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60B1 -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60B1
KR102291060B1 KR1020180059762A KR20180059762A KR102291060B1 KR 102291060 B1 KR102291060 B1 KR 102291060B1 KR 1020180059762 A KR1020180059762 A KR 1020180059762A KR 20180059762 A KR20180059762 A KR 20180059762A KR 102291060 B1 KR102291060 B1 KR 10229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racket
safety net
bracket assembl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299A (ko
Inventor
김정택
노학만
송길섭
이화복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5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벽체 개구에 설치된 창틀의 실내측에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안전망의 간단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철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 및 마감재의 시공 등의 후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한 창틀 고정형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Window frame fixed safety net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설치용 벽체 개구에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으로 사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낙하물 방지장치는 주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창호나 난간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체 개구에 설치되어 건축 부자재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해준다.
그러나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는 벽면에 단열재 또는 석고보드와 같은 마감재를 시공하는 시점에서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거되므로 안전 확보라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종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503호(공개일: 2011.06.02) 등으로 '낙하물 방지장치'가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게 시공되어 창호나 안전 난간대의 설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난간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파이프 고정구가 건물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 고정구를 설치 및 해체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고정구의 해체 시 벽체 개구에 설치된 창호나 난간에 가로막혀 건물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 고정구를 해체하기가 까다롭다.
또한 상기 파이프 고정구는 주로 앙카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됨에 따라, 공사 완료 후 상기 파이프 고정구를 철거하는 경우 외벽면에 남게 되는 앙카 설치홈을 다시 메워야 하는 등 추가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벽체 개구에 설치된 창틀의 실내측에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안전망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철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 및 마감재의 시공 등의 후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한 창틀 고정형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는, 벽체 개구에 설치된 창틀의 외측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걸고리가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창틀의 개구 내측으로 연장 배치됨과 아울러 연결고리 설치용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창틀의 단턱부를 사이에 두고 맞대지도록 상기 창틀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과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벽체 개구에 설치된 창틀의 실내측에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안전망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측 벽면에 단열재 및 마감재 설치 등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실내측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에 안전띠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내측 입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실내측 입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1)는 크게,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브라켓(100)은 벽체 개구(W)에 설치된 창틀(10)의 외측면에 걸림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브라켓(100)은 일측에 걸고리(1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창틀(10)의 개구부(S) 측으로 연장 배치됨과 아울러 연결고리(300) 설치용 관통공(130)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브라켓(100)은 일측의 걸고리(120)가 창틀(10) 외측면의 끼움홈(12)에 걸린 상태에서 타측이 창틀(10)의 실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태의 면접부(11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걸고리(120)의 끝단은 끼움홈(12)에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끼움홈(12)은 창틀(1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 시 압출성이 좋도록 하거나, 창호 시공 시 별도의 마감재를 끼움 결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브라켓(200)은 제1브라켓(100)과 창틀(10)의 실내측 단턱부(11)를 사이에 두고 맞대지도록 창틀(1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브라켓(200)의 면접부(210)는 창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브라켓(200)은 제1브라켓(100)의 체결공(111)과 연통되는 체결공(211)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111)(211)에 체결부재(140)가 체결됨에 따라 제1, 2브라켓(100)(200)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40)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체결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결부재(140)의 체결 시 너트의 분실 방지나 체결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체결공(111)(211)이 제각기 형성된 제1, 2브라켓(100)(2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너트를 일체로 고정해주는 경우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재(140) 고정용 체결공(111)(211)의 내주면에 암나사(Tap)를 형성하여 너트 없이 볼트의 체결만으로 체결부재(140)의 간단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브라켓 조립체(1)는, 창틀(10)의 수직이나 수평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칭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칭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 조립체(1)가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두에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도 1 참조).
한편, 상기 제1브라켓(100)의 연결고리 설치용 관통공(130)에는 창틀(10)의 개구부(S)를 막아주는 안전망(400)을 제1브라켓(100)에 설치해줄 수 있도록 연결고리(30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연결고리(300)는 브라켓 조립체(1)와 안전망(400)을 안정적으로 결속시켜줌과 아울러,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카라비너(carabin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고리 설치용 관통공(130)이 제1브라켓(100)에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공(130)이 제2브라켓(200)에 형성된 경우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형 브라켓 조립체(1)를 이용한 안전망(400)의 설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벽체 개구(W)에 설치된 창틀(10)의 개구부(S)에 안전망(4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조립체(1)를 창틀(10)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소정 지점에 이격되게 설치한다. 즉 브라켓 조립체(1)는 연결고리(300)를 매개로 설치되는 안전망(400)의 걸림공(411) 위치에 복수 개를 대응되게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 조립체(1)는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을 창틀(10)의 실내측 단턱부(11)를 사이에 두고 맞댄 후 체결부재(14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됨으로써, 벽체에 별도의 앙카볼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상기 브라켓 조립체(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브라켓(100)에 구비된 관통공(130)에 연결고리(3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안전망(400)을 설치해준다.
상기 안전망(400)은 그물 형태로 형성되며, 창틀(10)의 개구부(S) 면적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망(400)은 개구부(S)의 전 면적을 고르게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안전망(400)의 테두리와 그 중앙부에 격자 모양의 안전띠(41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 조립체(1)에는 상기 안전망(400)을 제외한 안전띠(410)만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 조립체(1)를 상기 창틀(10)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하되, 상기 창틀(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그 설치 개수를 가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띠(410)는 안전망(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 및 해체 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빠른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1)는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 외벽에 앙카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안전망(400) 또는 안전띠(410)를 포함한 브라켓 조립체(1)가 상기 창틀(10)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후속 공정, 예컨대 벽체 단열재 또는 석고보드와 같은 마감재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창틀(10) 내에 창짝(미도시)을 설치하여도 창짝을 여닫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브라켓 조립체(1)는 해체 시 제품에 손상을 주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하층 작업 완료 후 상층 작업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 : 개구부 1 : 브라켓 조립체
10 : 창틀 11 : 단턱부
12 : 끼움홈 100 : 제1브라켓
110 : 면접부 111 : 체결공
120 : 걸고리 130 : 관통공
140 : 체결부재 200 : 제2브라켓
210 : 면접부 211 : 체결공
300 : 연결고리 400 : 안전망
410 : 안전띠 411 : 걸림공

