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52A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52A
KR20100026852A KR1020080086017A KR20080086017A KR20100026852A KR 20100026852 A KR20100026852 A KR 20100026852A KR 1020080086017 A KR1020080086017 A KR 1020080086017A KR 20080086017 A KR20080086017 A KR 20080086017A KR 20100026852 A KR20100026852 A KR 2010002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st
buried
formwork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용
Original Assignee
조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용 filed Critical 조규용
Priority to KR102008008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852A/ko
Publication of KR2010002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 형태로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스트(10)가 상기 콘크리트(32) 내부에 직립 설치되도록 포스트(10)의 하부에서 포스트(10)를 지지하는 지지부(52)와, 상기 지지부(52)의 하부에 판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매입판부(54)와, 상기 매입판부(54)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58)과, 상기 탄성편(58)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매설물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거푸집(30) 탈거 후 잔존물 제거 등의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반복된 사용에도 거푸집(30)의 손상이 없어 거푸집(30)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콘크리트, 거푸집, 매설물, 고정구, 포스트, 연결부, 탄성편, 걸림부

Description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Fixing instrument things installed in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 형태로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매설물을 거푸집 등에 가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내부에는 다양한 구성품들이 매입 설치된다.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매설물들 중 레벨포스트, 스치로폼 받침대, 방수턱 받침대 등의 구조물들은 포스트 형태로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된다. 위에 열거한 구조물들 이외에도 포스트 형태로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되는 구조물들은 다양하다.
위와 같은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들 중 도 1은 레벨포스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티로폼 받침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레벨포스트는 거푸집의 상면 곳곳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포스트(10)와, 이 포스트(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표지기(12)와, 포스트(10) 하부에 위치하며 포스트(10)가 횡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4)과, 이 스프링(14) 하부에서 스프링(14)을 수용하여 상기 포스트(1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연결구(16)와, 연결구(16)의 둘레에 배치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18)와, 연결구(16) 하부의 베이스(20)로 구성된다. 도 2의 스티로폼 받침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포스트(22)와, 이 포스트(22)의 상부에 구비되며 스티로폼을 받치는 받침대(24)와, 포스트(22)의 하부를 수용하여 포스트(22)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도록 지지하는 연결구(16)와, 연결구(16)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20)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은 공통적으로 포스트(10, 22)와, 이 포스트(10, 22)가 입설되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연결구(16)와, 연결구(16)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매설물의 설치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한 레벨포스트가 매입 설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레벨포스트는 지지날개부(18)에 의해 거푸집(3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날개부(18)의 저면에는 본드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며, 이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레벨포스트가 거푸집(30)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티로폼 받침대나 방수턱 받침대 등의 구조물 등은 베이스(20)의 저면이 거푸집(30)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다른 예로서, 포스트 형태의 매설물들은 고정못이나 타공핀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거푸집(30) 위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을 탈거하면, 레벨포스트의 포스트(10) 부분이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포스트 형태의 매설물들을 거푸집(30)에 고정하면, 콘크리트(32)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매설물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로 인해, 매설물이 설계된 위치에서 이동되거나 매설물이 기울어진 상태로 매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약 고정못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포스트 형태의 매설물들을 고정시키는 경우, 장도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못을 때려서 박는 등으로 구조물들의 고정작업이 번거롭고, 거푸집(30) 탈거 후 고정못이 튀어나온 부분을 커팅하거나 해머 등으로 때려서 없애야 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상 문제점이 뒤따른다.
무엇보다도, 위와 같은 고정못을 이용한 구조물 고정방식은 거푸집(30)의 손상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거푸집(30)으로서 목재 판넬이 이용될 때에는 고정못에 의해 손상된 부위가 증가하면서 거푸집의 재활용이 점차 곤란해진다. 다른 예로서, 거푸집(30)으로서 알루미늄 판넬이 이용될 때에는 거푸집(30)에 형성된 나사탭이 찌그러져 고정볼트의 나사결합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며, 이 역시 거푸집(30)의 재활용을 곤란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에 고정하는 경우 매설물의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매설물이 위치 변동없이 견고하게 정위치 고정되도록 하며, 거푸집 탈거 후 잔존물이 없어 잔존물을 제거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반복된 사용에도 거푸집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거푸집의 재활용이 용이함은 물론 매설물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적어도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포스트(10)를 구비한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가 상기 콘크리트(32) 내부에 직립 설치되도록 포스트(10)의 하부에서 포스트(10)를 지지하는 지지부(52)와, 상기 지지부(52)의 하부에 판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매입판부(54)와, 상기 매입판부(54)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58)과, 상기 탄성편(58)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60)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입판부(54)와 탄성편(58) 사이에는 로드 형태의 연결부(5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6)의 하단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거푸집(30)의 끼움공(34) 상단에 걸려지는 걸림턱(62)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58)은 상기 걸림턱(62)의 하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입판부(54) 상에는 콘크리트(32)가 관통하여 타설되는 복수의 개구부(64)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58)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절취선을 형성하여 취약부(66)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따르면, 매입판부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가 콘크리트 매설물의 포스트 또는 포스트 하방의 구조물을 수용하여 포스트가 직립 상태로 콘크리트에 매입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의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축경되었다가 확경되는 간단한 작동으로 매설물을 고정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매설물의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거푸집 탈거시 하부의 걸림부 및 탄성편이 같이 분리되어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고 잔존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거푸집의 반복된 사용에도 불구하고 거푸집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거푸집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를 쐐기 형성으로 형성함으로써 걸림부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입판부와 탄성편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가 스페이서로서 역할함으로써 매입판부를 거푸집으로부터 이격 배치하여 콘크리트의 저면이 깔끔하게 처리되며, 탄성편의 상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이 걸림턱과 하부의 걸림부 사이에 거푸집의 끼움공 상단과 하단이 걸려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매설물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입판부 상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 개구부에 콘크리트가 관통하여 타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입판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입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편의 상단부에 취약부를 형성함으로써, 거푸집 탈거시 탄성편 아랫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 및 7은 도 5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이다. 