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612A - 가변형 수납장 - Google Patents

가변형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612A
KR20080097612A KR1020070042692A KR20070042692A KR20080097612A KR 20080097612 A KR20080097612 A KR 20080097612A KR 1020070042692 A KR1020070042692 A KR 1020070042692A KR 20070042692 A KR20070042692 A KR 20070042692A KR 20080097612 A KR20080097612 A KR 2008009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orage
locking
hous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신
Original Assignee
이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신 filed Critical 이용신
Priority to KR102007004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612A/ko
Publication of KR2008009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Abstract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형 수납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은, 일정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수납 부재들; 및 상기 수납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일정장소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관 및 운반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물류비용도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가변형, 수납장, 수납 부재, 수납 공간부, 체결홈, 걸림 부재, 걸림바

Description

가변형 수납장{Variable cabin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에서 상측 수납 부재와 하측 수납 부재가 체결된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측 수납 부재와 하측 수납 부재가 걸림 부재에 의해 체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에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에 설치된 걸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걸림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에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에 설치된 걸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걸림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이 폭방향으로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에 텔레비전을 배치시킨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납 부재 22 : 상부 체결홈
24 : 하부 체결홈 22a : 개구부
28 : 결합나사 40 : 수납 공간부
60 : 걸림 부재 62', 62" : 하우징
62a' : 걸림홈 62a" : 걸림홀
62b' : 장홀 62b" : 캠홈
64': 스프링 64" : 캠
64a" : 회전홈 65" : 연결링크
66', 66" : 걸림바 68" : 받침판
68' : 조절핀 80 : 측벽
82 : 상부 판재 84 : 하부 판재
90 : 텔레비전
본 발명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형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꽂아서 보관토록 하는 책장은 그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알려져 있겠으나, 가장 단순하면서도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책장은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좌,우측면판 및 후면판 등을 결합하여 전면이 개구되는 함체형상으로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반을 다단으로 구비하여 이들 받침반을 통하여 각종 책들을 꽂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책장들은 그 전면이 개구됨으로써 책을 손쉽게 꽂거나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질지라도 책장의 형태가 이미 제조처에서 고정된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여러 가지 한계점이 야기된다.
즉, 책장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 원하고자 하는 일정장소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그러한 장소에 이미 제조된 책장이 형태상으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벽과 같은 지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경우 길이 측면에서 이미 배치된 다른 가구들과 중첩되어 이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상기 책장은 이미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에 있어서 그 부피로 인하여 작업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류비용도 증대되는 등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형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은, 일정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수납 부재들; 및 상기 수납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된다.
이때, 상기 수납 부재들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수납층을 이루며, 상기 수납층은 종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 부재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과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에 걸림 부재가 걸쳐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방향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수납 부재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에 걸림바를 가진 걸림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에 걸림바를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방향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체결홈은, 상기 수납 부재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상부 체결홈에 설치되고 상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상,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종방향의 장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걸림홈에 안착된 스프링; 상기 걸림홈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연에 조절홈이 형성된 걸림바; 및 상기 하우징의 장홀을 통해 상기 걸림바의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장홀을 따라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걸림바를 상하운동시키는 조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체결홈은, 상기 수납 부재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상부 체 결홈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상기 걸림홀과 연통된 캠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걸림홀에 설치되며, 상기 캠홈을 통해 노출된 부위에 회전홈이 형성된 캠; 및 상기 걸림홀의 내측에서 상기 캠의 상부에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상하운동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며, 상기 캠의 회전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층의 양측에 각각 측벽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층에서 양측에 배치된 수납 부재들이 상기 측벽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된 수납층 중 상층 수납 공간부에는 상부에 상부 판재가 설치되고, 하층 수납 공간부에는 하부에 하부 판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은 일정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수납 부재(20)들과, 상기 수납 부재(20)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납 부재(20)들은 물건이 수납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일 예로 서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직육면체 상자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개방된 전면을 통해 책과 같은 물건을 인입하여 안착시키거나, 이미 안착된 물건을 다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부(40)도 물건이 수납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일정간격 이격된 수납 부재(2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여기에서, 수납 부재(20)들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 부재(20)들과 수납 공간부(40)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수납 부재(20)들의 배치에 따라 수납 공간부(40)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납 부재(20)들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수납층을 이루며, 상기 수납층은 종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즉, 수납 부재(20)들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나열되어 수납층을 이루며, 이러한 수납층의 상부에 다시 수납 부재(20)들을 나열하여 수납층을 이룸으로써 상기 수납층을 적층하게 된다.
