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78Y1 -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 Google Patents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78Y1
KR200226678Y1 KR2020010000429U KR20010000429U KR200226678Y1 KR 200226678 Y1 KR200226678 Y1 KR 200226678Y1 KR 2020010000429 U KR2020010000429 U KR 2020010000429U KR 20010000429 U KR20010000429 U KR 20010000429U KR 200226678 Y1 KR200226678 Y1 KR 200226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tribution control
concrete pole
fixed
scaffol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0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78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 상ㆍ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 형상의 제1 및 제2 밴드(30,40)가 한쌍의 체결부재(20)에 의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밴드(30)에는 일측에 설치된 연장앵글(52)을 개재해서 발판지지대(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5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대(56)상에는 철망(54)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발판지지대(50)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전주(10)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지지환봉(62)으로 구획된 보호지지부재(6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발판지지대(50)를 하부에서 받혀 주도록 상기 발판지지대(50)의 대체로 중간부에 지지앵글(70)의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앵글(70)의 타측은 상기 제2 밴드(40)의 외주면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할 때에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A FOOTHOLD FOR CONTROL POWER DISTRIBUTOR}
본 고안은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선로의 콘크리트전주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용 제어함을 용이하고 편안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전주에 설치되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 제어함은 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 제어함을 관리할려면, 정기적으로 콘크리트전주에 올라가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하거나 또는 전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전주관리자 또는 배전함 관리자가 콘크리트전주에 올라가 콘크리트전주에 매달려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세가 불편하고, 또 작업자세가 나빠서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할 때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전주의 외주면 상ㆍ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 밴드와, 일측에설치된 연장앵글을 개재해서 상기 제1 밴드에 고착되며 타측에 발판용 철망을 지지하는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와, 하부가 상기 발판지지대에 고착되며 상기 발판지지대의 콘크리트전주측 및 상부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좌ㆍ우 및 뒤쪽은 작업자가 작업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앵글로 구획되어 있는 보호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제2 밴드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타측이 상기 발판지지대의 중간부에 고정되어서 상기 발판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앵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있어서의 일부 분해해서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콘크리트전주 20:체결부재
21:볼트 21a:나사부
22:너트 22a:관통공
30:제1 밴드 31,32:플랜지부
31a,32a:관통공 40:제2 밴드
41,42:플랜지부 41a,42a:관통공
50:발판지지대 52:연장앵글
54:철망 56:받침대
60:보호부재 62:지지환봉
70:지지앵글 100:배전 제어함
110:가로지지대 112:장공
114:원형공 120:체결부재
120a:볼트 120b:너트
122:체결부재 124:체결부재
126:체결부재 126a:볼트
126b:너트 130:세로지지대
150:받침부재 160:밴드
170:발판부재 171:받침대
171a:장공 172:발판지지대
173:철망 174:보호부재
174a:지지환봉 180:체결부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밴드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는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 상ㆍ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 형상의 제1 및 제2 밴드(30,40)가 한쌍의 체결부재(20)에 의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밴드(30)에는 일측에 설치된 연장앵글(52)을 개재해서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5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대(56)상에는 철망(5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지지대(50)에는 작업자가 배전 제어함(100)을 점검하거나 또는 배전 제어함의 작동을 실험(작업)할 때에 작업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환봉(62)으로 구획된 보호부재(6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보호부재(60)는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콘크리트전주(10)측 및 상부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좌ㆍ우 및 뒤쪽은 작업자가 작업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환봉(62)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지지대(50)를 하부에서 받혀 주도록 상기 발판지지대(50)의 대체로 중간부에는 지지앵글(70)의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앵글(70)의 타측은 상기 제2 밴드(40)의 외주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20)는 반원형 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40)의 양측 플랜지부(31,41)(32,4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31a,41a)(32a,42a)을 각각 관통하는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a)에 나합되도록 관통공(22a)이 형성된 너트(2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콘크리트전주(10)에 설치할려면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일측 연장앵글(52)에 고착되어 있는 반원형형상이 제1 밴드(30)의 내주면을 콘크리트전주(10)에 당접시킨 다음, 다른 반쪽의 제1 밴드(30)의 내주면을 콘크리트전주(10)의 반대쪽 면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상기 한쌍의 제1 밴드(30)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31,41)의 각 관통공(31a,32a)에 각각 체결부재(20)의 볼트(21)를 삽입한 다음, 상기 볼트(21)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a)에 체결부재(20)의 너트(22)를 각각 조임으로서 제1 밴드(30)를 콘크리트전주(10)에 고정시킨다.
그후, 상기 제1 밴드(30)를 콘크리트전주(10)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2 밴드(40)를 콘크리트전주(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밴드(40)를 콘크리트전주(10)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발판지지대(50)를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설치하고 나서, 작업자가 콘크리트전주(10)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100)을 점검하거나 또는 배전 제어함(1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전주(10)에 올라가서 발판지지대(50)상에 설치된 보호부재(60)의 콘크리트전주(10)측이 개방된 쪽을 통과해서 발판지지대(50)의 철망(54)상에 서서 작업한다.
