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306B1 -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306B1
KR102196306B1 KR1020200078141A KR20200078141A KR102196306B1 KR 102196306 B1 KR102196306 B1 KR 102196306B1 KR 1020200078141 A KR1020200078141 A KR 1020200078141A KR 20200078141 A KR20200078141 A KR 20200078141A KR 102196306 B1 KR102196306 B1 KR 10219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racket
teeth
bol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신일앙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앙카 filed Critical (주)신일앙카
Priority to KR102020007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갖춘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외장재 시공후 지진이나 풍압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잠금너트가 풀리게 되는 경우에도, 외장재 고정장치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한 진동에도 외장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여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커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장재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을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와; 지진이나 풍압 등 외력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시에 상기 앵커브라켓 및 수평브라켓의 유동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내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with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면에 마감 처리되는 외장재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장치('앵커조립체'라고도 함)의 구조 개선을 통해 지진 및 풍압에도 안정적으로 외장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장재 고정장치에 내진 성능을 부여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택, 업무용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그 외면이 콘크리트 벽체이므로 보온을 위해 단열재를 부착하고 미관을 위해 외장재로 마감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외장재로는 페인트, 타일, 합성수지판재, 금속판재, 석재 등 다양한 재료가 주로 사용되어 건축물의 미학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외장패널(예를 들어, 석재패널)의 마감처리 공법은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알려져 있는데, 습식 공법은 건물벽과 외장패널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 시공하는 것으로, 이는 시멘트의 양생 시간이 길고 작업성 및 시공성이 나빠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한편,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상기와 같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지 않고 금속으로 된 고정구를 매개로 외장패널을 건물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좋아 현재 외장패널의 시공은 거의 건식 공법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건식 공법을 이용한 외장패널에 사용되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장치(10)에는 'ㄴ'자 형상으로 굽혀진 고정앵글받침(1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앵글받침(11)은 체결공(13)이 형성된 수직부(15)와 수평부(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17)의 체결공(13)에는 와셔(W) 및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B)가 연결되고, 상기 볼트(B)에 의해 패널받침대(20)가 연결된다. 상기 패널받침대(20)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고정핀(23)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핀(23)에 의해 외장재로서의 외장패널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15)의 체결공(13)에도 와셔(W) 및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B)가 연결되고, 상기 볼트(B)는 확장용 캡 및 앵커볼트(tapered bolt)로 구성된 앵커체결부(30)와 연결된다. 상기 앵커체결부(30)에 의해 상기 고정앵글받침(11)이 건물벽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재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 및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한 경우, 자연재해인 지진이나 강한 바람에 의한 풍압이 작용하거나, 혹은 기타 외력에 의해 외장재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외장재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너트(N)의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일 고정너트(N)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면, 고정장치가 처지게 되고 더 이상 외장재가 가하는 수직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됨으로써, 너트 풀림이 발생된 부위의 외장재가 탈락하여 낙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건물에 시공된 외장재 전체가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외장재 및 기타 시설물의 파손 및 복구에 따른 비용 등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그 곁을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큰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등 안전 사고의 위험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내진에 대해 고려가 없는 구조로서, 시공 후에 지진 및 풍압에 따른 진동에 의한 너트 풀림 및 이에 따라 수반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후 지진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기상청에 따르면 2016년에 252번의 지진이 일이난데 이어, 2017년에도 223번의 지진이 발생하였음, 2018년에는 115번의 지진이 관측되어, 최근 20년 동안 한반도 지진이 평균 74번 발생한 것이 비추어볼때 늘어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진은 회피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지진에 잘 견디도록 건물을 짓는 것이 중요하며, 지진에 견디는 건물의 설계 방법의 하나로서 구조물의 내력으로 감당하도록 하는 개념에서 나온 것이 내진 설계인데, 건축에 있어 점점 그 수요가 증가하는 외장재 시공에 있어서는 이러한 내진 개념을 도입한 기술 개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장재 시공에 있어 내진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지진으로 인한 지진파나 바람에 의한 풍압으로 인한 진동과 같은 광범위한 진동으로부터 건축물에 시공된 외장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1411호(2015.07.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4359호(2016.1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2381호(2011.02.1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5640호(2007.04.0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4697호(2011.07.2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외장재 고정장치에는 고려되지 않은 내진 기능을 갖춘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외장재 시공 후 지진이나 풍압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잠금너트가 풀리게 되는 경우에도, 외장재 고정장치의 앵커브라켓과 수평브라켓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달리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한 진동에도 외장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여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커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장재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을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와; 지진이나 풍압 등 외력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시에 상기 앵커브라켓 및 수평브라켓의 유동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내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직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게 