이때, 상측 수납 부재는 하측 수납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40)에 낙하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수납 부재(20)들로 구성되는 수납층이 종방향으 로 둘 이상 적층됨으로써, 같은 바닥 면적을 기준으로 수납 부재(20)들과 수납 공간부(40)의 수가 늘어나게 되어 많은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수납장에서 상측 수납 부재와 하측 수납 부재가 체결된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상측 수납 부재와 하측 수납 부재가 걸림 부재에 의해 체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부재(20)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2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 부재(20)의 상부 체결홈(22)은 상면의 각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납 부재(2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을 조립하는데에는 결합나사(28) 또는 결합못이 사용된다. 상기 결합나사(28) 또는 결합못은 일반적으로 상판 및 하판으로부터 측판으로 박히게 되는데, 이때 미관상 결합나사(28) 또는 결합못의 헤드를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수납 부재(20)의 상판과 하판에 일정깊이의 체결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홈을 본 발명에서는, 상부 체결홈(22) 및 하부 체결홈(24)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부재(20)들 중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 방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과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에 걸림 부재(60)가 걸쳐서 설치된다. 즉,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에 걸림 부재(60)를 삽입시킨 후, 상측 수납 부재를 하측 수납 부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상부 체결홈(22)과 하부 체결홈(24)을 종방향으로 일치시키면 걸림 부재(60)가 상부 체결홈(22) 및 하부 체결홈(24) 내부에 걸쳐서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과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에 걸림 부재(60)가 걸쳐서 설치되면,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는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에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에 설치된 걸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걸림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부재(20')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2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체결홈(22')은, 수납 부재(20')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납 부재(20')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22a')를 가진다.
또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에 걸림바(66')를 가진 걸림 부재(60')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에 걸림바(66')를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는 하우징(62'), 상기 하우징(62')에 장착되는 스프링(64'), 상기 스프링(64')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바(66'), 및 상기 하우징(62')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바(66')에 체결되는 조절핀(68')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는데, 상부 체결홈(22')에 억지끼움되기 위해 상부 체결홈(2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하우징(62')은 외주연에 걸림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체결홈(22')에 인입을 용이하게 하고 인입된 후 상부 체결홈(22')에 대한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62')은 상면에 걸림홈(62a')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62a')에는 걸림바(66')가 인입되어 장착된다.
아울러, 하우징(62')은 개구부(22a')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종방향 장홀(62b')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62b')은 걸림바(66')의 높이조절을 하는 조절핀(68')에 대한 가이드 및 고정지지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장홀(62b')은 전체적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이와 같은 장홀(62b')은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핀(68')이 상,하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바(66')가 상하운동 하지 않도록 고정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4')은 하우징(62')의 걸림홈(62a')에 안착되는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바(66')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프링(64')은 걸림바(66')의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걸림바(66')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걸림바(66')는 걸림홈(62a')의 내측에서 스프링(64')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연에 조절홈(66a')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홈(66a')에는 조절핀(68')이 하우징(62')의 장홀(62b')을 통해 인입됨으로써, 조절핀(68')을 상하로 조절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걸림바(66')가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바(66')는 사용자의 조절핀(68') 작동을 통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에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에 설치된 걸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걸림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부재(20)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2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체결홈(22")은, 수납 부재(20")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납 부재(20")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22a")를 가진다.
