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697A -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697A
KR20110084697A KR1020100004390A KR20100004390A KR20110084697A KR 20110084697 A KR20110084697 A KR 20110084697A KR 1020100004390 A KR1020100004390 A KR 1020100004390A KR 20100004390 A KR20100004390 A KR 20100004390A KR 20110084697 A KR20110084697 A KR 2011008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ece
building exterior
coupling
adjusting
ex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호
Original Assignee
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호 filed Critical 도준호
Priority to KR102010000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697A/ko
Publication of KR2011008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수평부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끝에 건축 외장재가 결합될 수 있는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다른 쪽 끝과 상기 수평부 중 상기 수직부와 떨어진 끝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건축 외장재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apparatus for fixing architectural exterior material and space control member fabrication method and fabr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그 외벽이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관계로, 건축 외장재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건축 외장재는 페인트, 타일, 합성수지재, 금속판재, 석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추세에 따라 건축외장재의 사용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특히, 석재로 된 건축 외장재의 경우에는 그 자체 하중이 비교적 큰 관계로, 적절한 고정 장치를 통해 건물외벽에 처짐 또는 미끄러짐 없이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재 사이에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 고정 장치가 설치되어 건축 외장재를 고정한다. 그러나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 고정 장치는 제조 하기가 어렵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제조가 쉽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수평부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끝에 건축 외장재가 결합될 수 있는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다른 쪽 끝과 상기 수평부 중 상기 수직부와 떨어진 끝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건축 외장재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보강 몸체, 상기 보강 몸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의 끝에 걸리는 제1 걸림턱, 그리고 상기 보강 몸체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의 끝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의 끝과 상기 수평부의 끝에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수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반듯하게 연장된 보강 연장부, 한쪽 끝이 상기 보강 연장부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수평부의 끝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중량에 의해 상기 건축 외장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조절 부재를 관통한 체결 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공을 연장하는 연장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의 둘레면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수평부가 접하는 면에는 요철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들이 서로 맞물리어 상기 조절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의 끝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보강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길이는 25mm 내지 50mm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는 3mm 내지 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 부재 제조 방법은, 조절 몸체와 상기 조절 몸체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형성된 결합편을 일체로 형성하는 소재 압출 단계, 상기 결합편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결합편 가공 단계, 상기 결합편이 제거된 부분의 조절 몸체 일 부분을 제거하는 몸체 제거 단계, 상기 조절 몸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 가공 단계, 그리고 상기 결합편을 따낸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조절 몸체를 커팅하여 소재에서 조절부재를 형성하는 소재 커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가공 단계에서 상기 결합편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낼 때 결합편의 모서리 부분이 곡선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 부재 제조 장치는, 조절 몸체와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소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부, 상기 하부 금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으로상기 결합편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결합편 가공 유닛,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제거된 부분의 조절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는 몸체 제거 유닛, 상기 몸체 제거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몸체의 소정위치에 결합 구멍을 가공하는 펀치 부재, 그리고 상기 펀치 부재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재를 규격에 맞게 자르는 상기 조절 몸체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 하강 시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은, 상기 하부 금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에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편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가 삽입되는 편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 몸체, 상기 가공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 몸체에 위치하며, 내측면이 상기 결합편과 마주하며, 상기 마주하는 결합편 부분을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 몸체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한 상기 가공 몸체를 복원 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의 양측 모서리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 조절 부재, 그리고 보강 부재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의 제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수직부와 수평부를 보강 부재가 보강하게 되어 외장재의 중량에 의하여 수평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와 조정 부재가 접하는 부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조정 부재가 고정 부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풍압 따위의 압력에 의해 외장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건축 외장재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부재 가공 장치를 개략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가공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가공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100)는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건축 외장재(1)는 대략 600mm X 1200mm 정도의 넓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이러한 건축 외장재(1)는 벽체를 따라 적층 되며 이때, 적층되는 건축 외장재(1) 사이 마다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100)가 배치되어 건축 외장재(1)를 벽체(2)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100)는, 고정 부재(110), 조절 부재(120), 보강 부재(150)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10)는 수직부(111)와 수평부(112)를 포함하며, 앵커 볼트(115)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110)는 그 폭(W)이 25mm 내지 50mm 이며, 그 두께(T)는 3mm 내지 5mm 이다. 폭이 25mm, 두께가 3mm 이하이면, 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폭이 5mm, 두께가 5mm 이상이면 가공하기 어렵고 원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폭(W)이 25mm 내지 50mm 이며, 그 두께(T)는 3mm 내지 5mm 이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직부(111)는 벽체(2)에 고정되며, 수직부(111)에는 앵커 볼트(115)가 관통하는 고정 구멍(111a)이 그 길이(L1)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앵커 볼트(115)를 벽체에 가 체결 한 상태에서 수직부(1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 볼트(115)의 머리 부분과 수직부(111) 사이에는 앵커 와셔(116)가 배치되어 있다. 앵커 와셔(116)와 수직부(111)가 접하는 부분에는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수직부(111)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벽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수평부(112)는 수직부(111)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체결 장치(140)가 관통하는 결합홀(112a)이 그 길이(L2)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111)의 길이(L1)와 수평부(112)의 길이(L2)는 서로 다르다. 그러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평부(112)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111)와 수평부(112)의 위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수직부(111)의 상단과, 수평부(112)의 끝에는 그 폭을 따라 걸림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1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13)의 일면은 수직하며, 타 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기울어진 끝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 부재(120)는 조절 몸체(121) 및 결합편(122)을 포함한다.
