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08B1 -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408B1
KR101123408B1 KR20100008879A KR20100008879A KR101123408B1 KR 101123408 B1 KR101123408 B1 KR 101123408B1 KR 20100008879 A KR20100008879 A KR 20100008879A KR 20100008879 A KR20100008879 A KR 20100008879A KR 101123408 B1 KR101123408 B1 KR 10112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r
board
cros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316A (ko
Inventor
김무경
Original Assignee
(주)무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진기업 filed Critical (주)무진기업
Priority to KR2010000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4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보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시공 후 보드판이 보다 안정화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판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메인 티바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인 챤넬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여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고, 고정클립이 결합되어 보드판을 구속하게 되므로 보드판은 물론이고 나아가 천정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인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보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시공 후 보드판이 보다 안정화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상가, 공장 및 학교와 같은 건축물의 천정에는 천정으로 지나가는 각종 설비들을 커버하여 미려감을 향상시키고자 천정 시공 장치를 통해서 보드판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천정 시공 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이용한 시공 장치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다른 시공 장치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고 그 시공 방법이 간편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이용한 천정 시공 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46434호에 소개되어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보드판(40)을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1)는 크게 고정 장치(10), 메인 티바(20) 및 크로스 티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장치(10)는 천정에 매설되는 볼트(12), 그리고 상기 볼트(12)에 결합되는 행거(14), 그리고 상기 행거(14)에 설치되는 챤넬(16) 및 상기 챤넬(16)에 결합되는 연결클립(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티바(20)는 상기 챤넬(16) 하측에 상기 연결클립(18)을 매개로 병설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 양측으로 플랜지부(22)가 형성된 T자 형상의 몸체(21), 상기 몸체(21) 상면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21)의 전후측에는 다른 메인 티바(2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28)과 체결편(26)이 각각 형성되고, 몸체(21)에는 크로스 티바(30)를 직교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삽입공(29)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 티바(30)는 상기 메인 티바(20)의 몸체(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면에 플랜지부(32)가 형성된 T자 형상을 가지되 그 전후측에 상기 몸체(21)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편(3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34)이 상기 삽입공(29)으로 삽착되면서 메인 티바(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다수가 직교방향으로 병설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는 보드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1)의 시공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티바(20)를 천정(50)에 설치된 챤넬(16)에 연결클립(18)을 매개로 병설하게 되는데, 메인 티바(20)의 몸체(21)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24)을 연결클립(18)에 콱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티바(20)의 몸체(21)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29)으로 크로스 티바(30)의 삽입편(34)을 삽착시켜 직교방향으로 다수의 크로스 티바(3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메인 티바(20')의 몸체(21)에 형성된 삽입공(29)을 크로스 티바(30)의 삽입편(34)에 결합시켜서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의 결합에 의해 격자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가 형성한 격자틀 상면에서 보드판(40)을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 보드판(40)은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부(22,32)에 안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1)는 그 시공 과정과 시공 후 크게 두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그 첫 번째가 상기 보드판(40) 설치시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를 완전히 결합하여 격자틀 형상을 완성시켜 놓고 보드판(40)을 설치해야 되는 것인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티바(20)의 상면에는 메인 티바(20)를 병설하기 위한 찬넬(16)이 설치되어 있어 보드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격자틀 형상이 상측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보드판(40)은 수직선상에서 하향시켜서 그 격자틀 내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선방향에서 비스듬이 밀어 넣어서 설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찬넬(16)이 격자틀 형상의 가운데 부분을 지나가게 되면 보드판(40)을 사선방향에서 밀어 넣기도 힘들어 보드판(40) 자체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여서 밀어 넣기도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시공 장치(1)는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를 우선 결합하여서 보드판(40)을 설치해야 되므로 보드판(40) 설치 시공이 불편함은 물론이고 시공 시간이 낭비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상기 보드판(40)은 상기 메인 티바(20)와 크로스 티바(3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구조로 그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시공된 후 밑에서 보드판(40)을 위쪽으로 밀게 되면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 창문을 열어 놓게 되면 바람으로 인해 보드판(40)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되며, 나아가 그로 인해 보드판(40)이 낙하될 수 있는 안전상의 큰 문제도 함께 존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구조에 의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시공 후 보드판이 보다 안정화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의 하면에 격자틀 형상으로 설치되어서 보드판을 설치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고정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양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티바; 상기 메인 티바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면에 직교방향으로 안치되어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되 하면 양측에는 보드판을 안치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 티바; 및 상기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에 의해서 상기 메인 티바 상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드판을 구속하는 몸체와, 상기 수직면부재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티바의 걸림턱에 결합되어 무단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과, 상기 수직면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판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메인 티바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인 챤넬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여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고, 고정클립이 결합되어 보드판을 구속하게 되므로 보드판은 물론이고 나아가 천정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인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인 메인 티바 및 크로스 티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가"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사시도이고, "나" 는 a-a선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의 "가"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며, "나" 는 c-c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인 메인 티바 및 크로스 티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사시도이고, "나" 는 저면 사시도이며, "다" 는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보드판(40)을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100)는 크게 고정 장치(10), 메인 티바(110), 크로스 티바(120) 및 고정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0)는 천정에 매설되는 볼트(12), 그리고 상기 볼트(12)에 결합되는 행거(14), 그리고 상기 행거(14)에 설치되는 챤넬(16) 및 상기 챤넬(16)에 결합되는 연결클립(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티바(110)는 상기 챤넬(16) 하측에 상기 연결클립(18)을 매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병설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는 양측으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상면 양측으로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T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티바(110)의 전후측에는 시공 하고자 하는 천정의 길이보다 메인 티바(110)가 짧을 경우 다른 메인 티바(11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18)과 체결편(116)이 추가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티바(110)의 상면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4)은 상기 고정장치(10)의 연결클립(18)과 메인 티바(110)를 결속하기 위한 것이고, 체결공(118)과 체결편(116)은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도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메인 티바(110)는 종래와 달리 크로스 티바(120)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차이점이다.
