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36Y1 -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136Y1
KR200302136Y1 KR20-2002-0031472U KR20020031472U KR200302136Y1 KR 200302136 Y1 KR200302136 Y1 KR 200302136Y1 KR 20020031472 U KR20020031472 U KR 20020031472U KR 200302136 Y1 KR200302136 Y1 KR 200302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work
bracket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이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수 filed Critical 이남수
Priority to KR20-2002-0031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과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에 가설되어 안전하게 교량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교량받침부의 상부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위험방지시설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시설로부터 교량받침대의 측벽을 따라 작업발판을 설치하게 하는 시설을 더 구비함으로 인해, 교량받침부의 상부에서의 작업 안정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측벽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하게 하여 교량작업을 더 안전하게 수행하게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ASSEMBLING WORK SAFETY SUPPORTER FOR BRIDGE}
본 고안은 교각과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에 가설되어 안전하게 교량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받침대의 측벽을 따라 작업발판이 가설되게 하여 교량작업을 더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과 일체로 된 교량받침부에 교량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그 교량받침부에는 작업안전대가 가설되었다. 이 작업안전대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로 교랑받치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작업안전대는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구조로 되어 있고 교량받침부에 교량이 설치되면 해체된다.
이러한 기존의 작업안전대(1)의 일예는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교각(3)과 일체화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5)의 양 길이단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그 교량받침부(5)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대(7)와,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된 이 지주대들(7)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 지주대들(7)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받침부(5)로부터 입설시키기 위한 버팀대(9)와, 이 버팀대(9)에 의해 입설된 지주대들(7)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된 추락방지용 난간대(11)로 이루어졌다. 상기된 구성요소들(7,9,11)은 통상 파이프형이다.
상기 지주대들(7)의 하단부에는 이음부(13)가 분리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팀대(9)는 이 이음부(1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주대들(7)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음부(13)와는 핀결합방식이나 볼트와 너트체결방식으로 되빠지지 않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대들(7)들을 상기 교량받침부(5)에 대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추락방지용 난간대(11)는 상기 지주대들(7)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5)에 U자형 체결볼트(17)가 체결됨을 통해 상기 지주대들(7)에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지주대들(7)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충분히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들(7)의 하부에는 판재(19)를 일체로 더 설치하여 상기 지주대들(7)들을 더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구조를 갖고 가설된 작업안전대(1)에 의해 교량받침부(5)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작업안전대(1)는 교량받침부(5)에서의 상부작업시에는 그 작업자를 충분히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었지만, 교량받침부(5)의 측면작업시에는 그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었다. 이 이유로 교량받침부(5)의 측면작업시 작업자는 로프와 훅으로 이루어진 작업용 안전띠를 착용한 후 로프나 훅을 작업안전대(1)에 걸어 매달리면서 작업을 하거나 상기 난간대(11)에 몸을 구부리면서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는 교량받침부(5)의 측면작업시 작업자를 항상 추락의 위험에 노출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받침대의 측벽을 따라 작업발판이 가설되게 하여 교량작업을 더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용 작업안전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표시 C의 부분 확대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용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고안의 교량 작업안전대 조립체 107 : 지주대
109 ; 버팀대 111 : 추락방지용 난간대
121 : 작업용 발판 123 : 지지대
125 : 브라켓 127 : 추락방지용 난간
129 : 난간용 지지돌부 130 : 구멍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는 결합구조이며 교각과 일체화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의 양 길이단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대와,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된 이 지주대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지주대들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받침부로부터 입설시키기 위한 버팀대와, 이 버팀대에 의해 입설된 지주대들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된 추락방지용 난간대로 이루어진 교량용 작업안전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들의 일단에 교각을 따라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도록 분리되게 설치되어 지주대들에 대해 작업용 발판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부위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게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업발판을 설치하도록 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끝단으로터 일체로 수직 입설되고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추락 방지용 난간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된 난간용 지지돌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표시 C의 부분 확대도, 및 도6은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100)는 종래와 동일하게 결합구조이며 하기되는 구성요소들은 파이프형임이 바람직하다. 이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100)는 교각(103)과 일체화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105)의 양 길이단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대(107)와,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된 이 지주대들(107)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대들(107)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받침부(105)로부터 입설시키기 위한 버팀대(109)와, 버팀대(109)에 의해 입설된 지주대들(107)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된 추락방지용 난간대(1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상기 지주대들(107)의 하단부에는 교량받침부(105)의 내측방향으로 이음부(113)가 분리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팀대(109)는 이 이음부(113)에 끼움을 통한 핀결합이나 볼트체결방식으로 통해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된 상기 지주대들(107)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지주대들(107)을 교량받침부(105)에 대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용 난간대(111)는 상기 지주대들(107)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구멍들(115)에 U자형 볼트(117)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주대들(107)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교량받침부(105)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고, 이 난간대(111)는 상기 지주대들(107)에 다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19)는 교량받침부(105)에 대해 더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한 판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지주대들(107)의 하단에는 교량받침부(105)의 측벽에 작업용 발판(121)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대들(107)에 대해 발판(121)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123)가 교각(103)을 따라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대(123)는 상기 지주대들(107)에 삽입됨을 통해 핀결합방식이나 볼트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주대들(107)의 하측 연장길이는 작업자가 상기 난간대(111)에 의지한 채 발을 디디어 그 발이 충분히 닿을 수 있는 길이면 충분하다. 