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58Y1 - 모듈형 정리함 - Google Patents

모듈형 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58Y1
KR200492958Y1 KR2020190002787U KR20190002787U KR200492958Y1 KR 200492958 Y1 KR200492958 Y1 KR 200492958Y1 KR 2020190002787 U KR2020190002787 U KR 2020190002787U KR 20190002787 U KR20190002787 U KR 20190002787U KR 200492958 Y1 KR200492958 Y1 KR 200492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upport protrusion
hole
shelf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봉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코프 filed Critical (주)에스엠코프
Priority to KR2020190002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바구니를 수납하여 적층하기 위한 정리함을 조립할 때,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연결너트 및 연결볼트를 통해 선반이 모듈식으로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모듈형 정리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듈형 정리함{CABINET OF MODULE TYPE}
본 고안은 모듈형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구니를 수납하여 적층하기 위한 정리함을 조립할 때,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연결너트 및 연결볼트를 통해 선반이 모듈식으로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모듈형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소비자들은 획일화된 시스템, 공업화된 제품 등에서 탈피하여 남과 다른 나,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나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개인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흥미, 용모, 성과, 취향 등의 개성표현과 차별화의 수단으로 개인별 맞춤화가 트랜드로 주목받으면서 조립식 가구 또한 트랜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조립식 가구는 라이프스타일에 맞도록 반가공 된 소재를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 원하는 스타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도 효율적이며, 어떠한 공간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간 구성이 가능하고 독특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공간에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가구를 자신이나 가족 모두가 함께 제작한다는 것은 보람과 즐거움을 준다. 그와 함께 자녀들에게 조립방법이나 공구사용법 등도 자연스럽게 학습시킬 수 있어 교육적인 측면의 부가적 효과도 있다. 또한 조립식 가구는 분해된 상태로 운반되므로, 부피가 작아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현재까지 제품화되고 있는 조립식 구조물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압축목재를 이용한 공간박스를 들 수 있다. 공간박스는 사각형 형상의 판재를 육면체 형상으로 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판재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모듈형 조립식 판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측면이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유니트 판재(10)와, 복수의 유니트 판재(10) 단부면에 결합되어 유니트 판재(10)들을 하나로 상호 연결하는 마구리부재(30)를 포함하고, 일 유니트 판재(10)의 일면에 결합홈부(70)와, 결합돌기부(80)가 교대로 형성되어, 다른 유니트 판재(10)에 교대로 형성된 결합돌기부(80)와, 결합홈부(7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여, 장식장을 구성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부(80)와, 결합홈부(70)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식장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듈형 조립식 판재는 결합돌기부와 결합홈부가 각각 단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결합 구조의 견고성이 떨어지며, 이에 따라, 조립 과정 또는 사용 과정 도중 결합돌기부와 결합홈부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될 수 있어, 조립된 장식장이 무너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듈형 조립식판재를 통해 조립된 장식장을 유지 보수나 디자인 변경 등을 위해 조립식판재를 교체하고자 할 때 부득이하게 주변 다수의 조립식판재들을 모두 분리해내야만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시 다른 마감 조립식판재들에 스크래치 등 상처를 입힐 수 있어 미관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구니를 수납하여 적층하기 위한 정리함을 조립할 때,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연결너트 및 연결볼트를 통해 선반이 모듈식으로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한 모듈형 정리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목적은 바구니의 크키에 따라 측판에 결합되는 선반의 상하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수의 바구니를 수납 적층할 수 있도록 선반을 측방으로 자유롭게 확장시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정리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내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1관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직설되는 한쌍의 측판과;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에 밀착되는 암나사부와, 일면에 조임홈이 형성되고 타면은 측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머리부로 구성되는 마감너트와; 상기 제1관통공의 내측에서 삽입되고 일측은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에 밀착되고 측판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와, 상기 제1지지돌기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제1지지돌기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1걸림헤드부로 구성되는 제1연결볼트와; 저면에 보강리브살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저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턱 양측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제1지지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상면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구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연결볼트에 선반의 상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모듈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정리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측판이 