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29B1 -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29B1
KR101068229B1 KR1020110036119A KR20110036119A KR101068229B1 KR 101068229 B1 KR101068229 B1 KR 101068229B1 KR 1020110036119 A KR1020110036119 A KR 1020110036119A KR 20110036119 A KR20110036119 A KR 20110036119A KR 101068229 B1 KR101068229 B1 KR 10106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dismantling
rope
safet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룡
박명진
한석구
김동완
박종배
이상헌
이계영
안홍락
김규학
Original Assignee
신우개발 (주)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개발 (주),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개발 (주)
Priority to KR102011003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0Der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지상으로 하역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해체크레인(100);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전작업대(200); 상기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지상에 고정되는 가이드로프(30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로프(3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하역되는 해체물(11) 또는 크레인후크(110)와 하역되는 해체물(11)을 연결하는 슬링와이어(33) 가운데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레인후크(11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는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Dismantled Tower Crane Cargo Handling System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공사에 사용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최상층에서 지상으로 하역할 때 사용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설계되고 있는 고층 건물은 구조적 안정성과 외관 디자인으로 고려하여 층수가 높을수록 평면이 좁아지는 설계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높이가 높아질수록 건물의 외벽이 뒤로 후퇴하는 것을 셋백(set-back)이라고 하며, 셋백이 큰 경우에는 기존의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방법(별도의 해체크레인을 이용하여 타워크레인의 해체물(하역자재)을 수직 하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해체크레인은 타워크레인에 비하여 작업 반경이 훨씬 작아 수직 하강 도중에 하역자재나 해체크레인의 크레인후크가 건물의 외벽에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셋백이 이루어진 고층 건물에서도 안전하게 하역자재를 지상으로 내릴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하역 시스템과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셋백이 큰 고층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하역하는 과정에서 건물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지상으로 하역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해체크레인(100);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전작업대(200); 상기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지상에 고정되는 가이드로프(30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로프(3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하역되는 해체물(11) 또는 크레인후크(110)와 하역되는 해체물(11)을 연결하는 슬링와이어(33) 가운데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는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셋백이 큰 고층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하역하는 과정에서 건물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도시하는데, (a) 하강(하역)시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가 슬링와이어(33)에 연결된 상태, (b) 상승시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가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3은 보조데릭크레인(Auxiliary Derrick Crane)의 외측 단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로프텐션조절기(600)의 평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로프텐션조절기(600) 각 부분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6은 하역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도시한다.
도7은 상승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지상으로 하역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해체크레인(100)은 타워크레인이 설치된 건물의 최상층에 별도로 설치되는 크레인으로서 일반적인 크레인과 유사하게 붐대에 하역을 위한 호이스트와이어(120)와 크레인후크(110)가 구비된다.
안전작업대(200)는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데, 하역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가이드로프(300)가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작업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상부 일측면으로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건물의 규모나 작업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변경을 할 수 있다.
안전로프(44)를 이용하여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와 안전작업대(200) 상부의 건물 일측면을 연결하여 안전작업대(200)를 보다 견고하게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로프(300)는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지상에 고정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프(300)의 상단부가 연장되어 안전작업대(200) 상부의 건물 일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로프(300)의 강도는 해체물(하역자재)의 하강시 수평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만 하는데, 가이드로프(3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초경량 고강도 슈퍼섬유를 사용하여 가이드로프(300)의 무게는 줄이고 수평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이드로프(300)는 1개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로프(300)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해체물(11)의 안전한 하역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가이드로프(3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2는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도시하는데, (a) 하강(하역)시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가 슬링와이어(33)에 연결된 상태, (b) 상승시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가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호이스트안전로프(400)는 일측 단부가 가이드로프(300)에 결합되어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승하강하는 일측 단부에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가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고 이러한 가이드롤러(410)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로프(300)가 통과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는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하역되는 해체물(11) 또는 크레인후크(110)와 하역되는 해체물(11)을 연결하는 슬링와이어(33) 가운데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체크레인(10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게 되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에는 샤클이나 비너(420)과 같은 결착구가 구비될 수 있다.
