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640B1 -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640B1
KR100705640B1 KR1020050039542A KR20050039542A KR100705640B1 KR 100705640 B1 KR100705640 B1 KR 100705640B1 KR 1020050039542 A KR1020050039542 A KR 1020050039542A KR 20050039542 A KR20050039542 A KR 20050039542A KR 100705640 B1 KR100705640 B1 KR 10070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one
hole
build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928A (ko
Inventor
정용주
서대양
Original Assignee
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주 filed Critical 정용주
Priority to KR102005003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64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자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건축용 외, 내장재 석재를 건축물 벽체에 부착 및 고정시키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재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석재와 고정장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으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성이 높은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후면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에는 인서트가 삽입되어 있는 건축용 석재와 결합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서, 상기 건축용 석재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며 통과공이 면내에 형성된 제1수직부 및 면내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부로 구성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제1수평부 하단에 위치되는 제2수평부 및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물에 밀착 고정되는 제2수직부로 구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이 결합되도록 제1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공과 제2고정브라켓의 제2수평부 면내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의 상하 결합간격을 조정하며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볼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Fixing apparatus of stone panel for construction}
도 1a는 종래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석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의 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의 제1고정브라켓 및 높이조절용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의 제2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구조물 100 : 건축용 석재고정장치
110 : 건축용 석재 111 : 인서트(건축용 석재)
120 : 제1고정브라켓 121 : 제1수직부(제1고정브라켓)
121a : 통과공(제1고정브라켓) 121b : 고정볼트(제1고정브라켓)
122 : 제1수평부(제1고정브라켓) 122a : 높이조절공(제1고정브라켓)
130 : 제2고정브라켓 131 : 제2수직부(제2고정브라켓)
131a : 결합공(제2고정브라켓) 131b : 결합볼트(제2고정브라켓)
132 : 제2수평부 140 : 높이조절용볼트
141 : 조절볼트 141a : 통과공(높이조절용볼트)
142 : 고정스크류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대리석, 화강석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이 자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건축용 외, 내장재 석재를 건축물 벽체의 수직한 지지면 또는 절곡되는 보강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석재와 고정장치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으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높은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또는 상업용 빌딩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 벽면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석재를 설치하여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벽면 외측에 설치되는 석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몰탈과 같은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석재를 고정시키는 경우는 시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석재의 무게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축물의 벽면 외측에 석재 시공 시 별도의 석재고정장치를 이용한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석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10)는 소정의 너비와 높이를 가지며 면상에 장공 형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공 형태의 간격조절공(13)이 형성된 수평부(14)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5)와,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면상의 한쪽 끝에는 상기 간격조절공(13)과 대응되는 제1관통공(16)이 형성되고, 다른 쪽 끝에는 석재고정볼트(17)가 끼워지는 제2관통공(18)이 형성된 석재지지편(19)과,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수평부(14)상의 간격조절공(13)을 통하여 석재지지편(19)상의 제1관통공(16)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20)에 의하여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상기 수평부(14)의 외측단에 대한 석재지지편(19)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볼트(2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1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22) 외측에 석재(24)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먼저 받침대(15)를 구성하는 수직부(12) 안쪽면을 벽면(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1)을 통하여 벽면(22) 내측으로 앵커볼트(23)를 박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21)를 조여 주고 있는 너트(20)를 약간 풀어 유동되게 한 상태에서 간격조절공(13)의 범위 내에서 석재지지편(19)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고 다시 너트(20)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석재지지편(19)상의 외측단 윗쪽이나 아랫쪽에 설치하고자 하는 석재(24)를 정확히 일치시킨 다음, 제2관통공(18)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또는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석재고정볼트(17)를 끼워 석재(24)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형성된 삽입공(25)에 삽입하면 석재(24)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10)의 경우 석재(24)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상기 석재고정볼트(17)의 외경을 만족할 수 있는 삽입공(25)을 형성하여야 함으로 석재(24)의 측단면을 손상시키게 되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외부 충격이나 미세한 진동이 가해지게 될 경우 석재고정볼트(17)보다 크게 형성된 석재(24) 삽입공(25)의 여유공간으로 인해 석재(24)의 고정력이 약해지게 되어 석재(24)의 탈락을 초래하는 등 안전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내측에 인서트가 삽입된 고정공이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석재와 상기 석재 고정공에 용이 하게 결합되는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석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석재와 석재고정장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으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고, 시공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석재와 건축물간의 미세한 결합위치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은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며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에는 인서트가 삽입되어 있는 건축용 석재와 결합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서, 상기 건축용 석재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며, 건축용 석재의 고정공 인서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통과공이 면내에 형성된 제1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와 연속되며 면내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부로 구성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제1수평부 하단에 위치되는 제2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의 일끝단과 연속되며 면내에 결합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물에 밀착 고정되는 제2수직부로 구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공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이 결합되도록 제1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공과 제2고정브라켓 의 제2수평부 면내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의 상하 결합간격을 조정하며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내측에 인서트가 삽입된 고정공이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석재와 상기 석재 고정공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석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석재와 석재고정장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으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고, 시공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석재와 건축물간의 미세한 결합위치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제1고정브라켓(120) 및 높이조절용볼트(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제2고정브라켓(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상기 건축용 석재(110)는 대리석, 화강석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이 자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건축용 외, 내장재 석재로써, 일정 폭과 넓이를 가지며 후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에는 인서트(111)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건축용 석재(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석재고정장치(10)가 석재(24)의 측단면을 손상시켜 석재고정볼트(17)의 외경을 만족할 수 있는 삽입공(25)을 형성하였던 것과는 달리 건축용 석재(110)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석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건축용 석재(110)의 고정공과 인서트(111) 사이에는 에폭시가 그라우팅되어 있어 인서트(111)가 석재 고정공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후 술되는 바와 같이 석재의 고정공 인서트(111)에 삽입되는 제1고정브라켓(120)과 건축용 석재(110)는 시공 후 미세한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게 되어 궁극적으로 건축용 석재(110)의 탈락이 초래되지 않고 건축용 석재(110)와 석재고정장치(10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게 된다.
