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592A -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592A
KR20140040592A KR1020120107808A KR20120107808A KR20140040592A KR 20140040592 A KR20140040592 A KR 20140040592A KR 1020120107808 A KR1020120107808 A KR 1020120107808A KR 20120107808 A KR20120107808 A KR 20120107808A KR 20140040592 A KR20140040592 A KR 2014004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reep
clip
fastening clip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경
Original Assignee
(주)무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진기업 filed Critical (주)무진기업
Priority to KR102012010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592A/ko
Publication of KR2014004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립바를 이용하여 천장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설치 후 외풍에 의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됨과 동시에 시공 후 유지보수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비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 하면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레일부가 가지는 각 레일턱에 안치되도록 크립바를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각 레일턱이 상기 크립바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므로 설치 후 외풍에 의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 됨과 동시에 시공 후 유지보수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A clip bar system}
본 발명은 크립바를 이용하여 천장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설치 후 외풍에 의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됨과 동시에 시공 후 유지보수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비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판은 건물 내장재의 한 종류로 천장을 따라 설치된 각종 설비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천장을 치장하고 마감하는 마감재이다. 이러한 천장판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사각 평판 타입과 사각 평판에서 가장자리 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되어서 단면상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타입으로 구분되어 시공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엠바 시스템에 의해서 시공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크립바 시스템에 의해서 시공되고 있다.
두 시스템 모두 천장판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나, 천장판의 형상에 따라 그 구조가 차이가 나며, 근래에 들어서는 미관이 좋고 습기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크립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후자의 크립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02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크립바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로 하여 종래의 크립바 시스템(1)을 살펴보면 천장(10)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봉(B), 상기 볼트봉(B)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20), 상기 행거(20)에 장착되는 수평바(30), 상기 수평바(30)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크립바(40) 및 상기 크립바(40)를 수평바(3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평바(30)의 상면에서 양 단이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바(30) 하면에 구비된 크립바(40)의 양단부를 장착하는 와이어클립(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크립바(40)로 천장판(60)을 삽입시킴으로써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크립바(40)는 양 단부에 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클립(50)이 장착하게 되고, 하면에 한 쌍의 탄성 가압편(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로 상기 천장판(60)을 삽입시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크립바(40)는 와이어클립(50)에 의지된 채 천장판(60)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강풍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지진 등으로 인해 건물이 흔들리게 되면 시스템 전체가 흔들리게 되면서 와이어클립(50)으로부터 크립바(40)가 이탈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시공 후에도 유지보수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공 과정에서도 와이어클립(50)은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한층의 천장에만 해도 적게는 수십 개에서 수백 개가 사용되는데 설치 작업이 쉽지 않고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의 경우에는 더욱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설치 후 외풍에 의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 됨과 동시에 시공 후 유지보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비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볼트봉에 결합되는 행거; 상기 행거에 안치되는 금속 소재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서 하향 결합되도록 하부 및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부재의 하면에는 레일턱을 가지는 대칭된 한 쌍의 레일부가 각각 형성되는 체결클립; 및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부가 가지는 레일턱에 안치되도록 양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대칭된 한 쌍의 탄성 가압편이 구비된 크립바;를 포함하여 상기 크립바의 탄성 가압편 사이에 천장판이 삽입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의 하면에는 수평바의 하면에 걸려 결합 후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에는 행거에 간섭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절개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 하면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레일부가 가지는 각 레일턱에 안치되도록 크립바를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각 레일턱이 상기 크립바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므로 설치 후 외풍에 의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 됨과 동시에 시공 후 유지보수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크립바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체결클립과 수평바의 결합 관계를 보인 a-a선 단면도이고, "다"는 체결크립과 크립바의 결합 과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100)은 크게 행거(20), 수평바(30), 체결클립(200) 및 크립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행거(20)는 천장(1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고정 설치되는 볼트봉(B)에 미부호 설명인 너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볼트봉(B)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된 제1수평면부재(22), 상기 제1수평면부재(22)로부터 하향 절곡된 제1수직면부재(24), 상기 제1수직면부재(2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제2수평면부재(26) 및 상기 제2수평면부재(26)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24)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바(30)는 일명 캐링챤넬이라고도 하며,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되며, 상기 행거(20) 즉, 행거의 제1,2수직면부재(24,28) 사이로 삽입되어 천장(10)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클립(200)은 상기 수평바(30)의 상부에서 하향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재 보다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체결클립(200)은 상기 수평바(30)에 대략 600mm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의 상세한 구성 및 결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체결클립(20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통상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수평바(3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때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금속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은 명백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크립바(40)는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는 플랜지부(42)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플랜지부(42)의 내측에서 끝단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향 절곡하여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가압편(44)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바(30)와는 격자 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체결클립(200)에 설치된다. 상기 체결클립(200)에 설치된 크립바(40)의 탄성 가압편(44) 사이로 천장판(60)이어 있어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천장판(60) 또한 이미 공지된 것으로, 사각판 형상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그 형상을 따라 상기 탄성 가압편(44) 사이로 삽입될 삽입부(62)가 상향형성된 것으로, 삽입시 삽입부(62)가 가압편(44)과 부딪히지 않도록 모서리 부분은 절개된 형상이다.
결국, 상기 행거(20), 수평바(30) 및 크립바(40)는 종래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하였고, 동시에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와이어클립 대신에 체결클립(200)을 사용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함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클립(200)의 상세한 구성 및 결합관계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체결클립과 수평바의 결합 관계를 보인 a-a선 단면도이고, "다"는 체결크립과 크립바의 결합 과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체결클립(200)은 수평바(30)의 상부에서 하향 결합되도록 하부 및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양측면부재의 하면에는 레일턱(212)을 가지는 대칭된 한 쌍의 레일부(210a,210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부재의 하측 내면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부(2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체결클립(200)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개방구를 이용해 수평바(30)의 상부에서 하향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상면에 안치됨으로써 결합되는데, 특히 양측면부재의 하측 내면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수평바(30)와 결합 후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수평바(30)의 하면에 걸리게 되므로 결합된 역방향으로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30)에 결합된 체결클립(200)의 레일부(210a,210b)에 형성된 레일턱(212)으로 크립바(40)가 결합된다. 즉, 크립바(4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2)를 매개로 상기 레일턱(212)을 따라 서랍식으로 밀어 넣어서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크립바(40)의 일측 플랜지부(42)를 양측면부재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레일부(210a,210b)가 가지는 레일턱(214) 중 먼저 일측에 형성된 레일턱(212)에 안치되도록 한 뒤 타측을 밀어 올려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클립(20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탄성력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타측 플랜지부(42)가 상승될 때 약간 벌어지게 될 것이므로 숙련자는 물론이고 초보자도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 체결클립(200)의 양측면부재 하면에 형성된 대칭된 레일턱(212)으로 크립바(4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2)가 삽입되어 지지되면 크립바(40)와 체결클립(200)은 강풍이나 지진이 발생되어도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대각선 방향에서만 크립바(40)를 체결하는 종래의 와이어클립과 달리 양측면부재의 하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 4개의 레일턱(212)이 동시에 크립바(40)를 안치하게 되므로 그 결속력이 우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시공 후 강풍이 유입되더라도 유지보수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클립(200)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수평바(30)에 대략 600mm 간격으로 결합되는데, 이 간격대로 설치하다 보면 수평바(30)를 체결하는 행거(20)에 간섭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행거(20)에 간섭받지 않도록 최초 행거(20)를 설치할 때 간격을 충분히 계산하여 설치하게 되나 현장 상황에 따라 그렇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체결클립(200)이 행거(20)에 간섭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200')은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양측면부재에 각각 하측으로 개방된 절개공(230)을 형성하게 된다. 즉,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0)를 구성하는 제1,2 수직면부재(24,28)가 상기 절개공(23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 행거(20)에 간섭받지 않고 필요한 간격으로 체결클립(20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종래의 크립바 시스템 10 : 천장
20 : 행거 B : 볼트봉
30 : 수평바 40 : 크립바
50 : 와이어클립 60 : 천장판
100 : 본 발명의 크립바 시스템 200 : 체결클립
210a,210b : 레일부 212 : 레일턱
220 : 돌출부 230 : 절개공

