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230B1 -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230B1
KR101585230B1 KR1020140040612A KR20140040612A KR101585230B1 KR 101585230 B1 KR101585230 B1 KR 101585230B1 KR 1020140040612 A KR1020140040612 A KR 1020140040612A KR 20140040612 A KR20140040612 A KR 20140040612A KR 101585230 B1 KR101585230 B1 KR 10158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wall
anchor
vertical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480A (ko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권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권종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102014004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2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된 갱폼에 상단이 연결된 케이지가 강풍을 맞아 흔들리거나 갱폼과 분리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의 하단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지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지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지지대와; 상기 간격 지지대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 외경이 같아서, 상기 간격 지지대를 통과하여 벽체의 앙카에 체결되는 앙카볼트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함께 지지하는 세로 받침대가 구성된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ANCHOR FIXING DEVICE OF CAGE SUBSTRUCTURE}
본 발명은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에 고정된 갱폼에 상단이 연결된 케이지가 강풍을 맞아 흔들리거나 갱폼과 분리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의 하단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갱폼과 케이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9555호(발명의 명칭 : 슬라이드갱폼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의 도 1과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갱폼(5)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갱폼(5)의 하단에 연결되어 갱폼(5)에 의해 상층의 벽체가 형성되는 동안 하층의 마감작업이나 샤시 작업을 위한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케이지(인용발명에서는 작업발판(9)으로 통칭하였음)가 연결된다.
상기 케이지는 케이지의 상단이 갱폼의 하단에 연결되어 갱폼과 함께 상층으로 인양되는 것이며, 갱폼의 하단으로 2층 내지 3층에 걸쳐 외벽의 마감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외벽의 마감작업 시 케이지가 벽체에 밀착되어 있으면 케이지가 밀착된 부분은 마감작업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케이지는 벽체와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의 외측면에는 망이나 직물로 된 가림막이 설치되어 마감시공 중 튀는 파편이나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공중인 건축물의 높이가 올라갈수록 이러한 케이지에 몰아치는 바람의 세기가 더욱 강해지고, 케이지는 갱폼의 하단에만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지와 건축물의 외벽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케이지의 외측면에는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과 케이지 사이로 몰아친 바람이 케이지의 외측면에 설치된 가림막에 반복적으로 부딪칠 경우 갱폼과 케이지가 연결된 부분이 파손되거나 헐거워지면서 분리되어 케이지가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95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갱폼의 고정을 위해 사용된 앙카와 앙카볼트를 그대로 이용하여 케이지의 하부를 벽체에 고정시켜 케이지의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고, 케이지가 바람에 의해 갱폼과 분리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지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지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지지대와; 상기 간격 지지대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 외경이 같아서, 상기 간격 지지대를 통과하여 벽체의 앙카에 체결되는 앙카볼트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함께 지지하는 세로 받침대가 구성된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을 따라 위치를 조정하면서 케이지의 하부를 앙카와 앙카볼트로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지에서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을 하더라도 케이지가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주어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키고, 벽체에 몰아치는 바람에 의해 케이지가 날아가 추락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을 고정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립된 앙카를 다시 이용하여 케이지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지 하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위치가 정해진 미리 매립된 앙카에 맞게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지의 하부를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케이지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2는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3,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과 도 4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지(20)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지(20)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지지대(40)와,
상기 간격 지지대(40)를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에 고정시키는 체결부(50)와,
상기 간격 지지대(40)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과 나란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외경이 같아서, 상기 간격 지지대(40)를 통과하여 벽체의 앙카(30)에 체결되는 앙카볼트(31)를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과 함께 지지하는 새로 받침대(6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간격 지지대(40)는 도 3 내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41)이 구비된 우물 정(井)자형으로 구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통공(41)의 크기를 크게 유지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효과적으로 케이지(20)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도 케이지(20)를 벽체에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앙카볼트(31)의 머리가 통과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통공(41)의 크기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벽체에 매립된 앙카(30)의 앙카구멍과 간격 지지대(40)의 통공(41)이 겹치도록 간격 지지대(40)를 이동시킬 때 간격 지지대(40)의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통공(41)을 통해 앙카구멍을 쉽게 찾을 수 있어서 앙카볼트(31)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간격 지지대(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에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 하고, 간격 지지대(40)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최소화 하도록 벽체 접촉 방향으로 경사부(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50)는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 둘레를 감싸는 'ㄷ'자형의 절곡철(51)과, 상기 절곡철(51)의 개방된 끝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52)가 구성될 수 있어서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세로 프레임(21)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되면서 상기 통공(41) 내에 벽체에 매립된 앙카(30)의 앙카구멍이 포함될 때 상기 고정볼트(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20)의 상단과 연결된 갱폼의 레벨 조절에 의하여 케이지(20)가 상하로 이동 되더라도 이전에 벽체에 매립된 앙카(30)의 고정된 위치에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의 위치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앙카(30) 고정장치가 이와 같이 케이지(20)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량체인 앙카(30) 고정장치가 케이지(2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는 도 6과 도 7로 예시한 바와 같이, 간격 지지대(40)가 케이지(20)와 벽체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50)에 의해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에 연결되고, 이러한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가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간격 지지대(40)의 통공(41)과 앙카(30)의 앙카구멍이 겹치도록 간격 지지대(4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 지지대(40)의 위치가 조정된 후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을 감싸고 있는 체결부(50)의 절곡철(51)이 고정볼트(52)에 의해 조여져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가 케이지(20)에 고정되고, 앙카볼트(31)가 간격 지지대(40)의 통공(41)으로 진입하여 상기 통공(41)과 겹쳐진 앙카구멍을 통해 벽체에 매립된 앙카(30)와 체결되는 동시에 이러한 앙카볼트(31)의 머리가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과 상기 앙카(30) 고정장치의 새로 받침대(60)에 지지되므로 케이지(20)가 직접 앙카(30)와 고정되는 것과 같이 케이지(20)의 하부를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20) 하부의 앙카(30) 고정장치는 케이지(20)와 벽체 사이에 끼워져 케이지(20)를 벽체와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간격 지지대(40)가 구비되고,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과 외경이 같으면서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나란한 새로 받침대(60)와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에 앙카볼트(31)의 머리가 지지되는 상태로 앙카볼트(31)가 앙카(30)와 결합되어 케이지(20) 하부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갱폼 고정을 위해 벽체 내부에 매립된 앙카(30)를 다시 사용하여 벽체와 이격되어 있는 케이지(20)의 하부를 이격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케이지(20) 하부가 앙카(30)에 의해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됨으로 케이지(20)의 흔들림이 차단되고, 몰아치는 강한 바람에도 케이지(20)가 흔들리거나 갱폼과 분리되어 날아가 추락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갱폼을 고정시키고, 벽체 형성이 완료되어 다음층 형성을 위해 상층으로 갱폼이 인양된 이후 사용되지 않는 하층의 앙카(30)를 다시 활용하여 케이지(20)의 하부를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케이지(20) 하부 고정을 위한 추가 구성품을 최소화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케이지(20)의 세로 프레임(21)을 따라 상하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간격 지지대(40) 중앙의 통공(41)이 장공으로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미리 매립되어 위치가 고정된 앙카(3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작업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0:케이지 21:세로 프레임
30:앙카 31:앙카볼트
40:간격 지지대 41:통공
42:경사부 50:체결부
51:절곡철 52:고정볼트
60:세로 받침대