조절 몸체(121)는 고정 부재(110)와 동일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나, 폭은 더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절 몸체(121)는 수평부(112)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결합홀(1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 장치(140)가 관통하는 조절 구멍(121a)이 조절 구멍(121a)과 동일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 구멍(121a)은 결합홀(112a)과 일치한다. 이동 가능한 조절 몸체(121)는 건축 외장재(1)와 벽체(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몸체(121)의 움직임은 체결 장치(140)를 가 체결 시 움직이고, 체결 장치(140)가 견고히 고정되면 조절 몸체(121)는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조절 몸체(121)와 수평부(112)가 접하는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130)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체결 장치(140)에 의해 조절 몸체(121)는 수평부(112)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결합편(122)은 건축 외장재(1)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절 몸체(121)의 일측 끝에 폭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부(111)와 마주한다. 결합편(122)은 건축 외장재(1)의 결합홈(1a)에 삽입되어 벽체를 따라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의 결합홈(1a)에 삽입된다. 결합홈(1a)은 건축 외장재(1) 간에 적층되면서 마주하는 면에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결합편(122)의 모서리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1a)과 동일한 원형 즉,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건축 외장재(1)의 결합홈(1a)을 깊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적은 깊이의 결합홈(1a)에 결합편(122)을 삽입시킬 수 있다. 적은 깊이의 결합홈(1a)에 건축 외장재(1)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편(122)의 모서리 부분은 직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체결 장치(140)의 머리부와 조절 몸체(121)의 사이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부(130)들과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체결 와셔(141)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요철부(130)들의 맞물림에 의하여 조절 몸체(121)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 외장재(1)에 압력이 가해져도 조절 몸체(121)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건축 외장재(1)는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건축 외장재(1)의 중량에 의하여 조절 부재(120)가 결합된 수평부(112)의 처점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강 부재(150)는, 보강 몸체(151), 제1 걸림턱(152), 그리고 제2 걸림턱(153)을 포함한다.
보강 몸체(151)는 수평부(112)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몸체(151)의 한쪽 끝은 제1 걸림턱(152)에 의하여 수직부(111)의 걸림 돌기(113)에 걸리며, 보강 몸체(151)의 다른 쪽 끝은 제2 걸림턱(153)에 의하여 수평부(112)의 걸림 돌기(113)에 걸려 있다. 제2 걸림턱(153)은 결합홀(112a)을 관통하여 수평부(112)의 걸림 돌기(113)에 걸리게 된다.
