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294B1 -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 Google Patents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294B1
KR102276294B1 KR1020190018412A KR20190018412A KR102276294B1 KR 102276294 B1 KR102276294 B1 KR 102276294B1 KR 1020190018412 A KR1020190018412 A KR 1020190018412A KR 20190018412 A KR20190018412 A KR 20190018412A KR 102276294 B1 KR102276294 B1 KR 10227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afety
safety mechanism
ring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306A (ko
Inventor
이웅균
김현소
노승찬
한강민
박상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2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고리의 해체 및 고정단계를 3단계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고정 및 해체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갱폼의 인양을 위하여 폼타이볼트와 체결된 체결볼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하부에 위치한 체결볼트는 인양고리와 크레인의 훅을 연결하기 전에는 체결볼트를 덮어 해체될 수 없도록 하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인양고리가 크레인의 훅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체결볼트 덮개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강하여 작업자가 해체 작업시 체결볼트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FALL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고리의 해체 및 고정단계를 3단계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고정 및 해체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갱폼(gang form)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 케이지(cage)는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발판, 안전난간을 말한다.
이러한 갱폼은 한 층의 작업이 완료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음 층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인양되며, 갱폼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먼저 갱폼을 고정하고 있는 체결볼트 중 하부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 체결볼트를 해체하고, 크레인의 후크를 생폼 상부의 인양고리에 건 상태에서 하부의 체결볼트를 해체한 후 크레인을 작동시켜 인양한다.
하지만 하부의 체결볼트를 해체하는 위치에 있는 작업자들은 갱폼 상부의 인양고리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후크가 인양고리에 걸렸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체결볼트를 해체하거나, 작업의 편의상 후크를 인양고리에 걸기 이전에 모든 체결볼트를 해체하는 일이 일어나면 콘크리트와 약한 접착력으로 붙어 있던 갱폼이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대형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92615호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이 개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와, 상기 외부폼의 상부로 인양고리부가 돌출되게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 설치된 인양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상하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상부의 안전 고리부가 상기 인양고리부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안전고리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게 횡방향으로 고정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안전커버와, 상기 안전커버와 가이드부재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인양고리가 크레인의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만 안전커버가 이동하여 고정볼트를 해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인양고리가 크레인의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 안전커버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안전커버는 인양고리가 상승한 정도에 따라 동일하게 상승하게 되어있다.
즉, 안전커버가 상승하는 폭이 적어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고정볼트를 해체할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로부터의 시야를 안전커버가 가리게 되어 고정볼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갱폼을 인양을 위한 체결볼트를 해체하고 인양하는 일련의 작업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92615-0000호 (2009년04월02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76562-0000호 (2010년08월1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38452-0000호 (2014년09월0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809815-0000호 (2017년12월1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갱폼을 인양을 위하여 상부의 인양고리를 크레인의 훅과 연결하고 폼타이볼트와 체결된 체결볼트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일련의 작업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폼타이볼트와 체결볼트가 체결볼트 덮개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체결볼트 덮개가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체결볼트의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의 외측에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중 2개 이상의 상단에 크레인의 훅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양고리와, 상기 인양고리의 전방에서 승하강하는 인양 안전고리를 구비하여 승하강 위치에 따라 인양고리에 크레인의 훅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안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중앙이 위치하고 중앙이 원호형으로 절곡된 후 양측이 수직 아래로 갱폼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폼타이볼트와 체결볼트가 결합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인양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는 인양 안전고리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인양 안전고리가 관통 가이드하도록 