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763B1 - 시스템 선반 - Google Patents

시스템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763B1
KR102029763B1 KR1020170159638A KR20170159638A KR102029763B1 KR 102029763 B1 KR102029763 B1 KR 102029763B1 KR 1020170159638 A KR1020170159638 A KR 1020170159638A KR 20170159638 A KR20170159638 A KR 20170159638A KR 102029763 B1 KR102029763 B1 KR 10202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iece
support frame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349A (ko
Inventor
정영호
고경돈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7015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선반에 관한 것으로, 길이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프레임(3); 체결수단(1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3)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편(5); 상기 지지편(5)의 일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판체(7); 및 상기 지지편(5)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편(5)과의 사이에 상기 판체(7)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마감편(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판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 지지편만을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지편과 마감편에 의해 판체를 파지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므로, 지지프레임으로의 판체 조립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스템 선반{Systemic Shelf}
본 발명은 시스템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올려놓는 판체의 높이를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판체나 고정수단의 마감이 외관 상 미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시스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전시 및 수납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조립식 선반은 좌우 양측에 또는 사각형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각각의 기둥에 판체를 얹어 지지함으로써, 판체를 통해 각종 물품을 올려 두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선반은 판체의 높낮이 조정이 안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의 경우 판체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편리하게 각종 물품을 수납, 전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선반의 일 예로 공개특허 10-2005-0047330호에 개시된 개방형 장식 선반을 들 수 있다. 이 선반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103), 각종 물품을 올려놓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판체(105), 그리고 지지프레임(103) 상에 각각의 판체(105)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여 지지하는 브래킷(1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지지프레임(103)에는 체결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브래킷(107)은 체결공(111)에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볼트(113)를 통해 지지프레임(10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브래킷(107)은 고정볼트(115)를 통해 브래킷(107)에 고정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선반(101)은 판체(105)에 대한 브래킷(107)의 고정이 고정볼트(115)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조립 이후 고정볼트(115)에 의해 판체(105)의 횡이동은 방지되지만, 브래킷(107)의 파지홈(117)과 판체(105)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판체(105)에 종방향으로 걸떡거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볼트(115)에 의해 판체(105)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판체(105)에 고정볼트(115)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판체(105)가 원상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판체(105)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브래킷(107)으로부터 지지볼트(113)를 완전히 빼내야 하는 바, 4 곳의 지지프레임(111)에서 브래킷(107)으로부터 지지볼트(113)를 완전히 빼내기 위해서는, 지지볼트(113)를 이미 푼 쪽에서 다른 작업자가 판체(105)를 잡아 주어야 나머지 지지볼트(113)를 풀 수 있게 되므로, 판체(105)의 높이 조정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지지볼트(113)를 이미 푼 쪽에서 판체(105) 잡지 않은 상태로 나머지 지지볼트(113)를 풀게 되면, 예컨대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지지볼트(113) 푼 다음, 나머지 지지볼트(113)를 풀 때 판체(105)의 수평을 유지하지 않으면, 지지볼트(113)를 풀고 있는 쪽에서 판체(105)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어 판체(105)나 지지볼트(113)가 파손될 수 있으며, 지지볼트(113)를 풀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2005-0047330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선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립식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판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도, 물품을 올려놓는 판체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판체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도 파지나 지지를 위해 판체에 가공을 하거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판체를 원래의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판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판체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판체 고정구조를 컴팩트화하여 선반의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프레임;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판체; 및 상기 지지편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편과의 사이에 상기 판체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마감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선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판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지지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편은 상기 지지턱부와 호응하여 상기 판체를 파지하는 마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턱부 상에 상기 마감판부를 향하여 돌출된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편은 상기 마감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체는 상기 지지편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쪽 측변에 보조프레임이 부착되되,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지지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판체보다 길이가 짧게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턱부와 상기 마감판부는 상기 공간에 설치될 때, 상기 보조프레임의 단부를 상하에서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지지편이 고정되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홈; 상기 체결홈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너트; 및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홈과 사이에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압착시키는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선반에 따르면, 판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 지지편만을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지편과 마감편에 의해 판체를 파지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므로, 지지프레임으로의 판체 조립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지지편과 마감편에 의해 판체를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에 있어, 지지편을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체결수단과 판체를 사이에 두고 지지편에 마감편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체결 동작 상에서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대한 판체의 조립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지지편과 마감편에 의해 판체를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에 있어, 지지편과 마감편 그리고 이들을 상호간에 또는 지지프레임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미려하게 마감되므로, 선반의 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편과 마감편으로 판체를 파지하여 판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기 때문에, 판체 자체에 어떠한 가공이나 변형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판체를 원상태로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판체를 지지편과 마감편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므로, 지지편이나 마감편에 대한 판체의 상대 이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체의 고정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시스템 선반을 더욱 확대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마감편을 지지편과 분리시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마감편과 지지편을 판체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선반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선반은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프레임(3), 지지편(5), 판체(7), 및 마감편(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은 지면에 세워져 판체(7)를 지지하는 기둥 형태의 외부 몸체로서, 도시된 것처럼 층을 이루면서 이격, 적층된 복수의 판체(7)를 예컨대 센터프레임(10)과 함께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3)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한다.