개재되어 측판 사이의 좌우폭이 확장되게 구성되되, 상기 내부 측판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고 내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관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의 일측에는 제2연결볼트가 결합되되, 상기 제2연결볼트는 상기 제2관통공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돌기와, 상기 제2지지돌기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2수나사부와, 상기 제2지지돌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걸림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의 타측에는 연결너트가 결합되되, 상기 연결너트는 상기 제2관통공의 타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내면에 상기 제2연결볼트의 제2수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3지지돌기와, 상기 제3지지돌기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3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3걸림헤드부로 구성되어, 상기 측판 및 내부 측판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결합된 제1연결볼트, 제2연결볼트 및 제2연결너트에 선반의 조립홈이 끼워져 결합되어, 선반을 통해 측판과 내부 측판 및 내부 측판과 내부 측판을 연결하고 상기 측판과 내부 측판 사이 및 내부 측판과 내부측판 사이에 선반이 모듈식으로 적층 결합되게 구성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살은 선반 저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보강리브살과, 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사각형 보강리브살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은 지지턱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 제2지지돌기 및 제3지지돌기에 쉽게 끼워지게 마련되는 끼움홈 및 상기 끼움홈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돌기, 제2지지돌기 및 제3지지돌기와 같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 제2지지돌기 및 제3지지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 및 내부 측판의 상단에는 중앙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옷걸이봉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측판 및 내부 측판의 후단에는 상기 선반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가 걸림되는 꺽쇠가 구성되되, 상기 꺽쇠는 상기 측판 및 내부 측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미치 상기 고정판에서 바구니가 수납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바구니의 후면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은 바구니를 수납하여 적층하기 위한 정리함을 조립할 때,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연결너트 및 연결볼트를 통해 선반이 모듈식으로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은 바구니의 크키에 따라 측판에 결합되는 선반의 상하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수의 바구니를 수납 적층할 수 있도록 측판 사이에 내부 측판을 개재하고 측판과 내부 측판 사이에 선반을 자유롭게 확장시켜 조립하여 정리함의 좌우 사이즈를 확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정리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및 제1연결볼트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에서 내부 측판에 결합되는 제2연결볼트 및 연결너트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서 측판에 결합되는 마감너트 및 제1연결볼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모듈형 정리함은 측판(110), 마감너트(120), 제1연결볼트(130), 선반(140) 및 바구니(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판(110)은 서로 대향되게 직설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제1관통공(1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111)에는 내면에 걸림돌기(111a)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110)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도록 블로우 사출로 제조된다.
상기 마감너트(120)는 상기 제1관통공(11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암나사부(121)와 머리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21)는 내면에 암나사산(1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111)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111a)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부(121)의 직경과 제1관통공(111)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암나사부가 제1관통공에 삽입되었을 때, 암나사부(121)가 제1관통공(111)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122)는 일면에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할 수 있는 조임홈(122a)이 형성되고 타면은 측판(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볼트(130)는 상기 마감너트(120)에 체결되어 측판(11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선반(140)이 끼워져 조립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제1지지돌기(131), 수나사부(132) 및 제1걸림헤드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돌기(131)는 상기 제1관통공(111)의 내측에서 삽입되고 일측은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111a)에 밀착되고 측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돌기(131)는 제1관통공(1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지지돌기가 제1관통공에 삽입되었을 때, 제1지지돌기(131)가 제1관통공(111)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지지돌기(131) 중 상기 측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후술하는 선반(140)의 조립홈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나사부(132)는 제1지지돌기(13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부(121a)에 체결된다. 