그런데, 상기 발판지지대(50)는 일측에 설치된 연장앵글(52)을 개재해서 상기 제1 밴드(30)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중간부가 상기 제2 밴드(40)에 일측이 고착된 지지앵글(70)에 의해서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세를 편안하게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발판지지대(5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지지환봉(62)으로 구획되어 있는 보호부재(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판지지대(50)상에서 배전 제어함(100)을 점검하는 작업자가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콘크리트전주(10)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100)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전주(10)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할 때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는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에 당접되게 평행하게 지지되는 ??자형상의 형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가로지지대(110)와, 상기 가로지지대(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당접되도록 볼트(120a)와 너트(120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20)에 의해 나합되는 한쌍의 세로지지대(130)와, 상기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거리(d) 떨어져서 상기 한쌍의 가로지지대(110)에 체결부재(122)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한쌍의 가로지지대(110)를 상기 콘크리트전주(10)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지지하는 받침부재(150)와, 상기 받침부재(150)가 상기 콘크리트전주(10)에 대해 일정 각도(Θ)를 유지하면서 하부가 고착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에 체결부재(124)에 의해 견고하게 외감되는 밴드(160)와, 상기 한쌍의 가로지지대(110)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된 다수의 장공(112) 및 원형공(114)에 볼트(126a)와 너트(126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26)에 의해 나합고정되는 발판부재(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부재(170)는 ??자형상의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가로지지대(110)에 형성된 장공(112) 및 원형공(114)에 나합고정되도록 양측에 장공(171a)이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가로 받침대(171)로 이루어진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172)와, 상기 발판지지대(172)의 가로 받침대(171)상에 고착되는 철망(173)과,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지지대(172)의 콘크리트전주(10)측 및 상부가 개방되며, 좌ㆍ우 및 뒤쪽은 작업자가 작업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환봉(174a)로 구획되어 있는 보호부재(174)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80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지지대(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체결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의 작용 및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에 의하면, 콘크리트전주의 외주면 상ㆍ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 형상의 제1 및 제2 밴드가 한쌍의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밴드에는 일측에 설치된 연장앵글을 개재해서 발판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대상에는 철망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발판지지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전주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지지앵글로 구획된 보호지지부재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발판지지대를 하부에서 받혀 주도록 상기 발판지지대의 대체로 중간부에 지지앵글의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앵글의 타측은 상기 제2 밴드의 외주면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전주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전 제어함을 관리할 때에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전주(10)의 외주면 상ㆍ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체결부재(20)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 밴드(30,40)와, 일측에설치된 연장앵글(52)을 개재해서 상기 제1 밴드(30)에 고착되며 타측에 발판용 철망(54)을 지지하는 4각형 형상의 발판지지대(50)와, 하부가 상기 발판지지대(50)에 고착되며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콘크리트전주(10)측 및 상부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좌ㆍ우 및 뒤쪽은 작업자가 작업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환봉(62)으로 구획되어 있는 보호부재(60)와, 일측이 상기 제2 밴드(40)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타측이 상기 발판지지대(50)의 중간부에 고정되어서 상기 발판지지대(50)를 지지하는 지지앵글(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반원형 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40)의 양측 플랜지부(31,41)(32,4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31a,41a) (32a,42a)을 각각 관통하는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a)에 나합되도록 관통공(22a)이 형성된 너트(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50)에는 작업자가 올라 섯을 경우에 상기 철망(54)이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받침대(56)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KR2020010000429U 2001-01-08 2001-01-08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KR200226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29U KR200226678Y1 (ko) 2001-01-08 2001-01-08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29U KR200226678Y1 (ko) 2001-01-08 2001-01-08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78Y1 true KR200226678Y1 (ko) 2001-06-15

Family

ID=7309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429U KR200226678Y1 (ko) 2001-01-08 2001-01-08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11B1 (ko) 2010-12-02 2012-11-27 김서헌 전주용 안전 네트
KR20210007170A (ko) * 2019-07-10 2021-01-20 한국전력공사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KR20230021324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11B1 (ko) 2010-12-02 2012-11-27 김서헌 전주용 안전 네트
KR20210007170A (ko) * 2019-07-10 2021-01-20 한국전력공사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KR102636834B1 (ko) 2019-07-10 2024-02-19 한국전력공사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KR20230021324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KR102579776B1 (ko) 2021-08-05 2023-09-18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US5829549A (en) Walkway with rail system
US4122916A (en) Scaffolding
US4802553A (en) Aluminum scaffold plank
KR200226678Y1 (ko)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JP2014101642A (ja) 作業用安全手摺の設置方法
KR20090025737A (ko)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GB2350859A (en) Scaffolding fixtures
DE60318350T2 (de) Schutzgeländervorrichtung
JP7347452B2 (ja) 支柱の固定構造及び支柱の固定方法
KR200291504Y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JP4986419B2 (ja) 仮設階段
KR100460230B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JP3184918B2 (ja) 枠組み足場建枠の支持金具及び張り出し足場装置
JP3078046B2 (ja) 屋根足場
KR200230053Y1 (ko) 대형선박의 블럭내의 도장용 작업대
JP3008716U (ja) 防蛇網付昇塔防止器
JPH07111092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用足場
AU599144B2 (en) Scaffold base clamp
JPH0430282Y2 (ko)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KR20140005121U (ko) 안전 난간대
JP7122080B2 (ja) 仮設足場
KR100460231B1 (ko)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