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047B1 -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047B1
KR950001047B1 KR1019920009902A KR920009902A KR950001047B1 KR 950001047 B1 KR950001047 B1 KR 950001047B1 KR 1019920009902 A KR1019920009902 A KR 1019920009902A KR 920009902 A KR920009902 A KR 920009902A KR 950001047 B1 KR950001047 B1 KR 95000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dth
height
prefabricated furni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066A (ko
Inventor
김성호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호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1992000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047B1/ko
Publication of KR94000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절결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판부와 기판지지부의 연결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측판부와 기판지지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측판부와 기판지지부의 연결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외측판부에 승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승강수단에 의해 높이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상판부와 측판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상태에 그 길이가 변형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가구와 장식장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판부 200 : 기판지지부
300 : 상판부 400 : 도어부
500 : 가림판부 600 : 덮개판부
700 : 뒷판
본 발명은 설치장소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그 크기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발명된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활에 주로 사용되는 가구들, 에컨대 장농이나 옷장, 그리고 장식장들은 주변 환경이나 주어진 공간에 의해 그 크기를 알맞는 것으로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장에서는 대개가 대, 중, 소의 서로 다른 크기들로 정해진 규격으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특수한 경우는 주문에 의해 설치장소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한 것을 설치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었다.
이들은 대개가 폭을 기준하여 크기를 구분하는 것이며, 그 높이는 통상적인 크기를 감안하여 일정하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가구가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대략적인 크기로 약간 여유있는 것을 선택하여 구입하게 되어 가구가 설치된 후, 쓸데 없는 공간이 남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하였다.
상기 여유 공간으로는 불가피하게 옷걸이나 기타 물품들을 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공간 활용에 의미에 비하여 전체적인 장식적 미관을 크게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정해진 크기로 고정된 가구를 배치한 후, 이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와, 이사를 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공간이 변하게 되므로 보다 넓은 공간에 재 설치할 때는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공간이 더욱 크게 노출되어 가구의 품위를 더 저하시키게 되는 반면, 설치공간이 오히려 좁은 곳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는 가구를 설치하지 못하고 방치하거나, 새로운 가구로 교체해야 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손실을 주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으로, 가구의 폭과 높이를 손쉽고 자유롭게 이루워지게 하므로서, 그 이동과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 폭과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주어진 공간에 알맞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가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원 발명인의 선출원(국내 발명특허출원 제91-13198호)을 개량발명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기능과 장식의 효과를 증대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가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구의 좌, 우측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외측판(110)들과, 동일 크기로 일정간격 그 내측에 세워지는 내측판(120)들의 저면으로 끼워져 상기 내, 외측판들(120)(110)을 상, 하조절하는 승강수단(130)이 구비하는 측판부(100)와; 상기 내, 외측판(120)(110)들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210)의 사이로 간격조절부재(230)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토록 하는 기판지지부(200)와; 상기 내, 외측판들(120)(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그 사이의 폭을 감안한 크기로 된 상판(330)을 수평하게 얹혀지도록 고정 수단(31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 지는 상판부(300)와 ; 상기 측판부(100)의 내, 외측판들(120)(110)들 전면에 위치되어 그 양측에서 개폐가능케 회동되며, 가림판(411)(421)들이 단층지게 형성되어 최소한 겹쳐진 상태로 내부를 가려지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문짝(410)(420)들로 이루어진 도어부(400)와; 상기 도어부(400)의 하부로 위치되어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간격조절부재(230)에 의한 폭조절과 상응하는 폭으로 조립판재(510)의 결합위치에 따라 노출폭을 가변수단(520)에 의해 가변토록 하는 가림판부(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300)와 기판부(200)의 사시에는 필요시 그 중간을 구획토록 선반부재(160)를 위치시켜, 상, 하를 구분된 상태로 사물들을 구분하여 내부에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200)의 직상부에는 그 내부가 감싸지게 가림판부(500)에 얹혀져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중앙 연결부(621)(631)가 단층지게 된 덮개판(620)(630)으로 덮어지도록 하는 덮개판부(60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부들에 의해 조립되는 가구는 칸막이를 겸한 장식장의 경우와 배면이 벽면에 의해 이미 막혀지는 경우는 그 배면이 트여지게 하여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가구가 설치되는 위치가 벽면에서 떨어지게 위치되는 경우는 뒷판(700)으로 배면이 막혀지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 뒷판(700)은 2개를 겹쳐진 것을 일조로 하여 그 폭의 가변시 이에 상응하는 폭으로 겹쳐진 상태로 벌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부착하는 방법과,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은 1개의 정해진 크기의 부재를 각각 고정설치하는 방법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측판부(100)를 조립코자 하는 가구의 높이를 감안한 크기로 내, 외측으로 일정간격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되, 그 외측에는 외측판(110)이, 그리고 내측으로는 내측판(120)이 수개 세워지게 된다.
