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88Y1 - 조립식 책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88Y1
KR200484188Y1 KR2020170002099U KR20170002099U KR200484188Y1 KR 200484188 Y1 KR200484188 Y1 KR 200484188Y1 KR 2020170002099 U KR2020170002099 U KR 2020170002099U KR 20170002099 U KR20170002099 U KR 20170002099U KR 200484188 Y1 KR200484188 Y1 KR 200484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s
bookcas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근수
Original Assignee
전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근수 filed Critical 전근수
Priority to KR2020170002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책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바닥판과 다수로 분할된 제2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 및 제2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측면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하부조립체; 상기 책장의 중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중간판과 다수로 분할된 제2 중간판, 상기 제1 중간판 및 제2 중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측면판 및 상기 제1 중간판과 제2 중간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중간조립체; 상기 책장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상부판과 다수로 분할된 제2 상부판 및 상기 제1 상부판과 제2 상부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상부조립체;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책장의 크기(너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하부조립체, 중간조립체 및 상부조립체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책장{Prefabricated Bookcase}
본 고안은 조립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폭과 높이로 책장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은 다수개의 책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책을 떠받치는 받침대(선반)를 여러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책을 효과적으로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식효과를 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책장은 주로 목재로 제조하는데, 상하로 다수 이격 설치되는 수평 선반과 상기 수평 선반 사이로 설치되어 가로 간격을 구획하는 수직 칸막이 및 후면 마감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현대사회(現代社會)는 소비자들의 경제력이 향상되고 그로 인한 정보력 향상으로 사진, 영상 등 시각적 볼거리와 다양한 정보를 통해 새로운 문화와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이로써 오늘날 소비자들은 남들과 차별화된 나만의 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별화 요구에 대한 방안으로,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제작을 하는 DIY(do-it-yourself) 가구 등과 같이 직접적인 제작 참여를 통해 흥미를 유도하고 소비자 자신의 기호에 맞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소비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소비문화는 가구를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주문가구와 유니트 방식의 가구를 들 수 있다. 특히 유니트가구는 사용자가 이미 제작된 기존 가구의 모듈들을 자신의 취향과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즉, 가구를 구성하는 개체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자신만의 형태나 기능을 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입체도로써, 종래의 상기 조립식 책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94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선반 체결공(901)이 다단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900), 상기 측판(900)의 사이에 결합되도록 측면에는 선반 체결공(9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서트 너트(930)가 삽입되고, 상면 후방에는 복수개의 배면판 체결공(9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선반(910) 및 상기 선반(910)의 상면 후방에 결합되도록 저면에는 배면판 체결공(9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서트 너트(930)가 삽입된 복수개의 배면판(920)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배면판(920)을 다수매로 분할하여 포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상기 체결볼트(940)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하나하나 조립해 나가는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책장의 조립 및 제작을 위하여는 드라이버와 같은 생활공구를 반드시 필요로 함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동반하였으며, 막상 공구가 준비되었다 하더라도 기계조작 능력이 남성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여성이나 노인 소비자의 경우 해당 책장의 조립 및 제작의 작업을 직접 실시하기엔 다소 무리가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폭과 높이로 가변시켜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조립식 책장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조립식 책장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선반 체결공이 다단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사이에 결합되도록 측면에는 선반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고, 상면 후방에는 복수개의 배면판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선반 및 상기 선반의 상면 후방에 결합되도록 저면에는 배면판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된 복수개의 배면판으로 구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조립식 책장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조립식 책장에는 가로로 구성되고, 둘 이상이 상하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책을 꽂아둘 수 있는 다수의 수납공간이 적층식으로 마련되도록 하는 다수의 널판, 상기 널판들을 연속으로 가로질러 바닥과 수직한 상태로 각각 기립하도록 구성되되, 좌우로 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상기 널판의 지지 및 지탱과 더불어 수납공간을 가로로 분할하고 마감하게 된 둘 이상 다수의 측널;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널판은 가로 폭은 길고 전후 폭은 짧은 판체형이고, 상기 측널의 조립위치 선정과 더불어 위치선정 이후의 수평회전에 의한 끼워맞춤 조립이 가능토록 원형으로 된 위치결정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관통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공들을 가로지르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널의 위치선정을 위한 좌우 양 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단일의 장공이 관통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02283호(2011년 9월 16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23427호(2016년 3월 3일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폭과 높이로 자유로운 가변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은 책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바닥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바닥판 사이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 및 제2 바닥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측면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하부조립체; 상기 