호이스트안전로프(400)는 가이드로프(300)마다 1개씩 설치되어야만 하는 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로프(3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2개의 호이스트안전로프(400)가 사용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가이드로프(300)마다 2개 이상의 호이스트안전로프(4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보조데릭크레인(500)은 내측 단부가 안전작업대(200) 하부의 건물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유압장치에 의하여 건물 외측으로 펼치거나 건물 외벽과 나란하게 세워 건물 외벽에 붙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데릭크레인(500)의 외측 단부는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를 지지하여 건물 일측면(외벽)과 호이스트와이어(120)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데, 보조데릭크레인(500)의 외측 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와 맞물리는 와이어지지롤러(5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와이어지지롤러(510)의 폭을 호이스트와이어(120)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호이스트와이어(120)와 맞물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로프(300)는 직접 지상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로프텐션조절기(600)에 감겨져 고정된다.
로프텐션조절기(600)는 지상에 단단하게 고정되며 가이드로프(300)의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가이드로프(300)에 장력을 가하여 가이드로프(30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한다.
이러한 로프텐션조절기(600)는 프레임부(610), 고정롤러(620), 이동롤러(640), 유압실린더(630), 가이드로프릴(650), 풀림방지브레이크(6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610)는 로프텐션조절기(600)의 외골격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프레임부(610)는 지상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야만 하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하중물(weight)가 프레임부(610) 상부에 올려지기도 한다. 또한 프레임부(610)는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운반이 간편하도록 하고, 설치시에는 핀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운반과 설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롤러(620)는 다수 개가 프레임부(610)에 이격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부(610)에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롤러(620);
유압실린더(630)는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는데, 유압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단부에는 유압실린더(630)의 신축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롤러(640)가 설치된다.
가이드로프릴(650)은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며 가이드로프(300)가 감기는 로프수용부(651)의 일측에 라체트기어(22)가 구비되어 가이드로프(30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가이드로프(3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고정롤러(620)와 이동롤러(640)에 맞물린 후 최종적으로 가이드로프릴(650)의 로프수용부(651)에 감기게 되는데, 유압실린더(630)를 이용하여 이동롤러(640)를 이동시키면 인접하는 고정롤러(620)와의 거리가 변동되면서 가이드로프(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가이드로프릴(650)을 회전시켜 가이드로프(300)를 감은 후 최종적으로 이동롤러(640)와 인접 고정롤러(620) 사이가 거리가 멀어지도록 유압실린더(630)를 작동시키면 가이드로프(300)가 더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가이드로프(300)를 팽팽하게 당기는 이유는 하역시 해체물(11)의 중량이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통하여 가이드로프(300)로 전달되어 가이드로프(300)가 쳐지게 되면 해체물(11)이 건물 외벽에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체물(11)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로프(300)를 팽팽하게 당겨주어야 한다.
아울러 로프텐션조절기(600)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며 가이드로프(300)가 맞물리거나 감기는 로프통과부(661)의 일측에 라체트기어(22)가 구비된 풀림방지브레이크(6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로프(300)는 다수 개의 고정롤러(6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풀림방지브레이크(660)의 로프통과부(661)에 맞물리거나 감기도록 하여 가이드로프(300)의 급격한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기재된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을 이용한 해체 하역 과정을 알아본다.
도6에는 하역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7에는 하역작업을 반복하기 위하여 크레인후크(110)을 다시 상승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보조데릭크레인(500)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실시예1-보조데릭크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1) 제1단계
건물의 최상층에 해체크레인(100)을 설치하고,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는 안전작업대(200)를 설치하고, 안전작업대(200)와 지상을 연결하는 가이드로프(300)를 설치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로프(300)에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2) 제2단계
타워크레인의 해체물(11)을 크레인후크(110)에 매다는 단계이다.
해체물(하역자재)를 직접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에 매달 수도 있고, 해체물(11)을 슬링와이어(33)에 걸은 후 슬링와이어(33)를 크레인후크(110)에 매달 수도 있다.
(3) 제3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해체물(11)을 안전작업대(200)까지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4) 제4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안전작업대(200)에서 분리하여 해체물(11)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해체물(11)에 직접 연결하거나, 슬링와이어(33)를 사용한 경우에는 슬링와이어(33)에 연결하거나,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다.
