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986B1 -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986B1
KR101822986B1 KR1020170071707A KR20170071707A KR101822986B1 KR 101822986 B1 KR101822986 B1 KR 101822986B1 KR 1020170071707 A KR1020170071707 A KR 1020170071707A KR 20170071707 A KR20170071707 A KR 20170071707A KR 101822986 B1 KR101822986 B1 KR 10182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ounting space
main
main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7007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접촉 부위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고,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는 조립블록을 형성시켜 다단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적으며, 사선 및 지그재그 등의 형태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미감 연출과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장{DRAWER}
본 발명은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접촉 부위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고,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는 조립블록을 형성시켜 다단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적으며, 사선 및 지그재그 등의 형태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미감 연출과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은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 프레임의 공간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서랍장은, 다수의 패널을 조립하여 메인 프레임을 박스 형태로 제작하고, 메인 프레임의 공간부와 서랍의 양측에는 서랍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등을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서랍장은 다수의 패널들이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메인 프레임의 외부로 조립된 흔적이나 체결부재 등이 노출되므로 외관이 깔끔하지 않았고,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나사, 피스 등)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작 과정에서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서랍장 제작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서랍장은 다단으로 적층시 상층에 안착된 서랍장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이동 중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거나 바닥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서랍장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랍장은 수직 방향으로만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형미를 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설치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적층이 불가하므로 공간 활용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3220호(2006년 07월 28일)가 있으며, 선행 문헌에는 사무용 서랍장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접촉 부위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켜, 하부 프레임이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적으며, 사선 및 지그재그 등의 형태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미감 연출과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는 조립블록을 형성시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단으로 적층시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러 층으로 확장할 수 있어 사용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선이나 지그재그 등으로 적층시킬 수 있어 조형미 연출과 공간활용이 용이한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공간의 내부에 후크를 형성시켜 서랍이 개방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서랍을 장착공간에 밀어 넣는 동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서랍의 조립이 간편하며, 서랍이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장착공간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장착공간의 전방을 통해 출몰 가능하도록 서랍이 구비된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며, 하단에 제1메인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에 형성되는 제1메인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메인 걸림홈 및, 상기 제1메인 걸림홈에 수평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을 따라 제2메인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다수의 상부 조립블록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조립블록들의 사이 간격에 엇갈리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조립블록들과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부 조립블록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조립블록은 2개 이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조립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 조립블록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되도록 다수의 말착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는 보조 걸림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좌우측 상단에는 상기 보조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는 보조 걸림돌기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는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과 마주보는 일측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과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1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2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서랍의 좌우측면에 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대응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3안내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3안내면은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을 상기 장착공간으로 삽입시 상기 서랍의 좌우측면을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사이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랍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좌우측 상면에는 상기 서랍을 상기 장착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서랍의 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한 쌍의 후크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들의 전단에는 후방을 따라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접촉 부위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켜, 하부 프레임이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메인 프레임의 외관에 조립된 흔적(이음 자국) 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심플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는 조립블록을 형성시켜 다단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단으로 적층시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적으며, 사선 및 지그재그 등의 형태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형미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공간의 내부에 후크를 형성시켜 서랍이 개방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서랍을 장착공간에 밀어 넣는 동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서랍의 조립이 간편하며, 서랍이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하우징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장을 다단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부 서랍장의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장착공간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저면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후크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와 제2조립돌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수의 그룹으로 배열시킨 후, 제1조립돌기와 다수의 제2조립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수의 그룹으로 배열시킨 후, 제1조립돌기와 하나의 제2조립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각형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지그재그 형태로 2단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지그재그 형태로 3단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하우징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장을 다단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부 서랍장의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장착공간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저면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후크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서랍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와 제2조립돌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수의 그룹으로 배열시킨 후, 제1조립돌기와 다수의 제2조립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수의 그룹으로 배열시킨 후, 제1조립돌기와 하나의 제2조립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서 제1조립돌기를 다각형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지그재그 형태로 2단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지그재그 형태로 3단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10)은 메인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및, 서랍(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다단으로 적층 및 측방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10)은, 후술 될 서랍(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장착공간(110)의 하방에는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가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가 장착공간(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하부 조립블록(210)과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상부 조립블록(120)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은,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은 측면에 원주면이 형성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상부 돌출면은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하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은 측면에 다각면이 형성되도록 다각(직사각 또는 사각 등) 형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은, 도 1 내지 4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A)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을 4개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4개의 상부 조립블록(120)들 중 2개는 메인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측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나머지 2개는 후방측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개의 상부 조립블록(120)들 중 2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이 메인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이 메인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전후좌우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간격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은 2개 또는 3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미도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장착공간(110)의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브(130)가 측방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리브(130)는 일정 강도를 갖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리브(130)는, 장착공간(110)의 좌우측 벽면과 후방측 벽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브(130)의 하단은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위치된다.