Claims (7)

  1. 벽체 개구(W)에 설치된 창틀(10)의 외측면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창틀(10)의 개구부(S) 내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1브라켓(100); 및
    상기 제1브라켓(100)과 상기 창틀(10)의 단턱부(11)를 사이에 두고 맞대지도록 상기 창틀(10)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100)과 체결부재(140)를 매개로 고정되는 제2브라켓(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브라켓(200)은 상기 창틀(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되, 상기 창틀(10) 내주면 단턱부(11)의 수직면을 따라 절곡된 상태에서 수평면을 따라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3단의 연속적인 절곡을 통해 상기 제2브라켓(200)과 상기 창틀(10)이 세면의 면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100)의 일측에는 상기 창틀(10) 외측면의 함몰된 형태의 끼움홈(12)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끼움홈(12)의 저면 턱에 걸리도록 선단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걸고리(120)로 구성된 것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00)의 타측에는,
    연결고리 설치용 관통공(130);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30)에는,
    안전망(400) 또는 안전띠(410) 설치용 연결고리(300)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40)는,
    상기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에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 체결공(111)(211)에 체결되는 것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창틀(10)의 수직이나 수평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인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20180059762A 2018-05-25 2018-05-25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229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62A KR102291060B1 (ko) 2018-05-25 2018-05-25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62A KR102291060B1 (ko) 2018-05-25 2018-05-25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99A KR20190134299A (ko) 2019-12-04
KR102291060B1 true KR102291060B1 (ko) 2021-08-18

Family

ID=6900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62A KR102291060B1 (ko) 2018-05-25 2018-05-25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04B1 (ko) 2021-12-27 2022-07-27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브라켓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583Y1 (ko) *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KR100599003B1 (ko) * 2003-10-06 2006-07-12 서종대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04B1 (ko) 2021-12-27 2022-07-27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브라켓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99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326B1 (ko)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US9470013B2 (en) Adjustable railing
KR200426209Y1 (ko)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KR102291060B1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2123459B1 (ko) 건축 외장용 기능성 판넬
CN205530924U (zh) 格栅的组装装置
JP6431876B2 (ja) 外壁パネ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金物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2168199B1 (ko) 안전로프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KR200480076Y1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KR102219815B1 (ko) 건물 옹벽 고정형 곤도라
KR20070112439A (ko) 가변 확장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0907795B1 (ko) 신축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200376612Y1 (ko) 사다리의 고정 구조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1820695B1 (ko)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KR102339689B1 (ko) 창호 시공용 안전보호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