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98B1 -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 Google Patents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98B1
KR101364198B1 KR1020130002973A KR20130002973A KR101364198B1 KR 101364198 B1 KR101364198 B1 KR 101364198B1 KR 1020130002973 A KR1020130002973 A KR 1020130002973A KR 20130002973 A KR20130002973 A KR 20130002973A KR 101364198 B1 KR101364198 B1 KR 10136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vertical frame
fixed
fix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to KR102013000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04G3/325Safety devices for stabilising the mobile platform, e.g. to avoid it swinging in the w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동일하게 수직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수평고정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외장공사를 수행할 건물 외벽의 가로 폭이 크거나 작아도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업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시공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외장공사 완료시에는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수평고정대를 분리하여 건축자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건축자재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Variable scaffold for v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동일하게 수직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수평고정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외장공사를 수행할 건물 외벽의 가로 폭이 크거나 작아도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업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시공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외장공사 완료시에는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수평고정대를 분리하여 건축자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건축자재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등 각종 구조시스템에 따라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구축하여 건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골조공사와, 상기와 같은 골조공사가 완료된 후 완성된 골조의 외부표면에 타일, 석재, 커튼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 각종 마감자재를 시공함으로써 건물의 외벽면을 미려하게 장식, 치장하는 마감공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공사의 경우 주로 건물의 외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외부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올라가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마감재 고정용 철물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등이 부설된 가설작업대의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설작업대는 건물의 외벽 전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량의 버팀부재가 사용되며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장작업의 완료시 가설작업대의 해체가 어려워 시공기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해체된 자제들의 재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상부에서 와이어를 이용하여 승·하강하면서 외장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곤도라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곤도라는 와이어를 통해 간편하게 외장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외장작업을 수행하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곤도라의 승·하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건물의 외장작업시 외부요인에 의해 곤도라가 좌·우로 흔들리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외장작업의 작업범위를 넓히기 위해 곤도라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경우 그 부피로 인해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추락우려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87851호(2005.04.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674호(2006.11.02)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동일하게 수직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수평고정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외장공사를 수행할 건물 외벽의 가로 폭이 크거나 작아도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업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시공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외장공사 완료시에는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수평고정대를 분리하여 건축자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각 건축자재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외장공사를 수행하는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수평고정대가 구비되며 슬라브층 외측에 위치한 수직프레임의 수평바에 작업발판을 고정하여 구비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슬라브층에 고정시켜 작업대의 추락을 방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건물 상층에 설치되어 작업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권취모터의 구동으로 작업대를 건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동일하게 수직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수평고정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외장공사를 수행할 건물 외벽의 가로 폭이 크거나 작아도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업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외장공사 완료시에는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수평고정대를 분리하여 건축자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건축자재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작업대가 지지부재에 고정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작업대가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로서, 외장공사를 수행하는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11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외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2)이 구비되며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직프레임(111)을 고정하는 수평고정대(113)가 구비되며 슬라브층(C) 외측에 위치한 수직프레임(111)의 수평바(111b)에 작업발판(114)을 고정하여 구비되는 작업대(110)가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110)를 슬라브층(C)에 고정시켜 작업대(110)의 추락을 방지하는 고정부(120)(120')가 구성되며, 상기 건물 상층에 설치되어 작업대(110)에 와이어(132)를 연결하여 권취모터(131)의 구동으로 작업대(110)를 건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수직바(111a)가 구비되고, 상기 각 수직바(111a)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바(111b)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수평바(111a)(111b)의 결합부분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11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111c)와 고정브라켓(11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발판(114)과 작업발판(114) 사이의 중간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발판(11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배열시 수평고정대(113)의 전체길이 중 중앙부와 가장자리는 1개의 수직프레임(111)을 배열시키고,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2개의 수직프레임(111)을 배열시키되 수직바(111a)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시킨 후 그 사이에 보강판(116)을 고정한다.
상기 작업발판(114)과 보조발판(115) 사이의 수직프레임(111)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대(117)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전난간대(117)는 수직프레임(111)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편(117a)에 수용되어 볼트(B)와 너트(N)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건물의 슬라브층(C) 외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11)의 유동을 방지하며 내측에 지지봉(121a)이 형성되는 지지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에 걸림설정되도록 걸림후크(122a)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에 축핀(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라브층(C)에 매립된 앵커볼트(10)에 너트(N)로 체결되는 상부고정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하부 일측이 슬라브층(C)에 밀착되어 슬라브층(C)에 매립된 콘너트(20)에 너트(N)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130)는, 건물 상층에 설치되는 권취모터(131)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모터(131)로부터 작업대(110)와 연결되는 와이어(132)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132)를 건물 상층에서 수직으로 안내하는 안내로울러(133)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모터(131)를 건물 상층의 천정에 고정하는 고정로드(13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과정 및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의 가로 폭에 맞게 일정간격으로 배열될 수직프레임(111)을 제작한다.
