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71B1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3871B1 KR100763871B1 KR1020070012160A KR20070012160A KR100763871B1 KR 100763871 B1 KR100763871 B1 KR 100763871B1 KR 1020070012160 A KR1020070012160 A KR 1020070012160A KR 20070012160 A KR20070012160 A KR 20070012160A KR 100763871 B1 KR100763871 B1 KR 100763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member
- vertical surface
- hanger
- clip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작업이 아주 간편하고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시공된 상태를 한층 더 안정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의하면, 행거에 안치되는 케링챤넬은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에 형성된 돌출편에 의해 단단히 구속되고, 캐링챤넬에 결합되는 클립 또한 한 쌍의 괘지편에 형성되는 돌출편에 의해서 단단히 결속되므로 흔들림이나 이탈이 발생되지 않아 엠-바를 안치하는 공정이 한결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된 상태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
또한, 행거를 고정하는 너트는 열십자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한결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엠-바, 행거, 클립, 천정판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천정판 시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건축물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링챤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측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9의 "가"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캐링챤 넬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10의 "가" 내지"다"는 캐링챤넬과 클립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C-C선 단면에 의한 결합도.
도 12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D-D선 단면에 의한 결합도.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의 결합을 상세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천정판 시공장치 20 : 행거
22 : 제 1수평면부재 24 : 볼트공
26 : 제 1수직면부재 27 : 제 2수평면부재
28 : 제 2수직면부재 30 : 캐링챤넬
40 : 클립 42 : 몸체
44a,44b : 괘지편 46 : 레일턱
50 : 엠-바 60 : 천정
62 : 볼트 64a,64b : 너트
70 : 천정판 100 : 본 발명의 천정판 시공장치
110 : 행거 112 : 제 1수평면부재
113 : 볼트공 114 : 제 1수직면부재
116 : 제 2수평면부재 117 : 제 2수직면부재
118 : 돌출편 119 : 절곡부
120 : 캐링챤넬 122a,122b : 걸림턱
124a,124b : 걸림턱 126 : 눈금선
130 : 클립 132 : 몸체
134a,134b : 괘지편 136 : 레일턱
138 : 돌출편 139 : 절곡부
140 : 너트 142 : 날개부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작업이 아주 간편하고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시공된 상태를 한층 더 안정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에는 단열 보온재, 전기배선 및 배관 등의 설비가 갖추어지므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천정판 시공장치가 설치되고, 이 시공장치에 엠-바를 설치하고, 이 엠-바에 다시 천정판을 부착함으로써 이들 설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의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종래에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정판 시공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천정판 시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건축물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대한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10)는 크게 행거(20), 캐링챤넬(30) 및 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행거(20)는 볼트공(24)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수평면부재(22)와, 상기 제 1수평면부재(22)에서 일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 1수직면부재(26)와, 상기 제 1수직면부재(26)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수평면부재(27) 및 상기 제 2수평면부재(27)에서 상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는 제 2수직면부재(28)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링챤넬(30)은 사각형 형상의 바 형태를 가지되, 재료를 절감하기 위해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20)의 제 1수직면부재(26)와 제 2수직면부재(28) 사이로 삽입되어져 제 2수평면부재(27)에 안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클립(40)은 판상의 몸체(42) 전 후방에는 엠-바(50)를 안치할 수 있도록 레일턱(46)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괘지편(44a)(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괘지편(44a)(44b) 사이의 공간을 매개로 상기 캐링챤넬(30)에 끼움 결합된다.
이제, 도 2를 참조로 하면, 천정(60)에 매설된 볼트(62)에 행거(20)의 제 1수평면부재(22)에 형성된 볼트공(24)을 삽입한 후 너트(64a)(64b)를 매개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64a)(64b)는 행거(2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공(24)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행거(20)에는 캐링챤넬(30)이 삽착되며, 상기 캐링챤넬(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클립(4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40)의 레일턱(46)에는 엠-바(50)가 안치되며, 상기 엠-바(50)에는 천정판(70)이 부착된다.
한편, 도 3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천정판 건축물의 시공장치(10)에 대한 시공방법을 더욱 상술하겠다.
