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13B1 - 난간틀 - Google Patents

난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13B1
KR102086713B1 KR1020190086877A KR20190086877A KR102086713B1 KR 102086713 B1 KR102086713 B1 KR 102086713B1 KR 1020190086877 A KR1020190086877 A KR 1020190086877A KR 20190086877 A KR20190086877 A KR 20190086877A KR 102086713 B1 KR102086713 B1 KR 10208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pe
fastening
handrail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주)동은에프앤씨
(주)범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은에프앤씨, (주)범강 filed Critical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9008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13B1/ko
Priority to KR1020200017359A priority patent/KR102294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13B1/ko
Priority to PCT/KR2020/005881 priority patent/WO20210105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간틀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비계(100)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본체(200),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1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체결부(300), 및 본체(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2 파이프(1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간틀{Banister}
본 발명은 난간틀에 관한 것이다.
비계는 건설, 건축 등의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서 사람,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시설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사용하는 비계는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조합하여 기본골격을 형성하고, 수평파이프에 발판이 설치된다. 이때, 비계에는 작업자나 자재 등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에 안전망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망은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안전망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 작업자나 자재 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빠짐이나 자재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하기 위해서 발판의 측면에 직립되는 토보드(toe board)를 설치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토보드는 발판으로부터 낮은 높이로만 설치되므로, 작업자나 자재 등의 추락을 완벽히 방지하기 어렵다.
KR 10-1979700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나란히 설치된 2개의 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본체를 이용하여 커버함으로써, 작업자나 자재 등의 추락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난간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파이프가 삽입된 후, 상기 본체가 회전되어 상기 제2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체결부의 면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1 소정면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체결부의 면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2 소정면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소정면과 상기 제2 소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의 거리보다 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가 결합되는 U자형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절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인 일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절곡된 후,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타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제1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제1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기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기 제2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고정돌기는 N개(N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N개를 초과하는 M개(M은 자연수)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될 때, 상기 제2 고절돌기는 L개(L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L개를 초과하는 P개(P는 자연수)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고정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1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후크부가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2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후크부가 걸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에는 상기 본체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3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소정의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소정거리 이상의 영역에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간틀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는 판형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란히 설치된 2개의 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본체를 이용하여 커버함으로써, 작업자나 자재 등의 추락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체결부를 채용함으로써, 본체를 2개의 파이프에 쉽게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이 설치된 비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비계(100)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본체(200),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1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체결부(300), 및 본체(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2 파이프(1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은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100, 도 1 참조)등에 설치될 수 있다. 비계(100)는 다수의 수직파이프(140)와 수평파이프(130)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파이프(13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발판(1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은 발판(150)의 상측 공간 측면에 직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틀은 본체(200), 제1 체결부(300), 및 제2 체결부(400)를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200)는 비계(100) 등에 설치된 발판(150) 상의 측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체(200)는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제1,2 파이프(110, 120)는 비계(100)를 구성하는 수평파이프(130)의 일부로 제1 파이프(110)는 발판(150)의 상측 공간 측면에 배치되고, 제2 파이프(120)는 제1 파이프(110)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에 본체(200)가 배치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210)와 테두리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커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21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커버부(220)보다 두꺼운)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본체(200)가 충분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20)는 상대적으로 얇은(테두리부(210)보다 얇은)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테두리부(210) 내부의 공간을 커버한다. 