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53Y1 -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 Google Patents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53Y1
KR200324353Y1 KR20-2003-0017326U KR20030017326U KR200324353Y1 KR 200324353 Y1 KR200324353 Y1 KR 200324353Y1 KR 20030017326 U KR20030017326 U KR 20030017326U KR 200324353 Y1 KR200324353 Y1 KR 200324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rtion
upper hook
stone panel
hang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주
Original Assignee
(주)대경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강건 filed Critical (주)대경강건
Priority to KR20-2003-0017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lass elements, i.e. wherein an outer layer is not of glas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면과 이격된 상부 걸이부, 및 상부 걸이부와 대향하는 하부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및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에 걸리는 상부 후크부, 및 하부 걸림턱에 수용되는 하부 후크부를 가지고 석재판넬의 배면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건축물의 외벽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판넬 시공유니트{CONSTRUCTING UNIT FOR STONE EXTERIOR WALL}
본 고안은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중에는, 그 외벽면에 대리석이나 화강암등과 같은 석재판넬을 커튼월형태로 마감시공하여, 외관의 미를 향상시킨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석재판넬들이 건축물에 커튼월형태로 설치되는 일반적인 시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석재판넬(30)들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자형 트러스(20)를 통해 건축물(10)에 커튼월형태로 설치가능하다.
트러스(20)는 알루미늄등과 같은 철재빔을 격자형상으로 용접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트러스(20)는 브라켓(41, 42) 및 볼트(43)를 사용하여 건축물(10)에 고정된다. 석재판넬(30)은 한편, 이러한 트러스(20)의 전면에 복수의체결부품(51, 52, 53, 54, 55, 56, 59)들을 매개하여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건축용 석재판넬들이 건축물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러스(20)의 전면에는 고정구(55)가 설치되고, 석재판넬(30)의 배면에는 결합구(52)가 설치된다. 이들 고정구(55)와 결합구(52)는 체결부재(58)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석재판넬(30)의 상부에는 다른 석재판넬(30)을 커튼월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부품(53, 54)들이 설치된다.
고정구(55)는 "L"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 판면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55)는 트러스(20)의 전면에 돌출된 지지리브(56)에 지지된 후, 후방으로부터 수평부재(22) 및 그 상부 체결공을 관통하여 지지리브(56)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9)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구(55)의 하부 체결공은 석재판넬(30)의 배면에 결합된 결합구(52)와 결합된다.
결합구(52)도 또한 "L"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 판면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52)는 그 하부 체결공을 관통하여 석재판넬(30)의 배면에 결합되는 앵커볼트(51)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구(52)가 석재판넬(30)에 설치되면 한편, 그 결합구(52)와 트러스(20)에 고정된 고정구(55)를 체결부재(58)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구(55)에 결합된 결합구(52)의 상부에는 촉(53)이 결합된다. 촉(53)은 촉볼트(53)를 사용하여 결합가능하며, 결합구(52)가 설치된 석재판넬(30)의 상부에 다른 석재판넬(30)을 커튼월형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트러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고정구(55)를 설치하는 작업과, 석재판넬(30)의 배면에 결합구(52)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된다. 그리고, 체결부재(58)을 사용하여 트러스(20)에 설치된 일측 고정구(55)에 석재판넬(30)의 결합구(52)를 결합시킨다. 한편, 트러스(20)의 전면에 석재판넬(30)이 고정되면, 촉(53)을 사용하여 석재판넬(30)의 상부에 다른 석재판넬(3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석재판넬(30)들은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설치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시공하기 위하여,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필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건축물에 고정구를 설치하고 석재판넬의 배면에 결합구를 설치하는 이외에, 이들 고정구와 결합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체결시켜야 하며, 또한, 촉을 사용하여 석재판넬의 상부에 다른 석재판넬을 지지시켜야 하는 등, 다수의 부품들을 사용한 번거로운 작업으로 시공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인원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석재판넬을 건축물에 설치하는 작업은 통상적으로, 비계나 곤도라를 타고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만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높아지는 것이다.