Claims (4)

  1. 케이지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지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케이지에 고정되어 케이지와 함께 인양되는 간격 지지대와,
    상기 간격 지지대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에 이동 및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 외경이 같아서, 상기 간격 지지대를 통과하여 벽체의 앙카에 체결되는 앙카볼트를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과 함께 지지하는 세로 받침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지지대는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우물 정(井)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지지대는 벽체에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 하고, 간격 지지대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최소화 하도록 벽체 접촉 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케이지의 세로 프레임 둘레를 감싸는 'ㄷ'자형의 절곡철과, 상기 절곡철의 개방된 끝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KR1020140040612A 2014-04-04 2014-04-04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KR10158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12A KR101585230B1 (ko) 2014-04-04 2014-04-04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12A KR101585230B1 (ko) 2014-04-04 2014-04-04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80A KR20150115480A (ko) 2015-10-14
KR101585230B1 true KR101585230B1 (ko) 2016-01-13

Family

ID=5435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612A KR101585230B1 (ko) 2014-04-04 2014-04-04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67Y1 (ko) * 2018-04-05 2018-10-18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건축구조물 돌출부 시공용 갱폼 지지대
KR200490054Y1 (ko) * 2018-12-21 2019-09-17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벽체 지지대를 갖는 돌출 시공용 갱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39Y1 (ko) * 2004-11-19 2005-03-11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101364198B1 (ko)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39Y1 (ko) * 2004-11-19 2005-03-11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101364198B1 (ko)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80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230B1 (ko)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JP2019078162A (ja) 防護ネット張設構造
JP2015074956A (ja) 飛散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建物の解体方法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1553609B1 (ko)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KR20120001878U (ko)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JP2009062770A (ja) ブロック塀補強装置
JP2018178599A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JP3205904U (ja) 仮設用チエン係止金物
TW201420847A (zh) 組立件及其安裝構造
KR200449592Y1 (ko)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885546B1 (ko) 갱폼 하부작업대 고정 장치
JP5950241B1 (ja) 防球用ネット、及び該防球用ネットの形成方法
JP2009150083A (ja) テントフレーム
JP6429667B2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277755B1 (ko) 휀스 지주 고정 설치 방법 및 휀스 지주 고정 구조물
JP2014234685A (ja) 仮設建物における布材
JP3218422U (ja) 吊り足場用親綱張設構造
CN107399658A (zh) 一种具有收纳装置的附墙电梯
JP6813883B2 (ja) 受枠の固定構造
JP5962936B1 (ja) ネット用の支柱の立設方法
KR101230421B1 (ko)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