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18Y1 - 스프링 데크펙 - Google Patents

스프링 데크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18Y1
KR200492518Y1 KR2020190000132U KR20190000132U KR200492518Y1 KR 200492518 Y1 KR200492518 Y1 KR 200492518Y1 KR 2020190000132 U KR2020190000132 U KR 2020190000132U KR 20190000132 U KR20190000132 U KR 20190000132U KR 200492518 Y1 KR200492518 Y1 KR 200492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elastic support
hooking
gap
p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04U (ko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김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성 filed Critical 김호성
Priority to KR2020190000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18Y1/ko
Priority to JP2019003093U priority patent/JP3223761U/ja
Priority to PCT/KR2019/010913 priority patent/WO2020145475A1/ko
Priority to CN201990000384.3U priority patent/CN213015715U/zh
Publication of KR20200001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 데크펙에 관한 것으로서, 텐트의 로프나 연결고리를 걸 수 있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캠핑용 데크의 틈을 통과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데크의 하부면에 걸리는 후킹부로 이루어져,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데크펙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부와 후킹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걸림고리부에 걸리는 상단에서 상기 후킹부에 걸리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spiral coil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걸림고리부와 데크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지지부 하단의 외경이 데크의 틈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 데크펙{Spring peg for deck}
본 고안은 야외에서 데크에 텐트를 설치할 때 데크에 거는 방식으로 고정시켜 텐트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데크펙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집을 떠나 야외활동을 즐기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족이나 지인들과 함께 야영을 하면서 자연을 즐기는 캠핑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캠핑과 관련된 장비나 시설, 도구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텐트를 설치할 때 폴을 조립하여 세우고 폴과 텐트 시트를 연결시켜 형태를 잡은 다음 로프 등으로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때, 텐트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지면에 다수개의 텐트용 펙(peg)을 깊이 박고 로프를 펙에 묶거나 감아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그러나 최근 야영장이나 오토캠핑장이 늘어나면서 텐트를 설치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데, 지면에 목재 판재를 평상 형태로 설치한 데크(deck)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데크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 데크에 펙을 박으면 데크가 손상되고, 망치로 박기도 매우 힘들다. 그래서 보통은 데크의 각 판재 사이의 틈에 걸릴 수 있는 후크 형상의 데크펙을 사용하여 로프를 연결한다.
도 1은 종래 다양한 데크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a)의 나사펙은 목재 데크에 직접 나사 체결하여 사용하는데, 데크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고정시키는 작업이 힘들고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b)의 경우 데크에 형성된 틈 사이로 삽입한 후 돌려서 걸리도록 고안된 후크 형상의 펙은 데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로프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데크에 느슨하게 걸어 놓은 것에 불과하여 쉽게 빠지거나 밀리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다. 그리고 텐트 해체시 로프를 풀 때 틈 사이로 빠져 분실하는 경우가 많다. 또 상부가 날카롭게 돌출되어 위험성이 높았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어 데크의 두께가 달라지면 헐겁거나 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c)의 경우 상부와 하부가 나사 결합된 구조여서 상부를 회전시켜 상하 간격을 조절하므로 데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는 있으나, 상부를 매번 힘들게 돌려야 하는 불편함과, 상부를 최종적으로 돌릴 때 하부와 수평이 되지 않고 직각이 되면 데크를 잡아주기는 커녕 데크 틈 사이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를 체결,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위해서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다른 데크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 선행특허문헌 중 10-1603198(2016.3.8.)에 공개되어 있다.
상단고정부와 연결고리부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데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구속하므로 데크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단고정부를 가압하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빠르게 데크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설치시 양손으로 상단고정부와 하단지지부를 각각 잡고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이 터무니없이 증가하여 현실적으로 제품화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0058(2014.9.3.) "앵커 펙"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8477(2016.5.25.) "데크 팩"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2969(2014.8.15.) "멀티 데크팩"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03198(2016.3.8.)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데크펙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데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스프링 데크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데크펙은, 텐트의 로프나 연결고리를 걸 수 있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캠핑용 데크의 틈을 통과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데크의 하부면에 걸리는 후킹부로 이루어져,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데크펙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부와 후킹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걸림고리부에 걸리는 상단에서 상기 후킹부에 걸리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spiral coil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걸림고리부와 데크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지지부 하단의 외경이 데크의 틈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리부의 외경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단 내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단 코일 단부를 절곡하고 내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몸체부와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고리부, 몸체부, 후킹부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와이어를 성형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잡하기 않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제조단가가 매우 낮아 생산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다.
둘째, 종래 두 손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조임 작업이 필요했던 반면, 본 고안은 한 손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돌리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셋째,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불필요한 구조를 생략할 수 있고, 어떤 방향에서 어떠한 각도로 힘을 받아도 데크 틈에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정된 텐트 설치가 가능하다.
넷째, 텐트 로프나 연결고리(carabiner)를 분리하더라도 데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실될 위험이 없다.
도 1은 종래 다양한 데크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데크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스프링 데크펙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은 본 고안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스프링 데크펙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걸림고리부(100), 몸체부(200), 후킹부(300), 탄성지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걸림고리부(100), 몸체부(200), 후킹부(300)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걸림고리부(100), 몸체부(200), 후킹부(3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고리부(100)와 후킹부(300)를 상기 몸체부(200)가 연결하는 형상이다.
