 핀부와 상기 푸시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웨지핀;
    상기 웨지핀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개방된 전면과 막힌 후면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을 막으며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갖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기 웨지핀의 플랜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웨지핀의 핀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상기 웨지핀의 플랜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과 상기 케이스의 고정판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웨지핀의 핀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1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후면에 상기 웨지핀의 푸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플레이트 형상이거나 또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드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건축용 거푸집에 있어서:
    판넬;
    상기 판넬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바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바와의 체결을 위한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장치는
    웨지공이 형성된 핀부와, 상기 핀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푸시부 그리고 상기 핀부와 상기 푸시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웨지핀;
    상기 웨지핀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개방된 전면과 막힌 후면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을 막으며 상기 프레임바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갖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기 웨지핀의 플랜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웨지핀의 핀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상기 웨지핀의 플랜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웨지핀의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과 상기 케이스의 고정판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웨지핀의 핀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의 체결공과 마주보는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후면에 상기 웨지핀의 푸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스트링, 와이어, 끈 또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11. 삭제
KR1020090026891A 2009-03-30 2009-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10091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91A KR100918456B1 (ko) 2009-03-30 2009-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91A KR100918456B1 (ko) 2009-03-30 2009-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456B1 true KR100918456B1 (ko) 2009-09-24

Family

ID=4135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891A KR100918456B1 (ko) 2009-03-30 2009-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4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92B1 (ko) 2011-04-07 2011-10-11 주식회사 유신 자연 친화적인 토목, 조경, 공원, 하천용 보도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170544B1 (ko) 2010-11-09 2012-08-08 (주)에이원알폼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1623370B1 (ko) * 2015-01-19 2016-05-26 이옥순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CN107962156A (zh) * 2017-12-28 2018-04-27 江苏华东风能科技有限公司 铸造模具快速锁定与脱卸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85546B1 (ko) * 2017-07-05 2018-08-06 이준용 갱폼 하부작업대 고정 장치
CN109356194A (zh) * 2018-11-26 2019-02-19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管廊模板的拼缝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009A (en) * 1989-05-24 1990-12-04 Easton John T Bolt and wedge assembly for panel units
US20020008188A1 (en) * 2000-06-27 2002-01-24 Myers Dallas E. Attached pin for poured concrete wall form panels
KR200418039Y1 (ko) * 2006-03-15 2006-06-07 미래테크(주) 거푸집 판넬의 연결조립부재
US20080011935A1 (en) 2004-06-18 2008-01-17 Dayton Superior Corporation Locking system for concrete form pan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009A (en) * 1989-05-24 1990-12-04 Easton John T Bolt and wedge assembly for panel units
US20020008188A1 (en) * 2000-06-27 2002-01-24 Myers Dallas E. Attached pin for poured concrete wall form panels
US20080011935A1 (en) 2004-06-18 2008-01-17 Dayton Superior Corporation Locking system for concrete form panels
KR200418039Y1 (ko) * 2006-03-15 2006-06-07 미래테크(주) 거푸집 판넬의 연결조립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544B1 (ko) 2010-11-09 2012-08-08 (주)에이원알폼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1071692B1 (ko) 2011-04-07 2011-10-11 주식회사 유신 자연 친화적인 토목, 조경, 공원, 하천용 보도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623370B1 (ko) * 2015-01-19 2016-05-26 이옥순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KR101885546B1 (ko) * 2017-07-05 2018-08-06 이준용 갱폼 하부작업대 고정 장치
CN107962156A (zh) * 2017-12-28 2018-04-27 江苏华东风能科技有限公司 铸造模具快速锁定与脱卸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962156B (zh) * 2017-12-28 2024-05-17 浙江泉舜流体控制科技有限公司 铸造模具快速锁定与脱卸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356194A (zh) * 2018-11-26 2019-02-19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管廊模板的拼缝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456B1 (ko)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US6913422B2 (en) Shoring leg with node connectors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1310595B1 (ko) 갱폼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2086713B1 (ko) 난간틀
KR200455661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0426327Y1 (ko) 거푸집 고정핀의 낙하방지 구조
KR20170073981A (ko) 축조용 블록의 고정장치
KR101283137B1 (ko)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CN211647419U (zh) 一种免钻孔电梯井洞口防护栏
CN211313451U (zh) 装配式建筑施工临边防护结构
JP6355264B2 (ja) 吊り足場、吊り足場の架設方法および吊金具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1991906B1 (ko) 상하 커버를 구비한 갱폼 안전장치
KR101310845B1 (ko)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200100306A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CN215859218U (zh) 一种电梯门洞的防护装置
KR101514891B1 (ko)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200368372Y1 (ko) 낙하물 방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