여기서,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이라 함은 적어도 콘크리트(32) 내부에서 직립 설치되는 포스트(10)를 구비한 매설물로서, 레벨포스트, 스티로폼 받침대, 방수턱 받침대 등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물론, 콘크리트 매설물은 적어도 포스트(10)를 구비한 그 밖에 다른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콘크리트 매설물로서 레벨포스트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구성품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최상단의 지지부(52)와, 매입판부(54)와, 연결부(56)와, 탄성편(58)과, 걸림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52)는 콘크리트(32)에 직립 설치되는 포스트(10)의 하부에서 포스트(1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매설물로서 스티로폼 받침대 또는 방수턱 받침대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52)는 포스트(10)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이때, 포스트(10)는 볼트축이며 지지부(52)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관 형태를 갖는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물로서 레벨포스트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52)는 포스트(10) 하부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52)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록 포스트(10)를 직접 수용하 지는 않지만, 포스트(10)의 직립 설치를 지지한다.
상기 매입판부(54)는 지지부(52)의 하부에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매입판부(54)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매입판부(54)는 콘크리트(32) 내부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52)에 결합된 구조물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입판부(54)에 복수의 개구부(64)가 형성된다. 따라서, 매입판부(54)가 콘크리트(32) 내부로 매입될 때, 상기 개구부(64)를 통하여 콘크리트(32)가 매입판부(54)를 관통하여 타설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매입판부(54)가 콘크리트(32) 내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매입 고정되도록 할 것이다.
매입판부(54)의 하방으로는 연결부(56)가 연장 형성된다. 이 연결부(56)는 로드 형태로 구성되며, 매입판부(54)와 하부의 탄성편(58)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인 동시에, 매입판부(54)가 콘크리트(32)의 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56)에 의해 도 6 및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매입판부(54)는 콘크리트(32)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거푸집(30) 탈거 후 콘크리트(32)의 저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연결부(56)의 하방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한 탄성편(58)이 연장 형성된다. 탄성편(58)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편(58)의 상단부에는 연결부(56)의 하단부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62)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편(58)의 하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6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체결하면, 상기 걸림턱(62)과 걸림부(60)가 각각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의 상단과 하단에 걸려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60)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60)의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걸림부(60)는 거푸집(30)의 끼움공(34)에 삽입할 때 삽입이 쉽게 유도되어, 본 발명의 고정구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매설물은 레벨포스트이다. 이 레벨포스트는 콘크리트(32)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때 지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 레벨포스트에서 일부 구성품은 불필요하다. 도 6에서와 같이, 레벨포스트는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포스트(10)와, 이 포스트(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표지기(12)와, 포스트(10) 하부에 위치하며 포스트(10)가 횡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4)만 구비되면 족하다. 이는 포스트(10)를 지지하는 하부의 구성품들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이용하기 위해, 목재 판넬 또는 알루미늄 판넬과 같은 거푸집(30)에는 복수의 끼움 공(34)이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의 지지부(52)에 레벨포스트의 스프링(14)을 수용시켜 결합하여 포스트(10)의 직립을 지지한 후, 본 발명의 고정구를 거푸집(30)에 삽입시키면 레벨포스트를 거푸집(30) 상에 직립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매입판부(54) 하부의 걸림부(60)를 거푸집(30)의 끼움공(34)에 삽입하면, 탄성편(58)이 탄성적으로 축경되면서 끼움공(34)에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부(60)가 끼움공(34)을 지나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편(58) 상단의 걸림턱(62)과 하단의 걸림부(60)가 각각 끼움공(34)의 상단 및 하단에 걸려진다. 따라서, 레벨포스트의 포스트(10)가 거푸집(30) 상에 직립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거푸집(30) 위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한다. 그러면, 콘크리트(32)가 경화되면서 콘크리트(32)에 매입된 매입판부(54)가 콘크리트(32)에 결착되고, 본 발명의 고정구는 유동 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레벨포스트도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소정 시간이 지나서 콘크리트(32)가 완전히 경화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을 탈거한다. 이때, 거푸집(30)의 탈거력에 의해 탄성편(58) 및 걸림부(60)는 거푸집(30)과 함께 탈거될 것이다. 이는 걸림부(60)가 거푸집(30)의 끼움공(34) 하단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푸집(30)의 탈거가 이루어질 때, 매입판부(54) 및 연결부(56)는 콘크리트(32)에 매입된 상태이며, 상대적으로 연결부(56)와 탄성편(58)의 연결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거푸집(30)의 탈거력에 의해 탄성편(58)이 걸림부(60)와 함께 자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때, 도 8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가 거푸집(30) 탈거시 탄성편(58)이 보다 용이하고 깔끔하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58)의 상단부에는 취약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취약부(66)는 탄성편(58) 상단부의 폭을 하단부에 비해 좁게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물론, 취약부(66)는 탄성편(58)의 상단부, 즉, 연결부(56)와의 연결부분이 탄성편(58)의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설계되면 족하다. 예를 들어, 취약부(66)는 탄성편(58)의 상단부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벨포스트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티로폼 받침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및 4는 종래 포스트 형태의 콘크리트 매설물의 설치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7은 도 5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 12 : 레벨표시부
14 : 스프링 30 : 거푸집
32 : 콘크리트 34 : 끼움공
52 : 지지부 54 : 매입판부
56 : 연결부 58 : 탄성편
60 : 걸림부 62 : 걸림턱
64 : 개구부 66 : 취약부