종래에는 또한, 석재판넬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부품들이 많기 때문에, 건축물 외장벽체를 시공하는 비용이 증가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간단한 구성의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외벽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자재들을 적재시킬 공간을 시공현장에 마련할 필요없고 또한 그 수고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석재판넬들이 건축물에 커튼월 형태로 설치되는 일반적인 시공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종래의 시공유니트를 통해 석재판넬들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매개하여 석재판넬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배면 사시도로서, 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의해 석재판넬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의해 석재판넬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건축물 30 : 석재판넬
100 : 시공유니트 110 : 고정브라켓
111 : 브라켓고정판부 115 : 상부 걸이부
116, 118: 플랜지 117 : 물림턱
125 : 하부 걸림턱 128 : 돌출리브
129 : 출입구 130 : 행거
131 : 판넬고정판부 141 : 상부 후크부
147 : 하부후크부 150 : 높이조절부재
151 : 조절공 170 : 거리조절부재
180 : 앵커볼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건축용 시공판넬 시공유니트는, 따른 건축물의 외벽면과 이격된 상부 걸이부, 및 상기 상부 걸이부와 대향하는 하부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에 걸리는 상부 후크부, 및 상기 하부 걸림턱에 수용되는 하부 후크부를 가지고 석재판넬의 배면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상부 걸이부와 상기 하부 걸림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걸이부는,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상기 석재판넬을 향해 평행하게 이중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행거의 상부 후크부와 맞물리는 물림턱을 가지고; 상기 하부 걸림턱은, 상기 상부 걸이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행거의 하부 후크부의 출입시키는 출입구를 가지는 것으로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행거는, 상기 상부 후크부와 상기 하부 후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에 고정되는 판넬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후크부는 상기 판넬고정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를 향해 굽힘가공되고; 상기 하부 후크부는 상기 판넬고정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걸림턱과 맞물리도록 굽힘가공된 것으로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이 때, 상기 행거의 상부 후크부에 형성된 조절공을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에 접면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한 상기 행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재판넬과 상기 행거 사이에는 한편, 상기 석재판넬에 대한 상기 행거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한 이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의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동일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매개하여 석재판넬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100)는, 도면을 참조하면, 건축물(1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과, 석재판넬(30)에 설치되어 고정브라켓(11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1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건축물(10)에 대한 석재판넬(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150), 및 건축물(10)에 대한 석재판넬(30)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부재(170)를 더 포함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은, 브라켓고정판부(111)를 중심으로 상부 걸이부(115)와 하부 걸림턱(125)을 구비한다. 브라켓고정판부(111)의 중앙부분에는 볼트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으로부터 볼트공(112)을 통해 예를 들어,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03, 104)에 의해 브라켓고정판부(111)는 고정가능하다.
상부 걸이부(115)는, 브라켓고정판부(111)의 상측 단부를 절곡시켜 건축물(10)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부 걸이부(115)는, 석재판넬(30)을 향해 이중절곡되어 상호 평행한 한 쌍의 플랜지(116, 118)와 이들 한 쌍의 플랜지(116, 118) 사이에 개재되는 물림턱(117)을 구비한다. 물림턱(117)은 한 쌍의 플랜지(116, 118) 즉, 상부 플랜지(118)와 하부 플랜지(116) 사이에서 단차부를 형성하며, 자세히 후술하는 행거(130)의 상부 후크부(141)를 걸림유지시킨다.
