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72Y1 - 낙하물 방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72Y1
KR200368372Y1 KR20-2004-0025453U KR20040025453U KR200368372Y1 KR 200368372 Y1 KR200368372 Y1 KR 200368372Y1 KR 20040025453 U KR20040025453 U KR 20040025453U KR 200368372 Y1 KR200368372 Y1 KR 200368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upled
rod
support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황
Original Assignee
류지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황 filed Critical 류지황
Priority to KR20-2004-0025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secured together by bolts or the like penetrating th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08Clamps for parallelly-arrang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측 끝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수평돌기가 형성되고 중단 외주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수직봉과, 수평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결합구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수평돌기가 결합구에 삽입됨으로써 수직봉과 결합되는 수평봉과, 일측 끝단은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타측 끝단은 수평봉에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수평봉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방호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고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이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며, 리프트의 진입지점 뿐만 아니라 양 측면 지점까지 낙하하는 자재 및 도구로부터 지면에 있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낙하물 방호 구조물 { Protection structure for dropping materials }
본 고안은 건축 자재 및 공구의 낙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방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도록 구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리프트 동작 시 낙하하는 건축 자재 및 공구를 받침과 동시에 인부들의 휴식장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낙하물 방호선반을 구비하는 방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낮은 건물 공사 시에는 인부가 계단을 오르내리며 각종 자재 및 공구를 운반하지만, 고층 건물 공사 시에는 자재 및 공구 운반을 위하여 리프트를 이용하는데, 이때 리프트의 진입부 상측에는 자재 및 공구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호 구조물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파이프와, 각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는 철망 또는 철판으로 구성되어, 낙하하는 자재 및 공구로부터 리프트로 진입하는 사람 및 물건을 보호한다.
이때, 종래의 방호 구조물에 적용되는 각 파이프는 주로 용접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강선을 감아 체결하는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고 있으므로, 용접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경우 방호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공정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강선을 감는 방법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의 하중을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호 구조물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설치를 하다보면 자재의 크기보다 좁은 공간이 많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을 마무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좁은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자재를 절단하여 공간을 처리하여야 하게 되므로 공사 후에는 절단된 자재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이 유발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상부에서 낙하하는 자재 및 공구를 받치기 위한 철망 또는 철판은 리프트로 진입하는 사람이나 물건만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의 방호 구조물로는 리프트의 좌우측을 지나는 사람이나 물건을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고 설치될 수 있고, 해체 이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며, 리프트의 진입지점 뿐만 아니라 양 측면 지점까지 낙하하는 자재 및 도구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지지프레임의 결합 구조와 방호선반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난간이 안착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봉
112 : 수평돌기 114 : 지지돌기
120 : 수평봉 122 : 결합구
130 : 지지봉 140 : 리프트 설치구
200 : 방호선반 202 : 체결고리
310 : 난간 320 : 안전망
330 : 리프트 진입대 410 : 제 1 결합볼트
420 : 제 1 결합너트 430 : 제 2 결합볼트
440 : 제 2 결합너트 510 : 체결봉
520 : 클램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상측 끝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수평돌기가 형성되고 중단 외주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수직봉과, 수평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결합구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수평돌기가 결합구에 삽입됨으로써 수직봉과 결합되는 수평봉과, 일측 끝단은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타측 끝단은 수평봉에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수평봉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방호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결합구에 수평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구의 벽면 및 수평돌기를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결합볼트 및 제 1 결합너트와, 수평봉과 지지봉을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결합볼트 및 제 2 결합너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수평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봉의 상면과 방호선반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체결봉과, 수평봉의 상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수평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다수의 클램프를 추가로 구비하며; 방호선반은, 체결봉과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봉을 걸 수 있는 형상의 체결고리가 형성된다.
지지프레임은, 리프트가 수직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리프트 설치구가 형성되며, 리프트 설치구의 전면 및 양 측면은 방호선반이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며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리프트 설치구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수평보는,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며, 자유단측은 지지봉과 결합되어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방호선반의 외측 끝단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방호선반 상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수직봉(110)과, 수직봉(110)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는 수평봉(120)과,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는 수평봉(120)의 자유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봉(130)으로 구성되며, 리프트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리프트 설치구(140)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방호선반(200)과; 방호선반(200)의 외측 끝단과 리프트 설치구(140)의 상측 끝단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310)과; 리프트 설치구(140)의 좌우 측면 및 후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전망(320)과; 무거운 물체를 보다 용이하게 리프트에 싣기 위하여 지면과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리프트 설치구(140)의 전면에 장착되는 리프트 진입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방호선반(200)은 안전망(32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므로, 방호선반(200)의 아래 지점은 안전망(320)에 의하여 리프트 동작시 발생되는 사고로부터 보호되고 방호선반(200)에 의하여 위에서부터 낙하하는 각종 건축 자재 및 공구로부터 보호된다.
