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720A -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720A
KR20110094720A KR1020100014292A KR20100014292A KR20110094720A KR 20110094720 A KR20110094720 A KR 20110094720A KR 1020100014292 A KR1020100014292 A KR 1020100014292A KR 20100014292 A KR20100014292 A KR 20100014292A KR 20110094720 A KR20110094720 A KR 2011009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nstruction
frame
coupl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근
이준태
Original Assignee
송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근 filed Critical 송재근
Priority to KR102010001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720A/ko
Publication of KR2011009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조공사를 위한 상부케이지의 하부에 외장공사를 위한 하부케이지가 결합되어지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케이지 폭이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의 케이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지의 하부내측지주의 상단부에 보강연결부재에 의하여 보강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벽마감공사에 필수적인 작업시설물과 안전시설물이 일체화된 복합케이지를 이용하여 전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줄고, 소음 분진 등의 민원발생, 안전사고, 하자보수 등이 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조공사를 위한 상부케이지의 하부에 외장공사를 위한 하부케이지가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 다수개의 안전발판이 마련됨으로써, 외부마감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물을 마련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최근 들어 급속히 고층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건축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공사 진행 중에 건축물 내부로부터 각종 건자재, 작업공구, 분진 등이 외부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의의 추락 또는 낙하 사고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 및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도 여러 가지 방식의 가설 안전 시설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공사용 안전 시설물들의 경우, 건축물 골조의 외측에 천막이나 방진망을 묶어 설치하거나 혹은 건축물 골조의 외부측에 프레임을 가설하고 이 프레임에 방진망 등을 고정 설치하는 등의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아파트나 빌딩, 병원 등의 대형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먼저, 일반 거푸집을 이용하여 저층(1~3층)을 시공한 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거푸집용 케이지를 장착한 후 이를 상부로 인양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외벽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도시미관을 살리고 채광 등을 유용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건축물의 골조공사인 뼈대와 슬라브공사만 시공하고 그 외의 부분은 유리 등과 같은 외장용 마감자재를 이용하여 외장공사를 시공하고 있다.
이때, 외장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골조공사를 마무리한 후 거푸집용 케이지를 제거하고 건축물의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곤도라 또는 비계 등을 이용하여 하층에서부터 작업과 인양을 반복하면서 외장공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곤도라, 비계 등을 이용한 외벽마감공사공법은 약 12개 층의 골조공사가 선행되고 골조공사 완료 후에 공종별로 공사가 진행되므로, 외벽마감공사의 지연과 선후 공종간 중첩 등, 비효율성으로 공사지연과 하자발생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제20-2006-0016461의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케이지"가 출원된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케이지프레임에 작업발판 및 방호스크린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브라켓이 구비되어 케이지프레임이 건축물의 외측에서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체적으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골조공사와 외장공사를 동시에 시공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단축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골조공사와 외장공사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설치되면서 사용되는 건축공사용 시설물로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작업장으로부터 각종 자재나 분진 등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케이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업용 안전발판들이 여러 층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골조작업 및 외부마감작업이 상층 및 하층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외부마감작업을 위해 별도의 가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벽마감공사에 필수적인 가설작업대와 안전가시설이 일체화된 복합케이지를 이용하여 골조작업 및 외부마감작업이 상층 및 하층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전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줄어들고, 소음 분진 등에 따른 민원발생, 안전사고, 하자보수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조공사를 위한 상부케이지의 하부에 외장공사를 위한 하부케이지가 결합되어진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지의 상부케이지프레임은 상부내측지주와 상부외측지주가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상부케이지멀리온이 상기 상부외측지주 내측에 설치된 상부후방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의 하부케이지프레임은 하부내측지주와 하부외측지주가 다수의 하부연결지지대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하부케이지멀리온이 상기 하부외측지주 내측에 설치된 하부후방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케이지 폭이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의 케이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지의 하부내측지주의 상단부에 보강연결부재에 의하여 보강결합되어지고,