(5) 제5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가이드로프(300)의 경로를 따라 해체물(11)을 지상까지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가이드로프(300)가 건물 외벽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해체물(11)이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통하여 가이드로프(30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체물(11)이 하강하더라도 건물의 외벽에 충돌하지 않는다.
(6) 제6단계
해체물(11)이 지상에 도달하면 해체크레인(100)과 해체물(11)을 분리시켜 하역 작업을 완료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도 해체물(11)에서 분리하여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만약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일측에 연결하였다면 해체물(11)만 분리하여 하역 작업을 완료하면 된다.
(7) 제7단계
해체물(11)이 분리된 크레인후크(110)를 다시 안전작업대(200)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8) 제8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크레인후크(110)에서 분리하여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호이스트안전로프(400)는 안전작업대(200)에 머무르게 된다.
(9) 제9단계
크레인후크(110)를 건물의 최상층까지 상승시키고, 다시 하역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이다.
<실시예2-로프텐션조절기를 사용하는 경우>
(1) 제1단계
건물의 최상층에 해체크레인(100)을 설치하고,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는 안전작업대(200)를 설치하고, 지상에는 로프텐션조절기(600)를 설치하고, 안전작업대(200)와 로프텐션조절기(600)를 연결하는 가이드로프(300)를 설치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로프(300)에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2) 제1-1단계
로프텐션조절기(600)의 유압실린더(630)를 이용하여 이동롤러(640)와 고정롤러(6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로프(300)의 텐션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후 제2단계 내지 제9단계는 상기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시예3-보조데릭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1) 제1단계
건물의 최상층에 해체크레인(100)을 설치하고,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는 안전작업대(200)와 보조데릭크레인(500)을 설치하고, 안전작업대(200)와 지상을 연결하는 가이드로프(300)를 설치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로프(300)에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2) 제2단계
타워크레인의 해체물(11)을 크레인후크(110)에 매다는 단계이다.
해체물(하역자재)를 직접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에 매달 수도 있고, 해체물(11)을 슬링와이어(33)에 걸은 후 슬링와이어(33)를 크레인후크(110)에 매달 수도 있다.
(3) 제3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물(11)을 안전작업대(200)까지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4) 제4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안전작업대(200)에서 분리하여 해체물(11)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해체물(11)에 직접 연결하거나, 슬링와이어(33)를 사용한 경우에는 슬링와이어(33)에 연결하거나,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다. 도6(b)에는 슬링와이어(33)에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4-1) 제4-1단계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가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설치된 지점을 통과할 때까지 크레인후크(110)를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이런 과정에서 보조데릭크레인(500)은 세워진 상태로 건물 외벽에 붙어 있어 크레인후크(110)나 해체물(11)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도6(c) 참조)
(4-2) 제4-2단계
보조데릭크레인(500)을 회동시켜 보조데릭크레인(500)의 외측 단부에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가 맞물리도록 하고,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계속 회동시켜 호이스트와이어(120)와 건물 외벽 사이의 거리는 넓히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있는 경우에는 호이스트와이어(120)와 건물 외벽 사이의 거리를 한층 멀리 벌릴 수 있어 건물 외벽과 하역자재(해체물)의 충돌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도6(d) 참조)
(5) 제5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가이드로프(300)의 경로를 따라 해체물(11)을 지상까지 하강시키는 단계이다.(도6(e) 참조)
(6) 제6단계
해체물(11)이 지상에 도달하면 크레인후크(110)와 해체물(11)을 분리시켜 하역 작업을 완료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도 해체물(11)에서 분리하여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승 준비를 한다. 만약 호이스트안전로프(400)를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일측에 연결하였다면 해체물(11)만 분리하면 된다.