통상 천정(60)에 매설되어 있는 볼트(62)에 상기와 같이 행거(20), 캐링챤 넬(30) 및 클립(40)을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해 놓고, 엠-바(50)를 클립(40)의 괘지편(44a)(44b) 하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엠-바(50)를 안치하게 되는 클립(40)은 엠-바(50)의 상승에 의해 캐링챤넬(30)에서 상부로 밀리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들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는 클립(40)의 상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엠-바(50)를 안치시켜야 작업이 완료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엠-바(50)는 천정(6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므로 이를 설치 완료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하면, 천정(60)과 천정판(70)이 부착되는 공간이 비교적 좁은 곳을 도시하였다. 즉, 건축물의 천정 구조에 따라 천정(60)과 천정판(70) 사이의 공간이 넓은 곳과 좁은 곳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상기의 좁은 곳에 설치하고자 하면, 천정(60)에 매설된 볼트(62)의 길이는 당연히 짧을 것이고, 볼트(62)에 결합되는 행거(20)도 천정(60)에 최대한 밀접시켜야 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여 지듯이 행거(20)를 볼트(62)에 단단히 결합하는 두 개의 너트(64a)(64b) 중 제 1수평면부재(22)의 하부에 위치되는 너트(64b)는 회동이 용이할 것이다. 반면,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64a)는 천정(60)에 밀접되는 행거(20)의 제 1수평면부재(22)에 의해서 회동시키기가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10)에 의하면, 엠-바(50)의 안치 공 정시 클립(40)의 이탈에 의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로 인해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었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단단히 결속되지 못하므로 시공된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이지 못해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작업이 아주 간편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보다 단단히 결속되므로 시공된 상태를 한층 더 안정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행거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수평면부재와, 상기 제 1수평면부재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수직면부재와, 상기 제 1수직면부재에서 일측으로 절곡되는 제 2수평면부재 및 상기 제 2수평면부재에서 상부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는 제 2수직면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캐링챤넬은 상기 행거의 제 1수직면부재와 제 2수직면부재 사이로 삽착되어 제 2수평면부재에 안치되되, 전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돌출편에 걸릴 수 있도록 대칭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클립의 괘지편 상부에는 상기 캐링챤넬에 결합된 후 전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에 결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행거의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편 대신에 캐링챤넬의 상하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릴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의 괘지편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 대신에 상기 캐링챤넬의 상하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릴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링챤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측면도이며,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100) 는 크게 행거(110), 캐링챤넬(120) 및 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행거(1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볼트공(1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수평면부재(112)와, 상기 제 1수평면부재(112)에서 일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 1수직면부재(114)와, 상기 제 1수직면부재(114)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수평면부재(116) 및 상기 제 2수평면부재(116)에서 상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는 제 2수직면부재(117)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달리 상기 제 2수직면부재(117)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118)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 돌출편(118)은 펀칭에 의해 쉽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도 6참조)
한편,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돌출편(118)은 상기 제 2수직면부재(117)와 대칭되는 곳인 제 1수직면부재(114)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 1,2수직면부재(114)(117)에 동시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캐링챤넬(120)의 전 후면 상하부에는 길이 방향대로 대칭된 걸림턱(122a)(122b)(124a)(124b)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후방에 구비되는 걸림턱(124a)(124b)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절개하여서 형성된 것이고,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2a)(122b)은 전면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캐링챤넬(120)의 전 후면에 각각 대칭된 걸림턱(122a)(122b)(124a)(124b)이 형성되므로 캐링챤넬(120)을 사용함에 있어 뒤집어서도 사용가능토록 구현한 것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또한, 상기 캐링챤넬(120)의 전면에는 눈금선(126)이 표시되어 있다. 이는, 하기에서 후술할 클립(130)을 일정한 간격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즉, 통상 클립(130)은 캐링챤넬(120)에 300㎜ 간격으로 결합되는데, 눈금선(124)을 이에 따라 300㎜ 간격으로 형성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클립(130)의 결합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 100㎜ 간격으로 눈금선(126)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7참조)
다음으로, 상기 클립(130)은 판상의 몸체(132) 및 상기 몸체(132)의 전 후방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되 엠-바(5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양 측에 레일턱(136)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편(138)이 돌출되는 한 쌍의 괘지편(134a)(134b)으로 구성된다. 이 돌출편(138)은 하나에서부터 다수 형성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한편, 상기 괘지편(134a)(134b) 상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편(138)은 펀칭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써, 캐링챤넬(120)에 결합된 후 캐량챤넬(120)의 전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걸림턱(122b)(124b)에 단단히 결속코자 구현한 것이다.(도 8참조)
도 9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캐링챤넬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10의 "가" 내지"다"는 캐링챤넬과 클립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도 9의 "가"를 참조로 하면, 행거(110)의 제 1수직면부재(114)와 제 2수직면부재의(117) 상부에는 캐링챤넬(120)이 위치되어져 있다.
