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776B1 -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776B1
KR102579776B1 KR1020210103064A KR20210103064A KR102579776B1 KR 102579776 B1 KR102579776 B1 KR 102579776B1 KR 1020210103064 A KR1020210103064 A KR 1020210103064A KR 20210103064 A KR20210103064 A KR 20210103064A KR 102579776 B1 KR102579776 B1 KR 10257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upports
footrest
sides
work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324A (ko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21010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7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광케이블 또는 전선을 통신주 또는 전주에 올라가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업발판을 전주의 외주연엔 고정하도록 하는 작업발판의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위해,
전주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을 마련하고 전주의 외주연에 밀착시키고 자리면 상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연결한 연결대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고정벨트를 끼우는 고리를 마련하여 고정구로 전주의 외주연에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자리면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전주와 공간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전주 작업시 케이블의 투입 및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과 작업발판의 부피를 작게하여 작업자가 휴대가 편하게 하여 작업시 전주로 작업자가 들고 올라가기 용이하는 이점과,
상기 지지대의 상부로 발판을 마련하도록 발판의 하부에 걸부를 마련하여 지지대를 끼우고 걸림부재의 걸핀에 의해 걸어 발판을 지지대의 상부로 고정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지지대를 밟고 작업가능케 하거나 지지대의 상부로 발판을 탈착가능케 하여 작업자의 발로 집중하중을 제거하여 안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safety scaffold for utility pole}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광케이블 또는 전선을 통신주 또는 전주에 올라가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업발판을 전주의 외주연엔 고정하도록 하는 작업발판의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전주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통신주 또는 전선을 설치하는 전주에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해 올라가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였다.
상기 사다리 작업은 국내의 통신3사에서는 사고위험이 큰 작업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을 할수 있는 버켓 고소작업차량을 보급 사용하고 있으나,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장소의 전주 등주후 작업시 디딤쇠가 없는데가 많고, 디딤쇠가 있더라도 작업에 필요한 높이와 맞지않아 다양한 높이에서 사용하기 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사다리는 전주에 올라가는 높이에 한정이 되어 전주의 높은 곳에 올라 작업을 하기에는 높이가 높은 사다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인해 전주와 착탈이 용이한 작업발판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주용 발판은 전주의 내부에 매설된 고정너트에 일선상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발판을 고정너트에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발판을 결속시켜 작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주용 발판은 고정너트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일선상의 발판은 회전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너트 또는 고정너트에 나사결합하는 발판의 나사산이 마모로 인해 설정된 깊이로 체결되지 못하여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발판이 부러지거나 이탈에 따른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너트에 나사결합에 의해 결속하는 발판은 통상적으로 일측에 나사를 형성한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발을 딛고 올라설때 일일이 작업자가 볼트 타입의 발판을 고정너트에 나사결합하면서 올라가야 하므로 불편함과 작업자가 작업시 볼트타입의 발판을 장시간 딛게 되면 발바닥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여 다리에 쥐가 나거나 피로감을 한층 더 빨리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45644호인 "전주의 자동화 개폐기 작업 발판대"에서 안전보호 난간대를 절첩식으로 접거나 펼쳐 세울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작업 발판대는 그 구조가 부피가 있어 무게가 무거워 작업자가 전주를 오를때 작업자가 일일이 들고 올라가기에 어려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서 일일이 발판을 펼쳐서 전주에 고정시키기에는 혼자서는 번거러워서 종래의 위험부담이 있지만 간편한 볼트타입의 발판을 나사결합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안전사고에 노출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주에서 작업시 발다닥에 집중하중을 제거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에도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발판과 작업자가 발판을 들고 전주를 오를때 부피를 작게하여 작업자가 쉽게 들고 올라가게 함과 동시에 탈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발판을 선호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985호 "전주용 발판"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644호 "전주의 자동화 개폐기 작업 발판대"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전주에서 작업자가 작업시 볼트타입의 발판을 딛고 작업시 발다닥에 집중하중을 제거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에도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발판과 작업자가 발판을 들고 전주를 오를때 부피를 작게하여 작업자가 쉽게 들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주의 외주연의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을 마련하고 상기 자리면의 외면 상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마련한 연결대를 연결하고,