이때, 상기 리브(130)의 폭 방향 일측단은 장착공간(110)의 벽면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리브(130)의 반대되는 타측단은 장착공간(11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130)의 하단에는 제1메인 걸림돌기(13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131)는 장착공간(110)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간격(G)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G)에 위치된 리브(130)의 하단에는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상단이 수평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스토퍼면(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131)는,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제2메인 걸림홈(220)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제2메인 걸림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200)가 전후좌우 및 상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장착공간(110)의 벽면과 대면하는 제1메인 걸림돌기(131)의 일측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장착공간(110)의 벽면과의 간격(G)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1안내면(13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안내면(131a)과 장착공간(110)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G)은 하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131)의 하단은 좁은 폭을 형성하므로,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131)의 하단을 후술 될 제2메인 걸림홈(22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안내면(131a)은 후술 될 제2메인 걸림홈(22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장착공간(110)의 벽면으로 안내하므로,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를 결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30)는 메인 프레임(100)의 측면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므로, 메인 프레임(100)의 측벽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장착공간(110)의 좌우측 벽면에는 제1메인 걸림홈(14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 걸림홈(140)은 리브(130)들의 하방에 각각 이격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 걸림홈(140)은 장착공간(110)의 벽면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시키거나,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된 홀로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메인 걸림홈(140)은 장착공간(110)의 후방측 벽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제1메인 걸림홈(140)을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메인 걸림홈(140)은,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제2메인 걸림돌기(230)가 수평하게 삽입되며, 하부 프레임(200)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메인 프레임(100)의 좌우측 하단에는 보조 걸림홈(150)이 오목가게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 걸림홈(150)은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좌우측 전단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부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연장부의 하면에 보조 걸림홈(15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 걸림홈(150)은,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의 보조 걸림돌기(250)가 하방에서 수직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200)가 전후좌우 및 상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장착공간(110)의 좌우측 상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크(16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후크(160)는 장착공간(1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후크(160)들의 후단은 후술 될 서랍(300)이 걸림 위치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160)들의 전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경사면(16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61)은, 후술 될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으로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서랍(300)의 수납공간(310)에 좁은 폭으로 삽입되므로, 수납공간(310)에 수납된 물품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61)은 후술 될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으로 조립시키는 경우, 장착공간(110)으로 진입하는 서랍(300)의 전단을 하방으로 안내한 후, 후크(160)의 후방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후크(160)는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에 밀어 넣는 동작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서랍(300)이 개방되는 거리를 제한한 수 있어 서랍(300)이 장착공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측 하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블록(170)이 더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블록(170)의 하단이 지면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측 하면에는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170)의 상단이 설치홈에 대응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블록(170)은 하단이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며, 이때 메인 프레임(100)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서랍장(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최 하층에 위치된 메인 프레임(100)의 하면에만 지지블록(17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0)는, 장착공간(110)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가장자리가 장착공간(110)의 벽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하면에는 메인 프레임(10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전술한 상부 조립블록(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조립블록(210)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조립블록(210)은,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사이 간격에 엇갈리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조립블록(210)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측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조립블록(210)들의 측면에는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측면이 대응되게 밀착되도록 다수의 밀착면(21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면(211)들은, 상부 조립블록(120)들의 