상기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상부케이지프레임의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는 상부안전발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부연결지지대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하부케이지프레임의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도 하부안전발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 및 하부케이지프레임의 외부에 안전망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상부연결지지대는 상부내측지주에 설치되는 상부전방연결바와 상부외측지주에 설치되는 상부후방연결바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의 하부연결지지대는 하부내측지주에 설치되는 하부전방연결바와 하부외측지주에 설치되는 하부후방연결바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전방에는 다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지의 전방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케이지고정구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되, 상기 하부부재의 전방에는 T자형의 고정부재가 힌지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지의 전방 하단에는 낙하물방지구가 힌지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의 상부외측지주는 상부내측지주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의 내측 하부외측지주에는 안전로프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벽마감공사에 필수적인 작업시설과 안전시설이 일체화된 복합케이지를 이용하여 전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줄어들고, 소음 분진 등에 따른 민원발생, 안전사고, 하자보수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면에 3~4개 층을 감싸고 그 안에서 외벽마감공사를 공종별로 유기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가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케이지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케이지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하부케이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하부케이지프레임에 연결부재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8a는 하부케이지고정구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8b는 하부케이지고정구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9는 건축물의 외측에 상부케이지와 하부케이지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양생된 슬라브의 상층에 거푸집에 의해 슬라브가 타설되어 양생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이 양생된 슬라브의 상부로 이동되어 슬라브공사 및 외장공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지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A)는 상부케이지(10)의 하부에 하부케이지(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A)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1)의 규모, 제반 현장 여건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는 높이(H)가 폭(W)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단 높이는 3단(층)으로 나누어지되, 최하단에 형성된 제1단의 높이(h1)가 제2단의 높이(h2)보다 작고 제3단의 높이(h3)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의 높이는 약 280cm로, 중단의 높이는 약 310cm로, 상단의 높이는 약 210cm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3단 높이가 각각 다르게 하는 이유는 건축물(1)의 외측에서 슬라브(S)에 외장재들을 설치할 때, 슬라브(S)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나,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높이(H)와 폭(W)은 작업환경에 따라 고려되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케이지 폭(W1)은 하부케이지(30)의 케이지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되, 상부케이지(10)의 케이지 폭(W1)은 약 120cm로, 하부케이지(30)의 케이지 폭(W2)은 약 60cm으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부케이지(10)에서 슬라브공사가 이루어지도록 상부케이지(10)는 건축물(1)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하부케이지(30)의 전방에서 외장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부케이지(30)가 상부케이지(10)의 외측을 기준으로 그 단부가 상호 일치하도록 설치되면 하부케이지(30)의 전면에서 약 60cm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건축물(1)의 3개 층을 커버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임의로 조절될 수 있으며, 건축물(1)의 층간격을 고려하여 상부케이지(10) 및 하부케이지(30)의 높이를 늘리거나 줄여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A)는 건축물(1)의 4면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설치되어 건축물(1)의 상층에 대한 슬라브공사를 포함한 골조공사와 건축물(1)의 하층에서 4면에 대한 외장공사가 시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지(10)에서 건축물(1)의 슬라브(S)의 타설 등의 골조공사를 하고, 하부케이지(30)에서 상부케이지(10)에 의해 타설되어 양생된 슬라브(S) 외측의 외장공사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장재는 커튼월, 금속패널, 석재, 유리, 실란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전방에는 다수개의 걸림부재(230)가 형성된 고정브라켓(20)이 결합되는 데, 상기 걸림부재(230)는 시공된 슬라브(S)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상부케이지(10)는 건축물(1)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지(10)와 하부케이지(3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은 상부내측지주(111)와 상부외측지주(112)가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113)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상부케이지멀리온(110)이 상기 상부외측지주(112) 내측에 설치된 상부후방연결바(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지(30)의 하부케이지프레임(300) 역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과 동일한 구조로서, 하부내측지주(311)와 하부외측지주(312)가 다수의 