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57Y1 - 모듈형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57Y1
KR200497557Y1 KR2020210002623U KR20210002623U KR200497557Y1 KR 200497557 Y1 KR200497557 Y1 KR 200497557Y1 KR 2020210002623 U KR2020210002623 U KR 2020210002623U KR 20210002623 U KR20210002623 U KR 20210002623U KR 200497557 Y1 KR200497557 Y1 KR 200497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pace
prefabricated furniture
bracket
modula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452U (ko
Inventor
김우석
최낙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to KR2020210002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57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52U/ko
Priority to KR2020230001736U priority patent/KR20230001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품들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과 내판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 패널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공간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브라켓; 적어도 2개 이상이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고, 패널에 브라켓을 1차로 고정시키는 스페이서; 그리고 암수 한 쌍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패널에 브라켓을 2차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립식 가구 {Modular Prefabricated Furniture}
본 고안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품들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구입 후 일정 장소에 배치되면 위치를 바꾸기 어렵다. 또한, 수납해야 될 물건의 종류와 양에 따라 기존 가구는 쓸모 없어지게 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개성 표현을 중시하고,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 기존 가구에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조립식 가구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규격화된 부품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형태를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추후 부품을 추가하여 가구의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각 부품의 분리가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그러나 기존 조립식 가구는 각 부품을 단순히 끼우거나,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만 결합되어 견고하지 못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거나 구조적으로 흔들려 조립에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341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견고하게 조립되어 내구성이 뛰어난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을 추가하여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과 내판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패널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스페이서가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의 양면에 조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일 면의 조립부는 상기 연결부 내부를 향해 수직인 방향으로 함입된 조립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 타 면의 조립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조립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 면에서부터 상기 연결부의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립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조립공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암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밀착되면서 면접촉하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의 요철 구조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의 볼록한 부분은 상기 바디부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상기 두께의 증가량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과 내판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브라켓; 그리고 암수 한 쌍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널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패널은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제1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과 면접촉하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이 시작된 상기 연결부의 면에서부터 상기 연결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에 접하는 제1 접합면; 상기 제2 체결공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접합면에서부터 상기 돌출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제3 체결공은 상기 제2 체결공 보다 직경이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체결공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마주 보는 제2 접합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암수 한 쌍이 결합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머리부가 각각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체결공과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몸통부가 상기 제2 접합면을 상기 제1 접합면 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과 내판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브라켓;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밀착되면서 면접촉하여 상기 패널에 상기 브라켓을 1차로 고정시키는 스페이서; 그리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과 면접촉하는 부분을 밀착시켜 상기 패널에 상기 브라켓을 2차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상기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상기 패널에: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 그리고 상호 인접한 상기 2개의 격벽 사이에 배치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제1 결합홈부는 상기 격벽 사이의 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부는 상기 격벽이 있는 측면에 상기 공간부 쪽으로 함입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된 외판 또는 내판은 상기 공간부에 접하는 부분부터 일정 두께까지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폭이 동일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결합홈부 보다 폭이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외판 및/또는 상기 내판에 상기 공간부 쪽으로 함입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제2 결합홈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부는 측면에 고정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고정공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의 일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에 용이하게 결합된 스페이서가 패널과 밀착되면서 면접촉하여 견고하게 조립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재에 의해 브라켓이 패널과 밀착되면서 면접촉하여 견고하게 조립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에 의한 1차 고정으로 조립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흔들림 없이 형태가 유지되어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고, 체결부재에 의한 2차 고정으로 견고하게 조립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의 홈을 통해 추가적인 부품을 결합할 수 있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확장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가 브라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에 의해 패널에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체결부재에 의해 