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837A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837A
KR20160097837A KR1020150020203A KR20150020203A KR20160097837A KR 20160097837 A KR20160097837 A KR 20160097837A KR 1020150020203 A KR1020150020203 A KR 1020150020203A KR 20150020203 A KR20150020203 A KR 20150020203A KR 20160097837 A KR20160097837 A KR 2016009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e
connection plate
connecting plat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철
Original Assignee
전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철 filed Critical 전승철
Priority to KR102015002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837A/ko
Publication of KR2016009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Abstract

간편하게 분리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구조의 조립식 가구가 제공된다. 조립식 가구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판, 및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에 형성되고 오목부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하되, 오목부는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볼록부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오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는 돌기부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ing furniture}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분리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구조의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책장, 의자, 테이블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구들은 대개 제조업체에 의해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화되고,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등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가구들은 다른 형태로 대체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재료를 구매하여 직접 제작하는 DIY(Do It Yourself)방식의 가구 제작이 가능하며,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DIY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완전히 부합하는 유니크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나, 재료선정, 구입, 설계제작 등이 만만치 않아 사용자는 큰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립식 가구는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변형이 가능하여 이러한 부담을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적절히 부합하는 가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립식 가구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각 부분이 모듈 형태로 제공되어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각 모듈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구조나 배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립식 가구는 분리 결합이 용이한 경우 상대적으로 고정력이 약하여 쉽게 분해되거나 작은 충격에도 결합부위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대로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합구조가 복잡해지면 분리가 힘들거나 복잡하여 구조 배치를 변화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로 인해 실제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점을 살리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7802호, (2007.03.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분리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구조의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판; 및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이 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돌기부에 지지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측 모서리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바 형상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과,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의 단면적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고, 상기 관통공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과 적어도 일부가 불일치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관통공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볼록부에 밀착되지 않은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과,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어느 하나가 만입되어 형성된 홈과,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과 상기 관통공의 단면이 일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 둘레의 5~30%일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의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넥터의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은 상기 관통공의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의 10~70%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각각 합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의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는 0.8~6.3㎛Ra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연결판을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가구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결판을 결합된 상태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를 분해하거나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인력만으로 매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조립된 가구를 확장하거나, 변형하거나,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치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넥터 역시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된 상태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고 간편하게 분리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판을 서로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연결판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커넥터 및 관통공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커넥터와 관통공의 결합에 의한 고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변형 및 배치상태 변화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은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여 오목부와 볼록부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오목부와 볼록부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연결판에 오목부 외에도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연결판에도 볼록부 외에 오목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판을 서로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1)는 오목부(110)를 포함하는 제1연결판(100)과, 오목부(110)에 결합되는 볼록부(210)를 포함하는 제2연결판(200)을 포함하고,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이 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한다. 