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17Y1 -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17Y1
KR200450017Y1 KR2020100004651U KR20100004651U KR200450017Y1 KR 200450017 Y1 KR200450017 Y1 KR 200450017Y1 KR 2020100004651 U KR2020100004651 U KR 2020100004651U KR 20100004651 U KR20100004651 U KR 20100004651U KR 200450017 Y1 KR200450017 Y1 KR 200450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mesh tray
wire
support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철호
장애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티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티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티오피
Priority to KR2020100004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는,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와이어부재와, 상기 제1 와이어부재와 교차하여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격자형의 메쉬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쉬트레이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와이어부재 또는 상기 제2 와이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복수 개 형성된 클램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부재와 결합되는 클램프고정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고정부재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클램프부재, 및 상기 클램프고정부재가 함께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쉬트레이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mash-tray}
본 고안은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쉬트레이의 와이어부재를 클램프부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사이 공간에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하는 트레이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트레이는 재질을 철판으로 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철판을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또한 철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견고함을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 트레이를 메쉬형으로 제조한 메쉬트레이가 적용되고 있다.
메쉬트레이는 와이어부재를 격자모향으로 용접한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 배치한 와이어부재와, 세로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 배치한 와이어부재를 서로 용접하여 격자형으로 제조한 트레이를 말한다. 이와 같은 메쉬트레이는 종래 철판 트레이에 비하여 가볍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메쉬트레이를 천장 또는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안한다.
본 고안은 격자형의 메쉬트레이의 와이어부재를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지하여 천장 또는 벽체 등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는,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와이어부재와, 상기 제1 와이어부재와 교차하여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격자형의 메쉬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쉬트레이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와이어부재 또는 상기 제2 와이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복수 개 형성된 클램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부재와 결합되는 클램프고정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고정부재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클램프부재, 및 상기 클램프고정부재가 함께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은, 마주하여 인접되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클램프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쉬트레이를 가로지르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고정부재는 상기 돌출턱에 걸려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고정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재 및 상기 클램프고정부재는 서로 볼트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에 의하면, 클램프부재가 제1,2 와이어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메쉬트레이의 일부를 파지하고, 상기 클램프부재와 결합되는 클램프고정부재를 지지프레임에 지지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메쉬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사시도,
도3 내지 도5는 도1의 요부 발췌도,
도6은 도1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메쉬형의 트레이를 천장 또는 벽체 등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쉬트레이는 건물 내에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제1 와이어부재와 제2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와이어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와어어부재이다. 상기 제2 와이어부재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와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부재와 교차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2 와이어부재는 서로 용접되어 격자형의 메쉬트레이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트레이는 양 측단부가 절곡되어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부재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바닥부에 건물 내에 배선되는 각선 케이블이 안내 및 지지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메쉬트레이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는 지지프레임(10), 클램프부재(20), 클램프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메쉬트레이(100)의 하면을 접촉지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건물 천장 또는 벽체 등에 메쉬트레이(100)를 고정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11)과, 측벽프레임(12)과, 돌출턱(13)을 포함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은 상기 메쉬트레이(100)의 하면을 가로지르고, 상기 측벽프레임(1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턱(13)은 상기 측벽프레임(1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심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턱(13)은 수평연장부(131)와 수직연장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장부(131)는 상기 측벽프레임(1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심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수직연장부(132)는 상기 수평연장부(131)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13)은 상기 수평연장부(131)와 상기 수직연장부(13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부재(20)는, 제1 와이어부재(1) 또는 제2 와이어부재(2)를 파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클램프부재(20)는 연결부(24)와, 삽입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3)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1) 또는 제2 와이어부재(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상기 제1 와이어부재(1) 또는 제2 와이어부재(2)가 삽입되는 삽입홈(21)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23)는 복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삽입부(23)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24)는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와이어부재(1) 또는 제2 와이어부재(2)가 삽입되는 삽입부(23)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24)에는 볼트(40)가 체결되는 제1 관통공(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23)는 마주하여 인접되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1)가 각각 삽입되도록 연결부(24)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나, 제2 와이어부재(2)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3)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1) 및 제2 와이어부재(2)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4)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삽입부(23)를 각각 연장하여 제1,2 와이어부재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부재(20)는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클램프부재(20)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돌출턱(13)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클램프부재(20)에 결합되면, 상기 클램프부재(20), 클램프고정부재(30), 지지프레임(10)은 함께 위치고정된다.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3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33)에는 상기 제1 관통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관통공을 관통하여 볼트(40)가 체결된다. 상기 걸림턱(31)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벽프레임(12), 수평연장부(131), 및 수직연장부(132)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걸림턱(31)은 상기 지지편(33)의 측단부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33)에는 상기 각 걸림턱(31)에 인접한 모서리가 라운드진 라운드부(34)가 구비된다. 상기 라운드부(34)는 지지편(33)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여 각각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메쉬트레이 고정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클램프부재(20)와 클램프고정부재(30)를 볼트(40)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체결한다. 상기 클램프부재(20)와 클램프고정부재(30) 사이에 지지프레임(10)이 위치하므로 상기 볼트(40)는 1차적으로 느슨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을 상기 메쉬트레이(100)의 하면에 배치시킨다.
이어서, 클램프부재(20)에 의해 파지되는 제1 와이어부재(1) 상측으로 볼트(40)에 의해 체결된 클램프부재(20) 및 클램프고정부재(30)를 접근시킨다.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돌출턱(13) 사이로 삽입한다. 이때 클램프고정부재(30)는 지지프레임(10)에 의해 걸리지 않도록 회전시켜 둔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부재(20)의 삽입홈(21)에 제1 와이어부재(1)를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의 걸림턱(41)이 수직연장부(132)와 수평연장부(131)에 끼워지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클램프고정부재(30)의 지지편(33)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부(34)가 구비되므로 지지편(33)을 회전시킬 때 모서리부분이 측벽프레임(12)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볼트(40)를 2차적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클램프부재(20)와 클램프고정부재(30)를 볼팅한다.
그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20)와 클램프고정부재(30) 사이에는 지지프레임(10)의 돌출턱(13)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볼팅에 이해 상기 클램프부재(20), 클램프고정부재(30), 지지프레임(10)이 함께 위치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양단부에 별도의 지지바(미도시)를 이용하여 건물 천장 또는 벽체 등에 고정함으로써 메쉬트레이(100)의 고정을 완료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는, 클램프부재(20)가 메쉬트레이(100)를 구성하는 격자형의 제1 와이어부재(1) 또는 제2 와이어부재(2)를 파지하고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와 볼팅하여 메쉬트레이(100)를 간편하게 고정하게 된다.
메쉬트레이(100)의 와이어부재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클램프부재(20)의 삽입부(23)가 형성되므로 메쉬트레이(100)를 고정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한 상태에서 클램프부재(20)와 클램프고정부재(30)를 간단히 볼팅하여 메쉬트레이(100)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메쉬트레이 고정장치는, 한번에 두 지점 이상의 고정점을 확보하여 작업을 신속하게 하고 메쉬트레이(100)의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한다.
즉, 클램프부재(20)에는 복수의 삽입홈(21)이 형성되고 클램프부재(20)를 서로 이격된 와이어부재에 삽입하는 것으로 복수의 고정점을 확보하게 되며, 서로 이격된 삽입부(23)는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되므로 두 지점 이상의 고정점을 상호 연결하여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와이어부재(1)를 동시에 파지하도록 2개의 삽입부(23)를 형성하였으나, 삽입부(23)의 개수를 변경하면 고정점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11... 베이스프레임
12... 측벽프레임 13... 돌출턱
131... 수평연장부 132... 수직연장부
20... 클램프부재 21... 삽입홈
22... 제1 관통공 23... 삽입부
24... 연결부 30... 클램프고정부재
31... 걸림턱 32... 제2 관통공
33... 지지편 40... 볼트
1... 제1 와이어부재 2... 제2 와이어부재
100... 메쉬트레이