패널에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1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1 결합홈부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2 결합홈부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본 형태(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확장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본 형태(10)는 규격화된 네 장의 패널(100) 및 네 개의 브라켓(200)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널(100)과 브라켓(200)은 스페이서(300, 도 3 참조)와 체결부재(400)를 사용하여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패널(100)은 여러 장을 연결하여 장식장, 선반, 수납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목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철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패널(100)의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복수의 패널(100) 크기는 상호 동일하거나 상호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패널(100)의 일 측면에 결합하여 상호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1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라켓(200)이 복수의 패널(100)을 연결시키는 과정은 본 명세서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이상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스페이서(300)는 브라켓(200)에 결합되어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듈형 조립식 가구가 스페이서(200)를 통해 고정되는 과정은 본 명세서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이상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체결부재(400)는 암수 한 쌍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체결부재(400)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면, 어떠한 형상, 재질 또는 체결방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추가함으로써 기본 형태(10)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수납공간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패널(102)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패널의 일부를 제외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패널(102)을 제외하여 수납공간을 하나만 제공하되, 크기만 증가시키는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로 고정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110)과 내판(120)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130)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100); 패널(100)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로부터 돌출되어 공간부(130)에 결합되는 연결부(220)를 가지는 브라켓(200); 그리고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스페이서(300)를 포함할 수 있으되, 스페이서(30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연결부(22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페이서(300)가 브라켓(200)의 연결부(220) 일 면에 결합되고, 연결부(220)는 패널(100)의 개구된 일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적어도 바디부(210)에 접하는 패널(100)의 수 이상이 바디부(210)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연결부(220)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출된 연결부(220) 간 각도는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연결부(220) 간 각도가 60도라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본 형태(10)는 삼각 박스형이 될 수 있다.
만일, 연결부(220)의 수가 증가한다면 더 견고한 조립이 가능할 수 있지만, 그만큼 조립이 어려워지고, 부품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절충적 해결을 위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를 바디부(210)의 양 끝단과 중간에 각각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패널(100)의 세 곳에서 고정시키는 힘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패널(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널(100)은 외판(110)과 일정 거리가 이격 배치된 내판(120)으로 구성되어, 패널(100)의 내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외판(110)과 내판(120)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을 공간부(130)로 정의한다. 또한, 패널(100)은 조립되면서 브라켓(200)의 바디부(210)와 접하는 양 측면이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스페이서(300)가 결합된 브라켓(200)의 연결부가 공간부(130)로 삽입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패널(100)의 내부에 공간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패널(100)의 내부와 외부에서 브라켓(200)을 이중으로 고정하여 모듈형 조립식 가구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20)에 결합된 스페이서(300)가 공간부(120) 내에서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체결부재(400)가 제1 체결공(111)을 통해 공간부(120)로 삽입되면서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100)에 공간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패널(100)과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별도의 설명서를 참고하지 않더라도 직관적으로 결합 방식을 이해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패널(100)에 공간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패널(100)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조립에 용이성을 줄 수 있고, 완성된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목재에 비해 내구성이 큰 알루미늄 등 금속 재질로 패널을 제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100)에 공간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패널(100)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패널(100)을 압출 방식에 의해 성형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100)에 공간부(130)를 형성함으로써 공간부(130) 내부에 패널(100)의 휨방지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은 외판(110) 및 내판(120)이 공간부(130)로 각각 함입되고, 함입된 부분이 서로 접해지면서 외판(110)과 내판(12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패널(100)은 고정되는 힘이 분산되면서 속이 차있는 패널에 비해 더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두 가지 형태의 패널(100)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패널(100)은 지지패널(101)일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패널은 중간패널(102)일 수 있다. 지지패널(101)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외곽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중간패널(102)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수납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01)은 방향성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패널(101)은 내판(120)이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수납공간 쪽으로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홈부(160)에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뒤판(160a, 도 19 참조)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2 결합홈부(160)는 내판(120) 쪽에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체결공(111) 중 직경이 작은 것이 외판(110)에만 배치되어, 체결부재(400)의 진입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패널(102)은 외판(110)과 내판(120)을 뒤집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패널(102)은 제2 결합홈부(160)를 외판(110)과 내판(120)에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공(111)은 외판(110)의 개구된 일 측면 쪽에는 직경이 작은 것이, 개구된 타 측면 쪽에는 직경이 큰 것이 배치될 수 있다. 반면, 내판(120)에 배치된 제1 체결공(111)은 외판(110)과 반대 위치일 수 있다(지지패널에 배치된 제1 체결공의 직경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은 미도시).
