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969B1 - 멀티 데크팩 - Google Patents

멀티 데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969B1
KR101432969B1 KR1020140071932A KR20140071932A KR101432969B1 KR 101432969 B1 KR101432969 B1 KR 101432969B1 KR 1020140071932 A KR1020140071932 A KR 1020140071932A KR 20140071932 A KR20140071932 A KR 20140071932A KR 101432969 B1 KR101432969 B1 KR 10143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ent
fixing
fix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14007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설치용 데크에 텐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팩에 있어서, 강철심의 중앙부분을 벤딩시켜 상기 텐트의 연결고리가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양쪽이 만나는 부분이 하부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하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부 및 고정부를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이면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텐트의 고리를 걸림부에 걸고, 데크의 하측면 또는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고정부를 지지 또는 걸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데크팩{Multi Deck Pack}
본 발명은 멀티 데크팩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용 데크의 틈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캠핑용 데크의 측면에 구비된 고리에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캠핑용 데이지 체인에 결합하여 캠핑도구 및 그 외 물건들을 용이하게 걸어두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멀티 데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고정용 팩은 야외에서의 야영 시 텐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팩은 텐트가 쓰러지거나 날아가지 않도록 다수개가 지면에 깊게 박히고, 상기 텐트의 적소에 연결된 각 로프는 지면에 박힌 상기 팩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팩은 텐트 뿐만 아니라 타프(TARP) 및 플라이 등을 지면에 고정하는데 상용된다.
한편, 텐트를 지면에 설치하기도 하나, 캠핑장에 원목으로 설치한 피크닉테이블 및 텐트용 데크에 설치하기도 한다.
특히,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원목을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되는 텐트용 데크에 지면에 박는 팩은 사용하기 어려워, 원목에 나사방식으로 꽂아 고정할 수 있는 데크팩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데크팩은 적어도 4개 이상을 원목으로 설치된 데크에 꽂아야 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텐트설치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데크팩은 원목으로 설치된 데크에 직접적으로 꽂기 때문에 데크에 손상이 발생하며, 데크의 수명을 단축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데크에 텐트를 설치할 때, 데크팩 외에, 데크의 측에 설치된 고리에 텐트 고리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데, 종래의 데크팩에서는 고리에 걸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그 활용성이 저조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걸림부, 기둥부 및 고정부를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이면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텐트의 고리를 걸림부에 걸고, 데크의 하측면 또는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고정부를 지지 또는 걸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의 기둥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한 쌍의 기둥이 벌어진 상태에서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용 데이지체인에 걸림부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에 랜턴, 컵, 빨래, 냄비 등 다양한 캠핑도구를 걸어두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텐트설치용 데크에 텐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팩에 있어서, 강철심의 중앙부분을 벤딩시켜 상기 텐트의 연결고리가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양쪽이 만나는 부분이 하부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하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기둥부 및 고정부는,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공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부가 개부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기둥이 각각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기둥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과 고정부는, 항복점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기둥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기둥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상기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되, 고정부의 끝단이 고정부의 시작점보다 180°를 초과하여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벤딩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부 및 고정부를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이면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텐트의 고리를 걸림부에 걸고, 데크의 하측면 또는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고정부를 지지 또는 걸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의 기둥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한 쌍의 기둥이 벌어진 상태에서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데이지체인에 걸림부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에 랜턴, 컵, 빨래, 냄비 등 다양한 캠핑도구를 걸어두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기둥부의 기둥사이로 텐트의 고리를 끼워넣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걸림부에 텐트의 고리를 걸리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를 텐트설치용 데크 사이에 넣는 상태는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가 텐트설치용 데크의 하측면에 걸리며 텐트설치용 데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기둥부의 기둥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벌어지게 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이 기둥 하단이 벌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텐트설치용 데크의 틈사이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를 텐트용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지지 또는 걸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걸림부를 캠핑용 데이지체인에 고정시켜 고정부에 캠핑도구를 걸어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은 텐트설치용 데크에 텐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팩이다.
즉, 멀티 데크팩은, 걸림부(2), 기둥부(4) 및 고정부(5)를 포함한다.
걸림부(2)는, 강철심의 중앙부분을 벤딩시켜 텐트의 연결고리가 걸리는 걸림공(1)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2)는, 데크에 설치했을 때, 데크의 상부로 노출된다.