상기 외측판(110)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면에 길이가 비교적 긴 장볼트(131)로 되는 승강수단(130)을 구비하고, 또, 상기 외측판(110)의 상단은 브라켓트(311)에 뚫어진 통과공(312)으로 볼트나 작은나사(313)를 이용하여 상판(330)이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고정수단(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안치홈(113)(123)을 파여지게 한다.
그리고, 일정간격 내부로 세워지는 상기 내측판(120)의 하부에도 동일구조의 승강수단(130)과 그 상부에는 안치홈(123)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도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 외측판(120)(110)에 각각 설치되는데, 비교적 길이가 긴 장볼트(131)가 내, 외측판(120)(110)의 저면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너트(132)에 나사결합토록 하여, 수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장볼트(131)에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머리(133)를 회동시키는 방법으로, 나사결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는 상기 내, 외측판(120)(110)이 하강되고, 다시 나사가 해체하는 방법으로 회동시키는 경우는 내, 외측판(120)(110)이 상승토록 하는 작동방법으로 설치장소에 맞는 높이로 그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장볼트(131)의 하부로는 상기 지지체(210)들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끼워져 회동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 상기 내, 외측판(120)(110)들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13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원 발명인 이 선출에서 밝힌 바 있는 상기 장볼트(131)의 하부로 워엄기어를 고정시키고, 이의 일측에 치차결합하는 워엄을 손잡이로 회동시켜 장볼트(131)에 결합되는 너트(132)가 내, 외측판(120)(110)들과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토록 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승강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내, 외측판(120)(110)들은 그 속이 빈 상태로 외곽틀을 형성토록 하거나, 속이 찬 판체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동시 무게를 감안하여 속이 빈 상태로 필요한 형상을 따라 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지지부(200)는 상기 내, 외측판(120)(110)들의 하부에 위치되어 내, 외측판(120)(110)들을 지지판 상태에서 그 폭을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가구의 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하는 구조부이다.
따라서, 상기 내, 외측판(120)(110)들의 하부에 지지체(210)가 각각 위치되는데, 이 지지체(210)들에는 상부로 트여지는 공간(211)에 간격조절부재(230)를 끼워지게 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지지(210)들을 연결한다.
상기 공간(211)의 폭은 상기 간격조절부재(23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로 끼워질 수 있게 하되, 이의 하부를 향해 고정구멍(213)들을 수직하게 뚫는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재(230)들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단면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에 수개의 조립구멍(232)들을 일정간격 뚫어지게 한다.
