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49Y1 -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6049Y1 KR200146049Y1 KR2019960014668U KR19960014668U KR200146049Y1 KR 200146049 Y1 KR200146049 Y1 KR 200146049Y1 KR 2019960014668 U KR2019960014668 U KR 2019960014668U KR 19960014668 U KR19960014668 U KR 19960014668U KR 200146049 Y1 KR200146049 Y1 KR 2001460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caffold
- cage
- building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에 콘크리트 시공하기 위해 건물의 외측으로 층별로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된 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발판대(11)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프레임(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8)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 고정프레임(13)이 형성된 다수의 발판용케이지(2)와, 상기 발판용케이지(2)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핸드레일(3)을 구비하고,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의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해 형성된 폼을 설치 및 분리작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발판용케이지(2)를 각각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4)와, 상기 고정부(4)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장치(5)를 더 구비하고 슬라브 및 발코니에 발판용케이지(2)를 체결시킴으로서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시 설치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해체 후에도 타현장에 쉽게 운반하여 간단히 재설치 사용할 수 있는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인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고정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고정장치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용발판 2 : 발판용케이지(cage)
3 : 핸드레일 4 : 고정부
5 : 고정장치 6 : 전면 수직프레임
7 : 후면 수직프레임 8 : 연결프레임
9 : 클램프 10 : 인양고리
11 : 발판대 12 : 수평 고정프레임
13 : 수직 고정프레임 21 : 지지대
21a : 힌지축 22 : 고정몸체
23 : 고정편 24 : 지지편
25 : 볼트안내구 26 : T 볼트
27 : 고정판 28 : 손잡이
29,(29') : 발코니
본 고안은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아파트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낮은 발코니 등에 콘크리트 타설 및 견출을 할 경우 건물의 외측으로 개구부, 또는 낮은 발코니에 고정시켜 층별로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로서 작업용 발판을 2∼4단형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견출작업에 필요한 별도의 비계설치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위험요소해소와 작업 비용 및 공사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개발 지역 및 신도시등의 고층아파트와 같이 신축공사의 경우 타설되는 낮은 발코니의 내외측에 다수개의 유로폼(EURO FORM) 및 목재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품을 조립 및 체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품을 설치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비계를 지상에서 고층까지 층별로 연속적으로 연장시켜야 되며,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비계를 다시 해체시켜야 됨으로 비계의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전반적인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지상에서 고층까지 층별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어 지지상태가 불안정한 비계위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몸의 균형을 잃어 작업자가 실족하여 추락하는 경우 등, 작업도중의 안전사고는 곧바로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층 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의 시공을 하기 위해 건물의 외측에 층별로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를 수개의 층으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내.외부 폼의 설치 및 분리작업에 필요한 별도의 비계 설치작업이 불필요하며, 건물 외벽에 일체로 설치되고 이를 건물의 슬라브등과 고정하는 체결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지지상태가 견고한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여 이에 따른 위험요소 해소와 작업비용 및 공사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공사 후에도 이를 쉽게 분리하여 타현장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이동이 가능한 일체형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발판대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이 형성된 다수의 발판용케이지와, 상기 발판용케이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핸드레일을 구비하고,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의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해 형성된 폼을 설치 및 분리작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발판용 케이지를 각각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장치를 더 구비하고 슬라브 및 발코니에 발판용케이지를 체결 및 분리시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고정부의 사시도, 제3도는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고정장치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사용상태도로서, 1은 작업용 발판, 2는 발판용케이지(cage), 3은 핸드레일, 4는 고정부, 5는 고정장치, 6은 전면 수직프레임, 7은 후면 수직프레임, 8은 연결프레임, 9는 클램프, 10은 인양고리, 11은 발판대, 12는 수평 고정프레임, 13은 수직 고정프레임, 21은 지지대, 21a는 힌지축, 22는 고정몸체, 23은 고정편, 24는 지지편, 25는 볼트안내구, 26은 T볼트, 27은 고정판, 28은 손잡이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발판은 크게 일체형의 발판용케이지(2)와 고정부(4) 및 핸드레일(3)로 구성된다.
