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823Y1 -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823Y1
KR200241823Y1 KR2020010013657U KR20010013657U KR200241823Y1 KR 200241823 Y1 KR200241823 Y1 KR 200241823Y1 KR 2020010013657 U KR2020010013657 U KR 2020010013657U KR 20010013657 U KR20010013657 U KR 20010013657U KR 200241823 Y1 KR200241823 Y1 KR 200241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upper flange
steel structure
cover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호
전재득
강준석
문정순
Original Assignee
(주)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13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823Y1/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철골구조물 공사 시에 H형강의 상부플랜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하여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 주는 가설 작업발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철골 빔인 H형강의 상부플렌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되, 상부플렌지의 폭방향 연장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난간이 설치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다수의 받침구(10)와; 밑면이 상기 다수 설치된 받침구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20)와; 상기 받침구에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30); 및 상기 난간 지주를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바(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철골구조물 공사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A temporary working plate for steel construction}
본 고안은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골구조물 공사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H형강(H 形鋼)의 상부플랜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주는 가설 작업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구조물 공사에서는 작업자가 철골 빔인 H형강의 상부플랜지 위를 돌아다니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H형강의 상부플렌지 폭이 좁아 작업자가 곡예하듯이 딛고 다녀야 했고, 추락의 위험도 매우 높았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로프와 같은 구명 줄을 철골 빔에 매단 채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추락할 경우 2차 충돌에 의해 치명상을 입을 위험이 잔존했다.
이와 같은 공사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안전장치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1995-3705호에 개시된 철골구조용 안전작업대가 알려져 있고, 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은, H형강(6)의 하부플랜지 양단에 클램프(90)를 장착하고, 상기 클램프(90)에 받침대(91)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91)에 수직으로 끼워 맞춰 다수의 난간 지주(92)를 설치하고, 난간 지주(92) 간을 수평바(93)로 연결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가설 난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조립부품수가 상당히 많아 작업대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설치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중요한 것은 작업자가 여전히 폭이 좁은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위를 위험을 감수하고 딛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골구조물 공사 시에 H형강의 상부플랜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하여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 주는 가설 작업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구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구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구 20 : 발판 플레이트
30 : 난간 지주 40 : 수평 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골 빔인 H형강의 상부플렌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되, 상부플렌지의 폭방향 연장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난간이 설치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다수의 받침구와; 밑면이 상기 다수 설치된 받침구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구에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및 상기 난간 지주를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은 받침구, 20은 발판플레이트, 30은 난간 지주, 40은 수평 바, 100은 철골 빔인 H형강을 각각 나타낸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골 빔인 H형강(100)의 상부플렌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받침구(10)를 구비하는데, 상기 받침구(10)는 H형강(100)의 상부플렌지 위에 설치되어 상부플렌지의 폭방향 연장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난간 지주(30)가 설치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받침구(10) 상에 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20)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구(10)의 양측에 고정되는 난간 지주(30)들과 상기 난간 지주(30)들을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는 수평 바(40)를 구비한다.
도3을 참조하여 받침구(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3은 상기 받침구(10)의 세부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덮개부재, 12와13은 고정부재, 14와 15는 경첩부재, 16과 17은 고정홀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받침구(10)는, H형강(10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 밑면이 H형강의 상부 플렌지의 윗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11)와, 상기 덮개부재(11)와 수평하게 연장됨과 동시에 단부에 고정홀(16,17)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H형강의 플렌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재(11)의 양측 단에 각각 밀착하여 회동 자재하게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12,13)와,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12,13)를 상기 덮개부재(11)의 양측단에 각각 회동 자재하게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경첩(14,15)을 구비한다.
여기서 각 고정부재(12,13)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16,17)은 난간 지주(30)가 결합되는 홀로서 난간 지주(30)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난간 지주(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홀(16,17)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난간 지주(30)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홀(16,17)에 난간 지주(30)의 하단부를 돌려 끼워 고정하도록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좌우 경첩(14,15)은 상기 덮개부재(11)의 읫면 양측과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12,13)의 연장부 윗면에 걸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좌우 고정부재(12,13)가 상기 덮개부재(11)의 양측단 상부 모서리를 힌지로 180도 회동자재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구(10)를 H형강(100)의 상부 플렌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가설 작업 발판을 H형강(100)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기 받침구(10)를 H형강(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는데, 구체적으로 각각의 받침구(10)를 좌우 고정부재(12,13)를 회동시켜 덮개부재(10) 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H형강(100)의 상부 플렌지의 폭에 맞추어 덮개부재(10) 밑면을 올려놓아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좌우 고정부재(12,13)을 펼치면서 하향으로 회동시켜 각 고정부재(12,13)의 걸림부가 H형강(100)의 상부 플렌지 양측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각 받침구(10)는 좌우 고정부재(12,13)가 H형강(100)의 상부 플렌지 양측을 구속하면서 H형강(100) 상에 설치되게 된다.