책장의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중간판, 상기 한 쌍의 제1 중간판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중간판, 상기 제1 중간판 및 제2 중간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측면판 및 상기 제1 중간판과 제2 중간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중간조립체; 상기 책장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상부판, 상기 제1 상부판 사이에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상부판 및 상기 제1 상부판과 제2 상부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상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조립체 및 상기 중간조립체는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바닥측면판에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핀; 상기 제1 바닥판 및 상기 제2 바닥판에 설치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봉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바닥지지판; 상기 지지봉은 일정 길이로 다수 분할되고,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구멍; 상기 지지봉의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측면판 및 중간측면은 일정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측판본체; 상기 측판본체의 일측으로 연장 고정되는 확장지지판; 상기 지지봉이 안착되도록 상기 측판본체 및 상기 확장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홈부; 상기 측판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판은 인접한 다른 배면판과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인접한 다른 배면판의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배면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에 의하면, 하부조립체, 중간조립체 및 상부조립체를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다단의 책장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조립체, 중간조립체 및 상부조립체를 각각으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책장의 크기(너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하부조립체, 중간조립체 및 상부조립체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책장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바닥측면판을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중간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상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은 책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바닥판(11)과 상기 한 쌍의 제1 바닥판(11) 사이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바닥판(17), 상기 제1 바닥판(11) 및 제2 바닥판(17)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측면판(30) 및 상기 제1 바닥판(11)과 제2 바닥판(17)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20)이 구비된 하부조립체(10),
상기 책장의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중간판(51), 상기 한 쌍의 제1 중간판(51)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중간판(57), 상기 제1 중간판(51) 및 제2 중간판(57)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측면판(70) 및 상기 제1 중간판(51)과 제2 중간판(57)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60)이 구비된 중간조립체(50),
상기 책장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상부판(81), 상기 제1 상부판(81) 사이에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상부판(85) 및 상기 제1 상부판(81)과 제2 상부판(85)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87)이 구비된 상부조립체(8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책장의 폭 및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책장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조립체(10), 상기 하부조립체(10)의 상면에 조립되는 중간조립체(50) 및 상기 중간조립체(50)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조립체(8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하부조립체(10)의 상면에 중간조립체(50)를 다수로 조립함으로써, 다층의 조립식 책장을 조립할 수 있다.
즉, 조립식 책장은 중간조립체(50)를 2단 또는 3단 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층으로 조립하여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은 일정 간격으로 바닥측면판(30) 또는 중간측면판(70)을 설치하여 책장에 꽂아두는 책의 무게에 따라 책장의 변형 또는 휨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며,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하부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조립체(10)는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바닥판(11), 상기 한 쌍의 제1 바닥판(11)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바닥판(17), 상기 제2 바닥판(17)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20), 상기 제2 바닥판(17)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바닥지지판(23), 상기 제1 바닥판(11)과 제2 바닥판(17)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배면판(27), 상기 제1 바닥판(11)과 제2 바닥판(17)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측면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바닥판(11)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저면에 바닥지지판(23)이 안착되도록 제1 바닥홈부(12)가 형성된다.
또 제1 바닥판(11)의 상면에는 고정핀(25)이 결합되도록 핀구멍(13)이 형성되고, 제1 바닥판(11)의 상면에는 배면판(27)이 결합되도록 제1 고정홈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닥판(11)의 외측면에는 지지봉(20)이 체결되도록 볼트구멍(1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닥홈부(12)에는 지지봉(20)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지지홈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닥판(17)은 제1 바닥판(11) 사이에 설치되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2 바닥판(17)은 조립식 책장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되며, 책장에 꽂아두는 책 등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평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닥판(17)에는 상면에 배면판(27)이 결합되도록 제2 고정홈부(18)가 형성되고, 제2 바닥판(17)의 저면에는 지지봉(20)에 안착되도록 제2 바닥홈부(19)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립체(10)는 상기 지지봉(2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봉(2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바닥지지판(23)과 상기 지지봉(20)은 일정 길이로 다수 분할되고, 상기 지지봉(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구멍(21) 및 상기 지지봉(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볼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20)은 제1 바닥판(11) 및 제2 바닥판(17)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봉(20)은 소정의 길이로 분할되어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지지봉(20)의 일측에는 제1 바닥판(11)의 볼트구멍(15)을 통해 볼트(미도시)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21)이 형성되고, 지지봉(20)의 타측에는 인접한 다른 지지봉(20)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체결볼트(22)가 형성된다.