수직바(111a)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바(111a)와 수직바(111a) 사이에 수평바(111b)를 일정높이 이격되게 위치시켜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직바(111a)와 수평바(111b)의 결합부위의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부재(111c)를 고정하되 수직바(111a)와 수평바(111b)의 결합된 단부의 양측에 밀착시켜 볼트(B)와 너트(N)로 고정하여 수직프레임(111)을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11)이 제작되면,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킨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배열시, 전체 길이 중 중앙부와 가장자리는 1개의 수직프레임(111)을 배열시키고,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2개의 수직프레임(111)을 배열하되 수직바(111a)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시켜 배열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격된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바(111a)와 수직바(111a) 사이에 수직프레임(111)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판(116)을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수직프레임(111)의 외측 단부 즉, 슬라브층(C)과 대향하는 건물 외측방향에 고정브라켓(112)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되 각 슬라브층(C)에 해당하는 위치에만 고정브라켓(112)을 고정시킨다.
또한,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동일하게 수평고정대(113)를 절단하여 고정브라켓(112) 내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로 결합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수직프레임(111)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111c)와 고정브라켓(112)은 일체로 형성하여 보강부재(111c) 내부에 수직바(111a)를 결합하고 고정브라켓(112) 내부에는 수평고정대(113)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평고정대(113)가 고정되면, 수직프레임(111) 내부의 수평바(111b) 상부에 작업발판(114)을 안착시켜 볼트체결 또는 U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작업발판(114)은 슬라브층(C)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발판(114)과 작업발판(114) 사이의 중간 이상의 위치에는 외장작업을 수행할 해당층의 상측부를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발판(115)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114)과 보조발판(115) 사이의 수직프레임(111) 외측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대(117)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난간대(117)는 건물과 대향하는 수직프레임(111)의 외측 단부에 고정편(117a)이 용접고정되어 내부에 안전난간대(117)를 수용하되 상기 고정편(117a)이 안전난간대(117)보다 외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난간대(117)보다 외측에서 볼트(B)와 너트(N)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작업대(110)의 외측 둘레에 안전망(118)을 설치하여 작업대(11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외벽의 가로 폭에 따라 작업대(110)의 크기를 가변시켜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장공사를 수행하는 건물 외벽의 가로 폭이 크거나 작아도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업대(110)를 제작할 수 있으며 외장공사시 승,하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외장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슬라브층(C)의 일측에 매립된 콘너트(20)와 동일선상에 지지부재(121)를 위치시킨 후 볼트(B)로 결합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에 걸림설정되도록 슬라브층(C)과 인접된 수직프레임(111)의 상단부에 고정후크(122a)가 형성된 고정부재(122)를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12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10)를 슬라브층(C)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브층(C)과 인접된 수직프레임(111)의 상단부에 상부고정부재(123)를 위치시키되 2개의 수직프레임(111)이 배열된 부분의 수직바(111a)와 수직바(111a) 사이에 상부고정부재(123)가 축핀(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하부고정부재(124)는 슬라브층(C)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슬라브층(C)에 매립된 콘너트(20)에 밀착되어 너트(N)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슬라브층(C)으로 돌출된 하부고정부재(124)에 의해 수직프레임(111)의 중간부와 상단부는 슬라브층(C)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건물 상층에는 작업대(11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30)가 설치되며, 권취모터(131)로부터 와이어(132)가 연장되어 안내로울러(133)에 의해 수직으로 안내되고, 상기 와이어(132)를 작업대(110)에 연결하기 위하여 와이어(132)의 끝단부를 인양고리(132')에 연결함과 아울러 인양고리(132')를 작업대(110)의 상부에 고정된 수평바(111b)에 결합하되 2개의 수직프레임(111)이 근접되게 배열된 부분의 수평바(111b)에 결합한 후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권취모터(131)는 작업대(110)의 하중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고정로드(134)가 건물 내부의 천장에 밀착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로드(134)는 유압과 공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천장에 밀착시키게 되면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를 구동하게 되면 와이어(132)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대(110)가 건물 상부로 승강하게 되며, 외장공사를 실시할 해당층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 구동을 중단시킨다.