도 2a, 도 2b,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제1고정브라켓(120)은 건축용 석재(110)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브라켓으로써, 대략 'ㅏ'형상을 가지며 제1수직부(121) 및 제1수평부(1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고정브라켓(120)의 제1수직부(121)에는 건축용 석재(110)의 고정공 인서트(111)에 일단이 체결되는 고정볼트(121b)가 관통되는 통과공(121a)이 면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수평부(122)에는 면내에 높이조절공(1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공(122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볼트(140)와의 결합이 손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제1고정브라켓(120)과 제2고정브라켓(130)의 상하 결합간격 또한 용이하게 조절되어 궁극적으로 시공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석재와 건축물간의 미세한 결합위치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 (100)의 제2고정브라켓(130)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20)과 결합되며 건축 구조물(1)에 밀착 고정되는 브라켓으로써, 대략 'ㅓ'형상을 가지며 제2수직부(131) 및 제2수평부(1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고정브라켓(130)의 제2수평부(132)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120)의 제1수평부(122) 하단에 위치되고, 제2수직부(131)는 제2수평부(132)의 일끝단과 연속되며 면내에 결합볼트(131b)가 삽입되는 결합공(131a)이 형성되어 구조물(1)에 밀착 고정된다.
도 2a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100)의 높이조절용볼트(140)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120)의 높이조절공(122a)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로, 상기 제1고정브라켓(120)과 제2고정브라켓(130)이 결합되도록 제1고정브라켓(120)의 높이조절공(122a)과 제2고정브라켓(130)의 제2수평부(132) 면내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용볼트(140)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과공(141a)이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형의 볼트로, 일끝단이 제2고정브라켓(130)의 제2수평부(132) 상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조절볼트(141)와 상기 조절볼트(141)의 통과공(141a)을 관통하여 일끝단이 제2고정브라켓(130)의 제2수평부(132) 면내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고정스크류(14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141)는 제1고정브라켓(120)과 제2고정브라켓(130)의 상하 결합간격을 조정하며 설치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공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 는 석재(110)와 건축물간의 미세한 결합위치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141)의 통과공(141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스크류(142)는 제2고정브라켓(130)의 제2수평부(132) 면내를 통과하여 설치됨으로써 제1고정브라켓(120)과 제2고정브라켓(13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내측에 인서트가 삽입된 고정공이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석재와 상기 석재 고정공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석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석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석재와 석재고정장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높은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는 건축용 석재와 석재고정장치의 결합이 간단한 공정으로 손쉽게 이루어져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시공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석재와 건축물간의 미세한 결합위치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은 건축용 석재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며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에는 인서트가 삽입되어 있는 건축용 석재와 결합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에서,
    상기 건축용 석재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며, 건축용 석재의 고정공 인서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통과공이 면내에 형성된 제1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와 연속되며 면내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부로 구성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제1수평부 하단에 위치되는 제2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의 일끝단과 연속되며 면내에 결합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물에 밀착 고정되는 제2수직부로 구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공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이 결합되도록 제1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공과 제2고정브라켓의 제2수평부 면내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의 상하 결합간격을 조정하며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용 볼트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과공이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형의 볼트로, 일끝단이 제2고정브라켓의 제2수평부 상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조절볼트의 통과공을 관통하여 일끝단이 제2고정브라켓의 제2수평부 면내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고정스크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건축용 석재의 고정공과 인서트 사이에는 에폭시가 그라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장치.
KR1020050039542A 2005-05-12 2005-05-12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070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42A KR100705640B1 (ko) 2005-05-12 2005-05-12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42A KR100705640B1 (ko) 2005-05-12 2005-05-12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28A KR20060116928A (ko) 2006-11-16
KR100705640B1 true KR100705640B1 (ko) 2007-04-09

Family

ID=3770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42A KR100705640B1 (ko) 2005-05-12 2005-05-12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6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1Y1 (ko) * 2008-04-24 2011-02-22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CN103526903A (zh) * 2013-02-02 2014-01-22 张志坚 一种石材加固连接工艺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12-29 (주)신일앙카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17U (ko) 2015-05-06 2016-11-16 이동언 인조 대리석용 인서트 앵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13U (ko) * 1997-10-17 1999-05-15 김옥란 천막지붕의 지지캡
KR200324353Y1 (ko) *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13U (ko) * 1997-10-17 1999-05-15 김옥란 천막지붕의 지지캡
KR200324353Y1 (ko) *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1Y1 (ko) * 2008-04-24 2011-02-22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CN103526903A (zh) * 2013-02-02 2014-01-22 张志坚 一种石材加固连接工艺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12-29 (주)신일앙카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28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4072C (fi) Metallinen kiinnityslaite
KR10169194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KR101664354B1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KR100705640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1652008B1 (ko)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100356088B1 (ko) 석재부착 고정용 브라켓의 상·하 미세조정장치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110126982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52830B1 (ko) 석재패널 고정철물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00117795A (ko) 건물용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200293493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0606647B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1115411B1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KR200279194Y1 (ko) 인방앵글 설치구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KR20120063970A (ko) 공작기계 설치용 앵커 및 레벨링 장치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30765B1 (ko) 외벽 시공용 방진 고정장치
KR200334464Y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