상기 일체형의 발판용케이지(2)를 한쌍의 수직프레임(6)(7)으로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긴 전면 수직프레임(6)과 상대적으로 짧은 후면 수직프레임(7)을 전.후로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6)(7)간을 소정간격으로 상.하로 이격시켜 4단으로 용접고정되는 연결프레임(8)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각 연결프레임(8)사이의 상.하간격은 작업시 작업자의 통로가 되므로 사람의 키를 고려하려 형성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이 횡으로 네쌍정도 소정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이러한 배열은 각 연결프레임(8)사이의 공간이 작업자의 통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네쌍의 일체형의 발판용케이지(2)를 각각 연결하고 고정시키도록 상기 발판용케이지(2)의 전면 수직프레임(6)의 뒷면에 다수개의 클램프(9)를 상.하로 소정간격만큼 용접고정하고 상기 클램프(9)에 각각의 핸드레일(3)이 결합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핸드레일(3)은 상기 전면 수직프레임(6)의 뒷면과 연결프레임(8)상에 클램프(9)로 체결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체결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3)은 중간부의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각 통로의 사람의 허리정도 위치에 각 전면 수직프레임(6)과 클램프(9)로 체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일체형의 발판용케이지(2)를 더욱 더 견고하게 연결하고 발코니등에 고정케 하는 고정부(4)를 수평 고정프레임(12)와 수직 고정프레임(13)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4)의 일측에 고정장치(5)를 다수개 형성하도록 하여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에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4)는 발판용케이지(2)의 각 후면 수직프레임(7)에 분리가능하게 단단히 고정되며, 이때 고정부(4)의 수평 고정프레임(12)와 수직 고정프레임(13)간의 간격은 발판대가 설치되는 건물의 상.하층 발코니 및 슬라브간의 간격에 맞게 조절된다.
또한, 고정부(4)는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13)과의 교차점 부근에 타층으로 발판용케이지(2)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의 체결 수단으로서 적어도 2개의 인양고리(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인양고리(10)는 인양용 삼바리 또는 타워크레인의 체결고리와 체결시켜 발판용케이지(2)를 운반설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4)의 일측에는 건물의 슬라브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장치(5)가 다수개 설치되는데, 제3도는 본 고안데 따른 작업용발판(1)의 고정장치(3)의 상태도로서, 상기 고정부(4)의 수평 고정프레임(12)상에 두 개의 지지대(2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는 고정몸체(22)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몸체(22)의 앞쪽에는 지지편(23)을 형성하고, 뒤쪽에는 상기 지지편(23)보다 다소 길이가 짧게 고정편(2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24)의 내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안내구(25)을 형성하여, 상기 형성된 볼트안내구(25)에 삽입하여 앞.뒤로 유동하는 T볼트(26)를 형성하되, 상기 T볼트(26)의 일측에는 고정판(27)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손잡이(28)를 고정 형성되도록 한다.
동작시, 상기 고정몸체(22)는 지지대(21)의 하부 힌지결합부의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며, T볼트(26)의 동작에 따라 고정판(27)이 상기 지지편(23)과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슬라브와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일체형의 발판용케이지(2)는 한쌍의 수직프레임(6)(7)이 4개 배열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줄일 수도 있으며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 필요할 경우 수직프레임(6)(7)을 더 연장시키고 연결프레임(8)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줄일 수도 있다.
이하, 그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발판의 사용상태도로서, 도면부호중 29는 발코니 및 슬라브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발판(1)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고층건물의 공사시 건물의 낮은 발코니(29,29')에 고정장치(5)로서 체결한 뒤, 고정부(4)를 고정장치(5)와 연결하고, 발판용케이지(2)를 상기 고정부(4)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 및 견출작업이 끝나면 고정장치(5)를 낮은 발코니(29,29')로부터 분리시켜 상부층으로 인양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장치(5)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22)를 지지대(21)와의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T볼트(26)를 회전시켜 그 말단에 있는 고정판(27)을 슬라브 및 발코니(29,29')등과 압착시켜 고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층에 해당되는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29)에서 시공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 상단에 형성된 인양고리(10)에 인양용 삼바리 또는 타워크레인으로 긴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건물 내부에서 이동식 발판용케이지(2)를 고정시킨 다수개의 고정장치(5)를 풀어 건물의 외부로부터 이동식 발판용케이지(5)를 이격시킨 다음, 상기 인양용 삼바리 또는 타워크레인으로 이동식 발판용케이지(2)를 콘크리트 타설할 윗층에 해당되는 높이까지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며, 이때 이동식 발판용케이지(2)에 일체로 형성된 발판대(11)또한 동시에 인양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 이동식 발판용케이지(2)를 체결하던 방식으로 고정장치(5)를 이용하여,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29,29')에 조립 체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여 연속적으로 시공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며, 상기 이동식 발판용 케이지(2)에 일체로 형성된 하측 발판대(11) 위에서 작업자는 건물의 견출작업 등의 후속공정을 연속적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조립식으로 인한 타현장 전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일체로된 이동식 발판용 케이지(2), 고정부(4), 핸드레일(3)등 모든 자재가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해체가 가능하고, 작업완료 후 타 현장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조립방법과 같이 재조립하여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1)은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29,29')에 콘크리트 시공하기 위해 건물의 외측으로 내.외폼을 설치 및 분리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작업용발판(1)으로 상기 폼의 외측에 작업용발판(1)을 수개의 층으로서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발판은 콘크리트 시공하는 층보다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비계설치의 작업단계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이 단축되어 전반적인 공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과, 이동식 발판용케이지(2)에 견고하게 형성된 발판대(11)위에서 안정된 자세로서 작업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3)
