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802B1 -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802B1
KR100687802B1 KR1020050074950A KR20050074950A KR100687802B1 KR 100687802 B1 KR100687802 B1 KR 100687802B1 KR 1020050074950 A KR1020050074950 A KR 1020050074950A KR 20050074950 A KR20050074950 A KR 20050074950A KR 100687802 B1 KR100687802 B1 KR 10068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prefabricated furniture
panel
door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739A (ko
Inventor
명창환
Original Assignee
명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창환 filed Critical 명창환
Priority to KR102005007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8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식 가구를 조립시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앵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체의 본체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을 제외한 각 면에 그와 대응되는 각각의 판넬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전면에는 그 상,하측 앵글 프레임에서 다수의 도어판넬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수단 및 결합수단에 의해 미닫이와 여닫이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assembly method of assembled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도어판넬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도 4a는 여닫이 및 미닫이의 도어판넬이 닫혀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b는 여닫이 도어판넬이 열려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c는 미닫이 도어판넬이 슬라이딩되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12 : 앵글 프레임 120 : 고정공
122 : 나선공 124 : 조절볼트
14 : 판넬 16,16a : 도어판넬
20,20a : 연결수단
22,24 : 이동부재 22a : 지지구
22b,24b : 플레이트 22c,24c : 구름롤
30 : 결합수단
32 : 경첩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식 가구를 조립시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家具)라 함은, 각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세간 살림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필요한 용도에 따라 장농, 장식장 및 옷장 또는 주방용으로 싱크대 등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진다.
이렇게, 제작되는 가구는 원목이나 MDF 등과 같은 인조목재를 사용하여 대부분이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가 제작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 개폐수단인 도어가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구비된다.
이와같이 종래 제작되는 가구는 대부분이 설계에서부터 제작까지 전문가에 의해 제작되어 지는 데, 다시말해서 설계에 따라 먼저 원하는 형태의 형틀을 못이나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시켜 제작하고, 그 형틀의 도어가 위치하는 면을 제외한 각면으로 필요로 하는 각 판넬을 못이나 스크류 또는 걸림홈과 걸림고리가 형성된 연결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개방되어 있는 면에 필요로 하는 형태인 여닫이식이나 또는 미닫이식 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가구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가구 제작에 따른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전문가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제작된 가구의 단가가 상당히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분만 아니라 특히 전무가가 아인 일반인의 경우에는 가구를 제작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 가구를 조립시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단시간 내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판넬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가구의 상부를 벽체로 고정시 유동성 없이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가구의 하부와 벽체와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앵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체의 본체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을 제외한 각 면에 그와 대응되는 각각의 판넬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전면에는 그 상,하측 앵글 프레임에서 다수의 도어판넬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수단 및 결합수단에 의해 미닫이와 여닫이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그 하나의 도어판넬 상,하측에 구름롤이 장착된 각각의 이동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상,하측 앵글 프레임에서 이동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도어판넬과 측면판넬의 대응되는 면에 결합 고정되는 경첩에 의해 여닫히게 조립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여닫히는 도어판넬은 그 전면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앵글 프레임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앵글 프레임에는 다수의 나선공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에는 조절볼트가 체결되어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필요로 하는 형태인 장농이 수납장 또는 주방용 가구인 싱크대 등도 과 같은 조립식 가구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의 절곡된 다수의 앵글 프레임(12)을 각 맞닿는 부분을 일반적인 연결방식인 스크류 체결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용접 등을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의 뼈대인 직육면체의 본체프레임(10)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면을 제외한 각 면에 그와 대응되는 각각의 판넬(14)을 삽입하여 상호 맞닿는 부분을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하거나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호 연결시켜 고정한다.
그런 다음 개방되어 있는 상기 전면에는 그 상,하측 앵글 프레임(12)에서 다수의 도어판넬(16)(16a)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수단(20)(20a) 및 결합수단(30)에 의해 미닫이와 여닫이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20)(20a)은 하나의 도어판넬(16)의 상,하측에 구름롤이 장착된 각각의 이동부재(22)(24)를 장착하여 상기 상,하측 앵글 프레임(12)에서 이동되도록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측 앵글 프레임(12)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22)는 그 도어판넬(16)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구(22a)에 플레이트(22b)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구가 반대측 플레이트에 그 상측 앵글 프레임(12)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구름되는 구름롤(22c)이 장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 앵글 프레임(12)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24)는 상기 도어판넬(16)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24b) 상에 회전 자유롭게 구름롤(24c)이 장착되고, 그 구름롤은 그 하측 앵글 프레임(12)의 상단에 올려져 구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30)에 의해 여닫히는 도어판넬(1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전면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일측에 위치하는 도어판넬(16a)과 측면판넬(14)의 대응되는 면에 결합 고정되는 경첩(32)에 의해 여닫히게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립식 가구를 조립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필요로 하는 형태로 조립되는 본체프레임으로 각 판넬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개폐수단의 일환인 도어를 일면 상에 다수의 도어판넬로 형성하여 미닫이와 여닫이로 조립되도록 하므로서, 일반인들도 단시간 내에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식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도어판넬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도 4a는 여닫이 및 미닫이의 도어판넬이 닫혀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면 상, 하측 앵글프레임(12)에 연결수단(20)과 결합수단(30)에 의해 미닫이 형태와 여닫이 형태로 구비된 다수의 도어판넬(16)(16a)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여닫이 도어판넬이 열려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판넬을 열고자 할 경우에 먼저 일측 도어판넬(16a)과 측면 판넬(14)이 경첩(32) 등과 같이 결합수단(30)에 의해 