측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므로, 상부 조립블록(120)들이 넓은 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면(211)은 상부 조립블록(120)을 원통 형상으로 적용시키는 경우, 오목한 곡선면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밀착면(211)은 상부 조립블록(120)을 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으로 적용시키는 경우, 오목한 다각면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착면(211)은 상부 조립블록(1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며, 상부 조립블록(120)과 밀착되지만 대응되지 않은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하나의 그룹(A)으로 4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을 형성시키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조립블록(210)의 밀착면(211)을 4개의 방향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밀착면(211)들에 상부 조립블록(120)들이 각각 밀착되므로, 다단으로 적층된 하부 메인 프레임(100)과 상부 메인 프레임(10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이와 다른 형태로,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2개의 그룹(A)(B)으로 8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을 형성시키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조립블록(210)을 2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조립블록(210)들의 밀착면(211)들에 2개의 그룹(A)(B)을 형성하는 상부 조립블록(120)들이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2개의 그룹(A)(B)으로 8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을 형성시키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조립블록(210)의 밀착면(211)들을 8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3개의 상부 조립블록(120)을 형성시키는 경우, 하부 조립블록(210)의 밀착면(211)을 3개의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4 및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1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직립 형태로 적층하는 형태뿐 아니라, 서랍장(10)을 사선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적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서랍장(100)을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시킨 후, 바닥면에 배치된 서랍장(10)들의 사이에 또 다른 서랍장(10)을 적층시키는 형태 등으로도 적층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프레임(200)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제2메인 걸림홈(220)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2메인 걸림홈(220)의 상부를 통해 전술한 제1메인 걸림돌기(131)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메인 걸림홈(220)은 리브(1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메인 걸림돌기(131)와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함께, 하부 프레임(200)의 측면을 따라 제2메인 걸림돌기(230)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230)는 제1메인 걸림홈(140)과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230)의 상면에는 하부 프레임(200)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2안내면(231)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230)의 돌출된 끝단은 좁은 폭을 형성하므로,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230)를 제1메인 걸림홈(14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안내면(231)은 제1메인 걸림홈(14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로 제2메인 걸림돌기(230)를 제1메인 걸림홈(140)으로 안내하므로, 후술 될 하부 프레임(200)를 결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200)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40)이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40)은, 후술 될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에 삽입시키는 경우, 서랍(300)의 좌우측면에 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40)들의 대응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3안내면(241)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3안내면(240)은, 가이드레일(240)들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 될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으로 삽입시키는 경우, 서랍(300)의 좌우측면을 가이드레일(240)들의 사이로 안내한다.
또한, 하부 프레임(200)의 좌우측 상단에는 전술한 보조 걸림홈(150)에 대응 삽입되는 보조 걸림돌기(25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 걸림돌기(250)는 하부 프레임(20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 걸림돌기(250)는, 보조 걸림홈(150)의 하부를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200)가 전후좌우 및 상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랍(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정착공간(110)의 전방을 통해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서랍(30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3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32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랍(300)의 양측 하면에는 하부 프레임(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롤러(330)가 각각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랍(300)의 좌우 방향측 하면에는 롤러(330)들의 회전축을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랍(300)을 장착공간(110)에 결합시 롤러(330)들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200)의 상면에 안착되고, 서랍(3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롤러(330)들이 회전되면서 서랍(300)을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접촉 부위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켜, 하부 프레임(200)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하부 프레임(200)의 조립이 간편하고, 메인 프레임(100)의 외관에 조립된 흔적(이음 자국 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심플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에 상부 조립블록(120)을 형성시키고, 하부 프레임(200)에 하부 조립블록(210)를 형성시켜 다단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장(10)을 다단으로 적층시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장(10)을 여러 층으로 확장할 수 있어 사용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서랍장(10)을 사선이나 지그재그 등으로 적층시킬 수 있어 조형미 연출과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아울러, 장착공간(110)의 내부에 후크(160)를 형성시켜 서랍(300)이 개방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서랍(300)을 장착공간에 밀어 넣는 동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서랍(300)의 조립이 간편하며, 서랍(300)이 장착공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10)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랍장 100: 메인 프레임