상기 걸림고리부(100)는 텐트의 로프를 묶거나 연결고리(carabiner)를 걸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고리부(100)는 원형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걸림고리부(100)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바(bar) 또는 빔(beam)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데크(d)의 각 판재 사이에 형성된 틈(g)을 통과하므로 길이는 데크(d)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너비는 데크 틈(g) 간격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또 상기 후킹부(300)는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 형성되는데,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후킹부(300)는 각각 데크의 인접하는 두 판재에 걸리도록 원호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을 이루는 갈고리(hook)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킹부(300)가 갈고리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후킹부(300)의 단부는 뾰족한 첨부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실제 데크(d)의 하부면에 접촉하더라도 박힌 상태가 되어 슬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별도의 논슬립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 상기 걸림고리부(100), 몸체부(200), 후킹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성형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고리부(100), 몸체부(200), 후킹부(300)의 일체화를 위해 용융 주조를 통해 제조할 수도 있고 금속 판재를 펀칭 또는 피어싱 가공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와이어를 굽힘 성형가공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화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밍(forming) 가공에 의해 상기 후킹부(300)를 반원형으로 벤딩하고 중앙을 가공하여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성형가공함으로써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적 기술특징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상기 걸림고리부(100)와 후킹부(300) 사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에 상기 몸체부(200)가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최상단 내경은 상기 걸림고리부(100)의 외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상기 걸림고리부(10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최하단 내경은 상기 후킹부(300)의 외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상기 후킹부(30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탈되지 않게 한다.
동시에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최하단 외경은 데크(d)의 틈(g)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틈(g) 사이에 빠지지 않고 데크(d)에 걸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spiral coil spring)인 것이 좋다.
이러한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면 상단은 상대적으로 좁은 외경(내경)을 가지면서 동시에 하단은 넓은 외경(내경)을 가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를 충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상단이 상기 걸림고리부(100)에 걸리는 동시에 하단이 데크(d)의 틈 간격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데크(d)에 안정적으로 잘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므로 상기 몸체부(200)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하단이 데크 틈으로 빠지거나 이탈하지 않고 데크(d)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또 기존에 별도로 데크(d) 상부를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했지만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은 높이에 따라 탄성계수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는데, 외경이 긴 하단은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단은 상대적으로 탄성계수가 크다.
본 고안의 실제 사용시 설치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탄성지지부(400)를 압축시킨 후 데크(d)에 걸치도록 하거나 상기 탄성지지부(400)를 데크(d) 상부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눌러 상기 탄성지지부(400)를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를 할 수 있는데,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하단이 먼저 압축되기 때문에 압축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지 않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데크(d)가 두꺼워질수록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해 스프링을 더 압축시키면서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탄성계수가 큰 상단이 압축되면서 큰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데크(d)에 더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하단, 다시 말해서,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하고 연장하여 상기 몸체부(200)과 결합되는 고정결합부(500)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상기 걸림고리부(100)와 후킹부(300)에 걸린 상태이지만 상기 몸체부(200)와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하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이것은 데크(d)에 설치할 때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하단의 일단이 데크 틈(g)에 끼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텐트 로프의 기울기가 낮아지면 상기 몸체부(200)는 수직으로 힘을 받는 것이 아니라 측면으로 힘을 받아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2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400)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하단이 데크 틈(g) 사이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상술한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이를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하단 코일 단부를 내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몸체부(200)를 감는 고정결합부(500)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400)와 몸체부(200)를 상호 결합시키면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상기 몸체부(200)를 중심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설치자는 도 5a와 같이, 한 손으로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잡고 상기 후킹부(300)가 데크 틈(g) 사이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하단이 데크(d) 상부면에 올려저 걸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설치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잡은 상태로 하측으로 힘을 가해 상기 탄성지지부(400)를 누르면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압축되고 상기 후킹부(300)는 데크 틈(g)을 관통하여 데크(d) 하부면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설치자는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200)와 후킹부(300)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후킹부(300)가 데크 틈(g)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후에 설치자는 잡고 있던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놓으면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팽창하면서 데크(d)의 상부면을 탄성력에 의해 강하게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킹부(300)의 단부는 데크(d)의 하부면에 단단히 걸리면서 고정된다.
반대로 설치를 해체할 때는 반대 순서로 진행한다.
설치자는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잡고 다시 누르면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압축되고, 상기 후킹부(300)는 데크(d)의 하부면과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시켜 상기 후킹부(300)가 데크 틈(g)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고리부(100)를 잡은 상태로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몸체부(200)와 후킹부(300)는 데크 틈(g)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므로 해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걸림고리부 200 : 몸체부
300 : 후킹부 400 : 탄성지지부
500 : 고정결합부
d : 데크 g : 데크 틈

