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11Y1 -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11Y1
KR200465511Y1 KR2020100008945U KR20100008945U KR200465511Y1 KR 200465511 Y1 KR200465511 Y1 KR 200465511Y1 KR 2020100008945 U KR2020100008945 U KR 2020100008945U KR 20100008945 U KR20100008945 U KR 20100008945U KR 200465511 Y1 KR200465511 Y1 KR 200465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outer clip
fixtur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80U (ko
Inventor
장성만
장성훈
Original Assignee
김명수
현대금속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현대금속산업(주)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100008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판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는, 몸체 상단 및 중단에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몸체 하부에 몸체와 일체로 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되, 몸체와 걸림편의 사이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편의 상부 양측 모서리는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고정구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쐐기부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편이 두 지지판부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부의 하부 양측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클립부의 내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두 개의 내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외부클립부 선단과 맞닿아 있으며, 두 개의 내부클립부를 연결하는 마감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 선단과 외부클립부 선단은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장연결구와; 둘레에 상향 돌출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가 상기 외부클립부와 내부클립부 사이에 삽입되고, 보강걸림부가 외부클립부 내벽면에 걸려 천장연결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천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천장판을 천장연결구에 아래에서 위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마감부를 통해 인접한 천장판이 서로 맞닿지 않게 하여 열에 의한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천장판이 휘어지지 않게 되고, 특히, 천장연결구를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면서, 비교적 탄성이 낮은 알루미늄을 천장고정구와 연결되는 고정구연결부재로 구성하고, 비교적 탄성이 높은 철재를 천장판과 연결되는 천장판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천장판 고정을 위한 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가 용이해지며, 더 나아가,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볼트나 너트, 접착제 없이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설치 시공은 물론 제조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Installing structure of ceiling panel}
본 고안은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판넬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하고, 설치 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한 천장 판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건축 자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많은 종류의 건축 자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자재 중 천장에 시공되는 천장 판넬은 긴 판체의 양단을 프레임로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된 천장 판넬은 그 중단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으로 서로 다른 천장 판넬과 연결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 중단을 연결핀으로 연결하여 시공된 천장 판넬 중 손상된 어느 하나의 천장 판넬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연결핀을 제거한 후 손상된 천장 판넬을 제고하고 새로운 천장 판넬을 설치하여야 하나 한번 고정된 연결핀은 천장의 내부에 숨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가 어려워 어느 하나의 천장 판넬만을 분리할 수 없었다.
또, 하나 이상의 천장 판넬을 분리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천장 판넬을 설치할 경우 그 중단을 기 설치된 다른 천장 판넬과 연결시킬 수 없어 중단이 아래로 쳐져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49904호)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천장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면서 걸림편이 구비된 천장 고정구를 준비하고, 천장판의 네 변 중 두 개의 변을 굽혀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지지날개와 걸림날개를 형성하며, 상부 일측은 걸림편이 삽입되어 천장고정구에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양측에 천장판의 지지날개와 걸림날개가 끼워지도록 상향 돌출된 지지판부를 형성한 중단연결구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중단연결구의 지지판부가 천장판의 지지날개 및 걸림날개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비교적 조립 및 분리가 쉬운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장판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 지지판부가 상향으로 되어 있어 천장판을 분리할 때 걸려 있는 걸림날개 및 지지날개를 지지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물의 내장용 마감판"(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57687호)에는 도 4에 천장판을 상향 절곡된 단순한 형태로 형성하고, 클립 형태로 형성된 고정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천장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기술은 서로 인접한 천장판이 맞대어지게 되는 바, 이 경우 열에 의한 수축 팽창 과정에서 서로 인접한 천장판이 서로 밀어내어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 10-749904 (2007. 08. 09) [특허문헌 2] KR 10-757687 (2007. 09. 05)
본 고안의 천장판 설치 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천장판을 천장연결구에 아래에서 위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마감부를 통해 인접한 천장판이 서로 맞닿지 않게 하여 열에 의한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천장판이 휘어지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천장연결구를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면서, 비교적 탄성이 낮은 알루미늄을 천장고정구와 연결되는 고정구연결부재로 구성하고, 비교적 탄성이 높은 철재를 천장판과 연결되는 천장판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천장판 고정을 위한 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가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볼트나 너트, 접착제 없이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설치 시공은 물론 제조가 용이케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 상단 및 중단에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몸체 하부에 몸체와 일체로 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되, 몸체와 걸림편의 사이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편의 상부 양측 모서리는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고정구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쐐기부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편이 두 지지판부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부의 하부 양측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클립부의 내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두 개의 내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외부클립부 선단과 맞닿아 있으며, 두 개의 내부클립부를 연결하는 마감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 