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평부에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사각목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사각홀이 형성되어, 외장재 시공시 상기 앵커볼트 및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는 잠금너트가 각각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내진수단은,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직부 면상에 구비되는 제1쐐기와, 상기 제1쐐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를 가지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과,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양측의 제2쐐기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를 가지는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은, 캠형(cam type)의 판으로서,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캠부 둘레에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톱니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앵커볼트에 대한 앵커브라켓의 수직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톱니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앵커볼트의 수직부 면상에 형성되는 수직장공 내에서의 앵커볼트의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는 앵커볼트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은, 캠형의 판으로서,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제1곡률의 제1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캠부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가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1캠부와 대향하는 판의 타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되 상기 제1곡률과는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캠부의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2톱니가 서로 다른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 대한 수평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제2캠부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에 대해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톱니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 대한 수평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와는 달리 골과 골사이의 거리가 각각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 및 복수개의 제2톱니의 맞물림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수평브라켓의 면상에 형성되는 수평장공 내에서의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상대 위치에 따른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제1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시, 상기 앵커브라켓과 수평브라켓의 유동을 차단하여 외장재 고정장치에 대해 내진 성능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에 대한 간단한 구조적 개선에 의해,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 따른 잠금너트의 풀림 발생시, 잠금너트의 풀림에도 불구, 외장재 고정장치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외장재의 처짐 및 수평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경제적 측면에서도 복잡한 별도의 방진시스템 구축에 따른 큰 비용 소요없이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건축물 벽체로부터의 외장재 탈락 및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장재 탈락에 따른 재시공 및 안전사고 발생에 따라 수반되는 보상 등에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국 별도의 복잡한 방진시스템의 구축없이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건축물 벽체로부터의 외장재 탈락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앵커볼트가 수직장공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을 설치한 상태(즉, 외장재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 범위 내의 최상단 위치로 조정한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평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8a는 앵커브라켓의 위치를 수직방향 중간위치에 위치로 조정했을 때의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의 상태(즉,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을 이용하여 외장재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 범위 내의 중간 위치로 조정한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배면 사시도
도 9a는 앵커브라켓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최하단 위로 조정했을 때의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의 상태(즉,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을 이용하여 외장재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 범위 내의 최하단 위치로 조정한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배면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사진으로서,
도 10a는 수평브라켓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건축물로부터 최대로 멀리 위치시킨 상태(즉,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조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저면 사시도
도 10c는 도 10a의 분해 상태도
도 11a는 도 10a의 상태에서 수평브라켓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건축물쪽으로 제1거리만큼 조정한 상태(즉,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5피치 조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저면 사시도
도 11c는 도 11a의 분해 상태도
도 12a는 도 10a의 상태에서 수평브라켓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건축물쪽으로 제2거리(수평방향 조정범위의 중간위치)만큼 조정한 상태(즉,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9피치 조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b는 도 10a의 저면 사시도
도 12c는 도 10a의 분해 상태도
도 13a는 도 10a의 상태에서 수평브라켓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건축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로 조정한 상태((즉,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한 근접하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조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저면 사시도
도 13c는 도 13a의 분해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도면 설명에 있어서 사시도 등의 도면은 사진으로서 편의상 일반 도면으로 취급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상이한 형태로 변형 및 수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전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내진'이라고 함은 지진 뿐만 아니라 풍압이나 기타의 외력에 의해 외장재 및 외장재 고정장치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 등을 견디는 것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의미로 사용됨을 전제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10a)는, 건물벽에 고정되는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와 직교하여 상기 수직부(1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ㄴ'자 형상으로 굽혀진 형상인 앵커브라켓(11a)과; 상기 앵커브라켓(11a)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장재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브라켓(20a)과; 상기 앵커브라켓(11a)을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30)와; 지진이나 풍압 등 외력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시에 상기 앵커브라켓(11a) 및 수평브라켓(20a)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내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에는 앵커볼트(30)가 관통하는 수직장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브라켓(11a)의 수평부(120)에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의 