하는 복수 쌍의 가이드링과,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의 하단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의 하단에 장착된 인장스프링에 의하여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단이 상기 인양 안전고리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두 개 이상의 인양 안전고리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휨방지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면과 정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삼각형의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휨방지 파이프의 배면에 고정되고 폼타이볼트의 끝단과 장착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홈이 형성된 삼각바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인양 안전고리의 상하로 인접한 가이드링의 사이에 일측은 인양 안전고리가 관통 고정되어 승하강하고 제1 견인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승하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전후방향의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견인와이어의 하부가 권취되어 있는 제1 권취롤과, 상기 제1 권취롤과 동일한 축선상에 회전하며 제1 견인와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제2 견인와이어를 구비하는 제2 권취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제2 견인와인어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인양 안전고리가 상승할 때 체결볼트 덮개가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갱폼의 인양을 위하여 폼타이볼트와 체결된 체결볼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하부에 위치한 체결볼트는 인양고리와 크레인의 훅을 연결하기 전에는 체결볼트를 덮어 해체될 수 없도록 하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양고리가 크레인의 훅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체결볼트 덮개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강하여 작업자가 해체 작업시 체결볼트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의 사용상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안전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는 건축물의 외벽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1)과, 상기 거푸집(11)의 외측에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수직프레임(122) 중 2개 이상의 상단에 크레인의 훅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양고리(123)와, 상기 인양고리(123)의 전방에서 승하강하는 인양 안전고리(21)를 구비하여 승하강 위치에 따라 인양고리(123)에 크레인의 훅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안전기구(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에 중앙이 위치하고 중앙이 원호형으로 절곡된 후 양측이 수직 아래로 갱폼(1)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폼타이볼트(124)와 체결볼트(125)가 결합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인양 안전고리(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측면에는 인양 안전고리(21)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가이드하도록 하는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과,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의 하단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2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의 하단에 장착된 인장스프링(212)에 의하여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안전기구(2)는 상단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재(221)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두 개 이상의 인양 안전고리(21)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21)의 하단이 고정되는 휨방지 파이프(2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기구(2)는 상면과 정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삼각형의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휨방지 파이프(222)의 배면에 고정되고 폼타이볼트(124)의 끝단과 장착된 체결볼트(125)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홈(223)이 형성된 삼각바(224)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 덮개(2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기구(2)는 인양 안전고리(21)의 상하로 인접한 가이드링(211)의 사이에 일측은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고정되어 승하강하고 제1 견인와이어(213)의 상단이 고정되는 승하강블록(21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기구(2)는 전후방향의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견인와이어(213)의 하부가 권취되어 있는 제1 권취롤(215)과, 상기 제1 권취롤(215)과 동일한 축선상에 회전하며 제1 견인와이어(213)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제2 견인와이어(216)를 구비하는 제2 권취롤(217)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제2 견인와인어(216)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재(2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인양 안전고리(21)가 상승할 때 체결볼트 덮개(22)가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를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다른 일실시예 및 또 다른 일실시예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1)과, 상기 거푸집(11)의 외측에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22) 중 2개 이상의 상단에 크레인의 훅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양고리(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양고리(123)의 전방에서 승하강하는 인양 안전고리(21)를 구비하여 승하강 위치에 따라 인양고리(123)에 크레인의 훅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안전기구(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기구(2)는 인양 안전고리(21)가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에 중앙이 위치하고 중앙이 원호형으로 절곡된 후 양측이 수직 아래로 