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51A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6851A KR20100026851A KR1020080086016A KR20080086016A KR20100026851A KR 20100026851 A KR20100026851 A KR 20100026851A KR 1020080086016 A KR1020080086016 A KR 1020080086016A KR 20080086016 A KR20080086016 A KR 20080086016A KR 20100026851 A KR20100026851 A KR 20100026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formwork
- elastic piece
- head portion
- fix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제1헤드부(52)와, 상기 제1헤드부(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헤드부(52)에 비해 직경이 작은 로드 형태를 갖는 제1연결부(54)와, 상기 제1연결부(54)의 하단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매설물의 관통공(22) 상측에 걸려지도록 확장 형성된 제2헤드부(56)와, 상기 제2헤드부(56)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60)과, 상기 탄성편(6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 탈거 후 잔존물 제거 등의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반복된 사용에도 거푸집(30)의 손상이 없어 거푸집(30)의 재활용이 용이함은 물론 매설물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콘크리트, 거푸집, 매설물, 고정구, 헤드부, 연결부, 탄성편, 걸림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매설물을 거푸집 등에 가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내부에는 다양한 구성품들이 매입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오수 드레인 및 우수 드레인과 같은 드레인, 에어컨 슬리브 및 관통 슬리브와 같은 각종 슬리브 등의 구조물들은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도록 매입 설치된다. 그밖에도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되는 여러 구조물들이 있다.
도 1은 오수 드레인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관통 슬리브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오수 드레인은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으로서,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되는 매입관체(10)와, 이 매입관체(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판(12)과, 상판(12)의 상부에 입설되는 오수 수집관체(14)로 구성되며, 오수 수집관체(14)의 상단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개구부(16)가 형성된다. 도 2의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에 매입 설치되는 슬리브(18)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오수 드레인 및 관통 슬리브는 공통적으로 하부에 플랜지(20)가 구비되고, 플랜지(20)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매설물의 설치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한 관통 슬리브가 매입 설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거푸집(30)의 상면에 관통 슬리브를 가 고정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고정못(38)이 이용되었다. 도 3에 도시된 거푸집(30)은 목재 판넬로서, 거푸집(30)의 상면에 관통 슬리브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 슬리브의 플랜지(20)에 형성된 관통공(22)에 상기 고정못(38)을 체결하면 관통 슬리브가 거푸집(30)에 고정 설치된다. 만약, 거푸집(30)이 알루미늄 재질이라면, 거푸집(30) 상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못(38)은 고정볼트로 대체될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30) 위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을 탈거하면, 관통 슬리브가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된다. 이때, 관통 슬리브의 플랜지(20)가 콘크리트 벽체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20)의 하부에는 지지턱(19)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고정못(38)을 이용하여 오수 드레인이나 관통 슬리브 등의 구조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는 경우, 장도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못(38)을 때려서 박는 등으로 구조물들의 고정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거푸집(30)을 탈거할 때, 고정못(38) 부위에서 거푸집(30)의 잔재가 잔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고정못(38)이 튀어나온 부분을 커팅하거나 해머 등으로 때려서 없애야 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상 문제점이 뒤따른다.
무엇보다도, 위와 같은 고정못(38)을 이용한 구조물 고정방식은 거푸집(30)의 손상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거푸집(30)으로서 목재 판넬이 이용될 때에는 고정못(38)에 의해 손상된 부위가 증가하면서 거푸집(30)의 재활용이 점차 곤란해진다. 다른 예로서, 거푸집(30)으로서 알루미늄 판넬이 이용될 때에는 거푸집(30)에 형성된 나사탭이 찌그러져 고정볼트의 나사결합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며, 이 역시 거푸집(30)의 재활용을 곤란하게 한다. 또한, 거푸집(30)의 손상에 따르는 문제점은 손상된 거푸집(30)이 재활용될 때 거푸집(30)의 손상부위에 고정못(38)을 체결할 수 없다는 것이며, 이는 콘크리트 매설물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어려운 2차적인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거푸집 탈거 후 잔존물이 없어 잔존물을 제거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반복된 사용에도 거푸집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거푸집의 재활용이 용이함은 물론 매설물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며 저부에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관통공(22)이 구비된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제1헤드부(52)와, 상기 제1헤드부(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헤드부(52)에 비해 직경이 작은 로드 형태를 갖는 제1연결부(54)와, 상기 제1연결부(54)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의 상측에 걸려지도록 확장 형성된 제2헤드부(56)와, 상기 제2헤드부(56)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60)과, 상기 탄성편(6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62)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헤드부(56)와 탄성편(60) 사이에는 로드 형태의 제2연결부(5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58)의 하단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거푸집(30)의 끼움공(34) 상단에 걸려지는 걸림턱(6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60)은 상기 걸림턱(64)의 하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60)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절취선을 형성하여 