사각목(401)이 관통하는 사각홀(112)이 형성되며, 외장재(200, 도 2 참조) 시공시 상기 앵커볼트(30) 및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는 잠금너트(N)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브라켓(20a)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외장재 지지면 상에는 외장재 지지핀(미도시)의 설치를 위한 핀홀(21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진수단은, 상기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 면상에 구비되는 제1쐐기(115)와, 상기 제1쐐기(115)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T)를 가지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 vertical latch plate)과, 상기 수평브라켓(20a)의 상면에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양측의 제2쐐기(215)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들(T1,T2)를 가지는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 horizontal latch plat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은 캠형(cam type)의 판으로서,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앵커볼트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캠부 둘레에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5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복수개의 톱니(T)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톱니(T)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5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앵커볼트(30)에 대한 앵커브라켓(11a)의 수직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예: 1mm)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톱니(T)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앵커볼트(30)의 수직부(110) 면상에 형성되는 수직장공(111) 내에서의 앵커볼트(30)의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상기 톱니(T)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이하, '피치'라고도 함)는 앵커볼트(30)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수직장공(111) 내에서의 앵커볼트(30)의 변위 범위가 15mm라고 가정하면,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캠부 둘레에 형성되는 톱니(T)에 의한 피치 수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15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위치를 1피치 조정시 실제로는 건축물의 벽체에 붙박혀 고정된 앵커볼트(30)에 대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방향에서의 위치가 1mm 변위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앵커볼트(30)의 변위 범위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앵커브라켓(11a)의 위치 조정 범위를 의미하며, 이는 곧 외장재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조정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진수단을 구성하는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기하학적 모양에 있어서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과 차이가 있으나 유사한 원리로 적용되는 또 다른 캠형의 판이다.
상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 관통공(610)(이하, '볼트 관통공'이라 한다)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6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제1곡률의 제1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캠부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T1)가 일정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1캠부와 대향하는 판의 타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6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되 상기 제1곡률과는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캠부의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2톱니(T2)가 서로 다른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T1)는 상기 볼트 관통공(6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대한 수평브라켓(20a)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제2캠부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T1)에 대해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톱니(T2)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톱니(T2)는 상기 볼트 관통공(6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대한 수평브라켓(20a)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T1)와는 달리 골과 골사이의 거리(즉, 피치)가 각각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T1) 및 복수개의 제2톱니(T2)의 맞물림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수평브라켓(20a)의 면상에 형성되는 수평장공(210) 내에서의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의 상대 위치에 따른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제1톱니(T1)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즉, 피치; 이하, '피치'라고도 함)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30) 및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각각 잠금너트(N)를 체결시, 잠금너트(N)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와셔(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개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내진수단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발생시 수직방향의 진동과 수평방향의 진동이 함께 수반되고,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내진기능이 수평 및 수직방향에 대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내진 작용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편의상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해 각각의 경우를 나누어서 차례대로 설명한다.
[수직방향 내진 작용]
도 3, 도 4, 도 6, 도 7, 그리고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직방향 내진작용 및 이를 위한 버티컬 래치판(50)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상태는, 건축물의 벽체에 붙박혀 고정된 앵커볼트(30)가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에 형성된 수직장공(111) 내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이들 도면에 도시된 상태는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외장재의 수직방향 위치를 외장재 위치 조정 범위 내의 최상단 위치로 조정한 후의 본 발명의 외장재 고장장치의 상태를 보여준다.
특히,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장공(111)에 있어서 장공의 가장 하단부에 앵커볼트(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앵커볼트(30)가 건축물의 벽체에 붙박혀 고정된다는 점에서 상기 앵커브라켓(11a)이 상대적으로 상승한 상태임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앵커브라켓(11a)에 연결된 수평브라켓(20a) 끝부분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의 위치가 수직방향에 있어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복수개의 톱니(T)에 의해 형성되는 골 중에서 앵커볼트 관통공(51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골에 앵커브라켓(11a)의 제1쐐기(115)가 맞물려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장공(111) 및 앵커볼트 관통공(510)을 관통하여 노출된 앵커볼트(3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앵커브라켓(11a)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도 8a 및 도 8b는 앵커브라켓(11a)의 위치를 수직장공(111)에 있어서 장공의 중간위치에 앵커볼트(30)가 위치하도록 외장재를 시공했을 때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c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일정 피치 회동시켜 제1쐐기(115)에 대한 톱니(T)의 맞물림 위치를 중간 위치로 조정한 경우이다.