하부에는 고리를 마련하여 고정벨트를 끼워 전주와 고정구로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 상부로 발판을 마련하고 하부에는 지지대를 끼움가능한 걸부를 마련하여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에 걸어 고정시키게 하는 발판을 탈착가능케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1)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14)을 마련하되,
상기 자리면(14)은 전주(1)의 외주연과 양끝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간부(13)를 마련하고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상부에는 90도 간격으로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대(12)를 마련한 연결대(11)를 연결하며,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하부에는 고리(15)를 마련하여 고정벨트(2)를 끼워 고정구(3)로 전주(1)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삭제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발판(20)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하부에는 지지대(12)를 끼움가능한 걸부(21)를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재(22)에는 지지대(12)의 하부로 걸핀(25)을 걸어 고정하는 걸홈(24)을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12)를 포함하는 발판(2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를 수용하는 걸부(21)를 양측의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되 상기 양측의 걸림부재(22)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2)를 걸핀(25)에 의해 걸려지는 걸홈(24)과 상기 걸홈(24)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마련하는 발판(20)을 각각 마련하되 각각의 발판(20)을 연결부재(27)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27)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며,
상기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 지지대(12)의 상부로 걸려지는 연결부재(27)를 마련하도록 하여 다수개 지지대(12)에 걸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주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을 마련하고 전주의 외주연에 밀착시키고 자리면 상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연결한 연결대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고정벨트를 끼우는 고리를 마련하여 고정구로 전주의 외주연에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자리면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전주와 공간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전주 작업시 케이블의 투입 및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과 작업발판의 부피를 작게하여 작업자가 휴대가 편하게 하여 작업시 전주로 작업자가 들고 올라가기 용이하는 이점과,
상기 지지대의 상부로 발판을 마련하도록 발판의 하부에 걸부를 마련하여 지지대를 끼우고 걸림부재의 걸핀에 의해 걸어 발판을 지지대의 상부로 고정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지지대를 밟고 작업가능케 하거나 지지대의 상부로 발판을 탈착가능케 하여 작업자의 발로 집중하중을 제거하여 안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주(1)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14)을 마련하되,
상기 자리면(14)은 전주(1)의 외주연과 양끝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간부(13)를 마련하고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상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대(12)를 마련한 연결대(11)를 연결하며,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하부에는 고리(15)를 마련하여 고정벨트(2)를 끼워 고정구(3)로 전주(1)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발판(20)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하부에는 지지대(12)를 끼움가능한 걸부(21)를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재(22)에는 지지대(12)의 하부로 걸핀(25)을 걸어 고정하는 걸홈(24)을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대(12)에 마련하는 발판(2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대(12)를 포함하는 발판(2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를 수용하는 걸부(21)를 양측의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되 상기 양측의 걸림부재(22)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2)를 걸핀(25)에 의해 걸려지는 걸홈(24)과 상기 걸홈(24)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대(12)에 마련하는 발판(2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마련하는 발판(20)을 각각 마련하되 각각의 발판(20)을 연결부재(27)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27)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며,
상기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 지지대(12)의 상부로 걸려지는 연결부재(27)를 마련하도록 하여 다수개 지지대(12)에 걸려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주(1)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전주(1)의 외주연에 작업발판(10)을 고정시켜 작업한 후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시 작업발판(10)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주(1)의 외주연에 본 발명의 작업발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가 연결대(11)의 자리면(14)을 전주(1)의 외주연에 밀착시키면 오목하게 형성한 자리면(14)과 연결대(11)에 의해 전주(1)의 외주연과 밀착시켜 공간부(13)를 마련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13)로 전주(1)로 작업되는 전선 또는 통신 케이블(4)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자리면(14)을 전주(1)의 외주연에 밀착시킨 후 자리면(14)의 고리(15)를 통해 고정벨트(2)를 끼운 후 전주(1)의 외주연을 감아 일측의 고정구(3)로 고정시키게 하여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2)를 전주(1)의 