또한, 걸림공(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걸림공(1)의 항복점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걸림공(1)이 절곡되어 각도를 갖는 절곡점이 있다면,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그 절곡점은 부러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걸림공(1)은 절곡점이 없도록 벤딩시켜 만곡으로 이루어진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부(2)의 걸림공(1)은, 항복점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인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4)는, 걸림부(2)의 양쪽이 만나는 부분이 하부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둥(3)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부(4)는, 데크의 틈에 삽입된다.
이때, 기둥부(4)의 길이는 데크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부(4)는,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의 기둥(3)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한다.
즉, 한 쌍의 기둥(3)이 벌어진 상태에서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은,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의 기둥(3)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한 쌍의 기둥(3)이 벌어진 상태에서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데크의 틈 사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걸림부(2)에 텐트의 고리를 걸어 놓은 상태에서 데크에 고정시킬 수 있어 데크팩이 데크의 틈 사이로 빠지지 않고 다른 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 나갈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고정부(5)는, 기둥부(4)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5)는, 데크의 하측면에 걸려 고정된다.
고정부(5)는, 상부가 개부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쌍의 기둥(3)이 각각 외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즉, 고정부(5)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기둥부(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5)는, 걸림공(1)과 마찬가지로 항복점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벤딩시켜 만곡으로 이루어진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5)는, 기둥부(4)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되, 고정부(5)의 끝단(P3)이 고정부(5)의 시작점(P1)보다 180°를 초과하여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벤딩되며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부(5)의 끝단(P3)은, 수평선보다 상측으로 20°더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는, 반원형상의 고정부(5)가 데크의 하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기둥부(4)에서 걸이부(2)방향으로 힘이 잡아당겨지면, 고정부(5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힘이 작용되고, 항복점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5)의 끝단(P3)을 수평선보다 상측으로 20°더 만곡지게 형성시키면, 고정부(5)의 끝단(P3)이 데크의 하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기둥부(4)에서 걸이부(2)방향으로 힘이 잡아당겨질때, 고정부(5)의 끝점(P3)이 고정부(5)의 중심점을 향해 휘어지는 반면, 고정부(5)의 수평점인 180°지점(P2)에서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상술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때보다 더 큰 힘이 작용해야만 항복점이 파손되므로, 더 큰 힘에 버틸 수 있는 견고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고정부(5)는, 끝단(P3)이 고정부(5)의 시작점(P1)보다 180°를 초과하여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벤딩되며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걸림부(2), 기둥부(4) 및 고정부(5)는,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은 부피를 줄이는 동시에, 단가를 최대한 낮출 수 있으며, 금형이 아닌 포밍작업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기둥부의 기둥사이로 텐트의 고리를 끼워넣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걸림부에 텐트의 고리를 걸리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를 텐트설치용 데크 사이에 넣는 상태는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가 텐트설치용 데크의 하측면에 걸리며 텐트설치용 데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기둥부의 기둥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이 기둥 하단이 벌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을 텐트설치용 데크의 틈사이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고정부를 텐트용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지지 또는 걸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의 걸림부를 캠핑용 데이지체인에 고정시켜 고정부에 캠핑도구를 걸어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텐트의 고리를 기둥부(4)를 벌려 한 쌍의 기둥(3) 사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기둥부(4)를 벌리는 과정은 고정부(5)를 양쪽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잡아 당기면 된다.
즉, 도 3과 같이 검지와 중지를 각각의 고정부(5)에 걸어 벌리면 기둥부(4)가 용이하게 벌어져 사용자 누구라도 쉽게 텐트의 고리를 도 4와 같이 걸림부(2)의 걸림공(1)에 걸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5)를 텐트용 데크의 틈 사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여기서, 데크의 틈이 좁아도 강철심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억지로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의 틈이 좁은 상태에서 밀어 넣고 고정부(5)가 데크의 하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고정부(5)는 서로 비틀어지면서 데크의 틈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데크의 틈이 넓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의 기둥(3)이 이격되도록 벌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둥부(4)의 기둥(3)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강철심의 텐션이 있어, 그 벌어진 상태를 유지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의 틈에 멀티 데크팩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텐션에 의해서 데크의 틈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기둥부(4)의 기둥(3)을 벌릴 때, 데크의 틈보다 더 크게 벌어지도록 하여 텐션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2)의 걸림공(1)에 텐트의 고리를 다양하게 걸을 수 있으며, 데크의 측면에 구비된 고리에 고정부(5)를 걸을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캠핑용 데이지체인에 걸림부(2)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5)에 랜턴, 컵, 빨래, 냄비 등 다양한 캠핑도구를 걸어 둘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크팩은, 텐트의 고리를 걸림부(2)에 걸고, 데크의 하측면 또는 데크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에 고정부(5)를 지지 또는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데크의 틈 사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캠핑용 데이지체인과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캠핑도구를 걸어둠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걸림공 2: 걸림부
3: 기둥 4: 기둥부
5: 고정부