본 명세서에서 외판(110) 및 내판(120)이라는 용어는 패널(100)을 구성하는 두 개의 판을 구분하기 위해서 정의한 것이지, 방향성을 나타내기 위해 정의한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지지패널(101)에서는 내판(120)이 항상 수납공간 쪽으로만 배치되기 때문에 방향성을 의미할 수 있지만, 중간패널(102)에서는 외판(110) 내판(120)을 뒤집어도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과는 무관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브라켓(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세 가지 형태의 브라켓(200)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브라켓(200)은 L형 브라켓(201)일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브라켓(200)은 T형 브라켓(202)일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브라켓(200)은 X형 브라켓(203)일 수 있다. 모든 형태의 브라켓(200)은 스페이서(300)가 결합되는 구조 및 패널(100)에 고정되는 구조가 동일하고, 연결부(220)의 수 및 방향성에서만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각 브라켓(200)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L형 브라켓(201)은 바디부(210) 세 곳에 각각 두 개의 연결부(220)를 가지고, 두 개의 지지패널(101)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형 브라켓(202)은 바디부(210) 세 곳에 각각 세 개의 연결부(220)를 가지고, 두 개의 지지패널(101)과 하나의 중간패널(102)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X형 브라켓(203)은 바디부(210) 세 곳에 각각 네 개의 연결부(220)를 가지고, 네 개의 중간패널(102)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의 구조 및 형태는 연결시키는 패널(100)의 구조 및 형태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L형 브라켓(201)의 바디부(210)에는 패널(100)의 제2 결합홈부(160)에 상응하여 바람직하게는 뒤판(160a)이 결합될 수 있는 홈이, L형 브라켓(201)에 연결되는 지지패널(101)의 내판(120) 쪽 방향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한, L형 브라켓(201)과 X형 브라켓(202)의 연결부(220)는 방향성을 갖고 있지만, T형 브라켓(203)의 연결부(220)는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중간패널(102)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브라켓(200)에 스페이서(300)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300)가 브라켓(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스페이서(300)가 결합되는 연결부(220)의 양면에 조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20) 일 면의 조립부(230)는 연결부(220) 내부를 향해 수직인 방향으로 함입된 조립홈(231)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220) 타 면의 조립부(230)는 단부에 연결부(220)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조립턱(232)을 포함할 수 있다. 함입된 조립홈(231)과 돌출된 조립턱(232)은 스페이서(300)가 결합되는 연결부(220)의 면과 주위의 연결부(220) 면 간에 단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이 단 차이에 의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브라켓(200)에 스페이서(300)가 결합될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한 조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230)는 연결부(220)의 일 면에서부터 연결부(220)의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립공(23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페이서(300)는 조립부(230)에 결합될 때, 조립공(233)에 삽입되는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31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암수 형상(311, 312)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 양면의 조립부(230)에 결합된 2개의 스페이서(300)는 조립공(233)을 통해 각각 가지는 암 형상(311)과 수 형상(312)이 맞물려 결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조립공(233)과 결합부(310)의 암 형상(311) 및 수 형상(312)을 통해 두 개의 스페이서(300)는 손을 사용하여 연결부(22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며, 조립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30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스페이서(300)가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구조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스페이서(300)에 의해 패널(100)에 브라켓(200)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두 물체가 접촉하는 부분이 면적을 형성하는 것을 면접촉으로 정의한다. 패널과 패널이 접촉하는 부분이 선을 형성하며 선접촉으로 연결되는 경우보다, 브라켓을 통해서 면접촉으로 연결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견고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스페이서(300)의 양면에 결합된 연결부(220)가 패널(100)의 공간부(130)에 삽입되면, 패널(100)과 브라켓(200) 사이의 유격이 없어지면서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30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300)는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및 내판(120)과 완전히 밀착되면서 면접촉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300)가 공간부(130)에서 면접촉하는 부분은 요철 구조를 가지는 요철부(320)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면접촉하는 부분의 마찰 저항력을 증가시켜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320)의 요철 구조는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요철 구조의 방향은 연결부(220)가 공간부(130)에 삽입되는 방향과 일치하여 조립의 용이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요철부(320)의 볼록한 부분(321)은 바디부(210)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두께의 증가량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즉, 연결부(220)가 공간부(130)에 