즉, 지지봉(20)의 일측에는 체결구멍(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볼트(22)가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봉(20)을 바닥면에 안정되게 지지하는 바닥지지판(23)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지지판(23)은 제1 바닥판(11)의 제1 바닥홈부(1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바닥지지판(23)의 상면에는 지지봉(20)이 결합되도록 지지홈부(24)가 형성된다.
아울러 하부조립체(10)는 제1 바닥판(11)의 핀구멍(13)에 결합되는 고정핀(25)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25)은 다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25)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닥판(11)의 핀구멍(13)에 결합됨은 물론 바닥측면판(30)에 결합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핀(25)의 상부에는 체결볼트(미도시)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26)이 형성된다.
또 제1 바닥판(11)과 제2 바닥판(17)의 상면에는 배면판(27)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27)은 일정 길이와 높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27)의 일측에는 다른 인접한 배면판(27)과 결합되도록 고정돌기(28)가 형성되며, 배면판(27)의 타측에는 고정돌기(28)에 대응되는 삽입홈부(29)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측면판(30)은 제1 바닥판(11)과 제2 바닥판(17)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책장의 칸막이로 설치된다.
상기 바닥측면판(30)은 일정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측판본체(31), 상기 측판본체(31)의 일측으로 연장 고정되는 확장지지판(32), 상기 지지봉(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측판본체(31) 및 상기 확장지지판(32)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홈부(33), 상기 측판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철근(35)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본체(31)는 일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측판본체(31)의 일면에는 확장지지판(32)이 고정되며, 상기 측판본체(31) 및 확장지지판(32)의 상면에는 중간조립체(50)의 지지봉(60)이 안착되도록 지지홈부(33)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바닥측면판을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본체(31)에는 고정철근(35)이 결합되는 고정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34)에는 배면판(27)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철근(35)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철근(35)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홈부(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중간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조립체(50)는 하부조립체(10)의 상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제1 바닥판(11)의 상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중간판(51), 상기 한 쌍의 제1 중간판(51)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중간판(57), 상기 제1 중간판(51) 및 제2 중간판(57)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봉(60), 상기 제1 중간판(51)과 제2 중간판(57)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간배면판(65) 및 상기 제1 중간판(51)과 제2 중간판(57)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측면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조립체(50)는 하부조립체(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하부조립체(10)와 상부조립체(80) 사이에 책 등을 꽂아둘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간조립체(5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3단 내지 6단 이상의 책장을 조립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판(51)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저면에 제1 중간홈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판(51)의 상면에는 고정핀(63)이 결합되도록 다수의 핀구멍(53)이 형성된다.
또 제1 중간판(51)의 상면에는 중간배면판(65)이 결합되도록 제1 고정홈부(54)가 형성되며, 제1 중간판(51)의 외측면에는 체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도록 볼트구멍(55)이 형성되고, 제1 중간홈부(52)의 저면에는 지지봉(60)에 안착되도록 지지홈부(56)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중간판(51) 사이에는 다수로 분할된 제2 중간판(57)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중간판(57)의 상면에는 중간배면판(65)이 결합되는 제2 고정홈부(58)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판(57)의 저면에는 지지봉(60)에 안착되도록 다수의 제2 중간홈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지지봉(60)은 소정의 길이로 다수 분할되고, 중간지지봉(60)의 일측에는 서로 인접한 지지봉(60)끼리 결합되도록 체결구멍(6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체결구멍(6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62)가 형성된다.
또 제1 중간판(51)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핀(63)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핀(63)에는 체결볼트(미도시)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64)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중간판(51)과 제2 중간판(57)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측면판(70)이 구비된다. 상기 중간측면판(70)은 소정의 크기로 측판본체(71)를 형성하며, 측판본체(71)의 일면에는 확장지지판(72)이 고정된다.