이때, "나"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을 하향시켜 행거(110)의 제 1수직면부재(114)와 제 2수직면부재(117) 사이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수직면부재(117)의 끝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을 억지 끼움하여 제 2수평면부재(116)에 안치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110)의 제 2수직면부재(117)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1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링챤넬(1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2a) 상부를 구속하여 캐링챤넬(120)이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수직면부재(117)와 대칭되는 제 1수직면부재(114)의 하부에 돌출편(118)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제 1,2수직면부재(114)(117)에 돌출편(118)을 같이 형성하게 되면 캐링챤넬(120)의 전후면에 형성된 걸림턱(122a)(122b)(124a)(124b)을 동시에 구속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만약 상기 제 1수직면부재(114)의 하부에 돌출편(118)을 형성하지 않고 상부에 형성한 후 삽입된 캐링챤넬(120)의 상부면을 구속하도록 형성하게 되어도 캐링챤넬(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제 1수직면부재(114)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서 쉽게 벌어지므로 캐링챤넬(120)에 약간의 힘만 가해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그러므로, 캐링챤넬(120)을 단단히 구 속하기 위해서는 벌어짐이 덜한 제 1수직면부재(114) 혹은 제 2수직면부재(117)의 하부에 돌출편(11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 클립(130)과 캐링챤넬(120)의 결속을 설명토록 하겠다.
먼저, 도 10의 "가"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 상부에는 클립(130)이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클립(130)의 전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괘지편(134a)(134b) 사이 공간을 매개로 캐링챤넬(120)에 결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나"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에 결속되고자 하향된 클립(130)의 전후방 괘지편(134a)(134b)은 벌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클립(130)을 억지 끼움하자 캐링챤넬(120)에 결속되며, 결속된 후 한 쌍의 괘지편(134a)(134b)에 형성된 돌출편(138)이 캐링챤넬(120)의 전후면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22b)(124b)에 걸리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번 끼움된 클립(130)은 쉽게 캐링챤넬(120)에서 이탈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클립(130)은 이탈되지 않으면서 캐링챤넬(120)의 길이방향 즉, 좌우 슬라이딩은 가능하므로 간격 조절은 용이할 것이다.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C-C선 단면에 의한 결합도이며, 도 12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D-D선 단면에 의한 결합도이다.