선단과 외부클립부 선단은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장연결구와; 둘레에 상향 돌출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가 상기 외부클립부와 내부클립부 사이에 삽입되고, 보강걸림부가 외부클립부 내벽면에 걸려 천장연결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천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천장연결구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쐐기부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편이 두 지지판부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 하부에 수직하게 브릿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릿지부의 하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마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부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내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의 선단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외부클립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되, 외부클립지지부는 플레이트부의 저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구연결부재와; 상기 브릿지부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브릿지밀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브릿지밀착부의 하부 선단에 마감부밀착부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감부와 맞대어지며, 브릿지밀착부의 상부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외부클립수평부가 형성되어 외부클립지지부와 플레이트부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외부클립수평부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재 재질로 이루어진 천장판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천장연결구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쐐기부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의 걸림편이 두 지지판부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부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경사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의 하부에 맞대어져 수평하게 마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부의 양측 선단에 중앙 측을 향해 상향 경사져 하부경사부와 밀착되도록 내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과 밀착한 채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클립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클립연결부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판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천장판을 천장연결구에 아래에서 위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마감부를 통해 인접한 천장판이 서로 맞닿지 않게 하여 열에 의한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천장판이 휘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천장연결구를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면서, 비교적 탄성이 낮은 알루미늄을 천장고정구와 연결되는 고정구연결부재로 구성하고, 비교적 탄성이 높은 철재를 천장판과 연결되는 천장판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천장판 고정을 위한 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가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볼트나 너트, 접착제 없이 고정구연결부재와 천장판연결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설치 시공은 물론 제조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를 나타낸 타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천장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천장연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천장 판넬 설치 구조는 크게, 천장고정구(10), 천장연결구(20), 천장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장고정구(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 상단 및 중단에는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장고정구(10)의 몸체 하부에는 몸체와 일체로 된 걸림편(11)이 형성되어 있는데, 몸체와 걸림편(11)의 사이에는 양측에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걸림편(11)의 상부 양측 모서리는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걸림쐐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천장연결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가 중앙에 위치하며, 이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22)의 상단에는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는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은 천장연결구(20)의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지되 천장연결구(20)의 걸림쐐기부(22b)에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가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천장연결구(20)의 플레이트부(21) 하부 양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21)의 하부에서 외부클립부(23)의 내측 부분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두 개의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두 개의 내부클립부(24)는 그 선단 부분이 외부클립부(23) 선단과 맞닿아 있으며, 내부클립부(24)와 외부클립부(23)는 내측으로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두 내부클립부(24)의 선단은 마감부(24a)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장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상향 돌출된 측벽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벽부(31)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보강걸림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측벽부(31)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1b)이 형성되어 있어 측벽부(31)의 선단이 맞닿게 구성되어 있다.
이 측벽부(31)는 상기 외부클립과 내부클립 사이에 삽입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걸림부(31a)가 외부클립부(23) 내벽면에 걸려 천장연결구(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천장고정구(10)에 천장연결구(20)를 연결하고, 이 천장연결구(20)에는 마치 집게와 같은 형상의 내부클립부(24)와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어 이 사이로 천장판(30)의 측벽부(31)가 삽입되어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천장판(30)을 분리할 때에도 천장판(30)을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구체적으로, 외부클립부(23)와 내부클립부(24) 선단이 벌어지면서 보강걸림부(31a)가 외부클립부(23) 선단을 통과할 정도의 힘 정도를 가해 천장판(30)을 아래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천장판(3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연결구(20)의 단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출 성형의 경우는 성형이 가능한 반면, 판상의 부재를 절곡하는 방식으로는 성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철재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는 제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의 경우 사출 성형은 용이하나 이 경우 외부클립과 내부클립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천장연결구(20)를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 구성하는 대신 두 개의 부품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두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연결구(20)를 고정구연결부재(20a)와 천장판연결부재(20b)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고정구연결부재(20a)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사출 성형되어 있으며, 천장판연결부재(20b)는 철재 판을 절곡 가공하여 구성된다.