삽입되는 순간 요철의 볼록한 부분(321)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스페이서(300)가 양면에 결합된 연결부(220)도 공간부(130)에 어렵지 않게 삽입되어 조립의 용이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300)가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므로, 연결부(220)가 공간부(130)에 삽입이 완료되면 요철부 볼록한 부분(321)의 모든 면적은 외판(110) 및 내판(12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다면, 요철부(320)의 재질과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평평한 사각 형태의 볼록한 부분(321)과 오목한 부분(322)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면, 고정시키는 힘을 유지하면서 조립의 용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400)로 고정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110)과 내판(120)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130)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100); 패널(100)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로부터 돌출되어 공간부(130)에 결합되는 연결부(220)를 가지는 브라켓(200); 그리고 암수 한 쌍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고, 패널(100)은 외판(110) 및 내판(120)에 제1 체결공(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400)는: 제1 체결공(111)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410); 그리고 제1 체결공(111)을 통해 공간부(130)로 삽입되는 몸통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사용되는 체결부재(400)는 암 형태도 수 형태와 마찬가지로 머리부(410)와 몸통부(420)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는 가구 조립에 많이 사용되는 커넥팅 형식의 볼트와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410)는 제1 체결공(111)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직경을 가져야 하지만, 형태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후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시머리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암 형태 체결부재(400)의 몸통부(420)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400)의 구조는 공간부(130)의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하 이와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도 2의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체결부재(400)에 의해 패널(100)에 브라켓(200)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연결부(220)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또는 내판(120)과 면접촉하는 돌출부(240); 그리고 돌출부(240)의 돌출이 시작된 연결부(220)의 면에서부터 연결부(220)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체결공(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40)는: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또는 내판(120)에 접하는 제1 접합면(241); 그리고 제2 체결공(221)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1 접합면(241)에서부터 돌출부(240)의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체결공(242)을 포함할 수 있되, 제3 체결공(242)은 제2 체결공(221) 보다 직경이 더 작을 수 있다. 나아가 돌출부(240)는 제2 체결공(221)에 의해 공간부(130)로 노출되고, 제1 접합면(241)과 마주 보는 제2 접합면(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접합면(241)은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할 때 돌출부(240)의 상부면으로써, 체결부재(400)의 암수 구조가 결합되면서 외판(110) 또는 내판(120)과 밀착되면서 면접촉하는 부분을 정의한다. 이 경우 면접촉 시 형성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 제1 접합면(241)은 평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합면(243)은 제2 체결공(221)의 직경이 제3 체결공(242)의 직경보다 넓어서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할 때 돌출부(24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써, 체결부재(400)의 암수 구조가 결합되면서 암 형태 체결부재(400)의 몸통부(420)와 밀착되면서 면접촉하는 부분을 정의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암수 한 쌍이 결합된 체결부재(400)는, 머리부(410)가 각각 외판(110) 및 내판(120)에 밀착되어 공간부(130)의 외부에서 고정시키는 힘을 줄 수 있고, 제1 체결공(111)과 제2 체결공(221)을 통해 공간부(130)로 삽입된 몸통부(420)가 제2 접합면(243)을 제1 접합면(241) 쪽으로 밀어주어 돌출부(240)를 외판(110) 또는 내판(120)에 밀착시켜 공간부(130)의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힘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방식을 적용한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볼트와 너트로만 고정하여 패널의 외부에서만 힘이 작용하는 경우보다 더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1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와 체결부재(400)로 고정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외판(110)과 내판(120)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130)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100); 패널(100)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로부터 돌출되어 공간부(130)에 결합되는 연결부(220)를 가지는 브라켓(200); 적어도 2개 이상이 연결부(22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및 내판(120)에 밀착되면서 면접촉하여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1차로 고정시키는 스페이서(300); 그리고 브라켓(200)이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또는 내판(120)과 면접촉하는 부분을 밀착시켜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2차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스페이서(300)에 