상기 지지편(5)은 판체(7)를 지지프레임(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체결수단(11)에 의해 지지프레임(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지지편(5)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몸체부(51) 및 지지턱부(53)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몸체부(5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편(5)의 몸체를 이루도록 단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지지프레임(3)의 외면을 3면에서 둘러싼다. 특히, 몸체부(51)는 체결수단(11)에 의해 지지프레임(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체결수단(11)을 결합할 수 있는 정도의 즉, 전면에 체결공(55)을 뚫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턱부(5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51) 전면의 상단에서 센터프레임(10)을 향해 앞쪽으로 돌출되는 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판체(7)가 보조프레임(7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체(7)를 직접 지지하게 되며, 도시된 것처럼 보조프레임(7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프레임(71)을 지지함으로써 판체(7)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턱부(53)는 보조프레임(71)의 후단부 형상에 맞추어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보조프레임(71)을 지지하는 데 유리하다. 더욱이, 지지턱부(53)는 보조프레임(71)의 후단부 하단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57)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7)는 여러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수납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5) 위에 올려져 지지됨으로써, 지지프레임(3)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위와 같이 지지편(5) 위에 지지될 뿐 아니라, 지지편(5)과 함께 판체(7)를 파지하는 마감편(9)을 일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5)과 마감편(9)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에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판체(7)의 측변 상단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73)이 형성된다. 즉, 판체(7)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턱부(53)와 마감판부(91) 사이에 파지되는 판체(7)의 측변 상단모서리에 걸림홈(7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감판부(91)의 걸림돌기(95)를 끼움으로써 마감판부(9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판체(7)는 상술한 바 있듯이, 지지편(5)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도 있지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프레임(71)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바, 보조프레임(71)은 도시된 것처럼, 지지편(5)이 지지프레임(3)에 고정되는 쪽 판체(7)의 측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프레임(71)은 지지프레임(3)과 이 지지프레임(3)에 고정된 지지편(5)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 공간(S)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시된 것처럼 판체(7)보다 길이가 짧아야 한다. 따라서, 보조프레임(71)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턱부(53)와 마감판부(91)를 공간(S)에 설치할 때, 단부가 지지턱부(53)와 마감판부(91) 사이에 상하로 파지된다. 즉, 조립 시 보조프레임(71)의 단부는 하단 모서리가 지지턱부(53)의 안착턱(57)에 걸쳐져 지지된다.