갱폼(1)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폼타이볼트(124)와 체결볼트(125)가 결합된 부분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측면에는 인양 안전고리(21)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가이드하도록 하는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과,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의 하단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21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측면에는 인양 안전고리(21)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이 장착되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가이드하도록 하고, 하단에 장착된 인장스프링(212)에 의하여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단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재(221)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두 개 이상의 인양 안전고리(21)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21)의 하단이 고정되는 휨방지 파이프(222)와, 상면과 정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삼각형의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휨방지 파이프(222)의 배면에 고정되고 폼타이볼트(124)의 끝단과 장착된 체결볼트(125)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홈(223)이 형성된 삼각바(224)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 덮개(22)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볼트(125)는 도면상에서는 갱폼(1)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폼타이볼트(124)와 결합하는 너트를 체결볼트라고 칭하였으나 앙카볼트를 사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어 중의적인 의미로 체결볼트라 칭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는, 본원에서의 안전기구(2)는 많은 선행기술과 인양고리(123)와 인접하여 인양 안전고리(21)를 형성하여 인양 안전고리(21)가 상승해야만 체결볼트(125)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콘크리트(4)에 일측이 매립되어 있는 폼타이밸트(124)와 체결볼트(125)의 상하 복수 개의 열 중 가장 하부의 결합부 전체를 동시에 덮은 상태에서 인양작업시 개방하여 체결볼트(125)를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그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폼타이밸트(124)와 체결볼트(125)가 결합된 결합부를 상부부터 제거하고 하부 일부가 남았을 때 크레인의 훅에 인앙고리(123)와 인양 안전고리(21)를 동시에 걸어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 중 두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약간 들어 갱폼(1)의 하중을 걸어주도록 하여 체결볼트(125)의 분리가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다시 완전히 걸어올린 후 체결볼트(125)를 분리하는 3단계로 분할하여 갱폼 인양작업을 단계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양고리(123) 및 인양 안전고리(21)의 수직 하부 위치가 아닌 체결부도 보호하여 충분한 체결부를 유지하지 못한 갱폼(1)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원의 도면은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도면으로 실제 적용되는 갱폼(1)과 상하 및 좌우 비율이나 크기 비율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안전기구(2)는 인양 안전고리(21)의 상하로 인접한 가이드링(211)의 사이에 일측은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고정되어 승하강하고 제1 견인와이어(213)의 상단이 고정되는 승하강블록(214)이 구비된다.
또한, 전후방향의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견인와이어(213)의 하부가 권취되어 있는 제1 권취롤(215)과, 상기 제1 권취롤(215)과 동일한 축선상에 회전하며 제1 견인와이어(213)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제2 견인와이어(216)를 구비하는 제2 권취롤(217)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견인와인어(216)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재(2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인양 안전고리(21)가 상승할 때 체결볼트 덮개(22)가 하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체결볼트 덮개(22)가 상승하는 구조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로부터의 시야를 체결볼트 덮개(22)가 가리게 되어 폼타이볼트(124)와 체결볼트(125)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과, 체결볼트 덮개(22)가 상승하는 폭이 적어 공구를 용이하게 운용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즉 제1 견인와이어(213)가 당겨 풀리게 되면 제2 견인와이어(216)도 반대 방향으로 풀리면서 체결볼트 덮개(22)가 하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제2 권취롤(217)의 직경을 제1 권취롤(215)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면 하강하는 폭이 상승하는 폭보다 크게 되어 체결볼트 덮개(22)는 충분히 하강하여 작업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갱폼의 인양을 위하여 폼타이볼트와 체결된 체결볼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하부에 위치한 체결볼트는 인양고리와 크레인의 훅을 연결하기 전에는 체결볼트를 덮어 해체될 수 없도록 하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양고리가 크레인의 훅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체결볼트 덮개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강하여 작업자가 해체 작업시 체결볼트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 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갱폼
11 : 거푸집
12 : 케이지
121 : 수평프레임 122 : 수직프레임
123 : 인양고리 124 : 폼타이볼트
125 : 체결볼트 126 : 가이드프레임
127 : 결합브라켓 128 : 고정핀
129 : 완충스프링 130 : 마찰패드
2 : 안전기구
21 : 인양 안전고리
211 : 가이드링 212 : 인장스프링
213 : 제1 견인와이어 214 : 승하강블록
215 : 제1 권취롤 216 : 제2 견인와이어
217 : 제2 권취롤
22 : 체결볼트 덮개
221 : 연결부재 222 : 휨방지 파이프
223 : 체결볼트홈 224 : 삼각바
4 : 콘크리트

Claims (8)