Claims (5)

  1. 텐트설치용 데크에 텐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팩에 있어서,
    강철심의 중앙부분을 벤딩시켜 상기 텐트의 연결고리가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양쪽이 만나는 부분이 하부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하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멀티 데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기둥부 및 고정부는, 일정한 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강철심을 포밍(forming)작업으로 형성시켜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부가 개부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기둥이 각각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기둥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과 고정부는, 항복점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기둥이 이격되도록 벌리거나 오무림에 따라 벌어짐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기둥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강철심의 텐션(tension)으로 상기 데크의 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외측으로 벤딩되되, 고정부의 끝단이 고정부의 시작점보다 180°를 초과하여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벤딩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크팩.
KR1020140071932A 2014-06-13 2014-06-13 멀티 데크팩 KR10143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32A KR101432969B1 (ko) 2014-06-13 2014-06-13 멀티 데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32A KR101432969B1 (ko) 2014-06-13 2014-06-13 멀티 데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969B1 true KR101432969B1 (ko) 2014-08-21

Family

ID=5175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932A KR101432969B1 (ko) 2014-06-13 2014-06-13 멀티 데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9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198B1 (ko) 2014-09-23 2016-03-17 이유구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WO2020145475A1 (ko) * 2019-01-09 2020-07-16 김호성 스프링 데크펙
KR200494311Y1 (ko) 2021-07-15 2021-09-10 한경환 데크팩
KR200494353Y1 (ko) * 2021-03-15 2021-09-23 김평중 스프링 데크팩
KR20230036307A (ko) 2021-09-07 2023-03-14 조서영 협간 데크용 데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158A (ja) * 1997-02-13 1998-08-25 Eimu:Kk ペ 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158A (ja) * 1997-02-13 1998-08-25 Eimu:Kk ペ 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198B1 (ko) 2014-09-23 2016-03-17 이유구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WO2020145475A1 (ko) * 2019-01-09 2020-07-16 김호성 스프링 데크펙
KR20200001604U (ko) 2019-01-09 2020-07-17 김호성 스프링 데크펙
KR200492518Y1 (ko) * 2019-01-09 2020-10-29 김호성 스프링 데크펙
KR200494353Y1 (ko) * 2021-03-15 2021-09-23 김평중 스프링 데크팩
KR200494311Y1 (ko) 2021-07-15 2021-09-10 한경환 데크팩
KR20230036307A (ko) 2021-09-07 2023-03-14 조서영 협간 데크용 데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US9532663B2 (en) Holding device
KR100954965B1 (ko) 메쉬휀스 결속구
US20140217345A1 (en) Safety Rail System
KR101386278B1 (ko) 그레이팅 스토퍼
KR200492518Y1 (ko) 스프링 데크펙
KR101603198B1 (ko)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US9339153B1 (en) Wall mounting bath accessory assembly
US200902891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Telecommunication and Power Cables
KR101574463B1 (ko)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KR101516119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US20140137451A1 (en) Pin Hanging System For Track Frames
RU176687U1 (ru) Кляммерная пластина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100988611B1 (ko) 천장 골조용 행거
JP7315399B2 (ja) 鉄塔主柱の金車支持具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20100026852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0791403B1 (ko) 사각 테두리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200450017Y1 (ko)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US20140304968A1 (en) Tree stand tools
JP4091967B1 (ja) 物干し台設置具と物干し台
KR101779063B1 (ko) 거푸집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