의해 1차로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고정함으로써, 그 후 조립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흔들림 없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체결부재(400)에 의해 2차로 패널(100)과 브라켓(200)을 고정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10) 세 곳의 연결부(220) 중 가운데 부분은 돌출부(240)를 제거하여 사용되는 체결부재(400)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패널(100)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힘을 유지하면서도 조립의 용이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패널(100)의 홈에 부품을 추가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1 결합홈부(150)를 포함하는 패널(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1 결합홈부(150)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제2 결합홈부(160)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패널(100)은 공간부(130) 내에서 외판(110) 및 내판(120)을 연결하고,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140); 그리고 상호 인접한 2개의 격벽(140) 사이에 배치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제1 결합홈부(150)는 격벽(140) 사이의 공간부(130)와 접하는 외판(110) 또는 내판(120)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결합홈부는(150) 격벽(140)이 있는 측면에 공간부(130) 쪽으로 함입되고,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1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홈부(150)에서 제거된 외판(110) 또는 내판(120)은 공간부에(130) 접하는 부분부터 일정 두께까지는 제1 결합홈부(150)와 폭이 동일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결합홈부(150) 보다 폭이 더 넓을 수 있다. 따라서 제거된 외판(110) 또는 내판(120) 쪽에서 제1결합홈부(150)를 바라볼 때 걸림면(15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결합홈부에는 부품(150a)이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걸림홈(151)에는 걸림돌기(151a)를 가지는 부품(150b)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으며, 걸림면(152)에는 걸림턱(152a)을 가지는 부품(150b)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패널(100)은 외판(110) 및/또는 내판(120)에 공간부(130) 쪽으로 함입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제2 결합홈부(160)는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홈부(160)에 뒤판(160a)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홈부(160)는 측면에 고정공(17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되, 고정공(170)은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100)의 일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고정공(170)을 통해 패널(100)의 일 측면에서 삽입된 고정나사(171)가 제2 결합홈부(160)에 결합된 뒤판(160a)을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나사(171)는 조여지면서 뒤판(160a)을 제2 결합홈부(160)의 일 측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고, 이를 위해 뒤판(160a)과 접하는 고정나사(171)의 끝은 평평한 모양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나사(171)로 나사 머리가 없는 무두 볼트를 사용하여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외관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패널(101)과 중간패널(102)은 모두 제1 결합홈부(150)와 제2 결합홈부(160)를 포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패널(100)은 지지부품패널(103)일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패널(100)은 중간부품패널(104)일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에 구비하고 있던 패널(100)의 홈 구조에 의해 LED 조명(150a), LED 조명 커버(150b), 뒤판(160a) 등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능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기본 형태
100: 패널 101: 지지패널
102: 중간패널 103: 지지부품패널
104: 중간부품패널 110: 외판
111: 제1 체결공 120: 내판
130: 공간부 140: 격벽
150: 제1 결합홈부 150a: 끼움 결합 부품
150b: 걸림 결합 부품 151: 걸림홈
151a: 부품 걸림돌기 152: 걸림면
152a: 부품 걸림턱 160: 제2 결합홈부
160a: 뒤판 170: 고정공
171: 고정나사
200: 브라켓 201: L형 브라켓
202: T형 브라켓 203: X형 브라켓
210: 바디부 220: 연결부
221: 제2 체결공 230: 조립부
231: 조립홈 232: 조립턱
233: 조립공 240: 돌출부
241: 제1 접합면 242: 제3 체결공
243: 제2 접합면
300: 스페이서 310: 결합부
311: 암 형상 312: 수 형상
320: 요철부 321: 볼록한 부분
322: 오목한 부분
400: 체결부재 410: 머리부
420: 몸통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외판과 내판 사이에 배치된 공간부를 가지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하여 상호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을 연결시키는 브라켓; 그리고
    암수 한 쌍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널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은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제1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패널의 개구된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과 면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이 시작된 상기 연결부의 면에서부터 상기 연결부의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에 접하는 제1 접합면; 그리고