즉, 상기 수나사부(132)가 마감너트의 암나사산(121a)에 체결됨으로써, 마감너트(120)와 제1연결볼트(130)가 제1관통공(111)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헤드부(133)는 상기 제1지지돌기(1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지지돌기(1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걸림헤드부(133)는 후술하는 선반(140)이 제1지지돌기(131)에 끼워져 결합될 때 선반(140)의 지지턱에 밀착되어 선반이 분리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선반(140)은 상기 제1연결볼트(13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측판(110)과 측판(110)을 연결하여 결합하고, 상면에 후술하는 바구니(150)가 안착 수납되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선반(140)은 저면에 보강리브살이 형성되는 받침판(141)과, 상기 받침판(141)의 가장자리 저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1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턱(142) 양측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제1지지돌기(131)에 끼워져 결합되는 조립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선반(140)은 사출 성형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바구니(150)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선반(140)의 상면에 안착 수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의 제1관통공(111)에 마감너트(120) 및 제1연결볼트(130)를 끼워 결합한 다음, 마감너트(120)를 상기 제1연결볼트(130)와 체결한다. 이때, 마감너트의 암나사부(121) 및 제1연결볼트(130)의 제1지지돌기(131)는 제1관통공(111)에 끼워져 고정되고, 제1연결볼트의 제1지지돌기(131)는 측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후, 상기 측판(11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제1연결볼트의 제1지지돌기(131)에 선반의 조립홈(143)을 끼워 결합시킨다. 이때, 제1연결볼트(130)의 걸림헤드부(133)는 선반의 지지턱(142)에 밀착되어 선반(140)이 분리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잡아준다. 그러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110)의 상단과 하단이 선반(14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10)에 결합되는 최상단 선반(140)과 최하단 선반(140) 사이에 바구니의 크기에 따라 선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선반(140)을 제1연결볼트의 제1지지돌기(131)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 한쌍의 측판(110)에 선반(140)이 모듈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선반(140)에 바구니(150)를 안착 수납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측판(110)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측판(210)이 개재되어 측판(110) 사이의 좌우폭이 확장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한쌍의 측판(110) 사이에 선반(140)을 설치할 수 있는 내부 측판(210)을 개재하여 모듈형 정리함의 좌우 사이즈를 확장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로는 내부 측판(210)이 1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측판(210)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관통공(111)과 대응되는 제2관통공(2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공(211)에는 내면에 걸림돌기(211a)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측판(210)은 측판(110)과 동일 사이즈로 구성되고, 측판(1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도록 블로우사출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211)의 일측에는 제2연결볼트(2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볼트(220)는 상기 제2관통공(211)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211a)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2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돌기(221)와, 상기 제2지지돌기(221)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2수나사부(222)와, 상기 제2지지돌기(2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돌기(2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걸림헤드부(2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지지돌(221)기는 제2관통공(2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지지돌기가 제2관통공에 삽입되었을 때, 제2지지돌기(221)가 제2관통공(211)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211)의 타측에는 연결너트(23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너트(230)는 상기 제2관통공(211)의 타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211a)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210)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내면에 상기 제2연결볼트의 제2수나사부(222)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31a)가 형성되는 제3지지돌기(231)와, 상기 제3지지돌기(2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3지지돌기(2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3걸림헤드부(2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3지지돌기(231)는 제2관통공(2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3지지돌기(231)가 제2관통공(211)에 삽입되었을 때, 제3지지돌기(231)가 제2관통공(211)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의 제1관통공(111)에 마감너트(120) 및 제1연결볼트(130)를 끼워 결합한 다음, 마감너트(120)를 상기 제1연결볼트(130)와 체결한다. 그리고, 내부 측판(210)의 제2관통공(211)에 제2연결볼트(220) 및 연결너트(230)를 끼워 결합한 다음, 연결너트(230)를 상기 제2연결볼트(220)와 체결한다. 그러면, 제1연결볼트(130)의 제1지지돌기(131)는 측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2연결볼트(220)의 제2지지돌기(221) 및 연결너트(230)의 제3지지돌기(231)는 내부 측판(21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이후, 상기 측판(11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제1연결볼트(130)의 제1지지돌기(131) 및 내부 측판(21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제2연결볼트(220)의 제2지지돌기(221)와 연결너트(230)의 제3지지돌기(231)에 선반(140)의 조립홈(143)을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면, 측판(110)과 내부 측판(120) 및 내부 측판(120)과 내부 측판(120)의 상단과 하단이 선반(14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110)과 내부 측판(110) 사이 및 내부 측판(110)과 내부 측판(140) 사이에 선반(140)이 모듈식으로 적층 결합시키면 모듈형 정리함의 좌우 사이즈가 확장되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선반(140)에 바구니(150)를 안착 수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정리함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에서 