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80Y1 - 낙하물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80Y1
KR200201580Y1 KR2020000016071U KR20000016071U KR200201580Y1 KR 200201580 Y1 KR200201580 Y1 KR 200201580Y1 KR 2020000016071 U KR2020000016071 U KR 2020000016071U KR 20000016071 U KR20000016071 U KR 20000016071U KR 200201580 Y1 KR200201580 Y1 KR 200201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falling object
support
protection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덕
Original Assignee
김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덕 filed Critical 김성덕
Priority to KR2020000016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물체의 추락을 효율적으로 방호하며, 낙하물 방호의 안전성이 향상된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낙하물 방호틀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낙하물 방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낙하물이 지지대에 튕겨져 낙하물의 방호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낙하하는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호틀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장치에 있어서,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호틀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은 건물 벽면의 비계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보다 하부에 위치된 비계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부에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중 및 낙하물의 낙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하물 방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a fall}
본 고안은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물체의 추락을 효율적으로 방호하며, 낙하물 방호의 안전성이 향상된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한 부재들을 설치 또는 해체하거나 건물의 외벽 보수 및 도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 작업대를 지지하기 위해 비계를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하고, 그 위에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낙하물에 대한 방호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시공과정에서 낙하하는 각종 건설 자재 등은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개의 건설 현장에서는 지지대와 낙하물 방호틀을 적절히 이용하여 낙하물 방호를 시행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낙하물 방호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것을 보인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면,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 벽면(A)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비계(3)에 낙하물 방호틀(1)을 연결하고, 낙하물 방호틀(3)의 상측 비계에 봉 또는 와이어로 된 지지대(2)를 설치하여 낙하물 방호틀의 하중 및 낙하물의 추락시 하중을 견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지지대를 낙하물 방호틀 상측에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 오히려 낙하물에 대한 방호력 감소 및 효율적인 낙하물 방호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낙하물이 떨어질 때, 낙하물은 방호틀의 상측에서 설치된 지지대에 튕겨져 낙하물 방호틀에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지지대가 방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지하고 있으므로 낙하물에 대한 낙하하중을 효율적으로 지탱하지 못한다.
따라서, 낙하물 방호틀의 설치 목적인 낙하물 방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현장의 위험성이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낙하물이 낙하물 방호틀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호틀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은 건물 벽면의 비계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보다 하부에 위치된 비계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부에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중 및 낙하물의 낙하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도 1 은 종래의 낙하물 방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 낙하물 방호틀 2,20 : 지지대
3, 30 : 비계 11 : 프레임
12 : 방호망 13 : 연결고리
21,22 : 형강 23 : 지지봉
24 : 체결볼트 25 : 체결너트
26 : 고정 클램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낙하하는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호틀(10)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낙하 방호틀의 하중 및 낙하물의 낙하 하중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지하는 지지대(20)로 이루어진다.
낙하물 방호틀(10)은 내부에 방호망(12)이 형성된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1)의 일단에는 비계(30a)에 걸려 체결되는 체결고리(13)가 부착된다.
지지대(20)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인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지대(20)는 낙하물 방호틀(10)에 고착된 제 1 형강(21)과, 낙하물 방호틀(10)이 고정된 비계(30a)의 하부에 형성된 비계(30b)에 고정되는 고정 클램프(26)와, 고정 클램프(26)가 고착된 제 2 형강(22)과, 제 1 및 제 2 형강에 양단이 소정 거리 이내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지지봉(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형강(21,22)과 지지봉(23)의 결합은 체결 볼트(24)와 체결 너트(25)로 이루어져 제 1 및 제 2 형강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형강(21,22)의 형태는 반구형, U 자형, ㄷ 자형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ㄷ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클램프(26)와 제 2 형강(22)의 고착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도면 부호인 A 는 건물의 벽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지지대가 낙하물 방호틀의 하부에 형성되어 낙하물 방호틀의 하중과 낙하물의 낙하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며, 낙하물의 추락이 방지된다.
즉,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지지대(20)가 낙하물 방호틀(1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낙하물이 낙하하면서 곧바로 낙하물 방호틀에 낙하되어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지지대(20)가 낙하물 방호틀(1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지지대가 낙하물 방호틀의 상부에 설치될 때보다 낙하물의 낙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낙하물 방호틀의 설치 목적인 낙하물 방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낙하물 방호틀의 설치 목적인 낙하물 방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낙하물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호틀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은 건물 벽면의 비계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타측보다 하부에 위치된 비계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부에서 상기 낙하물 방호틀의 하중 및 낙하물의 낙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낙하물 방호틀에 고착된 제 1 형강과;
    상기 낙하물 방호틀이 고정된 비계의 하부에 형성된 비계에 고정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가 고착된 제 2 형강과;
    상기 제 1 및 제 2 형강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강과 제 2 형강은 각각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KR2020000016071U 2000-06-07 2000-06-07 낙하물 방호장치 KR200201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071U KR200201580Y1 (ko) 2000-06-07 2000-06-07 낙하물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071U KR200201580Y1 (ko) 2000-06-07 2000-06-07 낙하물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80Y1 true KR200201580Y1 (ko) 2000-11-01

Family

ID=1965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071U KR200201580Y1 (ko) 2000-06-07 2000-06-07 낙하물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54B1 (ko) 2007-01-29 2008-01-24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CN110805294A (zh) * 2019-11-11 2020-02-18 侯建强 一种基于光电监测的高空坠物自动拦截装置
KR102127867B1 (ko) * 2019-01-30 2020-06-29 김천호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CN117166800A (zh) * 2023-11-02 2023-12-05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54B1 (ko) 2007-01-29 2008-01-24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KR102127867B1 (ko) * 2019-01-30 2020-06-29 김천호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CN110805294A (zh) * 2019-11-11 2020-02-18 侯建强 一种基于光电监测的高空坠物自动拦截装置
CN117166800A (zh) * 2023-11-02 2023-12-05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CN117166800B (zh) * 2023-11-02 2024-01-19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655A (en) Workplace support and enclosure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5896944A (en) Adjustable rail barricade for working on a roof
US5730246A (en) Roof inspection fall protection system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JPH11343742A (ja) 防護装置
US6267201B1 (en) Work platform for roof construction work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0368372Y1 (ko) 낙하물 방호 구조물
KR200226678Y1 (ko)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KR200291504Y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KR200317483Y1 (ko) 낙하방지용 방호틀
KR100767973B1 (ko) 건축물의 안전 그물망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KR200275099Y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장치
KR100460230B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JP3612683B2 (ja) スレート屋根用仮設通路及びその構成部材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EP1059400A1 (en) Safety 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