H형강(100)의 상부플렌지 상에 길이방향의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받침구(10)를 설치한 후에는 죄우 고정부재(12,13)에 의해 확장된 폭에 해당하는 발판 플레이드(20)를 상기 좌우 고정부재(12,13)의 연장부에 지지되도록 올려 놓고, 각 고정부재(12,13)의 연장부 상에 형성된 고정홀(16,17)에 난간 지주(30)의하단부를 고정시키고 이들 난간 지주(30)들을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바(40)에 의해 연결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작업 발판을 가설한다.
여기서 발판 플레이트(20)를 떠 받치는 각각의 받침구(10)는, 좌우 고정부재(12,13)가 H형강(100)의 상부플렌지 양측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H형강(100)의 폭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면, 고정홀(16,17)에 고정된 난간지주(30)들이 수평바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어 H형강(100) 길이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H형강(100)의 상부플렌지 상에 간단하게 받침구(10)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플렌지 보다 2배 가량 넓은 폭을 가지는 발판 플레이트(20)를 상기 받침구(10)에 지지되게 설치하여 작업자의 발판으로 제공함으로써 철골구조물 공사 시에 철골 빔 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철골구조물 공사 시 철골 빔 상에서의 작업을 안정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시설물에 있어서,
    철골구조물의 철골 빔인 H형강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 밑면이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의 윗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수평하게 연장됨과 동시에 단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H형강의 플렌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로 각각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밀착하여 회동자재하게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를 상기 덮개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경첩을 구비하며, 상기 H형강의 상부플렌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받침구와;
    밑면이 상기 다수 설치된 받침구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구의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및
    상기 난간 지주를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난간 지주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구 고정부재의 고정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경첩은, 상기 받침구의 덮개부재의 읫면 양측과 좌우 고정부재의 연장부 윗면에 걸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부재가 상기 덮개부재의 양측단 상부 모서리를 힌지로 180도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 작업발판.
KR2020010013657U 2001-05-10 2001-05-10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KR200241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57U KR200241823Y1 (ko) 2001-05-10 2001-05-10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57U KR200241823Y1 (ko) 2001-05-10 2001-05-10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823Y1 true KR200241823Y1 (ko) 2001-10-15

Family

ID=7310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57U KR200241823Y1 (ko) 2001-05-10 2001-05-10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8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33B1 (ko) * 2014-03-27 2015-12-04 (주)금곡철강산업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KR101725183B1 (ko) 2016-06-29 2017-04-11 유한회사 오케이안전산업 철골 고소 작업용 안전 발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33B1 (ko) * 2014-03-27 2015-12-04 (주)금곡철강산업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KR101725183B1 (ko) 2016-06-29 2017-04-11 유한회사 오케이안전산업 철골 고소 작업용 안전 발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KR101826007B1 (ko) 교량점검용 레일형 걸이식 발판보강대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JPH10280669A (ja) 足場ユニット
KR200241823Y1 (ko) 철골구조물 공사용 가설작업발판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US20050061582A1 (en)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KR20180023675A (ko) 안전 작업대
JP2012102468A (ja) 橋梁下面補修用移動式足場および該足場の設置方法
JPH0740595Y2 (ja) 足場設置及び解体作業用吊り台
KR100278830B1 (ko) 교각두부 시설용 안전작업대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JP3226427U (ja) 球形タンク内の足場装置
JP3865433B2 (ja) L型作業台
JP4065835B2 (ja) 枠組足場の先行手摺
KR100533709B1 (ko) 선체블록작업용 사다리설치구
JPH0712541Y2 (ja) 足場装置
JPH06248794A (ja) 大型組立式移動足場
JP3706460B2 (ja) 仮設足場の取付金具および建築構成材の仮置架台
US20030047385A1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H0541151Y2 (ko)
JP3214407B2 (ja) 梁部材の接続工法および高所作業用足場装置
JP3537379B2 (ja) 梁材保持用架台
KR200314587Y1 (ko) 로라식 사다리형 안전망 구조틀
JP2004084213A (ja) 回転式張り出し支柱およ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