하부 걸림턱(125)도 또한, 브라켓고정판부(111)의 하측 단부를 석재판넬(30)을 향해 절곡(126)시킨 후 다시 상향 절곡(127)시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걸림턱(125)에는, 상향 절곡부(127)와 평행하도록 하측 절곡부(126)에서 상향 돌출된 리브(12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브(128)는 상향 절곡부(127)와의 사이에 상향 개구된 소정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행거(130)의 하부 후크부(147)는 이 하부 걸림턱(125)에 상향 개구된 출입구(129)를 통해 수용되어, 이탈방지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행거(130)는, 판넬고정판부(131)를 중심으로 상부 후크부(141)와 하부 후크부(147)를 가진다. 판넬고정판부(131)의 중앙부분에도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에서 이 볼트공(132)을 통해 관통하여 석재판넬(30)의 배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07, 108)에 의해 판넬고정판부(131)는 고정가능하다. 석재판넬(30)에는 앵커볼트(180)가 고정체결되어 있어서, 체결부재(107, 108)는 이 앵커볼트와 체결된다. 판넬고정판부(131)의 하단부(135)에는 고정브라켓(110)의 하부 걸림턱(125)에 상향 이탈방지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후크부(141)는 판넬고정판부(131)의 상측 단부를 고정브라켓(110)을 향해 굽힘가공(143)한 후, 다시 하향 굽힘가공(145)하여 형성된다. 상부 후크부(141)의 하향 굽힘가공부(145)는 그 말단(146)의 단면 반경이 확경되어, 고정브라켓(110)의 상부 걸이부(115)를 구성하는 물림턱(117)과 탄성변형적으로 맞물린다. 그리고, 상부 후크부(141)의 상측 굽힘가공부(143)에는 조절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후크부(147)는, 판넬고정판부(131)의 하부영역 즉, 볼트공(132)의 하부로부터 고정브라켓(110)을 향해 하향 굽힘가공된다. 이 하부 후크부(147)는 판넬고정판부(131)의 하부 걸림턱(125)에 형성된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그 상향 절곡부(127) 및 돌출리브(128)와 내외측에서 접촉한다. 하부 후크부(147)의 단부영역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돌기(1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148)들은 고정브라켓(110)의 하부 걸림턱(125)에 형성된 돌출리브(128)에 상향 이탈방지적으로 걸림유지된다.
한편, 행거(130)의 판넬고정판부(131)와 석재판넬(30) 사이에는 거리조절부재(170)가 개재되어 있다. 이 거리조절부재(170)는 건물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설치되는 석재판넬(30)들을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건축물(10)의 외벽면과 석재판넬(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석재판넬(30)의 배면에는 이러한 거리조절부재(17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홈(185)이 함몰되어 있다.
그리고, 행거(130)의 상부 걸이부(141)에 형성된 조절공(151)에는 높이조절부재(150)가 결합된다. 이 높이조절부재(150)는 행거(130)의 조절공(151)에 결합되어, 그 하단부가 고정브라켓(110)의 상부 걸이부(115)와 접촉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150)를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행거(130)가 고정브라켓(110)에 대하여 상향이동하고, 타측 방향으로 돌리면 반대로 하향 이동한다. 이에 의해,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설치되는 석재판넬(30)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시공유니트(100)를 사용하여,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석재판넬(3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행거(130)와 고정브라켓(110)을 각각 석재판넬(30)과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설치한다. 고정브라켓(110)의 설치는, 그 판넬고정판부(111)에 형성된 볼트공(112)에 체결부재(103, 104)를 관통시켜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체결시킴으로써 간단히 수행가능하다. 건축물(10)의 외벽면에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고정브라켓(110)이 설치된다.
한편, 행거(130)를 설치하는 순서는, 우선 앵커볼트(180)를 석재판넬(30)의 배면에 고정시킨 후, 높이조절부재(150)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그 외측에 행거(130)를 끼운 후, 체결부재(107, 108)을 사용하여 이탈방지적으로 결합시킨다.이러한 행거(130)의 설치는, 고정브라켓(110)을 설치하는 작업이 건축물(10)의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예를 들어, 석재판넬(30)을 가공하는 작업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면, 행거(130)가 설치된 석재판넬(30)을 시공현장으로 옮기면서 바로 건축물(10)의 외벽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1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시공현장에 석재판넬(30)을 쌓아둘 필요없이 석재판넬(30)을 옮기면서 바로 설치할 수 있어서, 적재공간이나 적재를 위한 노동력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석재판넬(30)을 설치하는 작업은 그 배면에 결합된 행거(130)의 상하 후크부(141, 147)를 고정브라켓(110)의 해당하는 상부 걸이부(115)와 하부 걸림턱(125)에 끼워 간단히 수행가능하다.