또한,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에 걸림바(66")를 가진 걸림 부재(60")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에 걸림바(66")를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는 하우징(62"), 상기 하우징(62")에 장착되는 캠(64"), 및 상기 스프링(64")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바(6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는데, 상부 체결홈(22")에 억지끼움되기 위해 상부 체결홈(2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하우징(62")은 외주연에 걸림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체결홈(22")에 인입을 용이하게 하고 인입된 후 상부 체결홈(22")에 대한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62")은 상하방향으로 걸림홀(62a")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62a")에는 걸림바(66")가 인입되어 장착된다. 아울러, 하우징(62")은 개구부(22a")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걸림홀(62a")과 연통된 캠홈(62b")이 형성되며, 상기 캠홈(62b")을 통해서 캠(64")의 회전홈(64a")이 형성된 부위가 노출된다.
즉, 상기 캠(64")은 하우징(62")의 걸림홀(62a")에 설치되며 캠홈(62b")을 통해 노출된 부위에 회전홈(64a")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회전홈(64a")을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회전 부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캠(64")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캠(64")에 연결된 걸림바(66")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걸림바(66")는 걸림홀(62a")의 내측에서 캠(64")의 상부에 연결링크(6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62")의 걸림홀(62a")에 걸림바(66")와 캠(64")이 설치되기 위해, 하우징(62")의 걸림홀(62a") 바닥은 받침판(68")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68")은 측부를 따라 체결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걸림홀(62a") 바닥에 용이하게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아울러, 걸림바(66")와 캠(64")이 하우징(62")의 걸림홀(62a")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입되어 전측으로 이동된 후 후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67")이 걸림홀(62a")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67")은 측부를 따라 체결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걸림홀(62a") 내부에 용이하게 억지끼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재(60)(60')가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24")에 걸림바(66')(66")를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변되는 수납장을 일정시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방향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는 걸림 부재(60')(60")에 의해 서로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과 도 2, 및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층의 양측에 각각 측벽(80)이 설치되며, 수납층에서 양측에 배치된 수납 부재(20)들이 측벽(80)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납층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세워진 측벽(80)과 이에 고정된 수납 부재(20)들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지니며, 서로 횡방향 이동하는 수납 부재(20)들의 측방향 이동에 대한 한계선을 갖는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된 수납층 중 상층 수납 공간부에는 상부에 상부 판재(82)가 설치되고, 하층 수납 공간부에는 하부에 하부 판재(84)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판재(82)들 중에서 양측 측벽(80)에 안착되는 상부 판재(82)는, 측벽(80)에 접하는 부위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돌기의 측벽(80) 누름에 의해 측벽(80)에 대해 일정 정도의 고정력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벽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장소에서 상기 각도에 대응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변되어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수납 부재(20)를 탈거하여 그 위치에 텔레비전(90) 등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방향으로도 가변될 수 있으며, 일부 수납 부재(20)를 분리하여 다른 형상의 부재 및 물체를 채워넣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납 부재(20)들끼리 다양한 각도 예컨대, 30°, 60°, 90° 등으로 이루어져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조건에 대응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수납장은, 일정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수납 부재들, 및 상기 수납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납 부재들과 수납 공간부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일정장소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관 및 운반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물류비용도 감소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일정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수납 부재(20)들; 및
    상기 수납 부재(20)들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부재(20)들과 수납 공간부(40)에 물건이 수납가능하며, 상기 수납 부재(20)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부(40) 및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20)들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수납층을 이루며, 상기 수납층은 종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20)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2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24)이 형성되며,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과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에 걸림 부재(60)가 걸쳐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방향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20')(20")들은 상면에 상부 체결홈(22')(2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체결홈(24')(24")이 형성되며,