상기 작업대(110)의 승강시 수직프레임(111)에 고정된 고정부재(122)가 지지부재(121)에 간섭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고정부재(122)는 슬라브층(C)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지지부재(121)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11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작업대(110)에 고정된 고정부재(122)와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을 수직선상에 위치시킨 후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를 구동하여 하강시키게 되면, 고정후크(122a)가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에 안착고정되어 작업대(110)가 고정되며, 상기 작업대(110)가 고정되면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110)의 상단부는 고정부재(122)에 의해 지지부재(121)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작업대(110)의 중간부와 하단부는 수직프레임(111)이 지지부재(121)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봉(121a)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서 작업대(110)가 지지부재(121)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작업자의 외장공사시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를 설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슬라브층(C)에 위치한 작업발판(114)에서 해당 층고의 하부측 공사를 수행하게 되며 하부측 공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보조발판(115)으로 올라가 해당 층고의 상부측 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당 층의 외장공사가 완료되면,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의 구동으로 작업대(110)에 고정된 고정부재(122)가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에서 이탈할 수 있을 정도만 승강시켜 작업대(110)가 지지부재(121)의 간섭없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슬라브층(C)의 건물 외벽에 지지부재(121)를 고정하고 있던 볼트(B)를 분리하여 지지부재(121)를 콘너트(20)로부터 해체시킨다.
또한, 승강부(130)의 작동으로 작업대(110)를 승강시키되 작업대(110)의 하단부와 중간부 및 상단부를 지지할 지지부재(121)를 슬라브층(C)에 매립된 콘너트(20)에 차례로 결합하면서 작업대(11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슬라브층(C)에 매립된 콘너트(20)에 지지부재(1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부(130)의 구동으로 작업대(110)를 하강시켜 작업대(110)에 고정된 고정부재(122)를 지지부재(121)의 지지봉(121a)에 안착고정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건물 외장공사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승강부(130)를 작동시켜 작업대(110)를 지지부재(121)로부터 이탈시켜 건물 하층으로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를 구동하게 되면 와이어(132)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대(110)가 건물 상부로 승강하게 되며, 외장공사를 실시할 해당층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 구동을 중단시킨다.
상기 작업대(110)의 승강시 상부고정부재(123)는 축핀(123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슬라브층(C)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고 하부고정부재(124)는 슬라브층(C)에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11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상부고정부재(123)를 하향으로 회전시킨 후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를 구동하여 하강시키게 되면, 상부고정부재(123)가 슬라브층(C) 바닥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부재(124)는 슬라브층(C)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슬라브층(C)에 매립된 앵커볼트(10)에 상부고정부재(123)의 결합공(123')을 결합한 후 너트(N)로 체결하여 작업대(110)의 상단부를 고정시킨다.
또한, 슬라브층(C)에 매립된 콘너트(20)에 하부고정부재(124)의 결합공(124')을 위치시킨 후 너트(N)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를 설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슬라브층(C)에 위치한 작업발판(114)에서 해당 층고의 하부측 공사를 수행하게 되며 하부측 공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보조발판(115)으로 올라가 해당 층고의 상부측 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당 층의 외장공사가 완료되면, 상부고정부재(123)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N)를 해체시켜 슬라브층(C)으로부터 상부고정부재(123)를 분리시킨 후, 하부고정부재(124)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N)를 해체시켜 슬라브층(C)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고정부재(123)(124)가 슬라브층(C)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부(130)의 권취모터(131)를 구동하여 작업대(110)를 상층으로 승강시키게 되며 상기에서 서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건물 외장공사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상·하부고정부재(123)(124)를 슬라브층(C)에서 분리한 후 상기 승강부(130)를 작동시켜 작업대(110)를 건물 하층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 하층으로 완전히 하강된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100)는, 고정브라켓(112)으로부터 볼트(B)와 너트(N)를 분리하여 수평고정대(113)를 분리하고, 작업발판(114)과 보조발판(115) 사이에 고정된 안전난간대(117)를 고정편(117a)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 내측의 수평바(111b)에 고정된 작업발판(114)과 보조발판(115)을 순차적으로 해체한 후 상부고정부재(123)를 수직프레임(111)으로부터 해체하여 자재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므로 각 자재의 재활용은 물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여 편리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110: 작업대
111: 수직프레임 112: 고정브라켓
113: 수평고정대 114: 작업발판
115: 보조발판 116: 보강판
117: 안전난간대 118: 안전망
120,120': 고정부 121: 지지부재
122: 고정부재 123: 상부고정부재
124: 하부고정부재 130: 승강부
131: 권취모터 132: 와이어
133: 안내로울러 134: 고정로드

Claims (9)