하부연결지지대(313)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하부케이지멀리온(310)이 상기 하부외측지주(312) 내측에 설치된 하부후방연결바(3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113)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상부케이지프레임(100)에는 각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는 상부안전발판(14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부연결지지대(313)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하부케이지프레임(300)에도 각각의 공간부가 형상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도 하부안전발판(340)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작업자들은 각각의 안전발판(140)(340)에서 슬라브공사 및 외장공사를 각각의 층별로 시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발판(340)은 직사각형상의 발판프레임(343)과 발판프레임(343)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발판망(344)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부케이지(10)에 설치되는 안전발판(140) 역시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은 소정 규격의 단위체로 제작되는 것인데, 상부케이지멀리온(110) 및 하부케이지멀리온(310)이 전체적인 외곽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철골부재, 예컨대 각 파이프를 비롯하여 채널 형강이나 H-형강 등을 사용하여 격자형의 형태로 조립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 설치되는 안전발판(140)(340)들은 각각의 상부연결지지대(113) 및 하부연결지지대(313)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지멀리온(110)이 상기 상부내측지주(111) 일측,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방측,에 상부전방연결바(1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 데, 상기 상부전방연결바(120)에 의해 더욱 안정적인 구조가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지멀리온(310)에도 동일한 형태로 하부전방연결바(3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후방연결바(130)와 상부전방연결바(120)는 상기 상부연결지지대(113)의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후방연결바(130)와 상부전방연결바(120)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지지대(113)가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후방연결바(330)와 하부전방연결바(320) 역시 상기 하부연결지지대(313)의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부후방연결바(330)와 하부전방연결바(320)에 의해 상기 하부연결지지대(313)가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후방연결바(130)와 상부전방연결바(120)는 동일한 개수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부후방연결바(130)는 안전발판(140)으로 부터 약 50cm의 높이에 하나 이상, 도면에서는 2개,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추가로 설치되는 상부후방연결바(130) 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후방연결바(330) 역시 하나 이상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후방연결대(130) 및 상부전방연결대(120)가 상부연결지지대(113)를 지지하지 못할 경우 그 연결부에 보강리브(16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상부내측지주(111)와 상부외측지주(112)를 연결하는 상부연결지지대(113)의 결합부 및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하부내측지주(311)와 하부외측지주(312)를 연결하는 하부연결지지대(313)의 결합부에는 보강리브(160)를 설치함으로써, 하부케이지프레임(100)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연결부에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이 상 부케이지 전방에 결합되어 지는데,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0)은 다수개의 수직부재(210)의 후방에 다수개의 수평부재(220)가 격자모양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수직부재(210)의 전방에 다수개의 걸림부재(230)가 전방을 향하여 내밀어진 형태로 결합되어진다. 이때, 수직부재(210) 및 수평부재(220)는 상기 상부케이지(10) 및 하부케이지(30)의 하중을 견디도록 H형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재(210)에 설치된 걸림부재(230)는 슬라브(S)에 미리 형성된 앵커볼트(S1)에 너트(미도시)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걸림부재(230)는 슬라브(S)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하단부, 즉 최하부 수평부재(220)가 상기 하부케이지(30)의 하부내측지주(311)의 상단부에 보강연결부재(240)에 의하여 보강결합되어짐으로써, 상부케이지(10)와 하부케이지(30)는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그 결합방법으로는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브라켓(20)이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아래로 내밀어져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하단 후부와 하부케이지(30)의 하부내측지주(311)의 상단부가 보강연결부재(240)에 의하여 보강결합되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지(30)의 전방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하부케이지고정구(4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부케이지고정구(40)는 상부부재(410)와 하부부재(420)가 연결부재(43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고, 상기 하부부재(420)에 T자형의 고정부재(440)가 힌지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상부부재(410)와 하부부재(420)는 연결부재(430)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케이지(30)의 전방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T자형의 고정부재(440)는 베이스부재(441)의 중앙에서 복수개의 돌출부재(44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재(441)는 하부부재(420)에 힌지(443)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돌출부재(442)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부재(410)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재(442)에는 걸고리(444)가 구비되고, 상부부재(410)에는 걸고리(444)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핀(445)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442)는 힌지(443)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으로 위치되면, 슬라브(S)에 미리 형성된 앵커볼트(S1)가 돌출부재(442)의 사이에 끼워지게되고, 별도의 고정너트(446)를 앵커볼트(S1)에 나사 결합시키면, 돌출부재(442)는 슬라브(S)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442)를 상층의 슬라브(S)에 고정시키면 하부케이지(30)가 슬라브(S)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고, 외장공사가 진행 중인 하층의 슬라브(S)에서는 힌지(443)를 축으로 돌출부재(442)를 세워서 고정시키면, 슬라브(S)와 하부케이지(30)의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므로 외장공사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외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200)이 설치된다. 