이렇게 석재판넬(30)들을 설치하면서, 한편으론 행거(130)의 조절공(151)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150)를 적절히 조정한다. 그러면, 석재판넬(30)들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하 및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축물(10)의 외벽면에 복수의 석재판넬(30)들을 커튼월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행거(130)와 석재판넬(30) 사이에 거리조절부재(170)가 개재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6의 다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조절부재 없이 결합된 후, 고정브라켓(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가 석재판넬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행거(130)는 석재판넬(30)의 배면에 위치결정홈(185)없이 거리조절부재(170)를 설치한 후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건축물의 외벽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가 제공된다.
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는,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자재들을 적재시킬 공간을 시공현장에 마련할 필요없고 또한 그 수고도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시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면과 이격된 상부 걸이부, 및 상기 상부 걸이부와 대향하는 하부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에 걸리는 상부 후크부, 및 상기 하부 걸림턱에 수용되는 하부 후크부를 가지고 석재판넬의 배면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상부 걸이부와 상기 하부 걸림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걸이부는,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상기 석재판넬을 향해 평행하게 이중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행거의 상부 후크부와 맞물리는 물림턱을 가지고;
    상기 하부 걸림턱은, 상기 상부 걸이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행거의 하부 후크부의 출입시키는 출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상부 후크부와 상기 하부 후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에 고정되는 판넬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후크부는 상기 판넬고정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를 향해 굽힘가공되고;
    상기 하부 후크부는 상기 판넬고정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걸림턱과 맞물리도록 굽힘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상부 후크부에 형성된 조절공을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걸이부에 접면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한 상기 행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넬과 상기 행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석재판넬에 대한 상기 행거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한 이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2003-0017326U 2003-06-03 2003-06-03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0324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26U KR200324353Y1 (ko) 2003-06-03 2003-06-03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26U KR200324353Y1 (ko) 2003-06-03 2003-06-03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53Y1 true KR200324353Y1 (ko) 2003-08-21

Family

ID=4941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26U KR200324353Y1 (ko) 2003-06-03 2003-06-03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53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40B1 (ko) * 2005-05-12 2007-04-09 정용주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0841565B1 (ko) * 2005-05-17 2008-06-26 김순호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101115411B1 (ko) 2009-08-18 2012-02-16 김국성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512883B1 (ko) 2012-11-08 2015-04-16 (주)엘지하우시스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KR102111251B1 (ko) * 2019-08-09 2020-05-14 이승진 건물 벽체 시공용 타일 조립체
KR20210017734A (ko) *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10135808A (ko) *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102345446B1 (ko) * 2021-04-15 2021-12-29 전치동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5467B1 (ko) * 2021-04-15 2021-12-29 전치동 연결브래킷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64842A (ko) 2020-11-12 2022-05-19 백종균 목조주택용 석재 커튼월 마감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40B1 (ko) * 2005-05-12 2007-04-09 정용주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0841565B1 (ko) * 2005-05-17 2008-06-26 김순호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101115411B1 (ko) 2009-08-18 2012-02-16 김국성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512883B1 (ko) 2012-11-08 2015-04-16 (주)엘지하우시스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KR102111251B1 (ko) * 2019-08-09 2020-05-14 이승진 건물 벽체 시공용 타일 조립체
KR20210017734A (ko) *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234306B1 (ko) * 2019-08-09 2021-03-31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10135808A (ko) *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102443212B1 (ko) * 2020-05-06 2022-09-13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20220064842A (ko) 2020-11-12 2022-05-19 백종균 목조주택용 석재 커튼월 마감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5446B1 (ko) * 2021-04-15 2021-12-29 전치동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5467B1 (ko) * 2021-04-15 2021-12-29 전치동 연결브래킷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CA27162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US9834940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US20130180190A1 (en) Evolving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331124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고정구조
US20150218795A1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130012422A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PH12016000211A1 (en) Hanging type vibration isolator
KR100540185B1 (ko)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JP2011157699A (ja) 建造物の外装仕上げパネル取り付け構造
KR101887261B1 (ko) 복합 외장패널
JP498603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35417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RU73890U1 (ru) Опорный узел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фасад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4155948B2 (ja) 建築物の改修構造
JP2010196333A (ja) 浴室用吊り架台
JP7142887B2 (ja) 手摺
JP2001115582A (ja) 壁パネルの立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