Claims (6)

  1.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와이어부재와, 상기 제1 와이어부재와 교차하여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격자형의 메쉬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쉬트레이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
    마주하여 인접되는 상기 제1 와이어부재(1)가 삽입되도록, 그 양단부 각각에 삽입홈(21)이 형성된 클램프부재(2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부재(20)와 결합되는 클램프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메쉬트레이를 가로지르는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프레임(12)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프레임(12)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턱(13)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상기 돌출턱(13)에 걸려 지고,
    상기 돌출턱(1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31)와, 상기 수평연장부(131)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직사각형의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의 각 단변의 일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프레임(12), 상기 수평연장부(131), 및 상기 수직연장부(132)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걸림턱(31)과, 상기 각 걸림턱(31)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라운드부(34)를 구비하며, 상기 라운드부(34)는 상기 지지편(33)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마련되고,
    상기 클램프부재(20) 및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는 서로 볼트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2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고정부재(30)에는 상기 제1 관통공(22)과 대응하는 제2 관통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00004651U 2010-05-03 2010-05-03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KR200450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51U KR200450017Y1 (ko) 2010-05-03 2010-05-03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51U KR200450017Y1 (ko) 2010-05-03 2010-05-03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017Y1 true KR200450017Y1 (ko) 2010-08-30

Family

ID=4424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651U KR200450017Y1 (ko) 2010-05-03 2010-05-03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210B1 (ko) * 2017-09-05 2018-01-16 주식회사 알엠케이 랜 메쉬 트레이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4898A1 (en) * 2002-12-04 2004-07-29 Legrand S.P.A. System for fastening cable mesh trays on support sections
KR200382916Y1 (ko) * 2005-01-29 2005-04-27 장규철 전압용 방진 스프링
KR100931951B1 (ko) * 2007-11-30 2009-12-15 주식회사 대동금속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4898A1 (en) * 2002-12-04 2004-07-29 Legrand S.P.A. System for fastening cable mesh trays on support sections
KR200382916Y1 (ko) * 2005-01-29 2005-04-27 장규철 전압용 방진 스프링
KR100931951B1 (ko) * 2007-11-30 2009-12-15 주식회사 대동금속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210B1 (ko) * 2017-09-05 2018-01-16 주식회사 알엠케이 랜 메쉬 트레이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663B2 (en) Holding device
JP564766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
US202400070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 Solar Panel with Respect to a Roof-Mounted Installation Rail Prior to Installation
KR20060005849A (ko) 상하체결구조를 갖는 가전제품 및 그 체결방법
KR101325670B1 (ko)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233699B1 (ko)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KR200455273Y1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KR200450017Y1 (ko)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JP5745353B2 (ja) 天板構造
KR101123408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JP3215818U (ja) 改良幅木
KR101234678B1 (ko) 천정재 설치구조
JP5591727B2 (ja) ウッドデッキ
JP5588799B2 (ja) 配線・配管材引出装置及び配線・配管材引出具
KR20120030051A (ko)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2016007183A (ja) シート定着部材
KR20090023019A (ko) 케리어 찬넬 및 케리어 찬넬 행거
JP6116187B2 (ja) 太陽電池架台
KR20140040592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2005312215A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