이는 연장길이가 과도하게 길 경우 작업자가 상기 교량받침부(105)의 상부에서 하기되는 발판(121)으로의 이동시 추락위험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지대(123)에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라켓(125)은 발판(121)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지대(123)의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게 핀결합방식이나 볼트체결방식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브라켓(125)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으로 발판(121)을 보다 안정되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브라켓(125)의 돌출길이는 한 사람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특히 상기 발판(121)은 고정철물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상기 브라켓(125)에 견고히 고정 설치됨을 통해 그 브라켓(125) 상에서의 이동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위험을 더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라켓(125)의 끝단에는 추락 방지용 난간(127)을 설치하기 위한 난간용 지지돌부(129)가 그로부터 일체로 입설되어 있다. 이 난간용 지지돌부(129)에는 다수개의 제2 구멍들(13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추락 방지용 난간(127)은 상기 제2 구멍들(130)에 U자형 볼트가 체결됨을 통해 상기 난간용 지지돌부(129)에 다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브라켓(125)으로부터 설치된 발판(121)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추락의 위험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난간용 지지돌부(129)를 통해 설치된 추락방지용 난간(129)은 작업자에 대한 작업용 안전띠를 설치하게 할 수 있어 추락위험방지의 역할을 더 수행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업안전대 조립체(100)는 가능하면 지상에서 조립된 후 크레인 등을 통한 인양을 통해 교량받침부(105)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해체작업도 인양되어 지상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안전대 조립체(100)는 결합구조 즉, 조립구조로 되어 있기에 공간 및 위치이동이 용이하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공기 및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업안전대 조립체(100)가 조립되어 인양됨을 통해 상기 교량받침부(105)에 설치되면,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안전대 조립체(100)의 발판(121)은 교량받침부(105)의 측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교량받침부(105)의 상부뿐만 아니라 이 발판(121)을 통해 교량받침부(105)의 측벽으로부터의 추락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교량받침부의 상부에서의 작업의 안전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교량받침대의 측벽을 따라 작업발판을 더 가설하게 함으로인해 교량받침부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하여 교량작업을 더 안전하게 수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결합구조이며 교각과 일체화되어 교량을 받치도록 한 교량받침부의 양 길이단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대와,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된 이 지주대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지주대들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받침부로부터 입설시키기 위한 버팀대와, 이 버팀대에 의해 입설된 지주대들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된 추락방지용 난간대로 이루어진 교량용 작업안전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들의 일단에 교각을 따라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도록 분리되게 설치되어 지주대들에 대해 작업용 발판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부위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게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업발판을 설치하도록 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끝단으로터 일체로 수직 입설되고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추락 방지용 난간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된 난간용 지지돌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KR20-2002-0031472U 2002-10-22 2002-10-22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KR200302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72U KR200302136Y1 (ko) 2002-10-22 2002-10-22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72U KR200302136Y1 (ko) 2002-10-22 2002-10-22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136Y1 true KR200302136Y1 (ko) 2003-01-24

Family

ID=4939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72U KR200302136Y1 (ko) 2002-10-22 2002-10-22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214A (zh) * 2018-08-14 2018-11-16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快捷式高铁桥墩施工吊篮安装平台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214A (zh) * 2018-08-14 2018-11-16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快捷式高铁桥墩施工吊篮安装平台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JP5317748B2 (ja) 作業用足場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20090025737A (ko)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KR200381397Y1 (ko) 거푸집의 발판 안전 난간 장치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EP1691007A2 (en) Detachable cross-piece for supporting platforms in scaffolds
CN208533990U (zh) 一种用于建筑结构施工的支撑装置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JP3950800B2 (ja) つり足場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EP1215354A2 (en) Protection device for people working on roofs of buildings or the like, and for supporting workers during works on the cornices of the roofs
JP2527428Y2 (ja) 枠組足場
JP3567425B2 (ja) タワークレーン用の水平控
CN219059723U (zh) 湿接缝连接模组
KR200241823Y1 (ko)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KR200146049Y1 (ko)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CN217999075U (zh) 一种钢构钢梯
JP2003247337A (ja) 枠組足場の転落防止手摺装置と枠組足場の転落防止手摺装置の使用方法
KR200298119Y1 (ko) 에이치형 프레임용 휴대 안전발판
KR100262265B1 (ko) 고소 및 교각작업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JPH1136604A (ja) 枠組足場の組立方法および枠組足場用支柱
KR100460230B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KR200368604Y1 (ko) 발판 고정용 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