상기 조립구멍(232)들의 설치위치는 일단에는 1개의 구멍으로, 또 타단에는 다단으로 뚫어지게 하는데, 그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며, 그 이유는 고정구멍(213)과 조립구멍(232)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235)을 끼워지게 하여 그 결합위치에 따라 간격조절부재(230)들을 연결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크기로 상기 지지체(210)들의 사이 거리가 설정되고, 다시 전체적으로 가구의 내, 외측판(120)(110)들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하여 그 폭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기준이 되므로, 보다 일정하게 정밀한 폭조절을 위하여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즉,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개의 조립구멍(232)들 중에서 중간에 조립되는 경우는 한개의 가구사용공간을 구성하는 내, 외측판(120)(110)사이의 간격이 중간정도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조립구멍(232)들의 가장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핀(235)이 끼워지게 하는 경우는 그 폭이 가장 좁게, 내지는 넓게 조절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구멍(232)와 고정구멍(213)에 끼워지는 핀(235)은 그 끝단이 평편한 원통형의 핀으로 하는 경우 이외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하에서 체결토록 하면 보다 견고하게 간격조절부재(230)를 연결하게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부재(230)와 지지체(210)들의 조립위치에 따라 그 폭이 상이해 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그 조절길이는 상기 간격조절부재(230)의 하부에 파여지는 조립구멍(232)들의 갯수와 간격에 의해 상이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 숫자를 도시하지 않은 3개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보다 넓은 선택으로 다단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간격과 갯수를 미세한 간격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상태로 주어진 환경에 알맞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부재(230)들은 승강수단(130)과 어긋난 위치로 설치되어 상호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판부(300)는, 내, 외측판들(120)(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310)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판(330)이 상부를 덮어지도록 고정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고정수단(310)은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의 양측에 동일구조로 부착되는 브라켓트(311)와, 이 브라켓트(311)에 뚫어진 통과공(312)을 통해 작은나사(313)를 내, 외측판(110)(120)에 나사결합하는 방법으로 그 고정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데, 그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 지도록 상기 내, 외측판(110)(120)의 상부로 안치홈(113)(123)을 파여지게 하여 브라켓트(311)의 두께와 무관하게 긴밀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브라켓트(311)에는 내, 외측판(110)(120)들을 향하여 걸림편(314)을 일체로 연장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고정홈(114)(124)을 파여지게 하므로써, 그 결합위치를 정확한 상태로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도어부(400)는 상기 측판부(100)의 내, 외측판들(120)(110)들 전면에 위치되어 그 양측에서 개폐가능케 회동되며,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토록 닫혀지게 하는 구조부이다.
여기서도 내, 외측판들(120)(110)들의 간격이 유동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폭으로 문짝(410)(420)들이 좌, 우로 이동될때, 이를 가려지게 하여 항시 내부를 보호하고 가려지게 하는 역할을 수행토록 함이 중요하다.