제1 걸림턱(152) 및 제2 걸림턱(15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몸체(151)의 끝이 구부러져 걸림 돌기(113)의 경사부가 위치하는 걸림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턱(152) 및 제2 걸림턱(153)의 끝은 걸림 돌기(113)의 단차 부분에 접해 있다. 제1 걸림턱(152) 및 제2 걸림턱(153)에 의해 보강 몸체(151)가 수평부(112)를 잡고 있는 형태가 되어 수평부(112)를 보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보강된 수평부(112)는 건축 외장재(1)의 중량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150)의 보강으로 수평부(112)가 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고정 부재(110) 조절 부재(120), 그리고 보강 부재(150)를 스테인리스 보다 원가가 낮은 알루미늄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하지만, 고정 부재(110), 조절 부재(120), 그리고 보강 부재(150)를 알루미늄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200)는 고정 부재(110), 조절 부재(120), 그리고 보강 부재(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보강 부재(250)에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50)는 보강 연장부(251) 및 지지부(252)를 포함한다. 보강 연장부(251)는 수직부(111)에서 하부 방향으로 반듯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11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벽체(2)에 밀착되어 있다. 지지부(252)는 한쪽 끝이 보강 연장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끝은 수평부(112)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52)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수평부(112)를 아래서 받치게 된다. 이렇게 하면, 건축 외장재(1)의 중량에 의하여 수평부(11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112)에는 체결 장치(140)가 결합되도록 그 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12b)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수평부(112)의 두께가 얇아 체결 장치(140) 체결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수평부(112)의 하부에는 결합공(112b)을 연장하는 연장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체결 장치(140)의 결합 표면적이 증가되어 체결 장치(140)의 결합력이 좋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의 조절 부재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절 부재 가공 장치를 개략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가공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가공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부재 제조 장치(300)는 금형부(310), 결합편 가공 유닛(320), 몸체 제거 유닛(360), 펀치 부재(340), 그리고 커팅부(350)를 포함한다.
금형부(310)는 상부 금형(312) 및 하부 금형(311)을 포함하며, 하부 금형(311)에는 도 1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공정으로 조절 몸체(121)와 결합편(122)이 일체로 형성된 소재(30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금형(311)에는 소재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3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금형(312)은 하부 금형(311)과 대응되며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하부 금형(311)에 맞닿을 수 있다.
결합편 가공 유닛(320)은 하부 금형(31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공 몸체(321), 상부 금형(312)에 장착된 구동 부재(330), 그리고 하부 금형(311)에 장착되어 가공 몸체(321)를 복원 시키는 탄성 부재(325)를 포함한다.
가공 몸체(321)는 하부 금형(3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측이 슬라이드 홈(311a)에 위치하며, 그 부분에는 소재의 결합편(12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부(322)가 형성된 가공 몸체(321)의 끝에는 조절 몸체(121)를 향하여 가공부(324)가 돌출되어 있으며, 가공부(324)의 내측면은 결합편(122)과 마주하며, 양쪽 끝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공 몸체(321)의 타측에는 상하 관통된 편심홀(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편심홀(323)의 내부 둘레면 중 일측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구동 부재(330)는 편심홀(323)과 대응되어 상부 금형(312)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면 구동 부재(330)가 편심홀(323)에 삽입된다. 이때 구동 부재(330)의 기울어진 경사부가 편심홀(323)에 접하게 되면서 가공 몸체(321)가 후퇴하게 된다. 가공 몸체(321)가 후퇴하면 도 1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부(324)의 내측면이 결합편(122)에 밀착되면서 결합편(122)의 일부분이 제거된다. 이때 제거된 결합편(122) 부분의 모서리는 가공부(324)의 양측에 위치한 곡면에 의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편(122)을 가공한 가공 몸체(321)를 복원 시키기 위하여 가공 몸체(321)의 타측에는 탄성 부재(325)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325)는 가공 몸체(321)가 후퇴하면 압축된다. 그러나 상부 금형(312)이 상승하게 되면, 편심홀(323)에서 구동 부재(330)가 빠지게 되는데, 이때 압축된 탄성 부재(325)가 복원되면서 가공 몸체(32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하게 되며, 가공부(324)가 조절 몸체(121)의 위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 제거 유닛(360)은, 결합공 가공 유닛(32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부 금형(312)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되면 도 12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122)의 제거된 부분의 조절 몸체(121) 일부분을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펀치 부재(340)는, 몸체 제거 유닛(36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부 금형(312)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되면 그 끝이 조절 몸체(121)에 접하게 되면서 도 1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몸체(121)에 일정한 모양의 조절 구멍(121a)을 가공하게 된다.
커팅부(350)는, 펀치 부재(340)의 일측에 위치하여 조절 몸체(121)와 마주하며, 상부 금형(312)에 장착되어 있다. 소재가 결합편 가공 유닛(320), 몸체 제거 유닛(360), 펀치 부재(340)에 의해 가공되면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결합편(122)의 가공 위치가 커팅부(350) 위치에서 위치하면 소재는 슬라이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면, 도 12의 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몸체(121) 부분이 커팅되면서 소재에서 떨어져 하나의 간격 조절 부재(302)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간격 조절 부재의 가공 단계를 도 12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단계는, 소재 압출 단계, 몸체 제거 단계, 결합편 가공 단계, 구멍 가공 단계, 그리고 소재 커팅 단계를 포함한다.