특히, 오목부(110)는 볼록부(210)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11)를 포함하여, 볼록부(210)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오목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는 돌기부(111)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1)는 서로 다른 연결판이 오목부(110)와 볼록부(210)의 결합에 의해 연결되며, 오목부(110) 내측에 돌기부(111)가 형성되어 오목부(110)와 볼록부(210) 사이의 결합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립식 가구(1)는 오목부(110)의 내측면과 볼록부(210)의 외측면이 마찰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돌기부(111)가 받쳐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10)는 돌기부(111)에 의해 오목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부분이 이격되어 볼록부(210)와 오목부(110)간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적절한 외력을 가하여 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매우 간편하게 조립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1)는 관통공(101, 201, 501)에 삽입 고정되는 바 형상의 커넥터(400)를 포함하여 이를 활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가구의 형상, 구조, 배치 등을 바꿀 수 있다. 특히, 커넥터(400)의 횡단면 형상과 관통공(201)의 단면 형상, 관통공(201)의 내측 면과 커넥터(400) 외측 면의 조도(Roughness: 거칠기) 등을 조정하여, 커넥터(400)와 관통공(201)이 매우 용이하게 분리,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들을 갖는 조립식 가구(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은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의 형상은 서로 연결 가능한 형상인 한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상의 연결판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판은 오각형이나 육각형, 또는 그 밖의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은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 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판(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각형의 판형상인 여러 가지 단위 연결판(제1연결판, 제2연결판, 제3연결판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조립식 가구(1)를 구성할 수 있다. 단위 연결판들은 형상이 적어도 일부 다르거나, 크기나 길이가 다르거나, 그 밖의 요소들을 변형시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제1연결판(100), 제2연결판(200), 제3연결판(300) 등의 연결판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판(100)은 다각형의 변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오목부(110)를 포함하며, 제2연결판(200)은 다각형의 변에 형성되고 오목부(110)에 결합되는 볼록부(2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볼록부(210)가 오목부(110)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연결판이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1연결판(100), 제2연결판(200), 또는 필요에 따라 제3연결판(300) 등을 서로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연결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오목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연결판(200)은 상기 오목부(1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볼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110)는 볼록부(210)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11)를 포함하고, 볼록부(210)는 오목부(110)에 삽입되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오목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볼록부(210)의 타측 단부는 돌기부(111)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즉, 돌기부(111)가 형성된 오목부(110)와 이에 삽입되는 볼록부(210)로 결합강도가 적절히 조절된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이러한 결합구조로 매우 간편하게 연결판을 분리, 결합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판(100)의 복수 개의 오목부(1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120)가 형성되고, 제2연결판(200)의 복수 개의 볼록부(2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연결판(100)의 오목부(110) 사이에 볼록부(120)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제2연결판(200)의 볼록부(210) 사이에 오목부(220)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연결판(200)의 오목부(220) 역시 내측에 돌기부(221)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판(100)의 볼록부(120)와 불필요한 마찰을 최소화하고 결합하여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3연결판(300)에는 볼록부(310)가 형성되어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에 형성된 오목부(110, 2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3연결판(300)은 볼록부(210)가 아닌 나머지 변의 일부가 내측으로 후퇴되거나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입부(320)에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의 단부(즉, 다각형 판형상인 연결판의 변에 해당하는 부분)가 접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만입부(230)는 제2연결판(20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연결판(100)의 단부가 제2연결판(200)의 만입부(230)에 접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연결판에는 서로의 단부가 접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후퇴되거나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230, 320)와 같은 구성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연결판(100), 제2연결판(200), 제3연결판(300) 등을 결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인 형상의 조립식 가구(1)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오목부 및 볼록부의 구조 및 결합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연결판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목부(110)를 포함하는 제1연결판(100)의 일 측에, 볼록부(210)를 포함하는 제2연결판(200)을 수직방향으로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00)의 오목부(11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결합되는 제2연결판(200)의 볼록부(210)도 대응하는 개수만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연결부재는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인력으로 압력을 가하여 볼록부(210)를 오목부(110)에 삽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돌기부(111)는 오목부(110)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111)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볼록부(210)는 오목부(110)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111)의 길이(도 3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오목부(110)의 깊이, 볼록부(210)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110)의 깊이(오목부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돌기부가 돌출되는 오목부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도 3의 오목부를 돌기부를 제외하고 수직방향으로 잰 길이)가 볼록부(210)의 두께(도 3의 볼록부를 수직방향 잰 길이)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고, 돌기부(111)는 볼록부(210) 두께와 같거나 볼록부(210) 두께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볼록부(210)가 오목부(110) 내측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볼록부(210)는 오목부(110)에 삽입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지지점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된다. 