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537A - 모듈형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537A
KR20160132537A KR1020150065156A KR20150065156A KR20160132537A KR 20160132537 A KR20160132537 A KR 20160132537A KR 1020150065156 A KR1020150065156 A KR 1020150065156A KR 20150065156 A KR20150065156 A KR 20150065156A KR 20160132537 A KR20160132537 A KR 2016013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furniture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
Original Assignee
이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 filed Critical 이찬
Priority to KR102015006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537A/ko
Publication of KR2016013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하나 이상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다른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립식 가구{MODULAR KNOCK DOWN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한번 구입을 하여 일정 장소에 배치하면, 사용자가 이를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기 어렵다.
즉, 사용자가 실내 공간의 가구 배치에 변화를 주고 싶거나,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구의 형태를 변형시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사용자는 가구에 수납할 물건 또는 책장에 수납할 책이 증가하여 가구의 크기를 확장하고 싶어도 사용자가 직접 가구의 모양과 크기에 변화를 주기란 쉽지 않다.
이에, 디아이와이(DIY) 책장과 같은 가구가 보급되고 있다. 디아이와이(DIY) 책장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책장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DIY(Do It Yourself)는 제품 구입시 소요되는 비용 절감과 함께 취미 생활의 일환으로 소비자들이 반가공 상태의 자재를 구입하여 손수 완제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제품을 DIY 제품이라 한다.
하지만, 종래의 DIY 책장도 거의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나무박스(Box)를 못으로 박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한 다음 이를 적층하여 책장을 만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DIY 책장도 사용자가 이를 조립하기가 쉽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다시 분해하여 형태에 변화를 주기도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화된 부품을 못이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번거로운 결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모듈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하나 이상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다른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는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십자)” 형상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납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결합홈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결합홈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와 자기 결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모듈화된 부품을 못이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번거로운 결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일부 모듈의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된 모듈 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모듈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가구의 크기를 쉽게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부분별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에 사용 가능한 자성체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가구(101)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는 제1 플레이트(300), 제2 플레이트(400), 및 결합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일례로, 제1 플레이트(30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400)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가 소정의 공간을 둘러싸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00) 및 제2 플레이트(400)는 원목,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합판,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와 같은 목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가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300)의 단부에는 결합구(500)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결합홈(307)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400)의 단부에는 결합구(500)의 다른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 결합홈(407)이 형성된다.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가 맞물리는 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편(530)과, 제1 결합편(530)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편(540)을 포함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500)는 결합시킬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의 수에 따라 제1 결합편(530)과 제2 결합편(540)의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결합구(500)는 제1 결합편(530)과 제2 결합편(540)의 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결합구(500)는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십자)” 형상 중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십자 형상의 결합구(500)를 사용하여 2개의 제1 플레이트(300)와 2개의 제2 플레이트(400)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십자 형상의 결합구(500)는 가구의 중앙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ㅗ” 형상의 결합구(500)를 사용하여 2개의 제1 플레이트(300)와 1개의 제2 플레이트(400)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ㅗ” 형상의 결합구(500)는 가구의 측면 또는 상하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ㄴ” 형상의 결합구(500)를 사용하여 1개의 제1 플레이트(300)와 1개의 제2 플레이트(400)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ㄴ” 형상의 결합구(500)는 가구의 모서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 및 제2 플레이트(400)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상대적으로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례로, 결합구(500)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 및 제2 플레이트(40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안쪽이란 사용자가 가구를 바라보는 측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들어간 안쪽을 의미한다.
즉,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과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에 삽입되어 결합될 뿐만 아니라 결합 위치가 제1 플레이트(300) 및 제2 플레이트(400)의 단부 안쪽에 위치하므로, 제1 플레이트(300) 및 제2 플레이트(400)가 결합구(5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구(5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즉,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가 완성된 상태에서 결합구(500)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의 심미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의 경우, 못이나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모듈화된 부품들을 결합구(500)를 통해 조립하여 가구를 완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크기와 형상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한번 조립된 이후에도 자유롭게 분해하여 재조립할 수 있고, 크기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모듈화된 제1 플레이트(300), 제2 플레이트(400), 및 결합구(500)를 필요한 만큼 구입하여 원하는 형상과 크기로 자유롭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결합구(500)를 사용하여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와 형상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납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는 모듈화된 부품을 못이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번거로운 결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101)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일부 부품이 손상되더라도 용이하게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가구 전체가 폐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폐가구의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102)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식 가구(102)는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 또는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자성체(60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결합구(500)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에, 결합구(500)는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 또는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자성체(601)와 자기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에 설치된 자성체(601)는 결합구(500)의 제1 결합편(530)과 자기 결합되고,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에 설치된 자성체(601)는 결합구(500)의 제2 결합편(540)과 자기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조립식 가구(102)는 결합구(500)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자성체(601)와 결합구(500)간의 자기 결합으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결합구(500)가 제1 플레이트(300)의 제1 결합홈(307) 또는 제2 플레이트(400)의 제2 결합홈(407)에 단순히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자성체(601)와 자기 결합되어 결속력이 강화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 사용되는 자성체(602)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602)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자성체(602)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모듈형 조립식 가구
300: 제1 플레이트
307: 제1 결합홈
400: 제2 플레이트
407: 제2 결합홈
500: 결합구
530: 제1 결합편
540: 제2 결합편
601, 602: 자성체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다른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된 모듈형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편
    을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십자)” 형상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납칸을 형성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결합홈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결합홈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와 자기 결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1020150065156A 2015-05-11 2015-05-11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160132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56A KR20160132537A (ko) 2015-05-11 2015-05-11 모듈형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56A KR20160132537A (ko) 2015-05-11 2015-05-11 모듈형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37A true KR20160132537A (ko) 2016-11-21

Family

ID=5753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56A KR20160132537A (ko) 2015-05-11 2015-05-11 모듈형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5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25A (ko) 2017-08-31 2019-03-08 이현민 조립식 모듈형 가구
KR102349760B1 (ko) * 2021-01-20 2022-01-10 정성철 조립식 수납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25A (ko) 2017-08-31 2019-03-08 이현민 조립식 모듈형 가구
KR102349760B1 (ko) * 2021-01-20 2022-01-10 정성철 조립식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893B2 (en) Interlocking toy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47162B1 (en) Coupling
US8528979B2 (en) Tool-less furniture assembly joint and applications
US10830268B2 (en) Furniture panel
US8662326B2 (en) Shelving unit
US9220203B2 (en) Raised garden bed with louver-secured corner brackets
US9179767B2 (en) Connector piece for connecting multiple legs
US10555605B1 (en) Modular shelving
US20190107131A1 (en) Furniture with interwoven tab and slot joint
CA2665439A1 (en) Coupling assembly for furniture components
US20150265047A1 (en) Interlocking Shelving and Storage Unit
CA2838286C (en) Modular furniture system and modular furniture
US20190125076A1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articles
KR100725230B1 (ko) 디아이와이 책장
US8206054B1 (en) Furniture coupling assembly
KR20160132537A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100466260B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0429011Y1 (ko) 디아이와이 책장
US10433640B2 (en) Modular furniture
KR101712494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20160097837A (ko) 조립식 가구
KR20120071482A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102379485B1 (ko) 모듈형 조립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JP3217169U (ja) インテリア用品
CA2722506C (en) Furnitu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