먼저, 도 11의 "가"를 참조로 하면, 행거(110)의 제 2수직면부재(117)에는 전술한 돌출편(118) 대신에 내측으로 ㄷ자 형상의 절곡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절곡부(119)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수직면부재(114)에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아울러, "나"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을 결속함에 있어 절곡부(119)가 캐링챤넬(120)의 전면에 형성된 상하부 걸림턱(122a)(122b) 사이에 안치되어져 캐링챤넬(120)을 더욱 단단히 구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도 12의 "가"를 참조로 하면, 클립(130)의 괘지편(134a)(134b)에는 전술한 돌출편(138) 대신에 대략 ㄷ자 형상의 절곡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나"를 참조로 하면, 캐링챤넬(120)에 결속됨에 있어 괘지편(134a)(134b)에 형성된 절곡부(139)가 캐링챤넬(120)의 전후면에 형성된 상하부 걸림턱(122a)(122b)(124a)(124b) 사이에 걸려 단단히 결속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절곡부(119)(139)를 형성하면 더욱 단단히 결속됨을 알 수 있다.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너트(140)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되, 열십자 형상의 날개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너트(140)의 중앙에는 통상의 너트(64a)(64b)와 마찬가지로 탭이 형성된 볼트공(144)이 형성된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볼트(62)에 결합된 본 발명의 너트(14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날개부(142)를 타격하면 쉽게 회동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천정(60)에 매설된 볼트(62)에 행거(110)의 제 1수평면부재(112)에 형성된 볼트공(113)이 삽입된 후 너트(64a)(64b)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행거(110)에는 캐링챤넬(120)이 삽착되며, 상기 캐링챤넬(1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클립(1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클립(130)은 캐링챤넬(120)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선(126)을 기준으로 결합되므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쉽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130)에는 엠-바(50)가 안치되어 있으며, 상기 엠-바(50)에는 천정판(70)이 부착되어 있다.
도 1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의 결합을 상세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천정(60)에 매설된 볼트(62)에 행거(110)의 제 1수평면부재(112)에 형성된 볼트공(113)을 삽입한 후 너트(64a)(64b)를 매개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64a)(64b)는 행거(11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 도록 볼트공(113)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 행거(110)에는 캐링챤넬(120)이 삽착된다. 이때, 상기 행거(110)의 제 2수직면부재(117)에 형성된 돌출편(118)이 삽착된 캐링챤넬(120)의 하부 걸림턱(122a)을 구속하게 되므로 캐링챤넬(120)에 대한 결속력이 우수할 것이다.
그런 뒤, 상기 캐링챤넬(120)에 클립(130)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결합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캐링챤넬(120) 상부에서 클립(130)을 하강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때에는 클립(130)의 전 후방 괘지편(134a)(134b)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138)이 캐링챤넬(120)의 전후방 상부 걸림턱(122b)(124b)에 각각 결속되므로 클립(130)은 단단히 결속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130)에 엠-바(50)를 안치시키게 되는데, 이 작업시 캐링챤넬(120)은 행거(110)에 클립(130)은 캐링챤넬(120)에 단단히 결속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별도의 액션을 취하지 않고도 한결 쉽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천정(60)과 천정판(70)이 부착되는 공간이 비교적 좁은 곳을 도시하였다. 즉, 건축물의 천정 구조에 따라 천정(60)과 천정판(70) 사이의 공간이 넓은 곳과 좁은 곳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좁은 곳에 설치하고자 하면, 천정(60)에 매설된 볼트(62)의 길이는 당연히 짧게 해야 될 것이고, 볼트(62)에 결합되는 행거(110)는 천정에 최대한 밀접시켜야 될 것이다.
이때, 행거(110)를 볼트(62)에 단단히 결합하는 두 개의 너트(64b)(140) 중 제 1수평면부재(112)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140)의 날개부(142)는 제 1수평면부재(112)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너트(140)를 회동시키고자 좁은 공간으로 손이나 기구를 넣지 않고도 행거(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날개부(142)를 타격하여 쉽게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100)에 의하면, 행거(110)에 안치되는 케링챤넬(120)은 제 1수직면부재(114) 혹은 제 2수직면부재(117)에 형성된 돌출편(118)에 의해 단단히 구속되고, 캐링챤넬(120)에 결합되는 클립(130) 또한 한 쌍의 괘지편(134a)(134b)에 형성되는 돌출편(138)에 의해서 단단히 결속되므로 흔들림이나 이탈이 발생되지 않아 엠-바(50)를 안치하는 공정이 한결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된 상태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