    하측 수납 부재의 상부 체결홈(22')(22")에 걸림바(66')(66")를 가진 걸림 부재(60')(60")가 장착되고,
    상기 걸림 부재(60')(60")는 상측 수납 부재의 하부 체결홈(24')(24")에 걸림바(66')(66")를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측 수납 부재와 상측 수납 부재를 서로 횡방향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홈(22')은, 상기 수납 부재(20')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 부재(20')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22a')를 가지며,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기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고 상면에 걸림홈(62a')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2a')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상,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종방 향의 장홀(62b')이 형성된 하우징(62');
    상기 하우징(62')의 걸림홈(62a')에 안착된 스프링(64');
    상기 걸림홈(62a')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64')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연에 조절홈(66a')이 형성된 걸림바(66'); 및
    상기 하우징(62')의 장홀(62b')을 통해 상기 걸림바(66')의 조절홈(66a')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62')의 장홀(62b')을 따라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걸림바(66')를 상하운동시키는 조절핀(6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홈(22")은, 상기 수납 부재(20")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 부재(20")의 측면에 일정 부분 개구된 개구부(22a")를 가지며,
    상기 걸림 부재(60")는,
    상기 상부 체결홈(22")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걸림홀(62a")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a")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상기 걸림홀(62a")과 연통된 캠홈(62b")이 형성된 하우징(62");
    상기 하우징(62")의 걸림홀(62a")에 설치되며, 상기 캠홈(62b")을 통해 노출된 부위에 회전홈(64a")이 형성된 캠(64"); 및
    상기 걸림홀(62a")의 내측에서 상기 캠(64")의 상부에 연결링크(6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캠(64")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상하운동하는 걸림바(66");를 포함하며,
    상기 캠(64")의 회전홈(64a")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64")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층의 양측에 각각 측벽(80)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층에서 양측에 배치된 수납 부재(20)들이 상기 측벽(80)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수납층 중 상층 수납 공간부에는 상부에 상부 판재(82)가 설치되고, 하층 수납 공간부에는 하부에 하부 판재(8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납장.
KR1020070042692A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수납장 KR20080097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92A KR20080097612A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92A KR20080097612A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612A true KR20080097612A (ko) 2008-11-06

Family

ID=4028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92A KR20080097612A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6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0468434Y1 (ko) * 2012-03-13 2013-08-13 변윤정 공간 활용이 용이한 가구
KR101361293B1 (ko) * 2013-08-27 2014-02-17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28849B1 (ko) * 2013-11-07 2015-06-17 김경민 슬라이드식 진열대
KR102223314B1 (ko) 2020-01-06 2021-03-04 한재용 가변형 수납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0468434Y1 (ko) * 2012-03-13 2013-08-13 변윤정 공간 활용이 용이한 가구
KR101361293B1 (ko) * 2013-08-27 2014-02-17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28849B1 (ko) * 2013-11-07 2015-06-17 김경민 슬라이드식 진열대
KR102223314B1 (ko) 2020-01-06 2021-03-04 한재용 가변형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584B2 (en) Storage system
US20110204005A1 (en) Shelving Unit for a Locker and Method
US8985347B2 (en) Linear spice rack
US9301603B1 (en) Collapsible storage cabinet
KR20080097612A (ko) 가변형 수납장
US6216397B1 (en) Modular partition
KR200447520Y1 (ko) 수납함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JP2014054522A (ja) 配膳車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200327237Y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20100010944U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KR200452483Y1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US20140314474A1 (en) Furniture unit
KR100517310B1 (ko) 다용도 선반
KR101866755B1 (ko) 서가용 안전선반
CN109668203B (zh) 支撑组件、支撑结构及取暖器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JP4331562B2 (ja) 物品棚及び物品保管庫
JP3140725B2 (ja) 引き出し支持構造
JP6666204B2 (ja) 配線収容什器
KR20060116366A (ko) 쇼케이스용 선반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KR20130131811A (ko)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
KR102203358B1 (ko)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서랍 분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