    상기 제2 체결공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접합면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체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체결공은 상기 제2 체결공 보다 직경이 더 작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체결공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마주 보는 제2 접합면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14. 제13 항에 있어서,
    암수 한 쌍이 결합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머리부가 각각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체결공과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몸통부가 상기 제2 접합면을 상기 제1 접합면 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에 밀착시키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15. 삭제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외판 및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 그리고
    상호 인접한 상기 2개의 격벽 사이에 배치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홈부는 상기 격벽 사이의 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외판 또는 상기 내판이 제거된 모듈형 조립식 가구.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부는 상기 격벽이 있는 측면에 상기 공간부 쪽으로 함입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된 외판 또는 내판은 상기 공간부에 접하는 부분부터 일정 두께까지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폭이 동일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결합홈부 보다 폭이 더 넓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외판 및/또는 상기 내판에 상기 공간부 쪽으로 함입되고, 부품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홈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부는 측면에 고정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공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의 일 측면까지 연장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20210002623U 2021-08-23 2021-08-23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0497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623U KR200497557Y1 (ko) 2021-08-23 2021-08-23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20230001736U KR20230001763U (ko) 2021-08-23 2023-08-17 모듈형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623U KR200497557Y1 (ko) 2021-08-23 2021-08-23 모듈형 조립식 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736U Division KR20230001763U (ko) 2021-08-23 2023-08-17 모듈형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52U KR20230000452U (ko) 2023-03-06
KR200497557Y1 true KR200497557Y1 (ko) 2023-12-20

Family

ID=855089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623U KR200497557Y1 (ko) 2021-08-23 2021-08-23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20230001736U KR20230001763U (ko) 2021-08-23 2023-08-17 모듈형 조립식 가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736U KR20230001763U (ko) 2021-08-23 2023-08-17 모듈형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75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05Y1 (ko) * 2004-05-25 2004-08-31 문재철 수납장
KR200410531Y1 (ko) 2005-08-26 2006-03-09 김해란 조립식 선반
KR200492958Y1 (ko) 2019-07-03 2021-01-08 (주)에스엠코프 모듈형 정리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1339341B1 (ko) 2013-08-09 2013-12-12 윤태소 모듈형 조립식 판재
KR101884111B1 (ko) * 2017-01-12 2018-07-31 김정식 가변 조립식 진열선반
KR20190130256A (ko) * 2018-05-14 2019-11-22 조영웅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05Y1 (ko) * 2004-05-25 2004-08-31 문재철 수납장
KR200410531Y1 (ko) 2005-08-26 2006-03-09 김해란 조립식 선반
KR200492958Y1 (ko) 2019-07-03 2021-01-08 (주)에스엠코프 모듈형 정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63U (ko) 2023-09-05
KR20230000452U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3535A1 (en)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US2696419A (en) Frame and panel type storage furniture
US4408812A (en) Dismountable furniture
US5605389A (en) Cabinet, bookcase, locker and cubby structures
CA2838286C (en) Modular furniture system and modular furniture
JP2013504401A (ja) 箱形構造用の嵌合式組み立てシステム
JP2015517933A (ja) 軽量ボード、接続構成、および接続構成の製作方法
JP2020533140A (ja) 複合構造板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200497557Y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JP2020531381A (ja) 単層プラスチックの複合板
KR100466260B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101968053B1 (ko) 사각 기둥부재용 커넥터 모듈
JP4832671B2 (ja) 組立家具用連結具
KR100485959B1 (ko) 조립식 목재수납장
KR102187533B1 (ko) 벌집모양 공간정리장
KR20140143512A (ko) 개폐형 도어를 구비한 조립식 수납상자
JP5377929B2 (ja)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浴室壁の壁パネルおよび浴室ユニット
KR101429670B1 (ko) 요철형 표면을 구비한 조립식 가구 구성물
JP2589778Y2 (ja) 箱体構造
JP3841802B2 (ja) 接合具およびその接合具が用いられた家具、建材ならびに建築物
JP4314670B2 (ja) キャビネット
JPH01201207A (ja) 形状可変の天板構造体
KR100707491B1 (ko)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