  1. 외장공사를 수행하는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각 수직바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직·수평바의 결합부분에 결합되며 고정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어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건물 외벽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수평고정대가 구비되며 슬라브층 외측에 위치한 수직프레임의 수평바에 작업발판을 고정하여 구비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슬라브층에 고정시켜 작업대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수직프레임에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라브층에 매립된 앵커볼트에 너트로 체결되는 상부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일측이 슬라브층에 밀착되어 슬라브층에 매립된 콘너트에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건물 상층에 설치되어 작업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권취모터의 구동으로 작업대를 건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중간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발판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배열시 수평고정대의 전체길이 중 중앙부와 가장자리는 1개의 수직프레임을 배열시키고,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2개의 수직프레임을 배열시키되 수직바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시킨 후 그 사이에 보강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과 보조발판 사이의 수직프레임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대는 수직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편에 수용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건물의 슬라브층 외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며 내측에 지지봉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봉에 걸림설정되도록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9. 삭제
KR1020130002973A 2013-01-10 2013-01-10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KR10136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73A KR101364198B1 (ko) 2013-01-10 2013-01-10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73A KR101364198B1 (ko) 2013-01-10 2013-01-10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198B1 true KR101364198B1 (ko) 2014-02-20

Family

ID=5027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73A KR101364198B1 (ko) 2013-01-10 2013-01-10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230B1 (ko) * 2014-04-04 2016-01-13 주식회사 근하기공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CN105350760A (zh) * 2015-07-16 2016-02-24 黄明 边梁支承、圆钢斜拉、钢丝绳卸载,悬挑脚手架施工方法
CN107642226A (zh) * 2017-11-02 2018-01-30 顾志勇 一种爬架
KR20190011464A (ko) * 2017-07-25 2019-02-0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케이지장치
KR200496215Y1 (ko) 2021-10-27 2022-11-29 주식회사 대현시스템 리모델링 공사용 다용도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82A (ja) * 2003-01-15 2004-08-05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連層式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200425807Y1 (ko)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신영 인양형 갱폼
KR100704720B1 (ko) * 2006-05-19 2007-04-23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82A (ja) * 2003-01-15 2004-08-05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連層式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100704720B1 (ko) * 2006-05-19 2007-04-23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KR200425807Y1 (ko)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신영 인양형 갱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230B1 (ko) * 2014-04-04 2016-01-13 주식회사 근하기공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CN105350760A (zh) * 2015-07-16 2016-02-24 黄明 边梁支承、圆钢斜拉、钢丝绳卸载,悬挑脚手架施工方法
KR20190011464A (ko) * 2017-07-25 2019-02-0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케이지장치
KR102028013B1 (ko) * 2017-07-25 2019-10-04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케이지장치
CN107642226A (zh) * 2017-11-02 2018-01-30 顾志勇 一种爬架
KR200496215Y1 (ko) 2021-10-27 2022-11-29 주식회사 대현시스템 리모델링 공사용 다용도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463B1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CN1028556C (zh) 房屋建筑系统
CN102345381A (zh) 液压爬模系统及爬模施工方法
CN111255217A (zh) 一种电梯井定型化操作平台及其作业方法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CN111502215A (zh) 一种移动式脚手架
CN106437123A (zh) 支腿自动翻转式整体提升电梯井操作平台
JP3196043B2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JP3074765U (ja) 柱状建築物施工システム装置
JP6712501B2 (ja) 高層建物の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CN209568688U (zh) 一种升降施工平台
KR2012012280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12279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5670929U (zh) 一种剪力墙电梯井道可装配式操作平台
JP5718018B2 (ja) 建築物の解体工法
KR20050102793A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CN204199659U (zh) 整体提升式建筑电梯井施工作业系统
CN210508326U (zh) 一种可提升式井道操作平台
CN203320922U (zh) 电梯井模板定型支撑装置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KR200426228Y1 (ko) 거푸집의 보조 작업발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