상기 마감편(9)은 지지편(5)과 함께 판체(7)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7)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편(5)과의 사이에 판체(7)를 파지하는 바, 지지편(5)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마감편(9)은 상술한 바 있듯이, 지지편(5)의 지지턱부(53)와 함께 판체(7)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감판부(91)를 포함하는데, 이 마감판부(91)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턱부(53)와 대응하는 판체의 형태를 가진다. 다만, 마감판부(91)는 지지턱부(53)와 함께 판체(7) 자체를 파지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보조프레임(71)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감판부(91)는 지지턱부(53)와 사이에 보조프레임(71)의 단부를 상하로 파지한 때 지지편(5)과 마감편(9) 사이에 발생하는 측면 공간을 마감하도록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판부(91) 저면의 모서리를 따라 가림판부(93)가 상하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편(5)과 마감편(9)은 공히 지지프레임(3)의 폭에 맞추도록, 보조프레임(71)보다 폭이 더 넓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림판부(93)는 보조프레임(71)과 마감편(9)의 폭 차이로 인해 발생한 정면 공간을 마감하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감판부(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73)에 걸려 지지되도록 판체(7)를 파지하는 내측변 모서리를 따라 걸림돌기(95)가 돌출, 형성되어 판체(7)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프레임(71)을 파지하여 판체(7)를 지지하는 지지편(5)과 마감편(9)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보조프레임(71)에 대한 파지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상호 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에 의한 결합을 채용한다. 따라서, 지지편(5)은 지지턱부(53) 상에 마감판부(91)를 향하여 암나사부(59)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마감편(9)은 이 암나사부(59)에 나사 결합되도록 마감판부(91)를 관통하여 수나사부(97)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11)은 상술한 바 있듯이, 지지편(5)을 지지프레임(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컨대, 체결스크류 등을 사용해 지지편(5)을 지지프레임(3)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지지편(5)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지지프레임(3)에 다수의 나사 구멍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프레임(3)에 형성된 체결홈(21), 이 체결홈(21)에 끼워지는 너트(23), 그리고 이 너트(23)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볼트(25)를 지지편(5) 고정수단으로서 채용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체결홈(21)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5)이 고정되는 쪽 즉, 전면 쪽에 절결된 슬롯의 형태를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 너트(23)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면서 앞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도록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도브테일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특히 전형적인 도브테일의 사다리꼴 횡단면 형상은 물론, 도시된 것처럼 T자 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 상기 너트(23)는 상술한 데로 체결홈(21)을 따라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뿐 아니라, 볼트(25)와 나사 체결되어 지지편(5)을 지지프레임(3)에 대해 압착하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너트(23)는 체결홈(21)을 따라 상하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변에 안내날개(27)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볼트(25)는 몸체부(51)를 지지프레임(3)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바, 몸체부(51)를 관통하여 너트(23)에 체결됨으로써, 체결홈(21)과의 사이에 지지편(5)의 몸체부(51)와 지지프레임(3)의 홈벽(22)을 파지하여 지지편(5)이 지지프레임(3)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선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선반(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7)를 지지편(5)과 마감편(9)을 통해 지지프레임(3)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 지지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분해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부품들을 하나씩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먼저 체결홈(21)에 너트(23)를 끼워 넣는다. 이때, 너트(23)는 체결홈(21) 입구로 직접 삽입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지지프레임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지지편(5)을 너트(23)와 인접하도록 지지프레임(3) 둘레에 끼운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23)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편(5)의 몸체부(51)를 관통하여 볼트(25)를 너트(23)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편(5)은 볼트(25)와 너트(23) 사이에서 지지프레임(3)의 홈벽(22)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편(5)의 지지턱부(53) 안착턱(57)에 의해 보조프레임(71)의 후단부 하단 모서리를, 몸체부(51) 상면을 통해 판체(7) 측변 하단 모서리를 받쳐 지지편(5) 위에 판체(7)를 지지한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편(9)을 판체(7) 위쪽에서 지지프레임(3) 둘레에 끼운 상태로 마감판부(91)에 의해 보조프레임(71)의 후단부 상단 모서리를 덮는다. 이에 따라, 지지편(5)과 마감편(9)은 보조프레임(71)의 후단부를 파지하게 되며, 뒤이어 수나사부(97)를 마감판부(91)를 관통하여 암나사부(59)에 체결하여 죔으로써, 지지편(5)과 마감편(9) 사이에 판체(7)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지지편(5)과 마감편(9)을 통해 판체(7)를 지지프레임(3)에 고정하는 일련의 공정이 완료되며, 이후 판체(7)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할 때는 볼트(25)를 풀어 지지편(5)과 지지프레임(3)의 압착을 느슨하게 하여 지지편(5)과 마감편(9)을 판체(7)와 함께 이동시키면 된다. 반대로, 높낮이 조정 없이 지지프레임(3)으로부터 판체(7)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수나사부(97)를 풀어 지지편(5)으로부터 마감편(9)을 떼어낸 뒤 지지편(5)에서 판체(7)를 들어내면 된다. 또, 판체(7)를 지지프레임(3)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 때는 볼트(25)와 수나사부(97)를 완전히 풀어 지지편(5)과 마감편(9)을 판체(7)와 지지프레임(3)으로부터 분리해 내면 된다.