101: 측벽 110: 장착공간
120: 상부 조립블록 130: 리브
131: 제1메인 걸림돌기 131a: 제1안내면
132: 스토퍼면 140: 제1메인 걸림홈
150: 보조 걸림홈 160: 후크
161: 경사면 170: 지지블록
200: 하부 프레임 210: 하부 조립블록
211: 밀착면 220: 제2메인 걸림홈
230: 제2메인 걸림돌기 231: 제2안내면
240: 가이드레일 241: 제3안내면
250: 보조 걸림돌기 300: 서랍
310: 수납공간 320: 손잡이
330: 롤러 A: 그룹
G: 간격

Claims (11)

  1.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장착공간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장착공간의 전방을 통해 출몰 가능하도록 서랍이 구비된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다단으로 적층 및 측방을 따라 배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서랍이 출몰 가능하도록 전방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고, 하단에 제1메인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측방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리브 및,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에 형성되는 제1메인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메인 걸림홈 및, 상기 제1메인 걸림홈에 수평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을 따라 제2메인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다수의 상부 조립블록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조립블록들의 사이 간격에 엇갈리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조립블록들과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부 조립블록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하부 조립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 조립블록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되도록 다수의 밀착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 걸림돌기는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과 마주보는 일측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의 벽면과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1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메인 걸림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2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블록은,
    2개 이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는,
    보조 걸림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좌우측 상단에는,
    상기 보조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는 보조 걸림돌기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서랍의 좌우측면에 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대응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제3안내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3안내면은,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을 상기 장착공간으로 삽입시 상기 서랍의 좌우측면을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사이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좌우측 상면에는,
    상기 서랍을 상기 장착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서랍의 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한 쌍의 후크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의 전단에는,
    후방을 따라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KR1020170071707A 2017-06-08 2017-06-08 서랍장 KR10182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7A KR101822986B1 (ko) 2017-06-08 2017-06-08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7A KR101822986B1 (ko) 2017-06-08 2017-06-08 서랍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986B1 true KR101822986B1 (ko) 2018-01-31

Family

ID=6108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07A KR101822986B1 (ko) 2017-06-08 2017-06-08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00A (ko) 2019-07-05 2021-01-13 허명실 서랍장
WO2023092162A1 (de) * 2021-11-29 2023-06-01 Julius Blum Gmbh Möbel umfassend mindestens zwei, lösbar miteinander verbindbare, möbel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59Y1 (ko) * 2003-04-23 2003-07-31 주식회사 모아 시스템즈 서랍형 수납함
KR200395229Y1 (ko) * 2005-06-28 2005-09-07 이영철 플라스틱 수납박스
JP4771360B2 (ja) * 2005-03-28 2011-09-14 コクヨ株式会社 組立式収納装置及び引出し付整理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59Y1 (ko) * 2003-04-23 2003-07-31 주식회사 모아 시스템즈 서랍형 수납함
JP4771360B2 (ja) * 2005-03-28 2011-09-14 コクヨ株式会社 組立式収納装置及び引出し付整理ユニット
KR200395229Y1 (ko) * 2005-06-28 2005-09-07 이영철 플라스틱 수납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00A (ko) 2019-07-05 2021-01-13 허명실 서랍장
WO2023092162A1 (de) * 2021-11-29 2023-06-01 Julius Blum Gmbh Möbel umfassend mindestens zwei, lösbar miteinander verbindbare, möbel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437B2 (ja) 組立品及び組立品の組み立て方法
JP2019504250A (ja) 機械式係止装置を備えたパネル及びこれらのパネルを含む組立製品
US8397937B2 (en) Article carrier with a dividing arrangement
US9060602B2 (en) Furniture assembly
JP2019510170A (ja) 組立製品用のパネルのセット
KR101822986B1 (ko) 서랍장
KR101805735B1 (ko) 서랍장
KR102123337B1 (ko) 다용도 선반
KR101951348B1 (ko) 쇼케이스용 선반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TW201702024A (zh) 組合式工具車構造
KR101622772B1 (ko) 조립식 수납함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101236657B1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JP7048959B2 (ja) 収納ケース
KR101249806B1 (ko) 조립식 신발장
KR200487020Y1 (ko) 건조용 상자
KR200199560Y1 (ko) 서랍식 보관함
JP7418148B2 (ja) コンセント装置
JP2011074635A (ja) 門扉
KR102181520B1 (ko) 시스템 선반
JP2004049475A (ja) 仕切部材及びこれを装着した引き出し構造
KR20180000327U (ko) 끼움식 선반
JP6955793B1 (ja) 収納容器と収納具
KR101528849B1 (ko) 슬라이드식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