종래의 방호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프트에 자재를 실은 후 리프트를 동작시킬 때, 리프트에서 자재가 낙하할 우려가 있으므로 방호 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있어야 했다. 따라서, 작업자의 동선이 길어짐으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프트에 자재를 실은 후 리프트를 동작시킬 때, 방호선반(200) 아래에 있으면 자재가 낙하 하더라도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작업자의 동선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프트 동작시가 아니더라도, 공사 현장의 작업들은 방호선반(200) 아래 지점에서 보다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지지프레임의 결합 구조와 방호선반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110)의 상측 끝단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수평돌기(112)가 형성되며, 수평봉(120)은 양 끝단에 수평돌기(112)의 삽입이 가능한 결합구(122)가 형성되어 수평돌기(112)가 결합구(122)에 삽입됨으로써 수직봉(110)과 결합된다. 이때, 수평돌기(112)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사방(四方)으로 돌출되도록 4개가 형성되고 있는데, 이는 수평봉(12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수평봉(120)의 결합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수평돌기(112)의 개수 및 돌출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직봉(110)의 중단 외주면에는 상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지지돌기(114)가 형성되고, 지지봉(130)은 일측 끝단이 지지돌기(114)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며 타측 끝단이 수평봉(120)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지봉(130)은, 외팔보 형식으로 결합되는 수평봉(120)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외팔보 형식으로 결합되는 수평봉(120)뿐만 아니라 양 끝단이 수직봉(110)에 결합되는 수평봉(120)에도 지지력 강화를 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수직봉(110)과 결합되는 수평봉(120)의 끝단은 결합구(122)에 수평돌기(112)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구(122)의 벽면 및 수평돌기(112)를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결합볼트(410) 및 제 1 결합너트(420)에 의하여 체결되고, 지지봉(130)과 결합되는 수평봉(120)의 끝단은 수평봉(120)과 지지봉(130)을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결합볼트(430) 및 제 2 결합너트(440)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직봉(110) 및 수평봉(120)은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므로 수회에 걸쳐 재사용될 수 있으며,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방호선반(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봉(120)의 상면과 방호선반(200)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체결봉(510)과, 수평봉(120)의 상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수평봉(1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다수의 클램프(52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수평봉(120)의 상면에 수평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클램프(520)를 결합시키고 체결봉(510)을 각 클램프(520)에 안착시킨 후 클램프(520)를 잠그게 되면, 체결봉(510)은 수평봉(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방호선반(200)은 체결봉(510)과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봉(510)을 걸 수 있는 형상의 체결고리(202)가 형성되어, 체결고리(202)를 체결봉(510)에 걸어 체결시킴으로써 안착 위치가 고정된다.
도 4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난간이 안착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방호선반(200)은 차후에 작업자의 발판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방호선반(200) 상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지면으로 추락할 우려가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선반(200)의 외측 끝단과 설치구(140)의 외측 끝단을 따라 난간(310)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난간(310)은, 작업자가 방호선반(200)의 상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호 구조물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고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이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며, 리프트의 진입지점 뿐만 아니라 양 측면 지점까지 낙하하는 자재 및 도구로부터 지면에 있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상측 끝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수평돌기(112)가 형성되고 중단 외주면에 지지돌기(114)가 형성되는 수직봉(110)과, 수평돌기(112)의 삽입이 가능한 결합구(122)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수평돌기(112)가 결합구(122)에 삽입됨으로써 수직봉(110)과 결합되는 수평봉(120)과, 일측 끝단은 지지돌기(114)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타측 끝단은 수평봉(120)에 결합되는 지지봉(130)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0)과;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수평봉(120)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방호선반(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22)에 상기 수평돌기(112)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구(122)의 벽면 및 수평돌기(112)를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결합볼트(410) 및 제 1 결합너트(420)와;
    상기 수평봉(120)과 상기 지지봉(130)을 관통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결합볼트(430) 및 제 2 결합너트(440);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수평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봉(120)의 상면과 방호선반(200)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체결봉(510)과, 상기 수평봉(120)의 상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봉(1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다수의 클램프(52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방호선반(200)은,
    상기 체결봉(510)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체결봉(510)을 걸 수 있는 형상의 체결고리(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리프트가 수직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리프트 설치구(140)가 형성되며;
    상기 방호선반(200)은,
    상기 리프트 설치구(14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설치구(140)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수평보는,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130)은,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는 수평보의 자유단측과 상기 수직봉(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110)은,
    중단 외주면에 상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지지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30)은,
    일측 끝단이 지지돌기(114)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며, 타측 끝단이 수평봉(120)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선반(200)의 외측 끝단과 상기 설치구(140)의 외측 끝단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31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구조물.
KR20-2004-0025453U 2004-09-04 2004-09-04 낙하물 방호 구조물 KR200368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53U KR200368372Y1 (ko) 2004-09-04 2004-09-04 낙하물 방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53U KR200368372Y1 (ko) 2004-09-04 2004-09-04 낙하물 방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72Y1 true KR200368372Y1 (ko) 2004-11-18

Family

ID=4935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53U KR200368372Y1 (ko) 2004-09-04 2004-09-04 낙하물 방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847B1 (ko) 2019-05-03 2020-01-22 세종통상 주식회사 리프트를 사용하는 건축물 출입용 방호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847B1 (ko) 2019-05-03 2020-01-22 세종통상 주식회사 리프트를 사용하는 건축물 출입용 방호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0320A1 (en) Safety rail system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JP4462441B2 (ja) 足場・支保工兼用機材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368372Y1 (ko) 낙하물 방호 구조물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NZ336959A (en) Scaffolding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WO2019126187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Adhikari et al. Designing and detailing of scaffoldings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CN217680699U (zh) 一种新型组合式电梯井防护栏杆
KR200418150Y1 (ko) 용이한 조립구조를 갖는 호이스트 방호울
KR200276904Y1 (ko) 교량 점검용 교각 점검대 구조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1896401B1 (ko) 낙하 방지용 가설재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