Claims (5)

  1. 적어도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포스트(10)를 구비한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가 상기 콘크리트(32) 내부에 직립 설치되도록 포스트(10)의 하부에서 포스트(10)를 지지하는 지지부(52)와, 상기 지지부(52)의 하부에 판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매입판부(54)와, 상기 매입판부(54)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58)과, 상기 탄성편(58)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60)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판부(54)와 탄성편(58) 사이에는 로드 형태의 연결부(56)가 구비되 고, 상기 연결부(56)의 하단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거푸집(30)의 끼움공(34) 상단에 걸려지는 걸림턱(62)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58)은 상기 걸림턱(62)의 하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판부(54) 상에는 콘크리트(32)가 관통하여 타설되는 복수의 개구부(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58)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절취선을 형성하여 취약부(6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20080086017A 2008-09-01 2008-09-01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20100026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7A KR20100026852A (ko) 2008-09-01 2008-09-01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7A KR20100026852A (ko) 2008-09-01 2008-09-01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52A true KR20100026852A (ko) 2010-03-10

Family

ID=4217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17A KR20100026852A (ko) 2008-09-01 2008-09-01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8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05B1 (ko) * 2011-03-03 2011-05-24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20160138447A (ko) 2014-03-31 2016-12-0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의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05B1 (ko) * 2011-03-03 2011-05-24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20160138447A (ko) 2014-03-31 2016-12-0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의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27503A (ja) コンクリート打ち込みの金属デッキフロア又は木枠フロアに用いるネジ付きアンカー
JP2008500475A (ja) 羽目板用の取り付けクリップ
US20090107067A1 (en) Safety caps for foundation rebar, stakes and anchor bolts and methods of use
JPS6389761A (ja) 建築部材の懸吊工法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100026852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1386278B1 (ko) 그레이팅 스토퍼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KR20100026851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1340773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JP2017172233A (ja) 安全柵土台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092120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JP3175814U (ja) 架台用基礎
KR101294745B1 (ko) 방수턱거푸집 설치구조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460050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JP2889500B2 (ja) フロアレベル
JP5495703B2 (ja) 手摺支柱の取付穴の形成装置
KR100765384B1 (ko) 거푸집 인서트 조립체
KR101692204B1 (ko)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