취약부(66)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따르면, 하부의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축경되었다가 확경되는 간단한 작동으로 매설물을 고정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매설물의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거푸집 탈거시 하부의 걸림부 및 탄성편이 같이 분리되어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고 잔존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거푸집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거푸집의 재활용이 용이하고 거푸집의 반복된 사용에도 불구하고 매설물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를 쐐기 형성으로 형성함으로써 걸림부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헤드부와 탄성편 사이에 형성된 제2연결부가 스페이서로서 역할함으로써 매설물의 플랜지가 거푸집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탄성편의 상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이 걸림턱과 하부의 걸림부 사이에 거푸집의 끼움공 상단과 하단이 걸려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매설물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편의 상단부에 취약부를 형성함으로써, 거푸집 탈거시 탄성편 아랫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 및 7은 도 5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이다. 여기서, 콘크리트 매설물은 오수 드레인 및 우수 드레인과 같은 드레인, 에어컨 슬리브 및 관통 슬리브와 같은 각종 슬리브 등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물론, 콘크리트 매설물은 그 밖에 다른 구조물들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콘크리트 매설물로서 관통 슬리브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구성품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최상단의 제1헤드부(52)와, 제1연결부(54)와, 제2헤드부(56)와, 제2연결부(58)와, 탄성편(60)과, 걸림부(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헤드부(52)는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부분으로서, 타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제1헤드부(52)는 콘크리트(32)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콘크리트(32)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되며, 이는 곧 콘크리트 매설물이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헤드부(52)는 콘크리트(3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를 갖거나 둘레부를 따라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헤드부(52)의 하방으로는 제1연결부(54)가 연장 형성된다. 제1연결부(54)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1헤드부(52)와 제2헤드부(56)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헤드부(56)는 제1연결부(54)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헤드부(52)와 마찬가지로 제1연결부(54)의 직경에 비해 확장 형성된다. 제2헤드부(5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슬리브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20)의 상단부에 걸려지는 것으로서, 플랜지(20)의 상단면을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제2헤드부(56)의 하방으로는 제2연결부(58)가 연장 형성된다. 제2연결부(58) 역시 제1연결부(54)와 마찬가지로 로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0)의 관통 공(22)에 여유 있게 삽입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이 제2연결부(58)는 제2헤드부(56)와 하부의 탄성편(6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인 동시에, 관통 슬리브의 플랜지(20)가 콘크리트(32)의 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2연결부(58)의 하방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한 탄성편(60)이 연장 형성된다. 탄성편(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편(60)의 상단부에는 제2연결부(58)의 하단부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64)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편(60)의 하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6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체결하면, 상기 걸림턱(64)과 걸림부(62)가 각각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의 상단과 하단에 걸려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62)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62)의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걸림부(62)는 거푸집(30)의 끼움공(34)에 삽입할 때 삽입이 쉽게 유도되어, 본 발명의 고정구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매 설물은 관통 슬리브이다. 관통 슬리브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슬리브(18)와, 이 슬리브(18)의 하부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0)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20) 상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목재 판넬 또는 알루미늄 판넬과 같은 거푸집(30)에는 복수의 끼움공(34)이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거푸집(30)의 상면에 관통 슬리브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20)의 관통공(22)에 본 발명의 고정구를 체결한다. 그러면, 탄성편(60)이 탄성적으로 축경되면서 하단의 걸림부(62)가 거푸집(30)의 끼움공(34)으로 삽입되고, 걸림부(62)가 끼움공(34)을 지나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편(60) 상단의 걸림턱(64)과 하단의 걸림부(62)가 각각 끼움공(34)의 상단 및 하단에 걸려진다. 이때, 제2헤드부(56)는 플랜지(20)의 상면을 가압하여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30)에 대해 고정시킨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거푸집(30) 위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한다. 그러면, 콘크리트(32)가 경화되면서 콘크리트(32)에 매입된 제1헤드부(52)가 콘크리트(32)에 결착되고, 본 발명의 고정구는 유동 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소정 시간이 지나서 콘크리트(32)가 완전히 경화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을 탈거한다. 이때, 거푸집(30)의 탈거력에 의해 탄성편(60) 및 걸림부(62)는 거푸집(30)과 함께 탈거될 것이다. 