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13B1 - 건축용 케이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케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013B1
KR102028013B1 KR1020170094034A KR20170094034A KR102028013B1 KR 102028013 B1 KR102028013 B1 KR 102028013B1 KR 1020170094034 A KR1020170094034 A KR 1020170094034A KR 20170094034 A KR20170094034 A KR 20170094034A KR 102028013 B1 KR102028013 B1 KR 10202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astening member
frame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464A (ko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케이지장치{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시공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외부 시설공사의 안전성과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에는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 케이지가 사용된다.
종래의 안전 케이지는, 대부분 다수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 등으로 조립시켜 일정 형상의 틀을 형성하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작업발판 및, 건물의 외벽과 프레임의 결합부를 조립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안전 케이지는 크레인 등을 이용해 건물의 외벽 높이로 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건물의 외벽과 프레임의 결합부를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유동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고, 이 경우 프레임의 결합부와 건물의 외벽에 체결부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어려웠다.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는 프레임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외벽에 체결부재가 오 조립된 경우,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정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7723호(2016년 12월 0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건축물의 외형에 맞춰 설치가능한 가변식 갱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 브라켓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면을 상기 외벽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외벽을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 상기 연결 빔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건물의 슬라브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후단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보조 브라켓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브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제1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슬라브를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4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이 더 결합되며, 상기 경사 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들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 내에 연결 빔이 위치되므로, 비상 상황시 메인 프레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브라켓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착공간의 입구 부위에 경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착공간의 입구를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 빔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 빔이 안착공간으로 안내되므로 연결 빔을 설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 및, 체결유닛(A1)(A2)(A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1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110)과,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120) 및, 다수의 수평 프레임(130)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상하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열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의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사이 간격에는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3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 및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을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길이 방향 양단이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폭 방향에 제2수직 프레임(12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작업발판(101)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업발판(101)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101)들은 작업자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101)은 다수의 빔을 수평하게 격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킨 후, 작업자가 올라서는 상면을 메쉬 구조로 적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작업발판(10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130)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과 건물의 외벽(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빔(200)은 후술 될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연결 빔(200)의 전면에는 요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210)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요홈(210)의 내부에는, 연결 빔(200)의 하단을 관통한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 빔(200)의 하단에는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300)은, 건물의 외벽(10)과 연결 빔(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전면이 건물의 외벽(1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연결 빔(200)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안착공간(30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 및, 수평 몸체(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몸체(31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이 외벽(10)에 수직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 몸체(310)에는 후술 될 제1체결부재(A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31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
제2수직 몸체(32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전면과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은 이격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경사부(32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부(321)와 제1경사부(311)는 안착공간(301)의 상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수평 몸체(330)는,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안착공간(3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체결유닛(A1)(A2)(A3)은,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을 외벽(10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체결유닛은, 제1체결부재(A1)와, 제2체결부재(A2) 및, 제3체결부재(A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제1수직 몸체(310)와 건물의 외벽(10)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을 통해 건물의 외벽(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체결부재(A1)의 나사부가 건물의 외벽(10)에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A2)는, 제2수직 몸체(320)를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체결부재(A2)의 나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A2)의 전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을 가압 지지한다.
반대로, 상기 제2체결부재(A2)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A2)의 전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즉, 연결 빔(200)의 전후 촉이 안착공간(301)의 전후 폭보다 작은 경우에도 제2체결부재(A2)의 지지력에 의해 연결 빔(20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제3체결부재(A3)는, 수평 몸체(330)를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체결부재(A3)의 나사부가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수평 몸체(33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에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제3체결부재(A3)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연결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A2)(A3)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과, 보조 브라켓(400) 및, 체결유닛(B1)(B2)(B3)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각 층을 형성하는 슬라브(20)의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슬라브(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110)과,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120) 및, 다수의 수평 프레임(130)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상하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열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의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사이 간격에는,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3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 및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을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길이 방향 양단이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폭 방향에 제2수직 프레임(12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작업발판(101)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업발판(101)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101)들은 작업자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101)은 다수의 빔을 수평하게 격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킨 후, 작업자가 올라서는 상면을 메쉬 구조로 적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작업발판(10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130)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과 슬라브(20)의 측면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빔(200)은 후술 될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빔(2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빔(2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빔(200)은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 빔(200)의 전면에는 요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210)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요홈(210)의 내부에는, 연결 빔(200)의 하단을 관통한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위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빔(200)의 하단에는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300)은, 건물의 슬라브(20)와 연결 빔(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전면이 슬라브(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연결 빔(200)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안착공간(30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 및, 수평 몸체(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몸체(31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이 슬라브(20)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 몸체(310)에는 후술 될 제1체결부재(B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31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
제2수직 몸체(32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전면과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은 이격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경사부(32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부(321)와 제1경사부(311)는 안착공간(301)의 상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수평 몸체(330)는,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안착공간(3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브(20)의 측면에 본 발명의 케이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 브라켓(300)에 메인 프레임(300)의 연결 빔(20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B2)(B3)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B2)(B3)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조 브라켓(400)은, 연결 브라켓(300)과 슬라브(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이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로 슬라브(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후단이 후술 될 제1체결부재(B1)에 의해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브라켓(400)에는 후술 될 제4체결부재(B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슬라브(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연결 브라켓(3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체결유닛(B1)(B2)(B3)(B4)은, 도 7 내지 12에서처럼 연결 브라켓(300)의 전단을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400)을 슬라브(20)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체결유닛은, 제1체결부재(B1)와, 제2체결부재(B2)과, 제3체결부재(B3) 및, 제4체결부재(A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제1수직 몸체(310)와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을 통해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체결부재(B1)의 나사부가 제1수직 몸체(310)와 보조 브라켓(400)의 체결홀에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B2)는, 제2수직 몸체(320)를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체결부재(B2)의 나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B2)의 전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을 가압 지지한다.
즉, 연결 빔(200)의 전후 촉이 안착공간(301)의 전후 폭보다 작은 경우에도 제2체결부재(B2)의 지지력에 의해 연결 빔(20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제2체결부재(B2)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B2)의 전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제3체결부재(B3)는, 수평 몸체(330)를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체결부재(B3)의 나사부가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수평 몸체(33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에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제3체결부재(B3)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연결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4체결부재(B4)는, 보조 브라켓(400)과 슬라브(20)의 상면을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체결부재(B4)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4체결부재(B4)에 의해 보조 브라켓(400)이 고정되므로, 제1수직 브라켓(310)의 전면을 슬라브(20)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수직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제2수직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14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 프레임(140)은, 상단이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경사 프레임(140)의 하단이 연장부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 프레임(14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연장부에 결합된 하단을 기준으로 상단이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을 지지하므로, 제1수직 프레임(110)과 제2수직 프레임(120)이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10) 또는 슬라브(20)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메인 프레임(100)의 연결 빔(200)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A2)(A3)(B2)(B3)를 이용해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프레임(100)을 설치 위치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체결부재(A2)(A3)(B2)(B3)를 이용해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300)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100)을 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들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 내에 연결 빔(200)이 위치되므로, 비상 상황시 메인 프레임(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400)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0)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30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착공간(301)의 입구 부위에 제1경사부(311) 및 제2경사부(321)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착공간(301)의 입구를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 빔(200)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이 안착공간(301)으로 안내되므로 연결 빔(200)을 설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외벽 20: 슬라브
100: 메인 프레임 101: 작업발판
110: 제1수직 프레임 120: 제2수직 프레임
130: 수평 프레임 140: 경사 프레임
200: 연결 빔 210: 요홈
300: 연결 브라켓 301: 안착공간
310: 제1수직 몸체 311: 제1경사부
320: 제2수직 몸체 321: 제2경사부
330: 수평 몸체 400: 보조 브라켓
A1: 제1체결부재 A2: 제2체결부재
A3: 제3체결부재 B1: 제1체결부재
B2: 제2체결부재 B3: 제3체결부재
B4: 제4체결부재