이때, 안전망(200)에 의해 작업자 및 작업도구 등이 건축물(1)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먼지, 분진 등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지(30)의 전방 하단에는 낙하물방지구(50)가 결합되어질 수 있는 데, 상기 낙하물방지구(50)에 의해 작업도구 등이 건축물(1)과 하부케이지(30) 사이의 간격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낙하물방지구(50)는 그 재질 등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낙하물방지 프레임(50a)에 낙하물방지망(50b)이 설치되는 것 정도면 족한 것이나, 낙하물방지구(50)의 후방은 하부케이지(30)의 전방 하단에 힌지(51)로 결합되고, 그 전방측에는 걸고리(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지(30)의 하부내측지주(311)에는 상기 걸고리가 걸려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핀(53)이 구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낙하물방지부재(50)가 힌지(51)에 의해 회전되어 건축물(1) 측으로 위치되면, 상기 낙하물방지부재(50)의 전방측 단부가 건축물(1)의 외장재(C)에 의해 걸려져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지지되어짐으로써 낙하물의 하강을 방지하게 되고, 하부케이지(30)의 이동시에는 상기 힌지(51)를 축으로 상기 낙하물방지부재(50)를 세워서 상기 걸고리와 고정핀(53)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장재(C)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낙하물방지부재(50)의 전방에는 별도의 고무, 실리콘 등으로 되는 손상방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걸고리와 고정핀(53)을 이용하여 낙하물방지부재(50)를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그 고정수단을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과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볼트· 너트(21) 또는 리벳팅으로 결합되어지고, 이를 보강하도록 용접이 병행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내측 하부외측지주(31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로프(15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데, 상기 안전로프(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지(30)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는 자신의 허리에 차고 있는 안전띠의 안전클립(도시생략)이 안전로프(150)에 걸어 하부케이지(30)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상부외측지주(112)는 상부내측지주(111)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형성 되어질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 안전망(200)이 상부외측지주(112)에 높게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맨 상위층의 골조공사시 작업자의 낙하가 방지되어 골조공사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안전발판(140) 및 하부안전발판(340)은 상부연결지지대(113) 및 하부연결지지대(313)의 상부에 각각 안착된 후에 U자 클립(141) 또는 볼트· 너트(142)로 결합, 고정될 수있다.
또한, U자 클립(141)은 U자형상의 클립부재와 이 클립부재에 끼워지는 클립판재와 클립판재를 지지하도록 클립부재에 나사결합 되는 너트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안전발판(140) 및 하부안전발판(340)들은 상부연결지지대(113) 및 하부연결지지대(313)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 과정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먼저, 건축물의 3~5개 층에 슬라브(S)를 양생시킨다. 그리고, 양생된 1~3개층의 슬라브(S)에 골재 등의 외장재(C)를 마감한다. 이어서, 양생된 5층의 슬라브(S)에 상부케이지(10)가 설치되고, 상부케이지(10)의 하부에 하부케이지(30)가 설치된다. 이때, 상부케이지(10) 및 하부케이지(30)는 건축물(1)의 외측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결합된 상부케이지(10) 및 하부케이지(30)의 외측에는 안전망(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지(10)에 거푸집(S2)을 설치하여 6층의 슬라브(S)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6층의 슬라브(S)가 양생되면, 7층에 거푸집(S2)을 설치하여 7층의 슬라브(S)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계속해서, 4층의 슬라브(S)의 외측에 커튼월, 금속패널, 석재, 유리, 실란트 등의 외장재(C)를 시공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지(10)에서 슬라브(S)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이어서 양생된 슬라브(S)에서 외장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면에 3~4개 층을 감싸서 골조공사 및 외장공사 등의 공종별공사가 유기적으로 진행되면서 건축물의 골조공사 및 외장공사가 함께 진행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한 골조공사 및 외벽마감공사를 통해 20층 이상의 고층 대형건축물을 지을 경우에 총공사비의 약 5%, 공기도 약 3~4개월 이상 대폭 줄어들고, 초고층 및 초대형 건축물일수록 총공사비와 공기단축의 폭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A :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10 : 상부케이지 20 : 고정브라켓
30 : 하부케이지 40 : 하부케이지고정구
50 : 낙하물방지구

Claims (5)