이는 걸림부(62)가 거푸집(30)의 끼움공(34) 하단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푸집(30)의 탈거가 이루어질 때, 제1헤드부(52)에서 제2연결부(58)까지는 콘크리트(32)에 매입된 상태이며, 상대적으로 제2연결부(58)와 탄성편(60)의 연결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거푸집(30)의 탈거력에 의해 탄성편(60)이 걸림부(62)와 함께 자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때, 도 8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가 거푸집(30) 탈거시 탄성편(60)이 보다 용이하고 깔끔하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60)의 상단부에는 취약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취약부(66)는 탄성편(60) 상단부의 폭을 하단부에 비해 좁게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물론, 취약부(66)는 탄성편(60)의 상단부, 즉, 제2연결부(58)와의 연결부분이 탄성편(60)의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설계되면 족하다. 예를 들어, 취약부(66)는 탄성편(60)의 상단부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오수 드레인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관통 슬리브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및 4는 종래 콘크리트 매설물의 설치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7은 도 5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슬리브 19 : 지지턱
20 : 플랜지 22 : 관통공
30 : 거푸집 32 : 콘크리트
34 : 끼움공 52 : 제1헤드부
54 : 제1연결부 56 : 제2헤드부
58 : 제2연결부 60 : 탄성편
62 : 걸림부 64 : 걸림턱
66 : 취약부
Claims (4)
- 콘크리트(32)에 매입 설치되며 저부에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관통공(22)이 구비된 콘크리트 매설물을 거푸집(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32)에 매입되는 제1헤드부(52)와, 상기 제1헤드부(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헤드부(52)에 비해 직경이 작은 로드 형태를 갖는 제1연결부(54)와, 상기 제1연결부(54)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의 상측에 걸려지도록 확장 형성된 제2헤드부(56)와, 상기 제2헤드부(56)의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끼움공(34)에 삽입되는 탄성편(60)과, 상기 탄성편(6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걸림부(62)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2헤드부(56)와 탄성편(60) 사이에는 로드 형태의 제2연결부(5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58)의 하단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거푸집(30)의 끼움공(34) 상단에 걸려지는 걸림턱(6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60)은 상기 걸림턱(64)의 하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편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편(60)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절취선을 형성하여 취약부(6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6016A KR20100026851A (ko) | 2008-09-01 | 2008-09-01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6016A KR20100026851A (ko) | 2008-09-01 | 2008-09-01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6851A true KR20100026851A (ko) | 2010-03-10 |
Family
ID=4217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6016A KR20100026851A (ko) | 2008-09-01 | 2008-09-01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6851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9093B1 (ko) * | 2012-04-10 | 2013-02-01 |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
KR101406910B1 (ko) * | 2013-09-27 | 2014-06-13 |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
KR101508315B1 (ko) * | 2013-06-18 | 2015-04-0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
KR102096881B1 (ko) * | 2019-04-23 | 2020-04-03 | (주)바이브 | 결합 및 탈거가 수월한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
KR20210007323A (ko) * | 2019-07-11 | 2021-01-20 | ㈜바이브 |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
-
2008
- 2008-09-01 KR KR1020080086016A patent/KR201000268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9093B1 (ko) * | 2012-04-10 | 2013-02-01 |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
KR101508315B1 (ko) * | 2013-06-18 | 2015-04-0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
KR101406910B1 (ko) * | 2013-09-27 | 2014-06-13 |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
KR102096881B1 (ko) * | 2019-04-23 | 2020-04-03 | (주)바이브 | 결합 및 탈거가 수월한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
KR20210007323A (ko) * | 2019-07-11 | 2021-01-20 | ㈜바이브 |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26851A (ko)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
CN110374325B (zh) | 用于板坯的立式套管及其构造方法 | |
KR101564442B1 (ko) |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 |
KR100741995B1 (ko) |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
KR200431161Y1 (ko) | 단열재 고정장치 | |
KR20090113476A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 |
KR100655132B1 (ko) |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 |
KR20100026852A (ko) |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 |
KR101020641B1 (ko)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 |
KR101041490B1 (ko) |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0767567B1 (ko) | 건축용 인서트 | |
US20060137285A1 (en) | Fastener devices | |
KR101648698B1 (ko) | 배관 서포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00872B1 (ko) |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 |
KR20120113095A (ko) | 천장용 단자함 | |
KR100536430B1 (ko) |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 |
KR20090113479A (ko) | 단열재 고정구 | |
KR100655141B1 (ko) | 전기설비용 콘센트박스 시공방법 | |
KR100915629B1 (ko) |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 |
KR20100101500A (ko) | 인서트 앵커 | |
KR20110008782A (ko) | 관통 슬리브 고정핀 | |
KR200436104Y1 (ko) |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 |
KR200421804Y1 (ko) | 건물의 배관 고정용 인서트 | |
KR20110108113A (ko) | 건축용 인서트 | |
KR101130112B1 (ko) |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