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370B1 -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370B1
KR101623370B1 KR1020150008970A KR20150008970A KR101623370B1 KR 101623370 B1 KR101623370 B1 KR 101623370B1 KR 1020150008970 A KR1020150008970 A KR 1020150008970A KR 20150008970 A KR20150008970 A KR 20150008970A KR 101623370 B1 KR101623370 B1 KR 10162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ower cage
gang form
fixed
g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순
Original Assignee
이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순 filed Critical 이옥순
Priority to KR102015000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4Non-detachably fixed and secured connections between platform and scaff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및 빌딩의 외벽시공용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갱폼에 있어서 제물치장 마감작업을 위해 상기 갱폼의 상부 케이지에 볼트 고정되는 달비계 형식의 하부케이지 및 작업발판이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외벽에 매립되어 있는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 유지용 타이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하부케이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고정핀;과 일단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당김고리를 연결하는 연결재;및 상기 당김고리를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로 하여 갱폼인양 작업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BOTTOM CAGE FIX DEVICE OF GANG FORM}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및 빌딩의 외벽시공용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갱폼에 있어서 제물치장 마감작업을 위해 상기 갱폼의 상부 케이지에 볼트 고정되는 하부케이지 및 작업발판이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탈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아파트 및 빌딩의 외벽시공용 갱폼에 있어서 제물치장 마감작업을 위해 상기 갱폼의 상부 케이지에 볼트 고정되는 하부케이지 및 작업발판이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탈락에 의한 추락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사용은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제물치장 마감작업시에 다수의 하부 케이지를 콘크리트 외벽에 고정한 후 제물치장 마감작업을 할 수 있고, 갱폼 인양작업시 상기 콘크리트 외벽과 상기 하부 케이지의 고정상태를 상부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물치장 마감작업용 하부케이지 및 발판이 갱폼의 상부케이지에 볼트고정 되는 달비계형식으로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탈락,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편하게 고정 또는 해체작업을 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외벽과 하부 케이지를 고정 후 갱폼을 상부 층으로 인양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외벽과 하부 케이지의 고정상태를 해체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하부 케이지에 가지 않고 상부에서 간편하게 해체작업을 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외벽과 하부 케이지의 해체작업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와 연결재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재와 고정핀을 일체화 하여, 상기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와 함께 사용 할 수 있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외벽에 매립고정되어 있는 L앙카와 볼트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갱폼의 하부 케이지와 볼트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 또는 해체하기 위한 고정핀과 일단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당김고리와 연결하는 연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에는 고정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에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에는 고정핀 가이드부와 탄성체 및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알폼핀, 웨지핀, 일반볼트, 아이볼트, 환봉, 각봉, 앵글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재는 와이어, 강선, 로프, 파이프, 환봉, 각봉, 앵글 중 어느 하나
로 할 수 있다.
상기 당김고리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외벽에 매립고정되어 있는 L앙카와 볼트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하부 케이지와 볼트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 또는 해체하기 위한 고정핀;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외벽에 상기 갱폼의 하부 케이지를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일단은 상기 고정핀에 열결되고 타단은 당김고리에 연결되는 연결재;로 상기 당김고리를 갱폼의 상부에서 당길 때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고리를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로 하여 타워크레인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조립형으로 볼트 조립되어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사시도 이다.
도 2는 당김고리를 당길 때 고정핀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고정핀 삽입구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고정핀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설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외벽에 갱폼 및 하부 케이지가 설치되고,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가 설치된 전체 사시도와 각 부위별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제2실시례에 따른, 고정핀에 연결재와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를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은 제3실시례에 따른,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은 제4실시례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는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실시례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도1내지 도5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갱폼(100)의 상부 케이지(120)에 볼트고정되는 달비계 형태의 하부 케이지(110)를 콘크리트 외벽(90)에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외벽(90)에 매립 시공되는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80)에 제1고정 브라켓(12)을 볼트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80)와 고정볼트(11)는 상호 볼트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볼트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끼움 맞춤고정 등 다른 다양한 형태의 고정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제1고정부(10)는 상기 콘크리트 외벽(90)에 매립시공 되어있는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80)와 고정볼트(11)로 고정되는 제1고정 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12)에는 상기 고정볼트(11)의 삽입을 위한 고정볼트 삽입구(12a)와 고정핀(30) 삽입을 위한 고정핀 삽입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20)는 제2고정 브라켓(21)과 고정클립(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 브라켓(21)에는 상기 고정핀(30) 삽입을 위한 고정핀 삽입구(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은 갱폼(100)의 하부 케이지(110)에 볼트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지(110)를 감싸는 구조인 ㄷ자 형상에 고정볼트(20b)삽입을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 삽입구(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은 다수의 고정볼트(20b)와 고정너트(20c)로 상기 하부 케이지(110)에 볼트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은 상기 하부 케이지(110)와 볼트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볼트고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용접고정 등 다른 다양한 형태의 고정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를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고정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은 연결재(60)와 연결하기 위해 고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은 알폼핀, 웨지핀, 일반볼트, 아이볼트, 환봉, 각봉, 앵글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을 상기 갱폼(100)의 상부에서 당기는 원리로 간편하게 해체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고정핀(30)의 고리부(31)에 연결되고 타단은 당김고리(50)에 연결되는 연결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재(60)는 와이어, 강선, 로프, 파이프, 환봉, 각봉, 앵글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당김고리(50)는 도1과 같이 역U자형 환봉에 플레이트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연결재(60)에 매듭을 만들어 상기 당김고리(50)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도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당김고리(50)를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당김고리 중 어느 하나를 당김고리로 할 수 있다.