특히, 볼록부(210)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오목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화살표 A참조), 타측 단부는 돌기부(111)에 지지되어(화살표 B참조) 안정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볼록부(210)의 외측면과 이에 접촉하는 오목부(110)의 내측면은 상대적으로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마찰을 통해 고정되고, 돌기부(111)는 볼록부(210)를 삽입하기 위한 압력방향(도 3의 제2연결판으로부터 제1연결판을 향하는 화살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여 볼록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111)는 오목부(110)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볼록부(210)는 오목부(110)의 내측 모서리(110a)와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10)의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는 오목부(110)의 내측면과 면끼리 접촉하여 밀착되며, 밀착되어 형성된 접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항력(화살표 A참조)이 가해져 마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볼록부(210)가 오목부(110)에 삽입될 때, 볼록부(210)의 단부와 오목부(11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마찰이 커질 수 있으나, 돌기부(111)가 볼록부(21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하고 볼록부(210)의 삽입을 제한하므로, 볼록부(210)는 오목부(110)의 내측 모서리(110a) 등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압력만으로 불필요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볼록부(210)를 오목부(110)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볼록부(210)가 오목부(110)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된 후 작용하는 마찰력(정지 마찰력)은 볼록부(210)가 오목부(110)에 삽입되는 동안 오목부(110)의 내측면과 볼록부(210)의 단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미끄럼 마찰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클 수 있는 바,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된 후에는 견고하면서도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립식 가구(도 1의 1참조)는 이와 같이 볼록부(210), 오목부(110), 돌기부(111)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분리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립식 가구(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조립되어 내부의 공간에 책이나 여타 물건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이나, 선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한 가지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간에 이를 배치하여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가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0), 결합블록(500) 등을 이용하여 이를 모듈화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를 바꾸거나, 배치상태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커넥터 및 관통공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커넥터와 관통공의 결합에 의한 고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101, 201), 및 관통공(201)에 삽입 고정되는 바 형상의 커넥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과, 커넥터(400)는 동일한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관통공(201)의 단면적은 커넥터(400)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고, 관통공(201)의 단면은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적어도 일부가 불일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400)가 관통공(201)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관통공(201)은 다양한 위치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01)은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오목부(예를 들어, 110)와 볼록부(예를 들어, 210)가 결합된 지점에서 돌기부(111)와, 볼록부(210)에 밀착되지 않은 오목부(110)의 내측면과, 볼록부(21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연결판(100)과 제2연결판(200)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 중 어느 하나가 만입되어 형성된 홈(도 2의 231참조)과,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하게 형성되는 관통공(201)에 커넥터(40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400)는 결합블록(500)의 결합공(501)에 결합되어 결합블록(50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넥터(400)는 일단부가 관통공(201)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양 단부가 서로 다른 연결판의 관통공(20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일단부는 관통공(201)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결합공(501)에 삽입되어 결합블록(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결합공(501)은 그 크기나 형상을 관통공(201)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블록(500)은 방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400)와 동일한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공(201a)은 커넥터(400)를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커넥터(400)의 횡단면(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과 단면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도록 형성된다. 즉, 관통공(201)은 단면이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적어도 일부 불일치하여 커넥터(400)의 외측면이 관통공(201)의 내측면과 밀착되거나 밀착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01)의 단면적은 커넥터(400)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넥터(400)의 횡단면이 관통공(201)의 단면 내부에 포함되는 한 커넥터(400)가 관통공(20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사각형상인 바(bar)로 형성되고, 관통공(201)은 단면의 면적이 이보다 큰 사각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부분의 구체적인 형상, 비율, 크기 등을 변화시켜 단면상으로 서로 일치하는 부분을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불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커넥터(400)의 횡단면 형상을 필요에 따라 원형, 다각형 형상, 그 밖에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고, 관통공(201)의 단면 크기, 비율 등을 이로부터 바꾸거나, 적어도 일부를 다른 형상으로 치환하거나, 단면 외곽선의 경사도나 곡률 등을 조정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201)의 단면이 서로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만들 수 있다.