상기 측판본체(71) 및 확장지지판(72)의 상면에는 지지봉(60)이 안착되도록 지지홈부(73)가 형성되고, 중간측면판(70)에는 중간배면판(65)를 고정시키는 고정철근(7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상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조립체(80)는 제1 중간판(5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상부판(81)과 상기 제1 상부판(81) 사이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제2 상부판(8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판(81)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상부판(81)의 일측 저면에는 저면홈부(82)가 형성되고, 제1 상부판(81)의 외측면에는 볼트구멍(83)이 형성되며, 또 저면홈부(82)에는 상부지지봉(87)이 안착되도록 제1 지지홈부(84)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상부판(85)에는 상부지지봉(87)에 안착되도록 제2 지지홈부(8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봉(87)은 제1 상부판(81) 및 제2 상부판(85)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지지봉(87)은 일측에 볼트구멍(88)이 형성되며, 타측에 체결볼트(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지지봉(20)의 저면에 바닥지지판(23)을 안착시키며, 다수로 분할된 지지봉(20)은 일측의 체결구멍(21)에 다른 지지봉(20)의 체결볼트(22)를 체결한다.
이러한 지지봉(20)은 조립하고자 하는 책장의 너비에 따라 다수개가 체결되며, 지지봉(20)의 상면에는 다수개로 분할된 제2 바닥판(17)을 안착시킨다.
또 지지봉(20)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바닥지지판(23)을 조립하며, 바닥지지판(23)의 지지홈부(24)에는 지지봉(20)이 안정되게 조립된다.
이러한 제2 바닥판(17)은 저면의 제2 바닥홈부(19)를 지지봉(20)에 끼워 조립하며, 제2 바닥판(17)의 제1 고정홈부(18)에는 배면판(27)을 끼워 조립하게 된다.
아울러 배면판(27)은 고정돌기(28)에 인접하게 조립되는 다른 배면판(27)의 삽입홈부(29)를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배면판(27) 사이에는 책장의 크기(폭 또는 높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바닥측면판(30)을 끼워 조립하게 되며, 상기 배면판(27)은 바닥측면판(30)의 고정철근(35)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된다.
즉, 고정철근(35)은 배면판(27)에 끼워지기 전에 상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배면판(27)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철근(35)을 원위치 시키며, 이에 배면판(27)의 배면에는 고정철근(35)이 위치하게 되어 배면판(27)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바닥판(17)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바닥판(11)을 맞대고, 볼트구멍(15)에 체결볼트(15a, 도 10 참조)를 체결하여 지지봉(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제1 바닥판(11)에는 핀구멍(13)에 고정핀(25)을 끼워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핀(25) 내면에는 바닥측면판(30)이 수직으로 조립된다.
상기 고정핀(25)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닥측면판(30)이 움직이거나 회전되지 않게 조립된다.
한편 중간조립체(50)는 하부조립체(10)와 동일하게 조립되므로, 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측면판(30)의 상면에는 지지홈부(33)에 중간지지봉(60)을 끼워 조립하게 되며, 중간지지봉(60)은 체결구멍(61)과 체결볼트(62)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중간지지봉(60)의 상면에는 제2 중간판(57)을 안착시켜 조립하게 되며, 제2 중간판(57)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중간측면판(75)을 조립하게 된다.
아울러 제2 중간판(65)은 고정돌기(66)와 삽입홈부(67)에 의해 서로 조립되며, 제2 중간판(65)의 양단에는 각각 중간측면판(70)이 조립된다.