또한, 행거(110)를 고정하는 너트(140)는 열십자 형상의 날개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한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의하면, 행거에 안치되는 케링챤넬은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에 형성된 돌출편에 의해 단단히 구속되고, 캐링챤넬에 결합되는 클립 또한 한 쌍의 괘지편에 형성되는 돌출편에 의해서 단단히 결속되므로 흔들림이나 이탈이 발생되지 않아 엠-바를 안치하는 공정이 한결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된 상태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
또한, 행거를 고정하는 너트는 열십자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한결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 천정에 매설되는 볼트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에 삽착되는 캐링챤넬 및 상기 캐링챤넬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되어져 엠-바를 안치할 수 있도록 전 후방에 한 쌍의 괘지편이 형성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있어서,상기 행거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수평면부재와, 상기 제 1수평면부재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수직면부재와, 상기 제 1수직면부재에서 일측으로 절곡되는 제 2수평면부재 및 상기 제 2수평면부에서 상부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는 제 2수직면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이 형성되고,상기 캐링챤넬은 상기 행거의 제 1수직면부재와 제 2수직면부재 사이로 삽착되어 제 2수평면부재에 안치되되, 전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돌출편에 걸릴 수 있도록 대칭된 걸림턱이 형성되며,상기 클립의 괘지편 상부에는 상기 캐링챤넬에 결합된 후 전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에 결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행거의 제 1수직면부재 혹은 제 2수직면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편 대신에 캐링챤넬의 상하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릴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클립의 괘지편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 대신에 상기 캐링챤넬의 상하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릴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160A KR100763871B1 (ko) | 2007-02-06 | 2007-02-06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160A KR100763871B1 (ko) | 2007-02-06 | 2007-02-06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3871B1 true KR100763871B1 (ko) | 2007-10-05 |
Family
ID=3941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2160A KR100763871B1 (ko) | 2007-02-06 | 2007-02-06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387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325B1 (ko) | 2010-12-15 | 2013-03-18 | 대안스틸 주식회사 | 표시부가 형성된 캐링 찬넬 |
KR101830827B1 (ko) * | 2017-08-05 | 2018-03-29 | (주)유창 | 내진용 천정판 체결구 |
KR20190095738A (ko) * | 2018-02-07 | 2019-08-16 | 주식회사 한성케이 |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20210034402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화영 |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
WO2021131419A1 (ja) * | 2019-12-26 | 2021-07-01 | 吉野石膏株式会社 | クリップと、天井下地及びその施工方法 |
KR20220056393A (ko) | 2020-10-28 | 2022-05-06 | 백영섭 | 고정력이 강화된 천장레일 시공용 클립브라켓 |
RU2789191C1 (ru) * | 2019-12-26 | 2023-01-31 | Йосино Джипсум Ко., Лтд. | Скоба, потолочное осн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4744B1 (ko) * | 1994-06-01 | 1998-04-24 | 김종명 | 조립식 천정시설재 |
KR200207355Y1 (ko) | 2000-07-28 | 2000-12-15 | 주식회사유 창 |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
KR20040110052A (ko) * | 2003-06-19 | 2004-12-29 | 유명환 | 천정 프레임 조립구조 |
KR200423900Y1 (ko) | 2006-05-25 | 2006-08-11 | 박영수 |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
KR20070035288A (ko) * | 2005-09-27 | 2007-03-30 | 주식회사 태한기업 | 천장틀 지지구조 |
-
2007
- 2007-02-06 KR KR1020070012160A patent/KR1007638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4744B1 (ko) * | 1994-06-01 | 1998-04-24 | 김종명 | 조립식 천정시설재 |
KR200207355Y1 (ko) | 2000-07-28 | 2000-12-15 | 주식회사유 창 |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
KR20040110052A (ko) * | 2003-06-19 | 2004-12-29 | 유명환 | 천정 프레임 조립구조 |
KR20070035288A (ko) * | 2005-09-27 | 2007-03-30 | 주식회사 태한기업 | 천장틀 지지구조 |
KR200423900Y1 (ko) | 2006-05-25 | 2006-08-11 | 박영수 |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325B1 (ko) | 2010-12-15 | 2013-03-18 | 대안스틸 주식회사 | 표시부가 형성된 캐링 찬넬 |