특히 도 8b를 참조하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장공(111)의 중간 위치에 가장 하단부에 앵커볼트(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앵커볼트(30)가 건축물의 벽체에 붙박혀 고정된다는 점에서 결국 앵커브라켓(11a)에 연결된 수평브라켓(20a) 끝부분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의 위치가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조정 범위 중에서 중간 정도에 위치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복수개의 톱니(T)에 의해 형성되는 골 중에서 앵커볼트 관통공(51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골을 기준으로,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시계방향으로 7피치 회동시킨 상태에서 해당 위치의 골에 앵커브라켓(11a)의 제1쐐기(115)가 맞물려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장공(111) 및 앵커볼트 관통공(510)을 관통하여 노출된 앵커볼트(3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앵커브라켓(11a)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앵커브라켓(11a)의 위치를 수직장공(111)에 있어서 장공의 최상단 위치에 앵커볼트(30)가 위치하도록 외장재를 시공했을 때(외장재가 가장 낮게 위치한 경우)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9a 및 도 9b는 도 8a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일정 피치 더 회동시켜 제1쐐기(115)에 대한 톱니(T)의 맞물림 위치를 앵커볼트 관통공(510)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로 조정한 경우이다.
특히 도 9b를 참조하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장공(111)의 가장 상단부에 앵커볼트(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앵커볼트(30)가 건축물의 벽체에 붙박혀 고정된다는 점에서 상기 앵커브라켓(11a)이 상대적으로 하강한 상태임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앵커브라켓(11a)에 연결된 수평브라켓(20a) 끝부분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의 위치가 수직방향에 있어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복수개의 톱니(T)에 의해 형성되는 골 중에서 앵커볼트 관통공(510)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골에 앵커브라켓(11a)의 제1쐐기(115)가 맞물려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장공(111) 및 앵커볼트 관통공(510)을 관통하여 노출된 앵커볼트(3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앵커브라켓(11a)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 따른 앵커볼트(30)에 체결된 잠금너트(N)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앵커브라켓(11a)을 통해 가해지는 외장재의 수직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브라켓(11a)의 제1쐐기(115)에 앵커볼트(30)상에 조립된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의 골이 맞물려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50)을 구속하게 되며, 이는 결국 외장재 고정장치의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방향의 유동을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외장재의 처짐 또는 탈락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수평브라켓(20a) 측에 설치되는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에 의한 수평방향 내진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평방향 내진작용]
도 10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평방향 내진작용 및 이를 위한 버티컬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로 멀리 위치시킨 상태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를 나타낸다.
특히,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 내의 도면상 가장 좌측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앵커브라켓(11a)의 수평부(120)에 형성된 사각홀(112)로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를 관통시켜 상기 사각홀(112)에 사각목(401)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상기 수평브라켓(20a) 상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수평브라켓(20a)에 형성된 양측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되는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톱니(T1)에 의해 형성된 골들 중에서 볼트 관통공(610)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골과 복수개의 제2톱니(T2)에 의해 형성된 골들 중에서 상기 볼트 관통공(61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골은 수평장공(210) 양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도 10a 및 도 10c에 Dmax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브라켓(20a)의 위치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로 멀리 위치하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로서, 이는 결국 외장재의 시공 완료 후에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평브라켓(20a)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참고로, 'Dmax'는 수평브라켓(20a)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거리 상태임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로 멀리 위치한 상태보다는 약간 가깝게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상태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를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장용 고정장치의 상태는 도 10a 상태에서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일정 피치(예: 5피치)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 내의 도면상 가장 좌측에서 약간 우측으로 이동한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앵커브라켓(11a)의 수평부(120)에 형성된 사각홀(112)로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를 관통시켜 상기 사각홀(112)에 사각목(401)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의 좌측단에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상기 수평브라켓(20a) 상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수평브라켓(20a)에 형성된 양측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되는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소정의 피치수(예: 5피치)만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소정의 피치수에 대응하는 제1톱니(T1)의 해당 골과 제2톱니(T2)의 해당 골이 수평장공(210) 양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앞선 설명한 실시예(도 10a 내지 도 10c 참조)에 비해, 수평브라켓(20a)의 위치가 건축물의 벽체쪽으로 약간 더 가까워지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로서, 이는 결국 시공 후에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평브라켓(20a)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상태를 벗어나 약간 더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수평방향 조정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상태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장용 고정장치의 상태는 도 11a 상태에서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일정 피치(예: 4피치) 더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 내의 도면상 대략 중간 위치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앵커브라켓(11a)의 