  1. 건축물의 외벽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1)과; 상기 거푸집(11)의 외측에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2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수직프레임(122) 중 2개 이상의 상단에 크레인의 훅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양고리(123)와; 상기 인양고리(123)의 전방에서 승하강하는 인양 안전고리(21)를 구비하여 승하강 위치에 따라 인양고리(123)에 크레인의 훅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안전기구(2)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에 중앙이 위치하고 중앙이 원호형으로 절곡된 후 양측이 수직 아래로 갱폼(1)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폼타이볼트(124)와 체결볼트(125)가 결합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인양 안전고리(2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측면에는 인양 안전고리(21)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가이드하도록 하는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과,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의 하단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상기 복수 쌍의 가이드링(211)의 하단에 장착된 인장스프링(212)에 의하여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상단이 상기 인양 안전고리(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재(221)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두 개 이상의 인양 안전고리(21)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21)의 하단이 고정되는 휨방지 파이프(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상면과 정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삼각형의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휨방지 파이프(222)의 배면에 고정되고 폼타이볼트(124)의 끝단과 장착된 체결볼트(125)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홈(223)이 형성된 삼각바(224)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 덮개(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인양 안전고리(21)의 상하로 인접한 가이드링(211)의 사이에 일측은 인양 안전고리(21)가 관통 고정되어 승하강하고 제1 견인와이어(213)의 상단이 고정되는 승하강블록(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전후방향의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견인와이어(213)의 하부가 권취되어 있는 제1 권취롤(215)과, 상기 제1 권취롤(215)과 동일한 축선상에 회전하며 제1 견인와이어(213)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제2 견인와이어(216)를 구비하는 제2 권취롤(2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는 연결부재(2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인와이어(216)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재(2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인양 안전고리(21)가 상승할 때 체결볼트 덮개(22)가 하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8. 삭제
KR1020190018412A 2019-02-18 2019-02-18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10227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2A KR102276294B1 (ko) 2019-02-18 2019-02-18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2A KR102276294B1 (ko) 2019-02-18 2019-02-18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06A KR20200100306A (ko) 2020-08-26
KR102276294B1 true KR102276294B1 (ko) 2021-07-12

Family

ID=7224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12A KR102276294B1 (ko) 2019-02-18 2019-02-18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2500A (zh) * 2020-12-31 2021-05-25 孙学志 一种节能建筑施工升降防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40B1 (ko) * 2009-09-15 2012-03-27 최재주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덮개 상?하동 장치
KR200466360Y1 (ko) 2012-02-17 2013-04-12 권종규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KR101595207B1 (ko) 2015-05-06 2016-02-17 (주)태건정공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15B1 (ko) 2008-07-28 2009-04-08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0976562B1 (ko) 2010-02-25 2010-08-1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안전 인양 장치
KR101310595B1 (ko) * 2012-02-21 2013-09-23 임종운 갱폼
KR101438452B1 (ko) 2014-01-13 2014-09-17 이옥순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1809815B1 (ko) 2016-02-03 2018-01-02 주식회사대동엔지니어링 갱폼 인양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40B1 (ko) * 2009-09-15 2012-03-27 최재주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덮개 상?하동 장치
KR200466360Y1 (ko) 2012-02-17 2013-04-12 권종규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KR101595207B1 (ko) 2015-05-06 2016-02-17 (주)태건정공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06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07B1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KR100892615B1 (ko)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CN106150057B (zh) 一种分片式液压提升爬架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KR20200086801A (ko) 건물벽체내 3중체결용 클라이밍 앵커
JP6166870B2 (ja) 柱の立設方法、及び柱
JP5245104B2 (ja) ボイラ内足場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CN216196742U (zh) 一种用于高低跨位置的墙板安装装置
KR101188431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JP5814596B2 (ja) 仮設足場の昇降装置
KR102011506B1 (ko)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20190012506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KR101126779B1 (ko) 반자동 샤클
KR102599396B1 (ko) 갱폼의 안전 인양을 위한 자동 해체장치 및 이를 갖는 갱폼 시스템
KR20190106089A (ko)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