Claims (3)

  1. 천장에 설치되는 볼트봉에 결합되는 행거;
    상기 행거에 안치되는 금속 소재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서 하향 결합되도록 하부 및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부재의 하면에는 레일턱을 가지는 대칭된 한 쌍의 레일부가 각각 형성되는 체결클립; 및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부가 가지는 레일턱에 안치되도록 양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대칭된 한 쌍의 탄성 가압편이 구비된 크립바;
    를 포함하여 상기 크립바의 탄성 가압편 사이에 천장판이 삽입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의 하면에는 수평바의 하면에 걸려 결합 후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의 양측면부재에는 행거에 간섭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절개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20120107808A 2012-09-26 2012-09-26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20140040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8A KR20140040592A (ko) 2012-09-26 2012-09-26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8A KR20140040592A (ko) 2012-09-26 2012-09-26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92A true KR20140040592A (ko) 2014-04-03

Family

ID=5065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08A KR20140040592A (ko) 2012-09-26 2012-09-26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5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0884A (zh) * 2015-08-12 2015-11-11 浙江巨森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吸顶式龙骨安装结构
KR102087538B1 (ko) * 2019-02-18 2020-03-11 (주)무진기업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2093576B1 (ko) * 2019-03-27 2020-03-25 (주)무진기업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0884A (zh) * 2015-08-12 2015-11-11 浙江巨森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吸顶式龙骨安装结构
KR102087538B1 (ko) * 2019-02-18 2020-03-11 (주)무진기업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2093576B1 (ko) * 2019-03-27 2020-03-25 (주)무진기업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4625C2 (ru)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KR101569481B1 (ko)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KR101947674B1 (ko) 투피스 모듈식 요크
US10094105B2 (en) Panel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use with the same
RU2010112691A (ru) Ударопрочный подвесной потолок и его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US20140352249A1 (en) Seismic Separation Clip for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s
CA2869354C (en) Suspended ceiling grid clip for securing an unopposed cross tee to a main runner
KR20140040592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KR101123408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US9062455B2 (en) Horizontal blocking member for use in a wall stud system
US20020100248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RU89552U1 (ru) Кляммер и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его крепления
KR101516119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70089292A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KR20210006265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CA2811362C (en) Horizontal blocking member for use in a wall stud system
KR102107153B1 (ko) 천장 마감재 체결을 위한 프레임 구조
KR101363310B1 (ko) 천장 마감재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