따라서, 좌, 우측의 문짝(410)(420)에는 가림판(411)(421)들이 중앙에서 대향지게 겹쳐지도록, 단층지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림판(411)(421)들중 최소한 한개는 문짝(410)(420)의 외측이 평편하게 하여 그 내측에서 단층지게 되며, 가림판(411)(421)의 단층진 폭은 간격조절부재(230)에 의한 최대, 최소로 변형된 길이에서도 최소한 일부는 겹쳐질 수 있게 하고, 그 두께는 문짝(410)(420)의 두께에 1/2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문짝(410)(420)을 양측이 각각 단층지게 하는 방법이외에도, 평편한 부재로 문짝(410)(420)을 형성한 후, 그 경계의 외측으로 비교적 얇은 별도의 가림판을 덧붙혀 폭조절에 의한 문짝(410)(420)의 이동시 내부가 최소한 가려지도록 감싸지게 할 수 있으며, 이들 문짝(410)(420)들은 내, 외측판(120)(110)들과 경첩으로 회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림판부(500)는 상기 승강수단(130)과 간격조절부재(230)에 의해 가구 전체에 폭과 높이가 가변될 때, 가변수단(520)에 의해 폭이 함께 가변되며 그 하부면이 외부로 부터 감싸지도록 보호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가변수단(520)은 제2도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돌기(522)들이 돌출되는 지지판(521)과, 이 지지판(521)에 고정공(511)이 뚫어져 조립돌기(522)와 결합되는 방법으로 조립판재(51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판(521)은 주로 합성수지재에 의해 조립돌기(522)들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 조립돌기(522)는 설치위치와 가변을 감안하여 1개 내지는 그 이상의 다단으로 일정간격 돌출시킨 것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상응하는 크기와 위치로 뚫어진 고정공(511)에 끼워지는 조립판재(510)의 폭이 상이하여 지는 결과로 상기 간격조절부재(230)에 의한 폭조절에 따라 가구의 전면과 배면 하부로 위치되는 조립판재(510)가 함께 가변되어 내부외측면을 감싸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521)은 설치위치에 따라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외측으로 위치되는 외측판(10)에 설치되는 것은 가이드홈(523)의 일측으로만 상기 조립돌기(522)들이 형성되게 하고, 또 중간의 내측판(120)들 하부로 위치되는 지지판(521)은 가이드홈(523)의 양측으로 상기 조립돌기(522)들을 일정간격 형성하여 양측에서 조립판재(510)들이 결합되어 내부를 감싸지게 설치할 수가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523)의 폭은 상기 내, 외측판(120)(110)의 두께를 감안하여 상, 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약간 넓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립돌기(522)의 설치위치는 간격조절부재(230)에 뚫어지는 조립구멍(232)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하여 그 폭조절이 일치된 상태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바, 폭조절방법은 상기 지지판(521)에 형성된 조립돌기(522)가 다른 숫자의 것을 선택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조립판재(510)의 고정공(511)에 상기 조립돌기(522)가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와, 또 상기 지지판(521)에는 최소한 1개의 조립돌기(522)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내, 외측판재(110)(120)에 설치하고, 고정공(511)의 폭이 다르게 제작된 것을 이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그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외측판재(110)(120)의 간격이 증가된 폭에 해당되는 거리로 지지판(521)의 양측에 조립돌기(522)가 형성된 것을 조립판재(510)의 사이로 끼워지게하여 2개의 조립판재(510)에 의해 증가된 거리로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판(521)의 설치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 외측판재(110)(120)들의 가장자리 내측에서 조립되어 그 외관을 미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따라서 외측판(110)과 내측판(120)의 가장자리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결홈(116-)(126)을 각각 양측에서 파여지게 하여 가이드홈(523)에 끼워진 상태로 상, 하 승강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조립돌기(522)와 고정공(511)이 일치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볼트(512)를 와셔와 함께 상기 조립돌기(522)에 결합되도록 하면 좋은데, 이 경우 상기 조립돌기(522)에는 너트가 중앙으로 사출성형시 일체로 매립되는 형식의 인써트방법으로 제작하여 볼트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반복하여 분해 및 조립작업을 수행하여도 마모나 파손의 염려가 없이 원활한 조립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21)에 그 양단이 일부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는 조립판재(510)의 양단으로는 상기 지지판(521)의 내측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평편하게 조립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조립판재(510)의 양측을 지지판(521)의 두께와 물림길이 만큼 얇게 가공하는 것이 미관상 좋다.