이때, 커버부(220)는 다수의 막대형부재(221)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X자로 교차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막대형부재(221) 사이 또는 막대형부재(221) 자체에는 소정의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223)이 형성되어, 강풍 등에 의해서 본체(200)가 제1,2 파이프(110, 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버부(220)의 하단에는 제1,2 파이프(110, 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부재(225)가 형성되고, 관통홀(22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220)의 하측에는 판형부재(225)가 형성됨으로써, 커버부(220)의 하측을 통해서 자재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다수의 관통홀(223)은 본체(200) 중 제1 파이프(110)로부터 소정거리(L) 이상의 영역에만 형성되고, 본체(200) 중 제1 파이프(110)로부터 소정거리(L) 이내의 영역에는 판형부재(225)가 구비되고 관통홀(223)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본체(200)의 일측(하측)에는 제1 체결부(300)가 구비되고, 본체(200)의 타측(상측)에는 제2 체결부(400)가 구비되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체(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300)는 본체(200)와 제1 파이프(11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체(200)의 일측(하측)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1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300)는 제1 파이프(110)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제2 파이프(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310a)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제1 체결부(300)는 원호로 연장된 크램프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에 제1 개방부(310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체결부(300)는 제1 개방부(310a)를 통해서 제1 파이프(110)가 체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300)는 일측(하측)에 제1 개방부(310a)가 형성되어 제1 파이프(110)가 결합되는 U자형의 제1 결합부(310), 및 제1 결합부(310)와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결합부(310)와 본체(2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2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200)의 테두리부(210)로부터 제1 결합부(310)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20)는 제1 파이프(110) 및 제2 파이프(120)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인 일방향(B)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절곡된 후, 일방향(B)과 반대인 타방향(C)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탄성부(320)는 절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200)에 대해서 제1 체결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탄성부(320)는 반드시 절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320)가 제1 체결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은 제1,2 파이프(110, 120)에 강력하게 체결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체결부(300)는 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300)는 제1 지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20)의 일단에 제1 결합부(310)가 배치될 때, 제1 지지부(330)는 탄성부(320)의 타단에는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일측(하측)에 접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일측(하측)에는 제1 고정홀(340)이 형성되고, 제1 체결부(300)의 제1 지지부(330)에는 제1 고정홀(340)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3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330)의 제1 고정돌기(350)가 본체(200)의 제1 고정홀(340)에 삽입되면서, 제1 체결부(300)는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일측(하측)에 제1 고정홀(340)이 형성되고, 제1 체결부(300)에 제1 고정돌기(35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일측(하측)에 제1 고정돌기(350)가 형성되고, 제1 체결부(300)에 제1 고정홀(3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고정돌기(350)는 N개(N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제1 고정홀(340)은 본체(200)의 길이방향(제1 파이프(110)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N개를 초과하는 M개(M은 자연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돌기(350)는 2개가 형성되고, 제1 고정홀(340)은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돌기(350)의 개수보다 제1 고정홀(340)의 개수를 많이 형성함으로써, 제1 체결부(300)를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며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110)의 사이즈 등 비계(100)의 다양한 구조에 대응하여, 제1 체결부(300)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300)가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외측에 결합될 때, 제1 고정돌기(350)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1 후크부(355)가 형성되고,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내측에는 본체(200)의 테두리부(210)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돌기(350)의 제1 후크부(355)가 본체(200)의 제1 돌출부(360)에 걸릴 수 있고, 이때 제1 체결부(300)와 본체(200) 사이에는 강력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400)는 본체(200)와 제2 파이프(1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체(200)의 타측(상측)에 구비되어 제2 파이프(1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부(400)는 제2 파이프(120)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제1 파이프(110) 및 제2 파이프(120)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 방향(이하 소정방향(A))으로 개방된 제2 개방부(410a)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제2 체결부(400)는 원호로 연장된 크램프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방향(A)으로 제2 개방부(410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체결부(400)는 제2 개방부(410a)를 통해서 제2 파이프(120)가 체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400)는 상기 소정방향(A)으로 제2 개방부(410a)가 형성되어 제2 파이프(120)가 결합되는 U자형의 제2 결합부(410), 및 제2 결합부(410)와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사이에 형성된 제2 지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430)는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타측(상측)에 접촉한다. 