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97Y1 -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 Google Patents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97Y1
KR200426297Y1 KR2020060016461U KR20060016461U KR200426297Y1 KR 200426297 Y1 KR200426297 Y1 KR 200426297Y1 KR 2020060016461 U KR2020060016461 U KR 2020060016461U KR 20060016461 U KR20060016461 U KR 20060016461U KR 200426297 Y1 KR200426297 Y1 KR 200426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nstruction
building
work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복
이정배
임인식
Original Assignee
이송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복 filed Critical 이송복
Priority to KR2020060016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축물을 건축함에 있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 구조체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건설자재, 공구 또는 분진 등과 같은 위험/공해 물질의 낙하와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공사용 방호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는, 고층 건축물의 외부 측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에 해당하는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외측면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된 방호스크린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세로 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작업발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위치고정하고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따르면,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입체 케이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건물 외부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 없이 건물 외부면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 공사 비 및 공사 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안전, 펜스, 케이지, 작업, 외벽, 마감, 가설, 방호, 추락, 낙하, 비산

Description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케이지를 건물 외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케이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케이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서의 가이드브라켓과 가이드레일에 대한 결합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에서의 가이드브라켓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를 활용하여 외벽 마감 공사를 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케이지
10 : 케이지프레임 20 : 방호스크린
30 : 가이드레일 32 : 고정홀
35 : 걸림후크 40 : 작업발판
50 : 가이드브라켓 51 : 브라켓 바디
52 : 브라켓 헤드 52' : 지지홀
53 : 브라켓 받침 54 : 가이드 휠
55 : 걸림레버 56 : 안전핀
58 : 앵커볼트
본 고안은 고층 건축물을 건축함에 있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 구조체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건설자재, 공구 또는 분진 등과 같은 위험/공해 물질의 낙하와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공사용 방호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일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만들어져 이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사용하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에 있어서, 케이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건물 외부 작업공간이 확보됨과 더불어 내부측에는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낙하물 방지 기능은 물론 건물 외벽면에 대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최근 들어 급속히 고층화 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그 시공에 있어서 공사 진행중에 건물 내부로부터 각종 건자재, 작업공구, 분진 등이 외부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의의 추락 또는 낙하 사고로 인한 인명, 재산피해 및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에도 여러 가지 방식의 가설 안전 시설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들의 경우, 기존에는 건물 골조의 외측에 천막이나 방진망을 묶어 설치하거나 혹은 건물 골조의 외부측에 프레임을 가설하고 이 프레임에 방진망 등을 고정 설치하는 등의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가설공사의 효율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건물의 외벽 일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안전펜스를 제작하고 이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필요한 부위를 방호, 방진하여 주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펜스가 개발되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펜스의 경우, 현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승강식 안전 펜스의 구체적인 구성들은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32159호, 제98-15106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10940호 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들의 경우, 그 개별적인 구성은 세부적인 면에서 각각 차이 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축물의 외부(혹은 안전펜스)에 수직 유도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안전펜스를 상부로부터 타워 크레인이나 별도의 인양 수단을 이용하여 끌어 올리면, 안전펜스가 건물 외부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은,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맞추어 건축 골조의 외벽을 타고 승강 이동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건물의 필요한 부위에서 분진의 비산 방지와 산재 예방을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가설공사비의 절감 및 공기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의 경우, 낙하물 방지나 비산 방지의 기능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작업 효율성의 면에서, 특히 석공사나 커튼월 공사 등과 같이 건물의 외측에 행해지는 외장 공사 등에서는 안전펜스의 설치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승강식 안전펜스들의 경우, 추락 및 분진 비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측면에 거의 밀착되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건물에 근접하게 설치된 안전펜스로 인해 외부측 작업의 수행에 지장이 있었으며, 따라서, 외부 작업시에는 안전펜스를 철수하고 건물 외측으로 작업발판과 안전시설 등을 가설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였는바, 이로 인해 가설비용 및 공기가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일예로서 커튼월 공사를 예를 들면, 커튼월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 외측 선단부에 고정철물 및 패널 고정용 멀리온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펜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 안전펜스의 설치로 인해 건물 외면에 멀리온 등을 설치할 여유 공간 및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없어지므로 상기 안전펜스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실질적으로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설공사용 승강식 안전펜스들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사용하는 승강식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로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케이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발판이 구비됨으로써 건물 외부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 없이 건물 외부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 공사비 및 공사 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는, 고층 건축물의 외부 측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있어서,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에 해당하 는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외측면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된 방호스크린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세로 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작업발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위치고정하고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케이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이 