커넥터(4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01)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연결판(도 1 및 도 2의 100참조)과 제2연결판(도 1 및 도 2의 200참조)은 각각 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관통공(201)의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를 0.8~6.3㎛Ra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목재 합판의 특성을 살려 가공함으로써, 합판에 형성된 관통공(201) 내측 표면의 조도(roughness: 거칠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400)의 외주면과 관통공(201)의 내주면이 밀착하여 접촉되는 부분에 적정 수준의 마찰을 발생시켜 보다 견고하게 커넥터(4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는, 관통공(201) 내측 표면을 따라서 일정 방향으로 기준길이만큼 진행하는 동안 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표면의 굴곡을 조도함수(roughness function)로 나타내고, 상기 조도함수를 상기 기준길이만큼에 대해 적분하여 적분값을 구하고, 이를 다시 기준길이로 나누어준 산술평균조도 값으로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마(grinding), 선삭(lathe turning), 밀링(milling), 보링(boring), 드릴링(drilling) 등의 가공방식으로 최소0.8㎛Ra의 표면조도로부터 최대6.3㎛의 표면조도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최소 표면조도보다 관통공(201) 내측면의 표면조도가 낮아지는 경우 커넥터(400)의 고정이 어려우며, 상기 최대 표면조도보다 관통공(201) 내측면의 표면조도가 커지는 경우 커넥터(400)의 삽입이 곤란하므로, 설정된 표면조도의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전술한 가공방식으로 가공하여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공(201)에 커넥터(400)가 삽입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201)의 단면이 서로 일치하는 부분(관통공 둘레의 화살표 참조)이 서로 밀착되어 압박되고, 마찰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 때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201)의 단면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커넥터(400)와 관통공(201)의 내측면 사이에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결합강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와, 바 형상의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에 서로 일치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이 사각형상인 바 형상의 커넥터(400)와 단면이 사각형상인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경우, 이와 같이 각각의 모서리 부분의 형상, 비율, 크기 등을 변화시켜 일치하는 부분을 형성하고, 모서리 부분을 통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반경(R1)은 커넥터(400)의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r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01)의 단면과 커넥터(400)의 횡단면이 모두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201)의 단면적이 커넥터(400)의 횡단면 면적보다 큰 경우, 커넥터(400)는 관통공(201) 내측에 수용되어 단면상으로 각각의 변에 해당하는 부분들이 서로 이격되고 불일치할 수 있다. 이 때,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와 커넥터(400)의 외측 모서리(400a) 부분을 곡면으로 가공하고,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보다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이 증가하도록(즉, 관통공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커넥터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보다 커지도록)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모서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400)는 모서리 부분만이 관통공(201)과 서로 밀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이격되어 불필요한 마찰이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커넥터(400)를 관통공(201)에 결합할 때, 모서리부분을 통해서만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이격되므로, 사용자는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매우 용이하게 커넥터(400)를 관통공(201)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결합된 후에는 각 모서리 부분의 마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보다 강도 높은 결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반경(R2)과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r2)을 상호 조정하여 차이를 줄이고, 상호간의 곡률이 보다 유사한 값을 갖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으로 서로 일치하는 부분의 길이가 증가하여 마찰이 커지고, 따라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반경(R2)은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r2)보다 크나, 그 차이는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400)의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이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반경의 10~70%가 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관통공(201) 내측면의 표면조도의 값을 고려하여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와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가 서로 일치하는 정도(즉,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는 면적의 크기와 비례함) 등을 조정함으로써 커넥터(400)와 관통공(201) 사이에 최적의 결합강도가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조도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면으로도 큰 마찰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와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 차이를 크게 하여 일치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반면, 표면조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 경우 보다 큰 마찰이 필요하므로,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와 커넥터(400) 외측 모서리(400a)의 곡률반경 차이를 줄이고 일치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커넥터(400)의 외측 모서리(400a)와 관통공(201)의 내측 모서리(201a) 상호간의 곡률반경 차이는, 전술한 가공방법, 목재 합판으로 형성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관통공(201) 내측 모서리(201a)의 곡률반경의 90%보다는 작되 30%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201)의 단면이 일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에 따라서 커넥터(400)와 관통공(201) 사이의 상호 결합력(또는 결합강도)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치하는 부분이 커지면 결합력이 증가하고 단단하게 고정되나 결합이 쉽지 않을 수 있고, 불일치하여 서로 이격되는 부분이 커지면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나 고정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201)의 단면이 일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는 커넥터(400) 횡단면 둘레의 5~3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만 일치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400) 횡단면 둘레 길이의 10%내외의 길이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갖는 커넥터(400)와 관통공(201)을 형성하여 일치하는 부분의 길이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변형 및 배치상태 변화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조립식 가구(1)는 이러한 커넥터(400), 관통공(도 1 및 도 2의 101, 201참조)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 