(7) 제7단계
해체물(11)이 분리된 해체크레인(100)을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설치된 지점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도7(a) 참조)
(7-1) 제7-1단계
보조데릭크레인(500)을 세워서 건물의 일측면에 붙여 놓아 상승하는 크레인후크(110)와의 간섭을 방지한다.(도7(b) 참조)
(7-2) 제7-2단계
크레인후크(110)를 안전작업대(200)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도7(b) 참조)
(8) 제8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크레인후크(110)에서 분리하여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호이스트안전로프(400)는 안전작업대(200)에 머무르게 된다.(도7(b) 참조)
(9) 제9단계
크레인후크(110)를 건물의 최상층까지 상승시키고, 해체물의 하역 작업을 다시 개시하는 단계이다.(도7(c)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해체물(하역자재)
22:라체트기어
33:슬링와이어
44:안전로프
100:해체크레인
110:크레인후크
120:호이스트와이어
200:안전작업대
300:가이드로프
400:호이스트안전로프
410:가이드롤러
420:샤클(shackle)이나 비너(canabiner)
500:보조데릭크레인(auxiliary derrick crane)
510:와이어지지롤러
600:로프텐션조절기
610:프레임부
620:고정롤러
630:유압실린더
640:이동롤러
650:가이드로프릴(guide rope reel)
651:로프수용부
660:풀림방지브레이크
661:로프통과부

Claims (14)

  1.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여 지상으로 하역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해체크레인(100);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전작업대(200);
    상기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지상에 고정되는 가이드로프(300);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로프(3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하역되는 해체물(11) 또는 크레인후크(110)와 하역되는 해체물(11)을 연결하는 슬링와이어(33) 가운데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레인후크(11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는 호이스트안전로프(400); 및,
    내측 단부가 상기 안전작업대(200) 하부의 건물 일측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를 지지하여 건물 일측면과 호이스트와이어(120)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보조데릭크레인(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2. 제1항에서,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프(300)의 하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감겨지는 로프텐션조절기(6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안전작업대(200)의 외측 단부와 상기 안전작업대(200) 상부의 건물 일측면을 연결하는 안전로프(44);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로프(300)의 상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안전작업대(200) 상부의 건물 일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호이스트안전로프(400)는,
    상기 가이드로프(300)를 따라 승하강하는 일측 단부에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가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1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로프(300)가 통과하고,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 하역되는 해체물(11) 또는 크레인후크(110)와 하역되는 해체물(11)을 연결하는 슬링와이어(33) 가운데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단부에는 샤클이나 비너(4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보조데릭크레인(500)은,
    외측 단부에 상기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와 맞물리는 와이어지지롤러(51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7. 제2항에서,
    상기 로프텐션조절기(600)는,
    외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610);
    상기 프레임부(610)에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롤러(620);
    상기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30); 및,
    상기 유압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630)의 신축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롤러(640);
    상기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프(300)가 감기는 로프수용부(651)의 일측에 라체트기어(22)가 구비되는 가이드로프릴(65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로프(300)는 상기 고정롤러(620)와 상기 이동롤러(640)에 맞물린 후 상기 가이드로프릴(650)의 로프수용부(651)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로프텐션조절기(600)는,
    상기 프레임부(610)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프(300)가 맞물리거나 감기는 로프통과부(661)의 일측에 라체트기어(22)가 구비되는 풀림방지브레이크(6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로프(300)는 다수 개의 상기 고정롤러(6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림방지브레이크(660)의 로프통과부(661)에 맞물리거나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9. 제1항에 기재된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을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최상층에 해체크레인(100)을 설치하고, 건물의 상부 일측면에는 안전작업대(200)와 보조데릭크레인(500)을 설치하고, 안전작업대(200)와 지상을 연결하는 가이드로프(300)를 설치하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로프(300)에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1단계;
    타워크레인의 해체물(11)을 크레인후크(110)에 매다는 제2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해체물(11)을 안전작업대(200)까지 하강시키는 제3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안전작업대(200)에서 분리하여 해체물(11)에 연결하는 제4단계;