도 12의 a)을 참조하면, 소재 압출 단계에서,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조절 몸체(121)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결합편(122)이 형성된 소재(301)가 압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길게 뽑아져 가공된다. 이때, 조절 몸체(121)의 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1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결합편 가공 단계에서, 가공된 소재(301)가 하부 금형(3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된다.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되면 구동 부재(330)가 편심홀(323)에 삽입되면서 가공 몸체(321)가 후퇴하게 되고, 가공 몸체(321)가 후퇴되면서 가공부(324)가 결합편(122)을 가공하게 된다. 이후, 상부 금형(312)이 상승하게 되면 가공부(324)는 탄성 부재(325)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소재(301)는 다시 슬라이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소재(301)가 이동한 후 다시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되면 몸체 제거 단계에서, 몸체 제거 유닛(360)이 결합편(122)이 제거된 부분에 닿게 되면서 조절 몸체(121) 부분에 곡면 형태로 가공된다. 이후, 다음 공정을 위해 상부 금형(312)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구멍 가공 단계에서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면서 펀치 부재(340)가 조절 몸체(121)의 일측에 도 1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구멍(121a)을 가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e,f)를 참조하면, 가공부(324) 및 펀치 부재(340)에 의해 조절 몸체(121)가 결합편(122)이 가공된 상태에서, 소재(301)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결합편 가공 위치가 커팅부(350)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소재(301)는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게 되면 커팅부(350)가 조절 몸체(121)에 접촉되면서 조절 몸체(121)가 잘리게 되어 규격화된 간격 조절 부재(3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금형(312)이 하강하면, 슬라이드 이동하는 소재(301)를 커팅부(350), 구동 부재(330), 그리고 펀치 부재(340)가 동시에 소재(301)를 가공하게 되어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건축 외장재 1a: 결합홈
100, 200: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110: 고정 부재
111: 수직부 111a: 고정 구멍
112: 수평부 112a: 결합홀
112b: 결합공 113: 걸림 돌기
114: 연장부 115, 215: 앵커 볼트
116, 216: 앵커 와셔 120: 조절 부재
121: 조절 몸체 121a: 조절 구멍
122: 결합편 130: 요철부
140: 체결 장치 141: 체결 와셔
150, 250: 보강 부재 151: 보강 몸체
152: 제1 걸림턱 153: 제2 걸림턱
154: 걸림홈 251: 보강 연장부
252: 지지부 300: 제조 장치
301: 소재 310: 금형부
311: 하부 금형 311a: 슬라이드 홈
312: 상부 금형 320: 결합편 가공 유닛
321: 가공 몸체 322: 관통부
323: 편심홀 324: 가공부
325: 탄성 부재 330: 구동 부재
340: 펀치 부재 350: 커팅부

Claims (17)

  1.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수평부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끝에 건축 외장재가 결합될 수 있는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다른 쪽 끝과 상기 수평부 중 상기 수직부와 떨어진 끝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건축 외장재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보강 몸체,
    상기 보강 몸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의 끝에 걸리는 제1 걸림턱, 그리고
    상기 보강 몸체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의 끝에 걸리는 제2 걸림턱
    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수직부의 끝과 상기 수평부의 끝에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수직부에서 일측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보강 연장부,
    한쪽 끝이 상기 보강 연장부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수평부의 끝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중량에 의해 상기 건축 외장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조절 부재를 관통한 체결 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공을 연장하는 연장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의 둘레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수평부가 접하는 면에는 요철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들이 서로 맞물리어 상기 조절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조절 부재의 끝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결합편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보강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길이는 25mm 내지 50mm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는 3mm 내지 5mm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12. 조절 몸체와 상기 조절 몸체의 한쪽 끝에 수직하게 형성된 결합편을 일체로 형성하는 소재 압출 단계,
    상기 결합편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결합편 가공 단계,
    상기 결합편이 제거된 부분의 조절 몸체 일 부분을 제거하는 몸체 제거 단계,
    상기 조절 몸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 가공 단계, 그리고
    상기 결합편을 따낸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조절 몸체를 커팅하여 소재에서 조절부재를 형성하는 소재 커팅 단계
    를 포함하는 조절 부재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결합편 가공 단계에서 상기 결합편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낼 때 결합편의 모서리 부분이 곡선형태로 가공되는 조절 부재 제조 방법.