고정구연결부재(2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22)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이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부(21)의 중앙 하부에 수직하게 브릿지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릿지부(25)의 하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마감부(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부(24a)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24)의 선단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외부클립지지부(24b)가 형성되어 있되, 외부클립지지부(24b)는 플레이트부(21)의 저면과 이격되어 있다.
천장판연결부재(20b)는 상기 브릿지부(25)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브릿지밀착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브릿지밀착부(23c)의 하부 선단에 마감부밀착부(23d)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감부(24a)와 맞대어지며, 브릿지밀착부(23c)의 상부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외부클립수평부(23b)가 형성되어 외부클립지지부(24b)와 플레이트부(21)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외부클립수평부(23b)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연결부재(20b)의 마감부밀착부(23d), 브릿지밀착부(23c) 순으로 끼워 삽입되며, 삽입된 천장판연결부재(20b)의 외부클립수평부(23b)가 플레이트부(21)와 외부클립지지부(24b)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면서 내부클립부(24) 선단과 외부클립부(23) 선단이 서로 마주보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볼트나 너트 없이 천장판연결부재(20b)를 고정구연결부재(20a)에 연결할 수 있으며, 탄성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고정구연결부재(20a)에 두 개의 천장판연결부재(20b)가 한 쌍을 이루어 천장연결구(20)를 이루게 된다.
이보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구연결부재(20a)와 하나의 천장판연결부재(20b)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구연결부재(20a)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22)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이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플레이트부(21)의 중앙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부경사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경사부(27)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마감 처리시 천장판(30) 저변과 하부연결부(28) 마감면이 일직선상을 이루기 위하여, 하부경사부(27)의 하부를 일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천장판연결부재(20b)는 상기 하부연결부(28)의 하부에 맞대어져 수평하게 마감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부(24a)의 양측 선단에 중앙 측을 향해 상향 경사져 하부경사부(27)와 밀착되도록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부(21)의 저면과 밀착한 채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클립연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클립연결부(26)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천장판연결부재(20b)가 상하로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하고, 고정구연결부재(20a)의 하부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하부경사부(27)를 형성하여 이 하부경사부(27)가 두 개의 내부클립부(24)와 하부연결부(28)에 의해 둘러쌓여 고정되므로 천장판연결부재(20b)와 고정구연결부재(20a)가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연결되면서 내부클립부(24)와 외부클립부(23)가 탄성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통 천장판(30)에는 흡음을 위한 흡음홀(32)이 형성되는데, 이 흡음홀(32)은 상향 절곡되어 돌출되게 되고, 이 위에 안착되는 흡음재(33)와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처럼 흡음 효과를 위해 천장판(30) 상부에 설치된 흡음재(33)에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붙여 천장판(30)과 고정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3a) 선단에 하향 뾰족하게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가이드부(23a)선단으로부터 테이퍼부 끝단까지의 길이는 천장판(30) 상부에 적재되는 흡음재(33)에 삽입될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 수단 없이 흡음재(33)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 천장고정구 11 : 걸림편
12 : 걸림쐐기부 13 : 걸림홈
20 : 천장연결구 20a : 고정구연결부재
20b : 천장판연결부재 21 : 플레이트부
22 : 지지판부 22a : 경사부
22b : 걸림쐐기부 23 : 외부클립부
23a : 가이드부 23b : 외부클립수평부
23c : 브릿지밀착부 23d : 마감부밀착부
24 : 내부클립부 24a : 마감부
24b : 외부클립지지부 25 : 브릿지부
26 : 클립연결부 27 : 하부경사부
28 : 하부연결부 30 : 천장판
31 : 측벽부 31a : 보강걸림부
31b : 걸림턱 32 : 흡음홀
33 : 흡음재

Claims (3)

  1.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몸체 상단 및 중단에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몸체 하부에 몸체와 일체로 된 걸림편(11)이 형성되어 있되, 몸체와 걸림편(11)의 사이 양측에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편(11)의 상부 양측 모서리는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걸림쐐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고정구(10)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22)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이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부(21)의 하부 양측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클립부(23)의 내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두 개의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외부클립부(23) 선단과 맞닿아 있으며, 두 개의 내부클립부(24)를 연결하는 마감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24) 선단과 외부클립부(23) 선단은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장연결구(20)와;