사각홀(112)로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를 관통시켜 상기 사각홀(112)에 사각목(401)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 중간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상기 수평브라켓(20a)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수평브라켓(20a)에 형성된 양측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되는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도 11a에 도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피치수(예: 4피치)만큼 더 회동시킨 위치에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소정의 피치수에 대응하는 제1톱니(T1)의 해당 골과 제2톱니(T2)의 해당 골이 수평장공(210) 양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도 12a 및 도 12c에 Dmi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브라켓(20a)의 위치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수평방향 조정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로서, 이는 결국 시공 후에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평브라켓(20a)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로 이격되거나 최대로 근접된 상태가 아닌 수평방향 조정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참고로, 'Dmid'는 수평브라켓(20a)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로부터 중간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임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상태의 외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장용 고정장치의 상태는 도 12a 상태에서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한 피치 더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와 도 13a를 비교하면 이때의 수평브라켓(20a)의 이동량은 그 이전과는 달리 훨씬 더 큰 이동거리로 귀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 내의 도면상 가장 우측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앵커브라켓(11a)의 사각홀(112)로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를 관통시켜 상기 사각홀(112)에 사각목(401)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가 수평브라켓(20a)의 수평장공(210)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잠금너트(N)를 체결하여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상기 수평브라켓(20a) 상에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은 수평브라켓(20a)에 형성된 양측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게 되는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도 12a 상태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시킴에 따라 양측 제2쐐기(215)에 각각 맞물리는 제1톱니(T1)의 골과 제2톱니(T2)의 골은 위치를 전환한 상태로 맞물리게 된다. 즉, 도 10a에서 수평브라켓(20a)의 양측 제2쐐기(215) 중에 좌측에 배치된 쐐기에 맞물리던 제1톱니(T1)의 골(즉, 관통홀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했던 골)은 수평브라켓(20a)의 우측에 배치된 쐐기에 맞물리는 상태가 되고, 도 10a에서 양측 제2쐐기(215) 중에 우측에 배치된 쐐기에 맞물리던 제2톱니(T2)의 골(즉, 관통홀에서 가장 멀리 위치했던 골)은 180도 전환되어 수평브라켓(20a)의 좌측에 배치된 쐐기에 맞물리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도 13a 및 도 13c에 Dmin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브라켓(20a)의 위치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로 가깝게 위치하도록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로서, 이는 결국 시공 후에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평브라켓(20a)에 놓여 지지되는 외장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최대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참고로, 'Dmin'은 수평브라켓(20a)이 앵커브라켓(11a)의 수직부(110)로부터 최소거리로 이격된 상태임을 표시한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 상태에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1 피치씩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될 경우, 다시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부터 점점 멀어지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조정범위는 도 12a에서 도 13a로 바로 넘어감에 따라 커버하지 못했던 조정범위로서, 결국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는 수평방향 조정범위 전체에 걸쳐서 수평브라켓(20a)의 위치를 미세 조정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10a)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 따라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에 체결된 잠금너트(N)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평브라켓(20a)에 형성된 수평장공(210) 좌우 양측의 제2쐐기(215)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40)상에 조립된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의 제1톱니(T1) 및 제2톱니(T2)에 의해 형성된 골들이 각각 맞물려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60)을 구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평브라켓(20a)의 이동이 차단되고, 이는 결국 외장재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외장재의 탈락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작용에 있어서, 건축물에 대한 외장재 시공후 지진이나 풍압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잠금너트(N)가 풀리게 되는 경우, 외장재 고정장치(10a)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작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장치(10a)가 적용될 경우, 외장재 시공후 지진이나 풍압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수단의 구속 작용에 의해 외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앵커브라켓(11a)과 수평브라켓(20a)의 움직임이 차단되므로, 기존의 외장재 고정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고정장치(10a)가 적용된 경우에는 진동 발생시에도 잠금너트(N)들 자체의 체결력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과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에 있어서 그의 외관 프로파일이나 톱니의 모양, 톱니의 갯수, 골과 골 사이의 피치 등의 요소는 외장재 시공 현장의 요구 특성 및 외장재 고정장치의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내진수단이 앵커브라켓과 수평브라켓 양측 모두에 구비된 경우를 개시한 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내진수단을 앵커브라켓 측에만 구비토록하거나, 수평브라켓 측에만 구비토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이나 풍압 등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도 외장재 고정장치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유동을 차단하며, 특히 잠금너트(N)의 풀림에도 불구하고 지진이나 풍압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에도 외장재 고정장치의 앵커브라켓 및 수평브라켓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외장재의 처짐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진 및 풍압 등에 따른 외장재의 파손에 따라 수반되는 경제적 손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외장재 시공을 위한 건축 분야 및 건축용 소재의 제조 분야 등에 있어 활용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극히 높은 발명이다.