또한,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타측(상측)에는 제2 고정홀(440)이 형성되고, 제2 체결부(400)의 제2 지지부(430)에는 제2 고정홀(440)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45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430)의 제2 고정돌기(450)가 본체(200)의 제2 고정홀(440)에 삽입되면서, 제2 체결부(400)는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타측(상측)에 제2 고정홀(440)이 형성되고, 제2 체결부(400)에 제2 고정돌기(45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타측(상측)에 제2 고정돌기(450)가 형성되고, 제2 체결부(400)에 제2 고정홀(4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고정돌기(450)는 L개(L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제2 고정홀(440)은 본체(200)의 길이방향(제2 파이프(120)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L개를 초과하는 P개(P는 자연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돌기(450)는 2개가 형성되고, 제2 고정홀(440)은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고정돌기(450)의 개수보다 제2 고정홀(440)의 개수를 많이 형성함으로써, 제2 체결부(400)를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며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이프(120)의 사이즈 등 비계(100)의 다양한 구조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400)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부(400)가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외측에 결합될 때, 제2 고정돌기(450)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2 후크부(455)가 형성되고,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내측에는 본체(200)의 테두리부(210)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돌기(450)의 제2 후크부(455)가 본체(200)의 제2 돌출부(460)에 걸릴 수 있고, 이때 제2 체결부(400)와 본체(200) 사이에는 강력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체결부(400)의 제2 지지부(430)에는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타측(상측)과 마주보도록 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47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후크부(455)가 제2 돌출부(460)에 걸릴 때, 제3 돌출부(470)가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외면과 접촉하므로, 제2 체결부(400)는 본체(200)의 테두리부(210) 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개방부(310a)를 통해서 제1 체결부(300)에 제1 파이프(110)를 삽입시킨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를 기준으로 본체(200)를 회전시켜, 제2 개방부(410a)를 통해서 제2 체결부(400)에 제2 파이프(120)를 삽입시킨다.
즉, 제1 체결부(300)에 제1 파이프(110)를 삽입시킨 후, 본체(200)를 회전시켜, 제2 체결부(400)에 제2 파이프(120)를 삽입시킴으로써, 난간틀과 제1,2 파이프(110, 120) 사이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가 비계(100)의 발판(150) 위에서 본체(2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제1,2 체결부(300, 400)과 제1,2 파이프(110, 120)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와 접촉하는 제1 체결부(300, 제1 결합부(310))의 면 중 본체(200)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1 소정면(X)으로 정의하고, 제2 파이프(120)와 접촉하는 제2 체결부(400, 제2 결합부(410))의 면 중 본체(200)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2 소정면(Y)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 소정면(X)과 제2 소정면(Y) 사이의 거리(L1)는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의 사이의 거리(L2)보다 멀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300)와 제2 체결부(400) 사이의 간격(L1)이 제1 파이프(11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의 간격(L2)보다 클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00)에는 제1 결합부(310)와 본체(2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300)에 제1 파이프(110)를 삽입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를 회전시킨 후, 탄성부(320)를 α만큼 수축시킴으로써, 제2 체결부(400)에 제2 파이프(12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320)를 α만큼 수축시킨 상태에서 제2 체결부(400)에 제2 파이프(120)를 삽입시키면, 탄성부(320)는 제1 체결부(300)에 본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 체결부(300)와 제1 파이프(110)의 체결력 및 제2 체결부(400)와 제2 파이프(120) 사이의 체결력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비계 110: 제1 파이프
120: 제2 파이프 130: 수평파이프
140: 수직파이프 150: 발판
200: 본체 210: 테두리부
220: 커버부 221: 막대형부재
223: 관통홀 225: 판형부재
300: 제1 체결부 310: 제1 결합부
310a: 제1 개방부 320: 탄성부
330: 제1 지지부 340: 제1 고정홀
350: 제1 고정돌기 355: 제1 후크부
360: 제1 돌출부 400: 제2 체결부
410: 제2 결합부 410a: 제2 개방부
430: 제2 지지부 440: 제2 고정홀
450: 제2 고정돌기 455: 제2 후크부
460: 제2 돌출부 470: 제3 돌출부
L: 소정거리 A: 소정방향
B: 일방향 C: 타방향
X: 제1 소정면 Y: 제2 소정면
L1: 제1,2 소정면 사이의 거리 L2: 제1,2 파이프 사이의 거리

Claims (15)

  1.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에 결합되는 난간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제1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제1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기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기 제2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난간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난간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파이프가 삽입된 후, 상기 본체가 회전되어 상기 제2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난간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난간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체결부의 면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1 소정면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체결부의 면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제2 소정면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소정면과 상기 제2 소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의 거리보다 먼 난간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가 결합되는 U자형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난간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절곡되는 난간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와 평행한 가상면에 수직인 일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절곡된 후,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타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난간틀.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고정돌기는 N개(N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N개를 초과하는 M개(M은 자연수)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될 때,
    상기 제2 고절돌기는 L개(L은 자연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L개를 초과하는 P개(P는 자연수)가 형성되는 난간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고정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1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후크부가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의 제2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후크부가 걸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난간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에는 상기 본체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3 돌출부가 형성된 난간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소정의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난간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소정거리 이상의 영역에만 형성되는 난간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는 판형부재가 구비되는 난간틀.