    해체크레인(100)의 크레인후크(110)가 보조데릭크레인(500)을 통과할 때까지 크레인후크(110)를 하강시키는 제4-1단계;
    보조데릭크레인(500)을 회동시켜 보조데릭크레인(500)의 외측 단부에 해체크레인(100)의 호이스트와이어(120)가 맞물리도록 하고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계속 회동시켜 호이스트와이어(120)와 건물 외벽 사이의 거리는 넓히는 제4-2단계;
    해체크레인(100)을 이용하여 가이드로프(300)의 경로를 따라 해체물(11)을 지상까지 하강시키는 제5단계; 및,
    해체물(11)이 지상에 도달하면 크레인후크(110)와 해체물(11)을 분리시키고,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도 해체물(11)에서 분리하여 크레인후크(110)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을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10. 제9항에서,
    해체물(11)이 분리된 크레인후크(110)를 보조데릭크레인(500)이 설치된 지점까지 상승시키는 제7단계;
    보조데릭크레인(500)을 세워서 건물의 일측면에 붙여 놓는 제7-1단계;
    크레인후크(110)를 안전작업대(200)까지 상승시키는 제7-2단계;
    호이스트안전로프(400)의 타측 단부를 크레인후크(110)에서 분리하여 안전작업대(20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8단계; 및,
    크레인후크(110)를 건물의 최상층까지 상승시키는 제9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을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36119A 2011-04-19 2011-04-19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KR10106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19A KR101068229B1 (ko) 2011-04-19 2011-04-19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19A KR101068229B1 (ko) 2011-04-19 2011-04-19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229B1 true KR101068229B1 (ko) 2011-09-29

Family

ID=4495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119A KR101068229B1 (ko) 2011-04-19 2011-04-19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62A1 (ko) * 2011-11-29 2013-06-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KR200471618Y1 (ko) 2011-12-02 2014-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리프팅 서포트 장치
KR101739392B1 (ko) * 2015-06-24 2017-06-08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플레어팁 교체용 크레인의 설치방법
RU190493U1 (ru) * 2019-05-15 2019-07-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Страх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20177824A3 (en) * 2019-03-01 2020-12-10 Liftra Ip Aps Crane system for hoisting of wind turbine compon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3682U (ja) * 1991-05-29 1992-12-11 ダイハツデイーゼル株式会社 壁型ジブクレーン
JPH06156975A (ja) * 1992-11-20 1994-06-03 Kajima Corp 吊荷旋回制御方法
JP2000185891A (ja) * 1998-12-18 2000-07-04 Uchimiya Transportation & Engineering Co Ltd 荷物昇降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3682U (ja) * 1991-05-29 1992-12-11 ダイハツデイーゼル株式会社 壁型ジブクレーン
JPH06156975A (ja) * 1992-11-20 1994-06-03 Kajima Corp 吊荷旋回制御方法
JP2000185891A (ja) * 1998-12-18 2000-07-04 Uchimiya Transportation & Engineering Co Ltd 荷物昇降補助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62A1 (ko) * 2011-11-29 2013-06-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KR200471618Y1 (ko) 2011-12-02 2014-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리프팅 서포트 장치
KR101739392B1 (ko) * 2015-06-24 2017-06-08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플레어팁 교체용 크레인의 설치방법
WO2020177824A3 (en) * 2019-03-01 2020-12-10 Liftra Ip Aps Crane system for hoisting of wind turbine components
RU190493U1 (ru) * 2019-05-15 2019-07-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Страх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807B (zh) 液压爬模系统中内爬塔支撑钢梁的自周转施工系统及方法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KR101370981B1 (ko)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JP2000288111A (ja) 安全帯取付け装置
CN106315426A (zh) 一种装配建筑用平头式塔机安装、顶升方法
CN110282559A (zh) 一种混凝土墙体吊装装置
JP2014129697A (ja) 揚重装置、揚重方法および建物の解体方法
JP2014047479A (ja)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CN110409803A (zh) 拆卸液压提模装置中心鼓圈的吊装方法
JP2010064867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解体方法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JP5535719B2 (ja) 簡易組立式デリック
CN215564411U (zh) 一种用于高耸筒状建筑物的滑移施工装置
KR20010054821A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JP2009286531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解体方法
JP5948828B2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CN207537036U (zh) 一种建筑施工用提升机
JP3656888B2 (ja) 塔状建築物の構築方法
JP2019157532A (ja) 建物の建築方法
JP20061444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JP5410322B2 (ja) 構造体建造方法とそれに用いる構造体建造治具
CN103058083A (zh) 螺栓球桁架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