외주연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주(1)의 외주연에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대(12)에 작업자가 직접 발을 딛고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자 하면 작업자의 발이 딛는 면적이 넓어 발을 편하고 안전하게 하는 발판(20)을 마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주(1)의 외주연에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발판(20)의 하부에 걸림부재(22)의 사이에 마련한 걸부(21)를 끼운 후 걸림부재(22)의 투입홈(23)을 통해 걸핀(25)을 투입시켜 지지대(12)의 하부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홈(24)에 위치시키게 하여 걸핀(25)에 의해 걸림부재(22)의 사이에 마련한 지지대(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다수개의 지지대(12)에 걸려 고정되는 발판(20)이 흔들림 없이 고정하도록 하여 작업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1 : 전주 2 : 고정벨트
3 : 고정구 4 : 케이블
10 : 작업발판 11 : 연결대
12 : 지지대 13 : 공간부
14 : 자리면 15 : 고리
20 : 발판 21 : 걸부
22 : 걸림부재 23 : 투입홈
24 : 걸홈 25 : 걸핀
26 : 피난홈 27 : 연결부재

Claims (5)

  1. 전주(1)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밀착되는 자리면(14)을 마련하되,
    상기 자리면(14)은 전주(1)의 외주연과 양끝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간부(13)를 마련하고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상부에는 90도 간격으로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대(12)를 마련한 연결대(11)를 연결하며,
    상기 자리면(14)의 외면 하부에는 고리(15)를 마련하여 고정벨트(2)를 끼워 고정구(3)로 전주(1)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발판(20)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고 상기 발판(20)의 하부에는 지지대(12)를 끼움가능한 걸부(21)를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재(22)에는 지지대(12)의 하부로 걸핀(25)을 걸어 고정하는 걸홈(24)을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12)를 포함하는 발판(2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를 수용하는 걸부(21)를 양측의 걸림부재(22) 사이에 마련하되 상기 양측의 걸림부재(22)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2)를 걸핀(25)에 의해 걸려지는 걸홈(24)과 상기 걸홈(24)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하는 투입홈(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의 지지대(12) 상부로 마련하는 발판(20)을 각각 마련하되 각각의 발판(20)을 연결부재(27)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27)의 일측에는 자리면(14)의 공간부(13)와 간섭을 피하는 피난홈(26)을 마련하며,
    상기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각각의 발판(20) 하부로 연결대(11)의 중앙과 양측인 3방향으로 마련한 다수개 지지대(12)의 상부로 걸려지는 연결부재(27)를 마련하도록 하여 다수개 지지대(12)에 걸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3064A 2021-08-05 2021-08-05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KR10257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64A KR102579776B1 (ko) 2021-08-05 2021-08-05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64A KR102579776B1 (ko) 2021-08-05 2021-08-05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24A KR20230021324A (ko) 2023-02-14
KR102579776B1 true KR102579776B1 (ko) 2023-09-18

Family

ID=8522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64A KR102579776B1 (ko) 2021-08-05 2021-08-05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7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78Y1 (ko) 2001-01-08 2001-06-15 제룡산업주식회사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452B1 (ko) * 2003-10-30 2005-10-07 한국전력공사 벨트타입 전주용 밴드
KR200341985Y1 (ko) 2003-11-07 2004-02-14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발판
KR200345644Y1 (ko) 2003-12-12 2004-03-19 성화금속 주식회사 전주의 자동화 개폐기 작업 발판대
KR20070008937A (ko) * 2005-07-14 2007-01-18 신용오 이동통신 전주의 보조 작업대 인출 및 회전 장치
KR102297500B1 (ko) * 2019-07-11 2021-09-03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78Y1 (ko) 2001-01-08 2001-06-15 제룡산업주식회사 배전 제어함 관리용 작업발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24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776B1 (ko)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US5080193A (en) Improved hunter's ladder stand
KR102102935B1 (ko) 전신주 작업 발판대
KR101562227B1 (ko) 맨홀의 안전한 출입과 보행자 추락보호를 위한 다기능 맨홀 안전대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CN110565931A (zh) 一种组装式道路施工用脚手架
KR20210041451A (ko)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대
KR200466180Y1 (ko) 전신주 등반용 작업 발판
GB2195388A (en) Work platform assembly
CN209990112U (zh) 一种具备安全防护设施的建筑工程用脚手架
KR102652873B1 (ko) 전주용 지지대
KR102219389B1 (ko) 승주용 안전발판
CN212428053U (zh) 一种建筑施工用攀爬梯
KR20110002720U (ko) 고소 작업용 우마 사다리
KR102075910B1 (ko) 화재시 비상대피가 가능한 건축용 실외기 거치대 구조
KR200412678Y1 (ko) 지그재그 승탑 사다리
KR20000012050U (ko) 건축공사용 작업대
CN21317475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安全脚架
CN215054725U (zh) 一种用于高层消防楼梯的防护结构
KR102633665B1 (ko) 전신주용 발판
CN216974718U (zh) 一种多功能安全工程梯
JP3208865U (ja) 基礎工事用足場
KR20130002098U (ko) 전주용 슬라이딩 사다리
JP2527428Y2 (ja) 枠組足場
KR20240027425A (ko) 전주 인력오름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