10a: 외장재 고정장치 11a: 앵커브라켓
110: 수직부 111: 수직장공
112: 사각홀 115: 제1쐐기
120: 수평부 210: 수평장공
20a: 수평브라켓 211: 핀홀
215: 제2쐐기 30: 앵커볼트
200: 외장재 40: 사각목 둥근머리볼트
401: 사각목 N: 잠금너트
50: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 510: 앵커볼트 관통공
60: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 610: 사각목 둥근머리볼트 관통공
T: 톱니 T1: 제1톱니
T2: 제2톱니

Claims (8)

  1. 건물벽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여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커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장재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브라켓과;
    상기 앵커브라켓을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와;
    지진이나 풍압 등 외력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시에 상기 앵커브라켓 및 수평브라켓의 유동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내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진수단은,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직부 면상에 구비되는 제1쐐기와, 상기 제1쐐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를 가지는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과,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양측의 제2쐐기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들을 가지는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진용 호리즌탈 래치판은 캠형의 판으로서,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사각목 둥근머리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제1곡률의 제1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캠부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가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1캠부와 대향하는 판의 타측 둘레에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되 상기 제1곡률과는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캠부의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제2톱니가 서로 다른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직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게 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브라켓의 수평부에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사각목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사각홀이 형성되어, 외장재 시공시 상기 앵커볼트 및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는 잠금너트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용 버티컬 래치판은 캠형의 판으로서,
    판의 면 중심에서 편심되는 일측 면상에 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캠부 둘레에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멀어지면서 곡률이 달라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톱니는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앵커볼트에 대한 앵커브라켓의 수직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앵커볼트의 수직부 면상에 형성되는 수직장공 내에서의 앵커볼트의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는 앵커볼트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 대한 수평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형인 판의 제2캠부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에 대해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톱니는 상기 볼트 관통공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에 대한 수평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와는 달리 골과 골사이의 거리가 각각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 및 복수개의 제2톱니의 맞물림에 의한 간격 조정 범위는 수평브라켓의 면상에 형성되는 수평장공 내에서의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상대 위치에 따른 변위 범위와 동일하며, 제1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골과 골사이의 거리는 사각목 둥근머리볼트의 변위 범위를 원하는 미세 조정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20200078141A 2020-06-26 2020-06-26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219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41A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06-26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41A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06-26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306B1 true KR102196306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141A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06-26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3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51Y1 (ko) * 1998-09-23 2000-12-01 박홍민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EP1281828A2 (en) * 2001-08-01 2003-02-0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Latch arrangement
KR100705640B1 (ko) 2005-05-12 2007-04-09 정용주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452381Y1 (ko) 2008-04-24 2011-02-22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110084697A (ko)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1541411B1 (ko) 2015-04-10 2015-08-03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51Y1 (ko) * 1998-09-23 2000-12-01 박홍민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EP1281828A2 (en) * 2001-08-01 2003-02-0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Latch arrangement
KR100705640B1 (ko) 2005-05-12 2007-04-09 정용주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452381Y1 (ko) 2008-04-24 2011-02-22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110084697A (ko)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KR101541411B1 (ko) 2015-04-10 2015-08-03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721B1 (en) Glass railing anchor system
JP3905653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への仕上げ材取付構造
KR102196306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US3834099A (en) Device for mounting wall plates
US8096085B2 (en) Connection node for a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particular for a geodesic structure
CN107816154B (zh) 一种用于单元式幕墙的连接结构
JP6431876B2 (ja) 外壁パネ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金物
US11072971B1 (en) Modular system for glazing and other infill panels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97537B1 (ko) 교량받침용 회전식 앙카
KR102257481B1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EP3461967A1 (en) Fascia mounted railing system
US20120304564A1 (en) System for Anchoring Precast Concrete Wall Columns to Foundations
EP3006647A1 (en) High-rise building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JP4263317B2 (ja) 構造物の設置角度調整方法
JP7351612B2 (ja) 簡易建物
JP6945359B2 (ja) パネル体
JP3733517B2 (ja) 免震装置の取付構造
KR102158072B1 (ko) 입체적인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하지 프레임
JPH065199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支持装置
JP7213150B2 (ja) 支柱とコンクリート床版の固定方法及び擁壁の構築方法
KR102154778B1 (ko) 건축물 외부 비구조체의 내진보강을 겸하는 마감재의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CN221219343U (zh) 一种轻质吸声板斜面吊顶造型免龙骨吊装装置及吊装系统
KR100467091B1 (ko) 건축의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JPH02200940A (ja) 内外壁複合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