또, 전기한 바와 같이, 내, 외측 판재(110)(120)들의 승강될 경우 그 측면 내부가 지면과의 간격에 의해 내부공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판(110)의 하부로 상기 절결홈(116)과 한글자모 "ㄷ"자형으로 트여지며 두께와 평행한 상태로 작동홈(117)을 수직하게 형성하여 이에 가림부재(118)이 끼워져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판(110)이 내측판(120)과 함께 승강될 경우 그 측면 하부로 위치되는 가림부재(118)는 자중에 의해 항시 지면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공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선반부재(160)는 상기 상판부(300)와 기판부(200)의 사이에는 필요시 그 중간을 구획토록 하여 장롱의 경우와 같이 상, 하의 구분된 공간에 서로 다른 내용물들을 각각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선반부재(160)는 평편한 단일부재로 상기 내, 외측판(120)(110)의 사이를 감안한 폭으로 이미 제작된 것을 고정설치하는 경우와, 또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일정간격, 즉 상기 간격조절부재(230)에 의한 길이가 변형가능한 것을 선택하여 합성수지로 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필요한 크기로 슬릿위치에서 절단하여 그 벌어진 사이로 위치하는 방법으로 그 폭 조절이 이루어 지는 것을 선택하여 각각 설치가능한데, 이는 본원 발명인의 선 출원발명과 동일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이 제1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선반부재를 대신하여 저면으로부터 서랍과 T.V과 같은 기구들의 받침의 기능을 겸한 장식대를 설치하여 전체적인 장식의 효과와 다양한 기능을 겸한 가구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판부(600)는 상기 기판부(200)의 직상부로 그 내부가 감싸지게 일정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물건들을 위치시키거나, 진열할 수 있는 판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도 변형되는 폭을 감안하여 중앙 연결부(621)(631)가 단층지게 하여 최대, 또는 최소의 폭으로 변형될 때, 최소한 겹쳐질 수 있는 길이로 그 연결부(621)(631)을 형성하고, 이때 벌어진 사이로는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630)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부착하여 그 이음부를 매끄럽게 이어지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그 폭의 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판(330)과 가림판부(500)의 조립판재(510), 그리고 하부의 덮개판부(600)는 길이변형에 의해 단층지며 슬라이드 되는 구조를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해당크기로 이미 제작된 단위크기의 판체를 변형가능한 정도, 즉 최대크기와 중간크기 그리고 최소크기의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한 후, 필요한 크기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알맞은 것을 얹혀놓은 방법으로 조립토록 제공하는 방법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선 출원 발명에 비하여 그 전면 상, 하로 위치되는 몰드판넬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그 전체적인 미감을 증대토록 함과 동시 부품수가 적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 및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되어 그 이동과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주어진 공간에 따라 자유로히 그 높이와 폭을 알맞은 크기로 변형하여 설치하게 되므로서, 첫째; 설치장소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규격의 가구들을 제공하여도 그 장소에 따라 맞춰진 것과 같이 좌, 우와 상부에 쓸데없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제작자는 단일 크기의 가구들 만을 전문적으로 대량생산토록 하므로 그 제작원가를 저하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이익을 줄 수 있으며, 셋째; 그 조절이 비교적 손쉬워 전문지식이 없는 자라도 누구나 취급이 가능하므로, 이사를 하거나, 기타의 원인에 의해 가구를 옮기는 경우에도 주어진 공간으로 항시 알맞게 조절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공간의 변경에 의해 가구들을 재 구입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넷째; 분해된 상태에서 적은 부피로 이동된 후 설치되는 장소에서 신속히 그 조립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운반비나 설치비가 절약됨은 물론 대량의 물품을 수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체부피를 매우 작게 축소한 상태로 운반되어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운송비를 매우 절약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2)

  1. 가구의 좌, 우측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외측판들과, 동일 크기로 일정간격 그 내층에 세워지는 내측판들의 저면으로 끼워져 상기 내, 외측판들을 상, 하 조절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측판부와; 상기 내, 외측판들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들 사이로 간격조절부재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토록 하는 기판지지부와; 상기 내, 외측판들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 외측판들과 상판이 수평하게 얹혀지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상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내, 외측판들들 전면에 위치되어 그 양측에서 개폐가능케 회동되며, 가림판들이 단층지게 형성되어 최소한 겹쳐진 상태로 내부를 가려지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문짝들로 이루어진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하부로 위치되어 상기 기판지지부의 간격조절부재에 의한 폭조절과 상응하는 쪽으로 전면판의 결합위치에 따라 노출폭을 가변수단에 의해 가변하여 막혀지도록 하는 가림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기판부의 사이로는 그 중간을 구획토록 설치되는 선반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직상부에는 그 내부가 감싸지게 덮개판들로 덮어지도록 하고, 그 사이로 연결부재를 끼워지게 폭조절이 가능한 덮개판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판부는 내, 외측판의 하부로 위치되는 지지판의 내측으로 조립돌기를 돌출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크기와 위치로 고정공이 양단으로 뚫어진 조립판재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판의 양단으로 브라켓트를 부착하고, 이에 뚫어지는 통과공으로 작은 나사를 내, 외측판과 결합하여 상판을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의 간격조절부재에는 조립구멍들을 일정간격 뚫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7.