Claims (15)

  1.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면을 상기 외벽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외벽을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 상기 연결 빔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7. 삭제
  8. 건물의 슬라브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후단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보조 브라켓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브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제1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슬라브를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4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이 더 결합되며,
    상기 경사 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KR1020170094034A 2017-07-25 2017-07-25 건축용 케이지장치 KR10202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ko) 2017-07-25 2017-07-25 건축용 케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ko) 2017-07-25 2017-07-25 건축용 케이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64A KR20190011464A (ko) 2019-02-07
KR102028013B1 true KR102028013B1 (ko) 2019-10-04

Family

ID=6536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ko) 2017-07-25 2017-07-25 건축용 케이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40B1 (ko) * 2020-11-25 2021-08-31 한의원 커튼월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ko) *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1364198B1 (ko)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720A (ko) * 2010-02-17 2011-08-24 송재근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ko) *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1364198B1 (ko)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64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794B1 (ko) 측면 보호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측면 보호대를 구비한 천장 거푸집 시스템 및 이러한 측면 보호대를 세우기 위한 방법
JP6800900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方法
US20170096856A1 (en) Lifeline bracket for ladders, ladders including lifeline brackets and related work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KR102028013B1 (ko) 건축용 케이지장치
US10815729B2 (en) Ladder landing support apparatus
JP3195041U (ja) 枠組足場用の跳出しブラケット、該跳出し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及び枠組足場用のベランダブラケット、該ベランダ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
JP2020176464A (ja) 仮設用衝撃吸収冶具
KR20200112476A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CN110023228A (zh) 用于连接电梯轿厢的两个侧壁元件的轿厢拐角支架
JP6945839B2 (ja) 梯子固定金具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100918194B1 (ko) 건축구조물용 조립식 계단손잡이 시설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101798585B1 (ko) 핸드레일 난간지주
KR102004830B1 (ko) 통신기기용 내진랙
JP5086695B2 (ja) 楔緊結式足場用壁あて受け材及び壁あて材
JP2020182615A (ja) 親綱用仮設支柱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JP2020174909A (ja) 墜落防止構造
EP3006648A1 (en) Guard rail
JP7050376B1 (ja) 支柱補強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仮設足場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