상기 중간조립체(50)는 조립하고자 하는 책장의 높이로 다단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4단 또는 5단 이상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중간조립체(50)를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간조립체(50)의 상면에는 상부지지봉(87)을 끼워 조립하며, 상부지지봉(87)의 상면에는 제1 상부판(81) 및 제2 상부판(85)을 각각 조립하며, 제1 상부판(81)은 볼트구멍(83)에 볼트(15a)를 끼워 상부지지봉(87)의 볼트구멍(88)에 체결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하부조립체 11: 제1 바닥판
17: 제2 바닥판 20: 지지봉
23: 바닥지지판 27: 배면판
30: 바닥측면판
50: 중간조립체 51: 제1 중간판
57: 제2 중간판 60: 중간배면판
70: 중간측면판
80: 상부조립체 81: 제1 상부판
85: 제2 상부판 87: 상부지지봉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책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바닥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바닥판 사이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조립식 책장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된 제2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과 하나 이상의 제2 바닥판 사이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바닥판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제2바닥판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측면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하부조립체;
    상기 책장의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중간판, 상기 한 쌍의 제1 중간판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중간판, 상기 제1 중간판 및 제2 중간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측면판 및 상기 제1 중간판과 제2 중간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되어 3단 이상의 책장을 조립하도록 구성된 중간조립체;
    상기 책장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상부판, 상기 제1 상부판 사이에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제2 상부판 및 상기 제1 상부판과 제2 상부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이 구비된 상부조립체;
    상기 하부조립체 및 상기 중간조립체는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바닥측면판에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핀;
    상기 제1 바닥판과 하나 이상의 제2 바닥판에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바닥판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제2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배면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봉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바닥지지판;
    상기 지지봉은 일정 길이로 다수 분할되고,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구멍;
    상기 지지봉의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판은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고, 상기 일측의 체결구멍에 다른 지지봉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면판 및 중간측면판은 일정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측판본체;
    상기 측판본체의 일측으로 연장 고정되는 확장지지판;
    상기 지지봉이 안착되도록 상기 측판본체 및 상기 확장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홈부;
    상기 측판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인접한 다른 배면판과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인접한 다른 배면판의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배면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KR2020170002099U 2017-04-25 2017-04-25 조립식 책장 KR200484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9U KR200484188Y1 (ko) 2017-04-25 2017-04-25 조립식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9U KR200484188Y1 (ko) 2017-04-25 2017-04-25 조립식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88Y1 true KR200484188Y1 (ko) 2017-08-23

Family

ID=6062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99U KR200484188Y1 (ko) 2017-04-25 2017-04-25 조립식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8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7B1 (ko) * 1992-06-08 1995-02-08 김성호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JPH07322924A (ja) * 1994-06-01 1995-12-12 Marutaki Sangyo:Kk 組立式家具
JP2000152832A (ja) * 1998-11-18 2000-06-06 Junichi Sasaki 組立ボックス
JP2001231640A (ja) * 2000-02-22 2001-08-28 Yamaken Kogyo:Kk 置き棚、置き棚連結部材、置き棚央部支持部材
KR200315602Y1 (ko) * 2003-02-28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식 책장의 선반구조
KR20110102283A (ko) 2011-08-31 2011-09-16 조성현 조립식 책장
KR20160023427A (ko) 2014-08-22 2016-03-03 안종훈 조립식 책장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7B1 (ko) * 1992-06-08 1995-02-08 김성호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JPH07322924A (ja) * 1994-06-01 1995-12-12 Marutaki Sangyo:Kk 組立式家具
JP2000152832A (ja) * 1998-11-18 2000-06-06 Junichi Sasaki 組立ボックス
JP2001231640A (ja) * 2000-02-22 2001-08-28 Yamaken Kogyo:Kk 置き棚、置き棚連結部材、置き棚央部支持部材
KR200315602Y1 (ko) * 2003-02-28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식 책장의 선반구조
KR20110102283A (ko) 2011-08-31 2011-09-16 조성현 조립식 책장
KR20160023427A (ko) 2014-08-22 2016-03-03 안종훈 조립식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3448B2 (en) Modular shelving assembly with universal design ratio
US20170188703A1 (en) Reusable Piece of a Furniture
US20220378195A1 (en) Combined type shelf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200484188Y1 (ko) 조립식 책장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200455854Y1 (ko)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KR101494888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1663734B1 (ko) 조립식 책장
JP2008055032A (ja) 簡易組立棚
KR200460603Y1 (ko) 수납공간을 전,후방 공간부로 구획 가능한 격벽을 갖는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US20130284865A1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ttachment
US20020084237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food service carts, shelving units, signage and other multi-component products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KR20090115376A (ko) 장식장
KR101217812B1 (ko)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JP3152338U (ja) 複式商品陳列台及び複式商品陳列台キット
KR102671562B1 (ko) 조립이 편리한 선반 조립구조체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JP4905177B2 (ja) 机システム
JP3124091U (ja) 商品陳列台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KR101722227B1 (ko) 장식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448649Y1 (ko)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KR0139068Y1 (ko) 안경 진열용 진열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