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의 배면으로는 그 뒷면이 가려지도록 뒷판이 세워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8.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내, 외측판의 하부로 지지체에 그 하부면이 지지되는 장볼트를 너트로 나사결합하여 나사진행방향에 따른 회동으로 상기 내, 외측판의 높이를 조절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9.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외측판의 하부로 고정되는 너트와 나사결합되며, 그 중간에 고정된 워엄기어와 이의 일측에서 치차결합된 상태로 위치되는 워엄을 손잡이로 회동토록 하여 장볼트의 회전에 의해 그 높이를 조절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0.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의 지지체는 그 내부가 상부를 향해 트여진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고정구멍을 뚫어지게 하여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뚫어진 조립구멍과 핀으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1.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측판부의 전면 양측에 그 회동이 자유롭게 경첩으로 연결되는 양측의 문짝들에 단층지게 형성된 가람판들을 그 중앙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2.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들에 단층지게 형성되는 가림판들의 폭은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선택되는 측판부의 최대 벌림거리와 최소 축소된 거리를 감안하여 최소한 상호 겹쳐지는 부분이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수직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가이드홈의 일측으로 조립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조립돌기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사이로 조립돌기에 결합되는 조립판재는 그 사이로 또 다른 지지체를 결합하여 폭의 증가를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식 가구.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에는 걸림편을 일체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내측판과 외측판의 상부로 파여진 고정홈에 걸려져 그 고정을 견고히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내측판과 외측판의 상부에 상기 브라켓트가 접하는 두께의 형상을 감안하여 안치홈을 파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19. 제13항 내지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에는 그 중앙으로 너트가 고정설치되어 조립판재의 고정공을 통과하는 볼트로 나사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20. 제13항 내지는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내측판 내지는 외측판에는 절결홈을 수직하게 파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에는 상기 절결홈과 직각되게 트여지며 그 두께방향과 그 평행한 작동홈을 수직하게 파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에는 가림날개를 끼워지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19920009902A 1992-06-08 1992-06-08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95000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902A KR950001047B1 (ko) 1992-06-08 1992-06-08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902A KR950001047B1 (ko) 1992-06-08 1992-06-08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66A KR940000066A (ko) 1994-01-03
KR950001047B1 true KR950001047B1 (ko) 1995-02-08

Family

ID=1933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902A KR950001047B1 (ko) 1992-06-08 1992-06-08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88Y1 (ko) * 2017-04-25 2017-08-23 전근수 조립식 책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849B1 (ko) * 2020-12-29 2022-02-09 박진태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88Y1 (ko) * 2017-04-25 2017-08-23 전근수 조립식 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66A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2230A (en) Door check
EP1984684B1 (en) A refrigerator with door supporting device
US20060070614A1 (en) Warming tray for a barbeque grill
KR950001047B1 (ko)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US20080067303A1 (en)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Baskets
US3296745A (en) Composite door for cabinets and the like
KR940003456B1 (ko)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US3063768A (en) Cabinet front unit
EP0399595B1 (en) Sectional container for electrical boards assembled with joints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KR20140005997U (ko) 조립식 옷장
EP1529187B1 (de) Kältegerätetür
JPH11206488A (ja) 組立式収納装置
KR200157517Y1 (ko) 조립식 붙박이장
KR200352618Y1 (ko) 장식대용 지주 설치구조
US4854654A (en) Collapsible cabinet
KR20000018460U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JPS5853869Y2 (ja) 折たたみ自在のパネル部分を備えた建物用パネル
JPH0312307Y2 (ko)
JPH0225321Y2 (ko)
KR200301543Y1 (ko) 조립식 선반
JPH0736507Y2 (ja) 家具等における笠木装置
JPH0235225Y2 (ko)
KR200265806Y1 (ko) 가구용 기둥조립체
KR200168306Y1 (ko) 높이조절용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