선반(140)의 다른 실시예로서, 선반(140)의 보강리브살이 선반(140)의 저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보강리브살(144)과, 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반(14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사각형 보강리브살(14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선반(140)은 방상형 보강리브살(144)을 통해 선반을 균등하게 보강 지지하면서 사각형 보강리브살(145)을 통해 방사형 보강리브살(144) 사이를 보강하게 구성되어, 선반(140)이 전체적으로 휨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선반(140)의 저면에 불필요한 리브요소들 없이 최소한의 보강리브살(144,145)로 선반(140)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서 선반(140)에 형성되는 조립홈(143)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립홈(143)은 지지턱(142)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에 쉽게 끼워지게 마련되는 끼움홈(143a) 및 상기 끼움홈(143a)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와 같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143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선반(140)이 제1연결볼트(130), 제2연결볼트(220) 및 연결너트(230)에 결합될 때,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가 끼움홈(143a)으로 쉽게 진입된 다음, 고정홈(143b)에 꼭 맞게 결합되어, 선반(140)이 제1연결볼트(130), 제2연결볼트(220) 및 연결너트(2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모듈형 정리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상단에는 중앙부분에 결합홈(112,2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에는 옷걸이봉(P)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옷걸이봉(P)에 옷을 걸어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내부 공간을 옷장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후단에는 상기 선반(140)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150)가 걸림되는 꺽쇠(25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꺽쇠(250)는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측면에 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251) 및 상기 고정판(251)에서 바구니(150)가 수납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바구니의 후면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판(25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선반(140)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150)가 꺽쇠의 스토퍼판(252)에 걸림되어, 선반(140)의 후측으로 바구니(150)가 떨어져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토퍼판(252)을 벽체에 밀착시킨 다음, 나사를 체결하여 스토퍼판을 벽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정림함이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110: 측판 120: 마감너트
130: 제1연결볼트 140: 선반
150: 바구니 210: 내부 측판
220: 제2연결볼트 230: 연결너트

Claims (3)

  1.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내면에 걸림돌기(111a)가 돌출된 제1관통공(1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직설되는 한쌍의 측판(110)과;
    내면에 암나사산(1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111)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111a)에 밀착되는 암나사부(121)와, 일면에 조임홈(122a)이 형성되고 타면은 측판(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머리부(122)로 구성되는 마감너트(120)와;
    상기 제1관통공(111)의 내측에서 삽입되고 일측은 제1관통공의 걸림돌기(111a)에 밀착되고 측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131)와, 상기 제1지지돌기(13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부(121)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32)와, 상기 제1지지돌기(1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1걸림헤드부(133)로 구성되는 제1연결볼트(130)와;
    저면에 보강리브살이 형성되는 받침판(141)과, 상기 받침판(141)의 가장자리 저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142)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턱(142) 양측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제1지지돌기(131)에 끼워져 결합되는 조립홈(143)이 형성되는 선반(140)과;
    상기 선반(140)의 상면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구니(1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연결볼트(130)에 선반(140)의 상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모듈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측판(110)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측판(210)이 개재되어 측판(110) 사이의 좌우폭이 확장되게 구성되되,
    상기 내부 측판(210)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관통공(111)과 대응되고 내면에 걸림돌기(211a)가 돌출된 제2관통공(2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211)의 일측에는 제2연결볼트(220)가 결합되되, 상기 제2연결볼트(220)는 상기 제2관통공(211)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211a)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2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돌기(221)와, 상기 제2지지돌기(221)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2수나사부(222)와, 상기 제2지지돌기(2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걸림헤드부(223)로 구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211)의 타측에는 연결너트(230)가 결합되되, 상기 연결너트(230)는 상기 제2관통공(211)의 타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관통공의 걸림돌기(211a)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 측판(210)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내면에 상기 제2연결볼트의 제2수나사부(222)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31a)가 형성되는 제3지지돌기(231)와, 상기 