갖는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높이와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1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외면을 막아주는 방호스크린(2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과,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작업발판(40) 및, 건물 구조체(S)의 외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지프레임(10)은 소정 규격의 단위체로 제작되어 본 고안 방호 케이지(1)의 전체적인 외곽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인 철골 부재, 예컨대 각 파이프를 비롯하여 채널 형강이나 H-형강 등을 사용하여 격자형과 같은 형태로 조립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크기로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규모 등 제반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건물의 경우라면 대략 가로폭의 경우 6m ~ 15m 정도로 할 수 있으며, 높이의 경우 대략 건물 2 ~ 4개층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하고, 깊이의 경우 0.6 ~ 1.2m 정도로 하면 적당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건물의 3개층을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크기는 현장 여건에 맞춰 임의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격자형으로 조립 형성된 케이지프레임(10)은 필요에 따라 턴 버클이나 브레이싱(bracing) 등에 의해 구조 보강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프레임(10)에는 방호 스크린(20)이 설치되어 케이지프레임(10)의 외부면을 막아 줌으로서 건축물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호 스크린(20)은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1)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단순 추락 방지나 낙하물 방지의 목적이라면 PE 네트나 철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먼지나 내화 피복의 비산 방지의 목 적이라면 텐트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는 기존의 승강식 안전 펜스들에서와 같이, 공사중인 건축물의 외벽면에 배치되어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 추락이나 낙하 및 내화피복의 비산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되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 공사의 진척도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 배치해 가면서 필요한 부위를 방호/방진하여 주는 것으로서, 본 고안 역시 이와 같은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30)과 가이드브라켓(50)을 포함한 승강 유도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 방호 케이지의 구성 및 설치 상세를 도시한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3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 구조체(S)의 슬래브 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50)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위치 고정 및 승강 안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0)로는 통상의 H-형강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150×100×6×9 규격의 H-형강이 사용되었으며, 이 밖에도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른 규격의 H-형강이나 I-형강, C-채널 등 다른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케이지프레임(10)의 전체 높이 중 일부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는데(전체 3개층 높이 중 대략 가운데 2개층에 해당하는 길이), 이는 굳이 전 높이에 걸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승강 이동에는 별다른 지장이 없음을 고려하여 자재 절약 및 자중 감소의 차원에서 채택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전체 높이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케이지프레임(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레일의 갯수 역시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갯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가이드레일(30)의 위치 고정 및 원활한 유도와 승강 이동을 위해 건물 구조체(S)의 외측 선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5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또한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1)의 자중을 지지하여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bracket)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브라켓(5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가이드브라켓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크게 브라켓 바디(51)와, 이 브라켓 바디(51)의 외측 선단부에 볼트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브라켓 헤드(52)와, 상기 브라켓 헤드(52)의 선단부에 축설치된 가이드휠(5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식별부호 53은 안정된 설치를 위해 까치발 형태로 브라켓 헤드(52)의 하부를 받쳐 주는 브라켓 받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 바디(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구조체(S)의 슬래브 단부 상에 앵커 볼트(58)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 바디(51)는 채널 형강과 강판 등을 조립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51)의 선 단부에는 가이드휠(54)이 구비된 브라켓 헤드(52)가 연결되는데, 이 브라켓 헤드(52)는 브라켓 바디(51)와는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원하는 경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해당층의 작업이 완료되어 방호 케이지를 이동하고 난 후 상기 브라켓 헤드(52)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해 가이드브라켓(50)과 가이드레일(30)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 바디(51)와의 사이에 강판이나 고무패드 등을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용이한 위치조절 및 오차보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헤드(52)의 선단부에 장착된 가이드휠(54)은 승강 이동시 가이드 레일(3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휠(54)은 H-형강 가이드레일(30)의 웨브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은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1)의 자중을 지지하여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케이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헤드(52)에는 지지홀(52')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대응 위치에는 고정홀(30')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를 이동 설치함에 있어서는 타워 크레인이나 윈치 등 인양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지 본체를 원하는 설치 장소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홀(30')과 지지홀(52')을 관통하도록 지지고정핀(60)을 끼워 넣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써 이 지지고정핀(60)에 의해 전체적인 자중이 지지되어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0)에 형성된 고정홀(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상기 가이드레일(30)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3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후크(35)가 걸림될 수 있는 형태의 회동 가능한 걸림레버(55)가 더욱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후크(35)와 걸림레버(55)는 시공 현장에서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를 사용함에 있어 불의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만일 설치중 또는 설치된 이후에 외부 충격이나 과실 등으로 인해 방호 케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상기 걸림후크(35)가 걸림레버(55)에 걸려 낙하가 저지됨으로써 대형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레버(55)의 하부측에는 안전핀(5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걸림레버(55)의 하향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로 상향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호 케이지를 끌어 올릴 때에는 상기한 걸림후크(35)가 걸림레버(55)를 밀어 올리면서 저항 없이 상승할 수 있으며, 불의의 낙하시에는 상기 걸림후크(35)가 그 아래에 위치된 걸림레버(55)에 걸려지고, 이 때 걸림레버(55)는 하부의 안전핀(56)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억제되어 