여닫이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판넬(16a)을 열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미닫이 도어판넬이 슬라이딩되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b에서와 같이 일측 도어판넬(16a)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다른 도어판넬(16)인 내측면 상,하측으로 구비된 이송부재(22)에 의해 그 상,하측 앵글프레임(12) 사이에서 미닫이로 조립된 도어판넬을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된 다수의 도어판넬 중 먼저 결합수단에 의해 여닫이로 형성된 도어판넬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미닫이의 도어판넬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므로서, 그 본체프레임 내의 수용되는 물품 등을 원하는 위치에서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통상적인 조립식 가구의 경우에는 유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경우가 많은 데,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 또한 벽체로의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측 앵글 프레임(12)에 다수의 고정공(120)을 형성하여 벽체에 미리 설치되는 앵커 등과 같은 고정구와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측 앵글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넬에도 상기 앵커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조립식 가구를 벽체에 고정시 그 본체프레임의 상측 앵글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체결 고정하여 유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서와 같이 본체프레임의 상측이 고정되어질 경우에, 조립식 가구가 설치되는 벽체나 또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 상기 조립식 가구가 전체적으로 기울게 설치되는 관계로, 조립식 가구를 벽체에 고정시 기우러짐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앵글 프레임(12)에는 다수의 나선공(122)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122)에는 일반적인 조절볼트(124)가 체결되어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도 5에서와 같이 조립식 가구의 상단을 벽체에 고정한 후 그 조립식 가구의 하단을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시키므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조립식 가구를 기우러짐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도시된 장농 형태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부 예시적인 조립식 가구를 나타낸 것이고, 옷장이나 장식장 모든 범위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주방용 가구인 싱크태 등도 전술한 조립방식과 동일하되, 상부에 위차하는 판넬 대신에 개수대가 구비된 판을 삽입하여 고정함에 따라 이도 일반인들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에 각 판넬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전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도어판넬을 같은 면상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원하는 형태의 조립식 가구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못이나 스크류 또는 연결구 등을 사용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조립과정을 통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사용자로 하여금 내부의 물품을 인출시 필요한 위치의 여닫이나 미닫이의 도어판넬을 이동시켜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삭제
또, 본체프레임의 상측 앵글 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공에 의해 조립식 가구를 벽체로 고정시 유동성 없이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조립식 가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선공과 조절볼트에 의해 그 조립식 가구의 하부와 벽체와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립식 가구를 기우러짐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앵글 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체의 본체프레임(10)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을 제외한 각 면에 그와 대응되는 각각의 판넬(14)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전면에는 그 상,하측 앵글 프레임에서 다수의 도어판넬(16)(16a)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수단(20)(20a) 및 결합수단(30)에 의해 미닫이와 여닫이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하되, 상기 연결수단(20)(20a)은 그 하나의 도어판넬(16) 상,하측에 구름롤이 장착된 각각의 이동부재(22)(24)를 장착하여 상기 상,하측 앵글 프레임에서 이동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결합수단(30)은 일측에 위치하는 도어판넬(16a)과 측면판넬(14)의 대응되는 면에 결합 고정되는 경첩(32)에 의해 여닫히게 조립하며, 그 결합수단(30)에 의해 여닫히는 도어판넬(16a)은 그 전면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측 앵글 프레임(12)에 다수의 고정공(120)을 형성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앵글 프레임(12)에는 다수의 나선공(122)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에는 조절볼트(124)가 체결되어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KR1020050074950A 2005-08-16 2005-08-16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KR10068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50A KR100687802B1 (ko) 2005-08-16 2005-08-16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50A KR100687802B1 (ko) 2005-08-16 2005-08-16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739A KR20070020739A (ko) 2007-02-22
KR100687802B1 true KR100687802B1 (ko) 2007-03-02

Family

ID=4162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950A KR100687802B1 (ko) 2005-08-16 2005-08-16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8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37A (ko)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WO2016137168A1 (ko) * 2015-02-25 2016-09-01 김기형 디자인 가변형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34B1 (ko) 2015-09-02 2017-03-07 길재수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855A (ja) * 1995-08-11 1997-02-25 Inax Corp キャビネット
KR200236345Y1 (ko) 1999-03-19 2001-10-27 신석수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283529Y1 (ko) 2002-04-19 2002-07-26 조수호 붙박이장
KR200288869Y1 (ko) 2002-06-07 2002-09-1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855A (ja) * 1995-08-11 1997-02-25 Inax Corp キャビネット
KR200236345Y1 (ko) 1999-03-19 2001-10-27 신석수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283529Y1 (ko) 2002-04-19 2002-07-26 조수호 붙박이장
KR200288869Y1 (ko) 2002-06-07 2002-09-1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37A (ko)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WO2016137168A1 (ko) * 2015-02-25 2016-09-01 김기형 디자인 가변형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739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1718C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CN106955049B (zh) 一种淋浴门框架及淋浴门
AU2011354119A1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US6634727B2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WO2008117913A1 (en) Door hinge
EP1635009A2 (en) Hinged wall access panel
KR20170122437A (ko) 싱크대
KR101615710B1 (ko) 여닫이 붙박이장 구조물
KR200236345Y1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JP4096160B2 (ja) 間口調整機能付き棚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JPH04131485A (ja) 扉装置
JPS6112858Y2 (ko)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JP6172696B1 (ja) 間仕切り、引き戸および袖壁
KR100380655B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US6925683B2 (en) Hinge
KR200193214Y1 (ko)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KR950001047B1 (ko)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200366528Y1 (ko) 가구용 프레임
KR200355666Y1 (ko) 도어
KR200246385Y1 (ko) 붙박이장의 개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