제3지지돌기(2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3지지돌기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3걸림헤드부(232)로 구성되어,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제1관통공(111) 및 제2관통공(211)에 결합된 제1연결볼트(130), 제2연결볼트(220) 및 제2연결너트(230)에 선반의 조립홈(143)이 끼워져 결합되어, 선반(140)을 통해 측판(110)과 내부 측판(210) 및 내부 측판(210)과 내부 측판(210)을 연결하고 상기 측판(110)과 내부 측판(210) 사이 및 내부 측판(210)과 내부측판(210) 사이에 선반(140)이 모듈식으로 적층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정리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살은 선반(140) 저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보강리브살(144)과, 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사각형 보강리브살(145)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143)은 지지턱(142)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에 쉽게 끼워지게 마련되는 끼움홈(143a) 및 상기 끼움홈(143a)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와 같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131), 제2지지돌기(221) 및 제3지지돌기(231)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143b)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상단에는 중앙부분에 결합홈(112,2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212)에는 옷걸이봉(P)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후단에는 상기 선반(140)에 안착 수납되는 바구니(150)가 걸림되는 꺽쇠(250)가 구성되되, 상기 꺽쇠(250)는 상기 측판(110) 및 내부 측판(2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51) 및 상기 고정판(251)에서 바구니(150)가 수납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바구니(150)의 후면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판(2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정리함.
KR2020190002787U 2019-07-03 2019-07-03 모듈형 정리함 KR200492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87U KR200492958Y1 (ko) 2019-07-03 2019-07-03 모듈형 정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87U KR200492958Y1 (ko) 2019-07-03 2019-07-03 모듈형 정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58Y1 true KR200492958Y1 (ko) 2021-01-08

Family

ID=7413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87U KR200492958Y1 (ko) 2019-07-03 2019-07-03 모듈형 정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4198A (zh) * 2021-12-15 2022-04-15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带限位可悬停的模块结构及拆装方法
KR20230000452U (ko) * 2021-08-23 2023-03-06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조립식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79Y1 (ko) * 2008-06-04 2010-08-30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20110102283A (ko) * 2011-08-31 2011-09-16 조성현 조립식 책장
KR20170001238U (ko) * 2015-09-30 2017-04-07 이보환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KR20180130390A (ko) * 2017-05-29 2018-12-07 정창운 프레임 조립이 쉬운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79Y1 (ko) * 2008-06-04 2010-08-30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20110102283A (ko) * 2011-08-31 2011-09-16 조성현 조립식 책장
KR20170001238U (ko) * 2015-09-30 2017-04-07 이보환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KR20180130390A (ko) * 2017-05-29 2018-12-07 정창운 프레임 조립이 쉬운 조립식 선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52U (ko) * 2021-08-23 2023-03-06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0497557Y1 (ko) 2021-08-23 2023-12-20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조립식 가구
CN114364198A (zh) * 2021-12-15 2022-04-15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带限位可悬停的模块结构及拆装方法
CN114364198B (zh) * 2021-12-15 2023-12-15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带限位可悬停的模块结构及拆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2345A1 (en) Furnitu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US6253933B1 (en) Shelving rack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US9301603B1 (en) Collapsible storage cabinet
CA2595389A1 (en) Snap-together patio bench
US6886495B1 (en) Modular housing for cats
KR200447520Y1 (ko) 수납함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200455854Y1 (ko)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US6736279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food service carts, shelving units, signage and other multi-component products
CN114007470B (zh) 模块化圣诞树
WO2015047130A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мебель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варианты)
KR200460603Y1 (ko) 수납공간을 전,후방 공간부로 구획 가능한 격벽을 갖는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KR20080057962A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EP1726835B1 (en) Device for mutually connecting an upright and at least two cross-members converging thereat, particularly for supporting frames
KR200472564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JP2020092756A (ja) 収納棚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200001740U (ko) 조립식 다층선반
KR200310209Y1 (ko) 수납장
KR200484188Y1 (ko) 조립식 책장
KR101006951B1 (ko) 현장조립식 테이블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