계속해서, 상기 크로스 티바(120)는 하면 양측으로 플랜지부(122)가 형성된 T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메인 티바(1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12)에 안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메인 티바(1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다수가 직교방향으로 병설되는 것으로, 보드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크로스 티바(120)는 종래와 달리 삽착편이 형성되지 않고 단순히 메인 티바(110)의 플랜지부(112)에 안치되는 것으로 만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클립(130)은 상기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어 두 티바(110,120)를 동시에 결속함과 동시에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에 안치된 보드판(40)을 구속하는 것으로, 도 8의 "가" 및 "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재(132)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134a,134b)에 의해서 상기 메인 티바(110) 상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36)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드판(40)을 구속하는 몸체(131)와, 상기 한 쌍의 수직면부재(134a,134b)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메인 티바(110)의 걸림턱(114)에 결합되어 몸체(131)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138)과, 상기 수직면부재(134a,134b)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120)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39a,139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홈(136)과 삽입홈(139a,139b)은 도 8의 "나" 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그 높이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높이가 서로 상이 즉, 메인 티바(110)의 높이가 크로스 티바(120)보다 높기 때문에 결합홈(136)이 메인 티바(110)의 상면으로 결합되도록 삽입홈(139a,139b) 보다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된 것이다. 만약 동일한 높이로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가 제공된다면 상기 결합/삽입홈(136,139a,139b)의 높이 또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130)은 결합홈(136)이 결합시 살짝 벌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천정 시공 장치(100)는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구성을 종래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한 대신 고정클립(130)을 추가로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이로 인해 그 구성상의 차이도 존재하지만 시공 과정과 시공 후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천정 시공 장치(100)의 시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가"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며, "나" 는 c-c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로 하면, 다수의 메인 티바(110,110',1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50)에 설치된 고정장치(10)인 챤넬(16)에 연결클립(18)을 매개로 병설하게 되는데, 메인 티바(11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114)을 연결클립(18)에 콱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10)인 볼트(12)는 천정(50)에 미리 매설되며, 상기 볼트(12)에 결합되는 행거(14) 및 챤넬(16)은 이후에 설치되는데, 이는 종래에도 이미 제안되어 있으므로 상술은 생략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경우에는 크로스 티바(120)와의 결합 관계 때문에 하나의 메인 티바(110)를 고정장치(10)에 설치한 뒤 크로스 티바(120)를 결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메인 티바(110)를 일전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이 공정 또한 종래와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 티바(110) 사이로 크로스 티바(120)를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넣게 되면, 크로스 티바(120)는 상기 메인 티바(110) 하면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12)에 안치되면서 직교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보드판(40)을 상기 메인 티바(110)의 플랜지부(112)에 안치되도록 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밀어 넣고 다시 다른 크로스 티바(120)를 밀어 넣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크로스 티바(120)는 물론이고 보드판(40)을 측면에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메인 티바(110) 상측으로 고정장치(10)인 챤넬(16)이 지나가도 종래와 달리 설치에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쉽고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물론, 종래와 같이 크로스 티바(120)를 일정한 간격으로 메인 티바(110)에 설치하여 격자틀 형상을 갖춰 놓고 보드판(40)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상측에 챤넬(16)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상기 보드판(40)은 통상적으로 평판 형상과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2)가 형성된 단면상 대략 ㄷ자 형상이 제공되고 있으며, 비록 그 형상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42)가 형성된 보드판(40)을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도시하였고, 평판 형상의 보드판(40')은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도시하였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런 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직교 부분에 고정클립(130)을 결합 설치하여서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를 단단히 결속시킴과 동시에 두 티바(110,120)의 플랜지부(112,122)에 안치된 보드판(4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여서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클립(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수직면부재(134a,134b)에 의해서 형성된 결합홈(136)이 메인 티바(110) 상면에 위치되게끔 하면 수직면부재(134a,134b)에 형성된 삽입홈(139a,139b)은 직교 방향으로 설치된 크로스 티바(120) 상면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클립(130)을 하향시키게 되면 결합홈(136)과 삽입홈은(139a,139b)은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로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도 12의 "가"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36)을 형성하는 수직면부재(134a,134b)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136)이 메인 티바(110)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114)에 걸려 