낙하를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케이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작업발판(4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발판(40)은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프레임(10)의 안쪽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형강 부재 및 익스팬디드 메탈 등을 조합하여 대략 0.6 ~ 1.2m 정도의 폭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대체로 평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승강식 안전 펜스들과 비교할 때, 소정의 폭과 높이와 함께 깊이를 갖는 입체 케이지(cage)의 형태로 되어 있음로써 건물 구조체의 외부측으로 소정의 작업 공간이 제공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지프레임(10)의 내부에는 작업발판(40)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외부 작업 및 자재의 적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외벽 마감작업을 위해 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건물 외부 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석공사나 커튼월 공사와 같은 건물 외벽에 대한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가설공사에 드는 비용 및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상기 작업발판(40)은 케이지프레임(10) 내측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발판(40)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3 참조). 이와 같이 작업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작업발판(40)을 접어 올렸을 때 건물 구조체로부터 이격된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이 공간을 통해 석재 패널이나 커튼월 패널 등을 끌어올릴 수 있어 자재 이동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는 기존의 안전 펜스들과 비교할 때, 기존의 안전 펜스들이 단순히 추락방지, 낙하물 방지, 분진 비산방지 등을 위한 안전 시설물로서만 기능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의 경우 기존의 안전 펜스로서의 일반적인 개념을 탈피, 기본적인 안전 시설물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작업 시설물(scaffold)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며,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특히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 매우 유리한 효과 및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6에는 이러한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를 활용하여 외벽 마감 공사를 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이용한 외벽마감 공법에 대한 일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방호 케이지를 건물 외벽 주위에 설치한 경우, 방호 케이지(1)와 건물 구조체(S) 사이에는 대략 30 ~ 50cm 정도의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호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벽 마감재(P; 예컨대 커튼월 패널)를 상부로부터 윈치(W) 등의 인양장비를 활용하여 상기 건물 구조체와 방호 케이지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래로 내려 원하는 층고까지 이송시킨다. 이 때, 상기 방호 케이지(1)의 작업발판(40) 상에는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다가 위에서 마감패널(P)이 내려오는 것을 받아 이를 건물 구조체(S) 외벽에 취부하게 된다. (이 때, 본 고안 방호 케이지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 발판이 들려질 수 있으므로 이격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시에는 윗쪽 작업 발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패널을 이송하여도 좋다)
기존의 경우에서라면, 이러한 외벽 마감 작업을 위해서는 일단 건물 구조체 주변에 설치된 안전 펜스들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건물 외부에 별도로 가설 비계를 설치하여야 외벽 마감공사가 가능하였겠지만, 이상과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호 케이지의 경우 안전 시설물과 작업 시설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별도의 가설 비계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그 설치된 상태에서 외벽 마감작업까지 가능하게 되는바,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벽 마감 작업에 있어 공사 기간과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따르면,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입체 케이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건물 외부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 없이 건물 외부면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 공사비 및 공사 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층 건축물의 외부 측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에 있어서,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에 해당하는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짜여진 케이지프레임;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외측면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된 방호스크린;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세로 방향의 가이드레일;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작업발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위치고정하고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
    을 포함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케이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대응 위치에는 지지홀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홀과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지지고정핀이 축설되어 전체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려질 수 있는 형태의 걸림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레버의 하부측에는 안전핀이 설치되어 걸림레버의 하향 회전이 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KR2020060016461U 2006-06-19 2006-06-19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KR200426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61U KR200426297Y1 (ko) 2006-06-19 2006-06-19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61U KR200426297Y1 (ko) 2006-06-19 2006-06-19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11A Division KR100777937B1 (ko) 2006-06-19 2006-06-19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97Y1 true KR200426297Y1 (ko) 2006-09-13

Family

ID=4177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61U KR200426297Y1 (ko) 2006-06-19 2006-06-19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58B1 (ko) * 2007-09-28 2010-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101320089B1 (ko) 2012-01-20 2013-10-18 미진정공(주) 인양 갱폼의 낙하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58B1 (ko) * 2007-09-28 2010-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101320089B1 (ko) 2012-01-20 2013-10-18 미진정공(주) 인양 갱폼의 낙하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JP2023085392A (ja) 安全レールシステム
KR100944463B1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5645395A (en) Building crane apparatus climbable on building walls
KR20130068880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KR100904186B1 (ko)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1429343B1 (ko)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CN110259088B (zh) 具有扭曲立面的建筑物的外防护脚手架的搭设方法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CN213418443U (zh)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KR100944458B1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20110094720A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KR101051819B1 (ko) 이동식 가설펜스
KR200430674Y1 (ko) 고층건물의 고소작업용 곤도라
KR100301573B1 (ko)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KR200413596Y1 (ko) 빌딩보수ssp장치
KR101021945B1 (ko) 수직구 성형용 강재 거푸집
CN210482970U (zh) 一种扩展式电梯井施工作业防护平台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CN209874468U (zh) 一种建筑施工液压模板爬升装置
JP6318382B2 (ja) 避難装置
KR20090037021A (ko)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