  14. 조절 몸체와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소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부,
    상기 하부 금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으로상기 결합편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결합편 가공 유닛,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제거된 부분의 조절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는 몸체 제거 유닛,
    상기 몸체 제거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몸체의 소정위치에 결합 구멍을 가공하는 펀치 부재, 그리고
    상기 펀치 부재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재를 규격에 맞게 자르는 상기 조절 몸체를 커팅하는 커팅부
    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 부재 제조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상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 하강 시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 부재 제조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결합편 가공 유닛은,
    상기 하부 금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편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가 삽입되는 편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 몸체,
    상기 가공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 몸체에 위치하며, 그 내측면이 상기 결합편과 마주하고, 상기 마주하는 결합편 부분을 제거는 가공부,
    상기 가공 몸체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한 가공 몸체를 복원 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 부재 제조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가공부의 양측 모서리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절 부재 제조 장치.
KR1020100004390A 2010-01-18 2010-01-18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110084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390A KR20110084697A (ko) 2010-01-18 2010-01-18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390A KR20110084697A (ko) 2010-01-18 2010-01-18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697A true KR20110084697A (ko) 2011-07-26

Family

ID=4492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390A KR20110084697A (ko) 2010-01-18 2010-01-18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69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31B1 (ko) *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0B1 (ko) *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4533048A (zh) * 2015-01-14 2015-04-22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用推入式定位挂件安装石材饰面板的结构组合及安装方法
CN104831896A (zh) * 2015-05-08 2015-08-12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装石材饰面板的干挂结构组合及安装方法
KR101706564B1 (ko) * 2016-09-23 2017-02-15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CN106522502A (zh) * 2016-11-16 2017-03-22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超大板幅石材墙面干挂系统
CN106639227A (zh) * 2016-11-16 2017-05-10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超大板幅石材墙面干挂方法
KR101981047B1 (ko) * 2018-08-31 2019-05-22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2020875B1 (ko) * 2018-10-22 2019-09-1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CN110725501A (zh) * 2019-11-03 2020-01-24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12-29 (주)신일앙카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WO2023287134A1 (ko) * 2021-07-12 2023-01-19 이도균 일체형 논-슬립 와셔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31B1 (ko) *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0B1 (ko) *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4533048A (zh) * 2015-01-14 2015-04-22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用推入式定位挂件安装石材饰面板的结构组合及安装方法
CN104831896A (zh) * 2015-05-08 2015-08-12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装石材饰面板的干挂结构组合及安装方法
KR101706564B1 (ko) * 2016-09-23 2017-02-15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CN106522502A (zh) * 2016-11-16 2017-03-22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超大板幅石材墙面干挂系统
CN106639227A (zh) * 2016-11-16 2017-05-10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超大板幅石材墙面干挂方法
KR101981047B1 (ko) * 2018-08-31 2019-05-22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2020875B1 (ko) * 2018-10-22 2019-09-1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CN110725501A (zh) * 2019-11-03 2020-01-24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KR102196306B1 (ko) 2020-06-26 2020-12-29 (주)신일앙카 내진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WO2023287134A1 (ko) * 2021-07-12 2023-01-19 이도균 일체형 논-슬립 와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697A (ko)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A2533234C (en) Adjustable masonry form
US2014010950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d building panel
US10851548B2 (en) Wall structure for building, attachment apparatus, and board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U2015200378B2 (en)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plate using thereof
KR101512750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구조
JP4472545B2 (ja) タイル取付け構造
JP6711770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KR101866750B1 (ko)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KR101808281B1 (ko) 건물 외장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브래킷
CN201872229U (zh) 轻质隔墙板模具
US20030177714A1 (en) Adjustable masonry arch form
KR101370685B1 (ko) 각도 절단기
US7536933B1 (en) Plank seating apparatus
EP3193674B1 (en) Mounting assembly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102236303B1 (ko) 외장패널용 금속복합패널 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N218088742U (zh) 一种无机装饰板材安装用支撑架
KR102029763B1 (ko) 시스템 선반
JP6401216B2 (ja) 断熱パネル支持具および断熱パネルユニット
US20070094996A1 (en) Trim piece
JP2020117963A (ja) 壁板支持具、及び壁構造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JP7048942B2 (ja) 外壁板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