KR1020190086877A 2019-07-18 2019-07-18 난간틀 KR10208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77A KR102086713B1 (ko) 2019-07-18 2019-07-18 난간틀
KR1020200017359A KR102294304B1 (ko) 2019-07-18 2020-02-13 난간틀
PCT/KR2020/005881 WO2021010580A1 (ko) 2019-07-18 2020-05-04 난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77A KR102086713B1 (ko) 2019-07-18 2019-07-18 난간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359A Division KR102294304B1 (ko) 2019-07-18 2020-02-13 난간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713B1 true KR102086713B1 (ko) 2020-03-09

Family

ID=6980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77A KR102086713B1 (ko) 2019-07-18 2019-07-18 난간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713B1 (ko)
WO (1) WO20210105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80A1 (ko) * 2019-07-18 2021-01-21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KR20220160394A (ko) * 2021-05-27 2022-12-06 정진수 아케이드 지붕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아케이드 지붕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40Y1 (ko) * 2008-11-18 2012-01-31 주식회사 동성진흥 작업용 안전발판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9-05-17 (주)동은에프앤씨 토보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3975B2 (ja) * 2003-04-30 2007-08-08 信和株式会社 建築足場用幅木
JP5379668B2 (ja) * 2009-12-18 2013-12-25 辰雄 小野 足場装置
KR102086713B1 (ko) * 2019-07-18 2020-03-09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40Y1 (ko) * 2008-11-18 2012-01-31 주식회사 동성진흥 작업용 안전발판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9-05-17 (주)동은에프앤씨 토보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80A1 (ko) * 2019-07-18 2021-01-21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KR20220160394A (ko) * 2021-05-27 2022-12-06 정진수 아케이드 지붕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아케이드 지붕 설치방법
KR102565637B1 (ko) * 2021-05-27 2023-08-09 정진수 아케이드 지붕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아케이드 지붕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580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895B2 (ja) 飛散防止装置
KR102086713B1 (ko) 난간틀
JP5654710B1 (ja) 親綱支柱
KR100918456B1 (ko)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JP2002004572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101699425B1 (ko) 비계용 안전발판
KR102294304B1 (ko) 난간틀
JP3215591U (ja) 足場用幅木
JP2002371706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装置
JP6970610B2 (ja) 建物の施工方法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EP2325416B1 (en) Perimeter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JP5875000B2 (ja) 仮設用手摺
JP7239292B2 (ja) 仮設足場の墜落防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隙間閉塞部材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KR20180107396A (ko) 빔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20180107394A (ko)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20200061065A (ko) 추락 방지용 안전발판 시스템
JP2021032051A (ja) 飛散防止装置及び飛散防止方法
KR20180002609U (ko) 아파트 동출입구의 안전망 설치세트
JP3523551B2 (ja) 床付き布枠
JP3205252U (ja) 養生柵の可動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