상기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200)는 갱폼(100)을 인양중 작업절차 미준수 등으로 상기 갱폼(100)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상기 갱폼(100)의 인양고리와 타워크레인이 연결되기 전에 작업자가 임의로 갱폼 고정볼트를 해체할 수 없도록 설치하는 안전장치 이다.
상기 갱폼(100)의 인양고리와 타워크레인 및 갱폼 고정볼트는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삭제
상기 당김고리(50)와 상기 연결재(60)의 연결방법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연결방법인 용접 또는 볼트, 묶음등의 방법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도7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고정부(20A)는 상기 고정클립(22)에 상기 제2고정 브라켓(21)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 삽입구(21a)에 상기 고정핀(30)을 상기 제1고정 브라켓(12)의 고정핀 삽입구(12b)를 관통하여 좌,우로 이탈하지 않을 정도 삽입고정하고, 상기 고정핀(30)을 외감하는 탄성체(7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30)의 상,하 가이드와 상기 탄성체(70)의 탄성력을 유지시키는 고정핀 가이드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례에 따른 도8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고정부(10A)는 상기 고정볼트(11)로 상기 콘크리트 외벽(90)에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 브라켓(12)과 상기 제1고정 브라켓(12)에 고정돌기부(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12c)는 회전식 브라켓(40)이 이탈하지 않으며, 고리부(43)에 상기 연결재(60)를 연결 후 상방향으로 당길때 회전하는 원리로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제2고정부(20B)는 상기 고정클립(22)에 힌지부(41)가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41)는 상기 회전식 브라켓(40)을 회동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브라켓(40)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2c)를 외감하며, 상기 제1고정부(10A)와 고정하거나, 상기 회전식 브라켓(40)의 회동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상태를 해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0),10A)와 제2고정부(20,20A,20B)는 볼트 고정되어 매층 마다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10, 10A: 제1고정부 40: 회전식 브라켓
11: 고정볼트 41: 힌지부
12: 제1고정 브라켓 42: 고정돌기부 삽입구
12a: 고정볼트 삽입구 50: 당김고리
12b, 21a: 고정핀 삽입구 60: 연결재
12c: 고정돌기부 70: 탄성체
20, 20A, 20B: 제2고정부 71: 고정핀 가이드부
21: 제2고정 브라켓 80: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
22: 고정클립 90: 콘크리트 외벽
20a: 고정볼트 삽입구 100: 갱폼
20b: 고정볼트 110: 하부 케이지
20c: 고정너트 120: 상부 케이지
30: 고정핀 200: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
31, 43: 고리부

Claims (6)

  1. 고층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벽시공을 위한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을 위해,상기 고층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L앙카 또는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와
    고정돌기부에 삽입되고 고리부가 형성된 회전식 브라켓과 상기 회전식 브라켓을 회동고정하는 힌지부가 연결된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일단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당김고리를 연결하는 연결재;및 갱폼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당김고리를 포함하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재는 와이어, 강선, 로프, 파이프, 환봉, 각봉, 앵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당김고리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추락방지용 인양 안전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당김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KR1020150008970A 2015-01-19 2015-01-19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KR10162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70A KR101623370B1 (ko) 2015-01-19 2015-01-19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70A KR101623370B1 (ko) 2015-01-19 2015-01-19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370B1 true KR101623370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70A KR101623370B1 (ko) 2015-01-19 2015-01-19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456B1 (ko) * 2009-03-30 2009-09-24 주식회사 삼인공영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100944463B1 (ko) * 2009-07-02 2010-03-05 송재근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456B1 (ko) * 2009-03-30 2009-09-24 주식회사 삼인공영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100944463B1 (ko) * 2009-07-02 2010-03-05 송재근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53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CN102900021B (zh) 一种拼装式桥梁湿接缝施工方法
US8453794B2 (en) Anchor assembly
KR101215356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US9180323B2 (en) Fall protection tie-off anchor point and method
KR101991907B1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CN101638939B (zh) 组合模板安全吊运系统
KR101370585B1 (ko) 전주 철거 장치
KR101623370B1 (ko)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장치
KR101547519B1 (ko) 갱폼의 하부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장치
CN204126290U (zh) 电梯井水平防护装置
JP6166870B2 (ja) 柱の立設方法、及び柱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KR20160030137A (ko)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시스템
KR101587908B1 (ko) 인양 고리 장치
CN104652803A (zh) 附着式电动升降导轨脚手架
CN204152229U (zh) 一种大跨度水平安全防护装置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2011506B1 (ko)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200392820Y1 (ko) 갱폼 낙하방지장치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200397194Y1 (ko) 갱폼 낙하방지장치
CN204199271U (zh) 一种灌注桩钢筋笼吊放固定装置
KR20090120829A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