역방향으로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메인 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는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의 "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티바(110) 및 크로스 티바(120) 상측에 안치된 보드판(40)의 돌출부(42)는 고정클립(130)의 수직면부재(134a,134b) 내측에 위치되어 메인 티바(110)와 수직면부재(134a,134b)에 의해 구속되므로 보드판(40)은 안정화되어 바람 등의 영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될 것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로 하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평판 타입의 보드판(40')이 메인 티바(110) 및 크로스 티바(120) 상측에 안치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클립(130)의 수직면부재(134a,134b) 하면이 평판 타입의 보드판(40') 상면을 직접 눌러 구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정 시공 장치(100)는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점을 보다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즉, 보드판(40)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메인 티바(1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10)인 챤넬(16)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고정클립(130)이 결합되어 보드판(40)을 구속하게 되므로 보드판(40), 나아가 천정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인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종래의 천정 시공 장치 10 : 고정장치
12 : 볼트 14 : 행거
16 : 챤넬 18 : 연결클립
20 : 메인 티바 22 : 플랜지부
24 : 걸림턱 26 : 체결편
28 : 체결공 29 : 삽입공
30 : 크로스 티바 32 : 플랜지부
34 : 삽입편 40 : 보드판
50 : 천정 100 : 본 발명의 천정 시공 장치
110 : 메인 티바 112 : 플랜지부
114 : 걸림턱 116 : 체결편
118 : 체결공 120 : 크로스 티바
122 : 플랜지부 130 : 고정클립
132 : 상면부재 134a,134b : 수직면부재
136 : 결합홈 138 : 돌출턱
139a,139b : 삽입홈

Claims (1)

  1.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의 하면에 격자틀 형상으로 설치되어서 보드판을 설치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고정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양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티바;
    상기 메인 티바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면에 직교방향으로 안치되어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되 하면 양측에는 보드판을 안치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 티바; 및
    상기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에 의해서 상기 메인 티바 상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드판을 구속하는 몸체와, 상기 수직면부재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티바의 걸림턱에 결합되어 무단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과, 상기 수직면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20100008879A 2010-01-28 2010-01-28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12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879A KR101123408B1 (ko) 2010-01-28 2010-01-28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879A KR101123408B1 (ko) 2010-01-28 2010-01-28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16A KR20110088316A (ko) 2011-08-03
KR101123408B1 true KR101123408B1 (ko) 2012-03-23

Family

ID=4492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8879A KR101123408B1 (ko) 2010-01-28 2010-01-28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97B1 (ko) * 2019-03-27 2019-11-04 최광림 천장프레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764B1 (ko) * 2013-06-14 2014-08-01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CN103696525B (zh) * 2013-12-10 2016-02-24 杭州飞神工业设计有限公司 功能性集成吊顶
KR101516119B1 (ko) * 2014-04-04 2015-05-04 (주)무진기업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516118B1 (ko) * 2014-04-04 2015-05-04 (주)무진기업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200487053Y1 (ko) 2017-10-13 2018-07-30 윤대호 천정보드 고정용 찬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11U (ja) * 1992-03-16 1993-10-15 森村金属株式会社 バー材の連結具
JPH1061090A (ja) 1996-08-26 1998-03-03 Noujiyuu Seisakusho:Kk 建造物における天井部材の構築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11U (ja) * 1992-03-16 1993-10-15 森村金属株式会社 バー材の連結具
JPH1061090A (ja) 1996-08-26 1998-03-03 Noujiyuu Seisakusho:Kk 建造物における天井部材の構築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97B1 (ko) * 2019-03-27 2019-11-04 최광림 천장프레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16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408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710378B1 (ko)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CA2635776C (en) Insulating concrete form
JP201026125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KR20080026077A (ko) 천장 마감용 클립 및 찬넬 연결구
TW201400679A (zh) 網格龍骨之邊界修整夾子
KR101145086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0763871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KR101234678B1 (ko) 천정재 설치구조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US20020100248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KR101144052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516119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JP6714338B2 (ja) 機能性材保持部材、及び機能性材保持構造
KR20140040592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20090023019A (ko) 케리어 찬넬 및 케리어 찬넬 행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101250507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341868B1 (ko) 공사장 가설 가림막 패널 조립용 고정장치
KR102084704B1 (ko) 천정패널 체결 구조
KR101235253B1 (ko) 캐링 클립
KR101516118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