Claims (4)

  1. 텐트의 로프나 연결고리를 걸 수 있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캠핑용 데크의 틈을 통과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데크의 하부면에 걸리는 후킹부로 이루어져,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데크펙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부와 후킹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걸림고리부에 걸리는 상단에서 상기 후킹부에 걸리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압축코일 스프링(spiral coil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걸림고리부와 데크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고리부의 외경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단 내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 하단의 외경이 데크의 틈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단 코일 단부를 절곡하고 내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몸체부와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데크펙.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부, 몸체부, 후킹부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와이어를 성형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데크펙.
KR2020190000132U 2019-01-09 2019-01-09 스프링 데크펙 KR200492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2U KR200492518Y1 (ko) 2019-01-09 2019-01-09 스프링 데크펙
JP2019003093U JP3223761U (ja) 2019-01-09 2019-08-19 スプリングデッキペグ
PCT/KR2019/010913 WO2020145475A1 (ko) 2019-01-09 2019-08-27 스프링 데크펙
CN201990000384.3U CN213015715U (zh) 2019-01-09 2019-08-27 弹簧甲板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2U KR200492518Y1 (ko) 2019-01-09 2019-01-09 스프링 데크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4U KR20200001604U (ko) 2020-07-17
KR200492518Y1 true KR200492518Y1 (ko) 2020-10-29

Family

ID=6838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32U KR200492518Y1 (ko) 2019-01-09 2019-01-09 스프링 데크펙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3761U (ko)
KR (1) KR200492518Y1 (ko)
CN (1) CN213015715U (ko)
WO (1) WO20201454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11Y1 (ko) 2021-07-15 2021-09-10 한경환 데크팩
KR200494353Y1 (ko) 2021-03-15 2021-09-23 김평중 스프링 데크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92Y1 (ko) * 2020-11-18 2021-03-19 조서영 나무형 데크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69B1 (ko) * 2014-06-13 2014-08-21 김대성 멀티 데크팩
JP2015175107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内外 手摺りの接続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4818B2 (ja) * 2002-03-25 2007-03-22 稔 北川 ロープ係留フック
JP5480712B2 (ja) * 2010-04-30 2014-04-23 未来工業株式会社 デッキプレート用取着体
US20140224956A1 (en) * 2013-02-08 2014-08-14 Flexmedia Partnership, Llc Anchor for vertical uprights
KR101440058B1 (ko) 2013-12-19 2014-09-17 (주)라이프트레이딩 앵커 펙
KR101603198B1 (ko) 2014-09-23 2016-03-17 이유구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KR20160058477A (ko) 2014-11-17 2016-05-25 최진홍 데크 팩
KR200480031Y1 (ko) * 2015-12-07 2016-04-05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 방향 로프 연결 고리용 다중 체결 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107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内外 手摺りの接続具
KR101432969B1 (ko) * 2014-06-13 2014-08-21 김대성 멀티 데크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53Y1 (ko) 2021-03-15 2021-09-23 김평중 스프링 데크팩
KR200494311Y1 (ko) 2021-07-15 2021-09-10 한경환 데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475A1 (ko) 2020-07-16
CN213015715U (zh) 2021-04-20
KR20200001604U (ko) 2020-07-17
JP3223761U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518Y1 (ko) 스프링 데크펙
CN209952109U (zh) 适于将蹦床转换成蹦极蹦床的框架部件和蹦极部件的组件
US9260881B2 (en) Quick camp frame system
US8678615B1 (en) Light strand Christmas tree for flagpole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US20140014795A1 (en) Support systems for holding items
US9743790B2 (en) Illumination assembly for providing a Christmas tree impression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US6523558B1 (en) Pole connector for flexible structure
US20230076016A1 (en) Article and assembly for securing a line to an external surface, such as a fence post
KR101440058B1 (ko) 앵커 펙
JPH07100972B2 (ja) 建造物に付けられる足場フレーム
KR101603198B1 (ko) 캠핑용 반자동 데크팩
KR101411466B1 (ko) 텐트고정용 팩
US20050235580A1 (en) Tiki shelters and kits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US9175836B2 (en) Object retention system
EP2324701A1 (en) Fastening system
US10865938B2 (en) Spacer parts carrying element
US1610801A (en) Tent frame
KR200462432Y1 (ko) 곶감 건조용 조립식 걸이구
JP3204477U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140011007A (ko) 텐트고정용 팩
AU2017203343B2 (en) Anchor peg assembly
KR102321731B1 (ko)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