  1. 골조공사를 위한 상부케이지(10)의 하부에 외장공사를 위한 하부케이지(30)가 결합되어진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A)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지(10)의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은 상부내측지주(111)와 상부외측지주(112)가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113)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상부케이지멀리온(110)이 상기 상부외측지주(112) 내측에 설치된 상부후방연결바(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30)의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은 하부내측지주(311)와 하부외측지주(312)가 다수의 하부연결지지대(313)로 결합되어진 다수의 하부케이지멀리온(310)이 상기 하부외측지주(312) 내측에 설치된 하부후방연결바(3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케이지 폭(W1)이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케이지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0)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지(30)의 하부내측지주(311)의 상단부에 보강연결부재(240)에 의하여 보강결합되어지고,
    상기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113)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는 상부안전발판(1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부연결지지대(313)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각각의 공간부 하단에도 하부안전발판(34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 및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외부에 안전망(200)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상부연결지지대(113)는 상부내측지주(111)에 설치되는 상부전방연결바(120)와 상부외측지주(112)에 설치되는 상부후방연결바(13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하부연결지지대(313)는 하부내측지주(311)에 설치되는 하부전방연결바(320)와 하부외측지주(312)에 설치되는 하부후방연결바(33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3. 제1항에 또는 제2항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0)의 전방에는 다수의 걸림부재(2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지(30)의 전방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케이지고정구(40)는 상부부재(410)와 하부부재(420)가 연결부재(43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되, 상기 하부부재(420)의 전방에는 T자형의 고정부재(440)가 힌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지(30)의 전방 하단에는 낙하물방지구(50)가 힌지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지프레임(100)의 상부외측지주(112)는 상부내측지주(111)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지프레임(300)의 내측 하부외측지주(312)에는 안전로프(150)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KR1020100014292A 2010-02-17 2010-02-17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KR2011009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92A KR20110094720A (ko) 2010-02-17 2010-02-17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92A KR20110094720A (ko) 2010-02-17 2010-02-17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720A true KR20110094720A (ko) 2011-08-24

Family

ID=4493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92A KR20110094720A (ko) 2010-02-17 2010-02-17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7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WO2018190584A1 (ko) * 2017-04-11 2018-10-18 이명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KR20190011464A (ko) * 2017-07-25 2019-02-0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케이지장치
JP2019515166A (ja) * 2016-05-19 2019-06-06 フォーム 700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Form 700 Pty Ltd 周縁安全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
KR102458212B1 (ko) *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JP2019515166A (ja) * 2016-05-19 2019-06-06 フォーム 700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Form 700 Pty Ltd 周縁安全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
WO2018190584A1 (ko) * 2017-04-11 2018-10-18 이명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KR20190011464A (ko) * 2017-07-25 2019-02-0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케이지장치
KR102458212B1 (ko) *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463B1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CN104074358B (zh) 预制装配式建筑物的施工方法
CN108532769B (zh) 一种装配式外加电梯井道结构的顶升施工方法
JP2000053387A (ja) 建築工事用安全フェンス
CN113931313B (zh) 超高层核心筒水平结构施工方法
US20230014744A1 (en) Method of Construction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110094720A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US20210324642A1 (en)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KR102102441B1 (ko) 조립식 케이지
KR100944458B1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CN211114971U (zh) 用于预制楼梯间的临时防护爬梯
JP2007138416A (ja) 外部養生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工法
TW201912904A (zh) 外牆懸臂式施工平台工法
CN110616735A (zh) 一种用于挡土墙的模板体系及挡土墙的施工方法
JP2020190142A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101668948B1 (ko)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210141194A (ko) 공동주택, 오피스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구분할과 기계실 지붕보에 매다는 구조로 기계실 바닥을 탑다운으로 시공하는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CN105178602A (zh) 建筑建造系统
JP2004003186A (ja) 軌道ガイドを配設した建築構造物
JP3112852U (ja) ユニット観覧席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CN215670931U (zh) 用于钢结构电梯的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