- 발판대(11)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프레임(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8)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 고정프레임(13)이 형성된 다수의 발판용케이지(2)와, 상기 발판용케이지(2)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핸드레일(3)을 구비하고,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중 건물의 슬라브 및 낮은 발코니의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해 형성된 폼을 설치 및 분리작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발판용케이지(2)를 각각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4)와, 상기 고정부(4)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장치(5)를 더 구비하고 슬라브 및 발코니에 발판용케이지(2)를 체결 및 분리시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에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장치(5)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4)의 수평 고정프레임(12)상에 두 개의 지지대(2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는 고정몸체(22)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몸체(22)의 앞쪽에는 지지편(23)을 형성하고, 뒤쪽에는 상기 지지편(23) 보다 다소길이가 짧게 고정편(2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24)의 내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안내구(25)를 형성하여, 상기 형성된 볼트안내구(25)에 삽입하여 앞.뒤로 유동하는 T볼트(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발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볼트(26)의 일측에는 고정판(27)이 고정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28)가 고정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발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4668U KR200146049Y1 (ko) | 1996-05-29 | 1996-05-29 |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4668U KR200146049Y1 (ko) | 1996-05-29 | 1996-05-29 |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2625U KR970062625U (ko) | 1997-12-11 |
KR200146049Y1 true KR200146049Y1 (ko) | 1999-06-15 |
Family
ID=194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14668U KR200146049Y1 (ko) | 1996-05-29 | 1996-05-29 |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604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349B1 (ko) * | 2007-02-14 | 2007-09-14 | 주식회사 거성산업 | 아파트 외벽 설치형 작업대 |
KR100944463B1 (ko) * | 2009-07-02 | 2010-03-05 | 송재근 |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3150B1 (ko) * | 2001-05-31 | 2004-05-31 |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
-
1996
- 1996-05-29 KR KR2019960014668U patent/KR2001460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349B1 (ko) * | 2007-02-14 | 2007-09-14 | 주식회사 거성산업 | 아파트 외벽 설치형 작업대 |
KR100944463B1 (ko) * | 2009-07-02 | 2010-03-05 | 송재근 |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
WO2011002120A1 (ko) * | 2009-07-02 | 2011-01-06 | Song Jae-Keun |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2625U (ko) | 1997-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453615U (zh) | 模板支撑系统 | |
AU2010346421B2 (en) | Scaffold and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such a scaffold | |
JPH04505040A (ja) | ビルディング建造システム | |
CN113931313B (zh) | 超高层核心筒水平结构施工方法 | |
JP3196043B2 (ja) |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 |
US3175654A (en) | Stair unit assemblies | |
KR101364198B1 (ko) |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 |
KR20190041189A (ko) |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 |
GB2112440A (en) | Scaffolding | |
KR200146049Y1 (ko) |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 |
JP3950800B2 (ja) | つり足場 | |
CN112111620B (zh) | 高炉热风炉的球顶耐材拆除设备及拆除方法 | |
CN212895943U (zh) | 小截面墩柱钢筋绑扎用作业平台装置 | |
JPH05280012A (ja) |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 |
CN214996342U (zh) | 楼梯井一体化防护通道 | |
JPH0874361A (ja) | 外壁材取付用固定装置及び同固定装置を用いた中・高層建築物の積層工法 | |
KR101105255B1 (ko) |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건축자재 인양장치 | |
KR200426228Y1 (ko) | 거푸집의 보조 작업발판 구조 | |
CN212671301U (zh) | 一种用于装配式建筑楼梯间的移动式施工安全钢楼梯 | |
CN106382001A (zh) | 可移动可周转的女儿墙支模架 | |
CN216949441U (zh) | 装配式建筑楼梯间用钢爬梯 | |
CN212836618U (zh) | 一种用于预制立柱混凝土浇筑的柱顶整体式操作平台 | |
CN219316360U (zh) | 一种楼梯间操作平台工具 | |
CN218758991U (zh) | 临时楼梯 | |
CN220036073U (zh) | 一种装配式楼梯间施工用操作钢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2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