    둘레에 상향 돌출된 측벽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3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걸림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31)가 상기 외부클립부(23)와 내부클립부(24) 사이에 삽입되고, 보강걸림부(31a)가 외부클립부(23) 내벽면에 걸려 천장연결구(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천장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연결구(2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22)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이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21)의 중앙 하부에 수직하게 브릿지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릿지부(25)의 하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마감부(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부(24a)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클립부(24)의 선단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외부클립지지부(24b)가 형성되어 있되, 외부클립지지부(24b)는 플레이트부(21)의 저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구연결부재(20a)와;
    상기 브릿지부(25)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브릿지밀착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브릿지밀착부(23c)의 하부 선단에 마감부밀착부(23d)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감부(24a)와 맞대어지며, 브릿지밀착부(23c)의 상부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외부클립수평부(23b)가 형성되어 외부클립지지부(24b)와 플레이트부(21)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외부클립수평부(23b)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재 재질로 이루어진 천장판연결부재(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연결구(2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21)의 양측에 상향 수직하게 지지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부(22)의 상단에 중앙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2a)의 선단 하부에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쐐기부(12)와 대응되는 걸림쐐기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천장고정구(10)의 걸림편(11)이 두 지지판부(22)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21)의 중앙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부경사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경사부(27)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연결부재(20a)와;
    상기 하부연결부(28)의 하부에 맞대어져 수평하게 마감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부(24a)의 양측 선단에 중앙 측을 향해 상향 경사져 하부경사부(27)와 밀착되도록 내부클립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부(21)의 저면과 밀착한 채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클립연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클립연결부(26)의 선단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외부클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클립부(23)의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판연결부재(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2020100008945U 2010-08-26 2010-08-26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200465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45U KR200465511Y1 (ko) 2010-08-26 2010-08-26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45U KR200465511Y1 (ko) 2010-08-26 2010-08-26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80U KR20120001580U (ko) 2012-03-07
KR200465511Y1 true KR200465511Y1 (ko) 2013-02-22

Family

ID=4617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45U KR200465511Y1 (ko) 2010-08-26 2010-08-26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99B1 (ko) * 2013-07-31 2014-06-23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장치
KR101395981B1 (ko) * 2013-10-11 2014-05-27 주식회사 대일휀스 천장용 흡음패널
CN104074301B (zh) * 2014-07-08 2016-09-07 无锡唯景木业有限公司 一种天花板安装结构
KR101648197B1 (ko) * 2016-02-12 2016-08-12 이성관 외장패널 고정구 및 그를 이용한 외장패널 시공방법
KR102000228B1 (ko) * 2016-04-22 2019-07-15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6Y1 (ko) 2005-08-25 2005-11-08 장상철 건축용 판넬 및 그 고정부재
KR20060026562A (ko) * 2004-09-21 2006-03-24 장상철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62A (ko) * 2004-09-21 2006-03-24 장상철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200400516Y1 (ko) 2005-08-25 2005-11-08 장상철 건축용 판넬 및 그 고정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80U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0455273Y1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WO2012112082A1 (ru) Багет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JP2018062853A (ja) 天井下地構造
KR101163134B1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1234678B1 (ko) 천정재 설치구조
KR102257481B1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2072056B1 (ko)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1061713B1 (ko) 천장판의 고정 구조
KR102173311B1 (ko) 댐핑브래킷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1324770B1 (ko) 천정 및 벽용 패널 조립체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0462385Y1 (ko) 천정패널 고정구조
KR100987661B1 (ko) 패널조립체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