구조, 형상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커넥터(400)를 관통공(101, 201)을 통해 제1연결판(100), 제2연결판(200) 등에 결합하고, 이를 지지하여 보다 길이가 짧은 제4연결판(600)이나, 제5연결판(700) 등을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다양한 물품을 정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식 가구(1)와 또 다른 조립식 가구(1-1)를 각각의 관통공(101, 201)을 통해 커넥터(400)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반복하면 다양한 형상, 다양한 크기의 조립식 가구(1, 1-1)를 모듈화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연속적으로 확장하거나, 수직 수평 방향으로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 사이의 공간에 또 다른 연결판으로 만들어진 서랍부(800) 등을 삽입하고, 서랍부(80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커넥터(400)를 연결한 후 결합블록(500)을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블록(500)은 서랍부(800)의 손잡이로 활용되어 서랍부(800)의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00) 및 제2연결판(200)의 하부에 위치한 관통공(101, 201)에 커넥터(400)를 결합하고 다시 결합블록(500)을 연결하여 조립식 가구(1)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커넥터(400)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조립식 가구(1)의 구조, 배치, 연결상태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400)의 횡단면과 관통공(101, 201)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불일치하여 끼움 결합방식으로 매우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치하는 부분을 통해서는 마찰로 인해 최적의 강도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자유롭게 분리 결합하여 조립식 가구(1)를 형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립식 가구 100: 제1연결판
101, 201: 관통공 110, 220: 오목부
110a: 오목부의 내측 모서리 111, 221: 돌기부
120, 210, 310: 볼록부 200: 제2연결판
201a: 관통공의 내측 모서리 230, 320: 만입부
231: 홈부 300: 제3연결판
400: 커넥터 400a: 커넥터의 외측 모서리
500: 결합블록 501: 결합공
600: 제4연결판 700: 제5연결판
800: 서랍부
R1, R2: 관통공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
r1, r2: 커넥터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

Claims (8)

  1.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판; 및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이 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돌기부에 지지되는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측 모서리와 이격되는 조립식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바 형상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과,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의 단면적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고,
    상기 관통공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과 적어도 일부가 불일치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는 조립식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볼록부에 밀착되지 않은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과,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어느 하나가 만입되어 형성된 홈과,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형성된 것인 조립식 가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과 상기 관통공의 단면이 일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커넥터의 횡단면 둘레의 5~30%인 조립식 가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넥터의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보다 큰 조립식 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은 상기 관통공의 내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의 10~70%인 조립식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각각 합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의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는 0.8~6.3㎛Ra로 형성되는 조립식 가구.
KR1020150020203A 2015-02-10 2015-02-10 조립식 가구 KR20160097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03A KR20160097837A (ko) 2015-02-10 2015-02-10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03A KR20160097837A (ko) 2015-02-10 2015-02-10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7A true KR20160097837A (ko) 2016-08-18

Family

ID=5687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203A KR20160097837A (ko) 2015-02-10 2015-02-10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7B1 (ko) * 2017-10-23 2018-06-26 문태원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KR101964395B1 (ko) * 2018-06-20 2019-07-31 문태원 게임용 도구
KR20220080607A (ko) * 2020-12-07 2022-06-14 정형준 확장형 수납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02B1 (ko) 2005-08-16 2007-03-02 명창환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02B1 (ko) 2005-08-16 2007-03-02 명창환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7B1 (ko) * 2017-10-23 2018-06-26 문태원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KR101964395B1 (ko) * 2018-06-20 2019-07-31 문태원 게임용 도구
KR20220080607A (ko) * 2020-12-07 2022-06-14 정형준 확장형 수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979B2 (en) Tool-less furniture assembly joint and applications
US20120298607A1 (en) Sectional rack
KR20160097837A (ko) 조립식 가구
KR20190057487A (ko) 조립식 종이 의자
KR101810743B1 (ko)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용 브라켓,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30021331A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170002615U (ko) 금속부가 있는 조립식 나무책장
KR20160132537A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101942056B1 (ko) 조립식 가구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KR20170105386A (ko)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JP2008291945A (ja) 折り畳みパイプ棚用管継手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20120071482A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101956006B1 (ko) 사용자 기반 맞춤형 조립식 블럭
KR20220111154A (ko) 조립형 가구용 연결장치
KR20150019077A (ko) 조립식 가구
KR102379485B1 (ko) 모듈형 조립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574976B1 (ko)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
JP3217169U (ja) インテリア用品
KR20150031651A (ko) 조립식 가구
KR200497557Y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JP6270260B2 (ja) 連結部材、及び組立収納
US11297937B1 (en) Collapsible bench and collapsible bench kit
KR101765851B1 (ko) 조인트 및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