1 : 시스템 선반 3 : 지지프레임
5 : 지지편 7 : 판체
9 : 마감편 10 : 센터프레임
11 : 체결수단 21 : 체결홈
23 : 너트 25 : 볼트
51 : 몸체부 53 : 지지턱부
55 : 체결공 57 : 안착턱
59 : 암나사부 71 : 보조프레임
73 : 걸림홈 91 : 마감판부
93 : 가림판부 95 : 걸림돌기
97 : 수나사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길이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프레임(3);
    체결수단(1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3)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편(5);
    상기 지지편(5)의 일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판체(7); 및
    상기 지지편(5)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편(5)과의 사이에 상기 판체(7)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마감편(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편(5)은,
    상기 체결수단(11)이 결합되는 몸체부(51); 및
    상기 판체(7)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51)로부터 돌출된 지지턱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편(9)은 상기 지지턱부(53)와 호응하여 상기 판체(7)를 파지하는 마감판부(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편(5)은 상기 지지턱부(53) 상에 상기 마감판부(91)를 향하여 돌출된 암나사부(59)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편(9)은 상기 마감판부(91)를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59)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97)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5)과 상기 마감편(9)은 공히 상기 판체(7)의 보조프레임(71)보다 폭이 더 넓으며,
    상기 마감편(9)은 상기 지지턱부(53)와 상기 마감판부(91) 사이에 상기 보조프레임(71)의 단부를 상하로 파지한 때 상기 지지편(5)과 상기 마감편(9)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마감하도록 상기 마감판부(91) 저면에 가림판부(9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선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1)은,
    상기 지지프레임(3)의 상기 지지편(5)이 고정되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홈(21);
    상기 체결홈(2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너트(23); 및
    상기 몸체부(51)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2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홈(21)과 사이에 상기 몸체부(51)를 파지하여 상기 몸체부(51)를 상기 지지프레임(3)에 압착시키는 볼트(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선반.
KR1020170159638A 2017-11-27 2017-11-27 시스템 선반 KR10202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38A KR102029763B1 (ko) 2017-11-27 2017-11-27 시스템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38A KR102029763B1 (ko) 2017-11-27 2017-11-27 시스템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49A KR20190061349A (ko) 2019-06-05
KR102029763B1 true KR102029763B1 (ko) 2019-10-08

Family

ID=6684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638A KR102029763B1 (ko) 2017-11-27 2017-11-27 시스템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04B1 (ko) * 2020-10-27 2022-07-05 구자호 개방형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330A (ko) 2003-11-17 2005-05-20 진만수 다기능선반장치
KR101052635B1 (ko) * 2008-12-24 2011-07-28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조립 선반
KR20120006945U (ko) * 2011-03-30 2012-10-10 (주)미공간 욕실용 선반기구
KR20140004726U (ko) *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흥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49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4002831A (en) Console cabinet for portable television receiver
US20160290553A1 (en) An arrangement for fastening elements to a wall
KR102029763B1 (ko) 시스템 선반
US20020178684A1 (en) Structures for edge treatment and for decoration of counters and panels, and for the assembly thereof
KR200458090Y1 (ko) 조립식 선반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KR102282114B1 (ko) 구조 개선 및 잠금구조의 조립식 스틸 랙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2216583B1 (ko) 파티션의 체결구조
KR101822986B1 (ko) 서랍장
KR200470666Y1 (ko) 선반 지지 장치
US9850030B2 (en) Collapsible box with side wall article supports
KR100982305B1 (ko) 거울 고정구 및 고정구를 가진 고정 프레임
JP2016007183A (ja) シート定着部材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US7155761B2 (en) Interchangeable furniture system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JP2005007023A (ja) 収納ユニット
KR102479441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가변형 선반
JP3117277U (ja) 商品陳列装置
JP5563401B2 (ja) 物品収納庫
JP3147194U (ja) 多機能収納棚
KR200466856Y1 (ko) 가구용 서랍
KR200491470Y1 (ko) 공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