KR101830827B1 (ko) * | 2017-08-05 | 2018-03-29 | (주)유창 | 내진용 천정판 체결구 |
KR20190095738A (ko) * | 2018-02-07 | 2019-08-16 | 주식회사 한성케이 |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2173314B1 (ko) | 2018-02-07 | 2020-11-03 | 주식회사 한성케이 | 경량 천장틀용 연결클립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
KR102310529B1 (ko) * | 2019-09-20 | 2021-10-08 | 주식회사 화영 |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
KR20210034402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화영 |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
EP4053354A4 (en) * | 2019-12-26 | 2022-12-14 | Yoshino Gypsum Co., Ltd. | ATTACHMENT, CEILING BASE AND RELATED CONSTRUCTION METHOD |
TWI843920B (zh) * | 2019-12-26 | 2024-06-01 | 日商吉野石膏股份有限公司 | 夾件、天花板底材及其施工方法 |
KR20220063283A (ko) * | 2019-12-26 | 2022-05-17 |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 클립, 천정 바탕재 및 천정 바탕재 시공 방법 |
CN114599844A (zh) * | 2019-12-26 | 2022-06-07 | 吉野石膏株式会社 | 夹紧件、顶棚基底及其施工方法 |
WO2021131419A1 (ja) * | 2019-12-26 | 2021-07-01 | 吉野石膏株式会社 | クリップと、天井下地及びその施工方法 |
US20230012161A1 (en) * | 2019-12-26 | 2023-01-12 | Yoshino Gypsum Co., Ltd. | Clip, ceiling ba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RU2789191C1 (ru) * | 2019-12-26 | 2023-01-31 | Йосино Джипсум Ко., Лтд. | Скоба, потолочное осн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
US12110684B2 (en) | 2019-12-26 | 2024-10-08 | Yoshino Gypsum Co., Ltd. | Clip, ceiling ba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AU2020415580B2 (en) * | 2019-12-26 | 2023-12-21 | Yoshino Gypsum Co., Ltd. | Clip, ceiling ba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JP7478451B2 (ja) | 2019-12-26 | 2024-05-07 | 吉野石膏株式会社 | クリップと、天井下地及びその施工方法 |
CN114599844B (zh) * | 2019-12-26 | 2024-09-03 | 吉野石膏株式会社 | 夹紧件、顶棚基底及其施工方法 |
KR102701688B1 (ko) * | 2019-12-26 | 2024-08-30 |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 클립, 천정 바탕재 및 천정 바탕재 시공 방법 |
KR20220056393A (ko) | 2020-10-28 | 2022-05-06 | 백영섭 | 고정력이 강화된 천장레일 시공용 클립브라켓 |
RU220668U1 (ru) * | 2023-07-14 | 2023-09-28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хпродиз Решения" | Крепежный профил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3871B1 (ko)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
CA2507828A1 (en) | Accessible ceiling grid system | |
RU2011103968A (ru) | Сейсм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т-образной детали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шва решетча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 |
CN210151999U (zh) | 一种装配式建筑结构 | |
KR101123408B1 (ko) |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 |
KR101234678B1 (ko) | 천정재 설치구조 | |
KR20090003854U (ko) | 천장 구조 | |
KR101845356B1 (ko)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
KR101516119B1 (ko) |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 |
JP6558080B2 (ja) |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支柱固定装置 | |
KR100741312B1 (ko) | 천정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 |
KR101145086B1 (ko) |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 |
JP2008215007A (ja) | システム天井用ctクリップ | |
KR102052642B1 (ko) | 풍하중 저항형 마감장치 | |
KR20140005485U (ko) | 천정판 고정구조 | |
KR200441206Y1 (ko) | 천정패널 고정용 티이바 결합구조 | |
JP2008008112A (ja) | 間仕切壁 | |
KR200376890Y1 (ko) | 천장 시공용 캐링 채널과 메인 티바의 체결 장치 | |
KR20110081003A (ko) |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 |
KR100538280B1 (ko) |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 |
JP6497219B2 (ja) |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 |
KR102558380B1 (ko) | 건축용 마감판의 고정클립 | |
KR200332955Y1 (ko) |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연결구 | |
KR200376891Y1 (ko) | 천장 시공용 캐링 채널과 메인 티바의 체결 장치 | |
KR102595348B1 (ko) | 패널 고정브라켓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