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607A - 확장형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확장형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607A
KR20220080607A KR1020200169891A KR20200169891A KR20220080607A KR 20220080607 A KR20220080607 A KR 20220080607A KR 1020200169891 A KR1020200169891 A KR 1020200169891A KR 20200169891 A KR20200169891 A KR 20200169891A KR 20220080607 A KR20220080607 A KR 2022008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s
fitting
groove
wal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365B1 (ko
Inventor
정형준
Original Assignee
정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준 filed Critical 정형준
Priority to KR102020016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3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수납가구를 상호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확장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쌍의 제1 벽체들과, 상기 제1 벽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벽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벽체들의 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각 상기 제1 벽체와 인접한 양 단부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끼움홈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벽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와; 복수 개의 상기 단위수납함체가 일측 또는 타측의 각각의 상기 제1 벽체들이 상호 면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면접하는 상기 제1 벽체들에 인접한 상기 끼움홈들에 결합되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벽체들을 구속하는 복수 개의 끼움편들과, 상기 끼움편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수납가구{Apparatus of expandable funiture for acceptance}
본 발명은 확장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수납가구를 상호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확장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가구는 각종 물건을 수납하거나 전시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벽체에 고정되거나 선반에 배치되는 가구이다.
이러한 수납가구는 목재, 합성수지, 금속으로 제조된 단일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부품이 본드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 20-2019-0002448호에는 이와 같이 세우거나 눕혀서 설치함으로써 높낮이를 바꾸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범용 수납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66499호에는 칸막이판의 폭이 조절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구분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칸막이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수납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납가구는 그 외관의 형상이 획일화 되어 구매자의 선택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복수 개를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하여 독창적인 외형을 연출할 수 있는 수납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 20-2019-0002448호 : 범용 수납가구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66499호 : 칸막이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수납가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독창적인 외형을 연출할 수 있도록 외관의 형상으로 변화가 가능한 확장형 수납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쌍의 제1 벽체들과, 상기 제1 벽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벽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벽체들의 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각 상기 제1 벽체와 인접한 양 단부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끼움홈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벽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와; 복수 개의 상기 단위수납함체가 일측 또는 타측의 각각의 상기 제1 벽체들이 상호 면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면접하는 상기 제1 벽체들에 인접한 상기 끼움홈들에 결합되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벽체들을 구속하는 복수 개의 끼움편들과, 상기 끼움편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상기 제1 벽체들은 다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측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각 상기 제2 벽체들은 상기 제1 벽체들의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 상기 제1 벽체들과 인접한 양 단부에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끼움편은 상기 제1 벽체들이 면접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상기 단위수납함체들에 다른 한쌍의 단위수납함체들이 각 상기 제2 벽체가 마주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한 쌍의 단위수납함체들의 상기 끼움홈에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끼움편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과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끼움편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래칫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벽체는 상기 끼움편이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래칫돌기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끼움편과 마주하는 상기 끼움홈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래칫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걸림홈이 인입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벽체들과 인접한 상기 제2 벽체의 단부에 상기 제1 벽체가 진입할 수 있는 결합공간을 마련하도록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벽체는 상기 결합공간과 인접한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된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복수 개의 상기 단위수납함체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벽체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각 상기 끼움편이 각 상기 제2 벽체의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각 상기 이탈방지홈 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재와, 각 상기 연장부재로부터 상기 끼움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끼움홈에 끼움편을 삽입하여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들을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길이 또는 형태를 연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위수납함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의 연결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의 연결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사시도.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와, 복수 개의 단위납함체(10,10')와, 단위수납함체(10,1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0)을 포함한다.
단위수납함체(10,10')는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쌍의 제1 벽체(11,11')들과, 제1 벽체(11,11')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1 벽체(11,11')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1 벽체(11,11')들의 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벽체(21,21')들을 포함한다.
제1 벽체(11,11')들은 다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에 6개의 변을 갖는 육각의 판상으로 형성된 것이나 삼각 또는 그 이상의 변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벽체(11,11')는 가장자리의 측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결합홈(22)을 갖는다.
각 상기 제1 벽체(11,11')들은 결합홈(13)이 일측의 상호 인접한 두개의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의 측부마다 형성된 것이다. 각 제1 벽체(11,11')들은 각 측부마다 두개의 결합홈(13)이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결합홈(13)은 각 제1 벽체(11,11')들의 각 측부마다 한 개 또는 3개 이상의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제2 벽체(21,21')들은 제1 벽체(11,11')들의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벽체(21,21')들은 제1 벽체(11,11')들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결합돌기(25,25')들은 제2 벽체(21,21')의 너비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결합돌기(25,25')들은 제2 벽체(21,21')가 제1 벽체(11,11')들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결합홈(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각 제2 벽체(21,21')들은 각 제1 벽체(11,11')들과 인접한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결합홈(22)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25,25')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25,25')들은 제1 벽체(11,11')에 형성된 결합홈(13)의 수량에 대응되는 개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25,25')들은 각 제2 벽체(21,21')들의 각 단부마다 한 쌍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각 결합돌기(25,25')는 제1 벽체(11,11')들과 인접한 제2 벽체(21,21')의 단부에 제1 벽체(11,11')가 진입할 수 있는 결합공간(27)을 마련하도록 한쌍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돌기(25,25')들은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제1 벽체(21,21')의 결합홈(13)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25,25')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홈(13)은 이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인입 형성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결합돌기(25,25') 및 결합홈(13)은 결합방향을 고려하여 도브테일(Dovetail)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홈(22)은 제2 벽체(21,21')의 너비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홈(22)은 제2 벽체(21,21')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인입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끼움홈(22)은 인입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는 원형 또는 도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벽체(25,25')들은 한쌍의 제1 벽체(11,11')들의 사이에서 결합돌기(25,25')가 결합홈(13)에 끼움결합되게 설치되어 결합홈(13)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벽체(11,11')들의 변에 해당되는 방향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구조를 형성한다.
제2 벽체(21,21')는 제1 벽체(11,11')와 인접한 양 단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끼움홈(22,2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벽체(21,21')는 끼움홈(22,22')이 제1 벽체(11,11')와 인접한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끼움홈(22)은 결합공간(27)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끼움홈(22)은 결합돌기(25,25')들의 사이에서 제2 벽체(21,21')의 길이방향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끼움홈(22,22')은 제1 벽체(11,11')와 인접한 일측이 폐쇄되게 형성되도록 제2 벽체(21,21')의 중간부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벽체(21,21')는 결합공간(27)과 인접한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된 이탈방지홈(26)이 형성된다. 이때 이탈방지홈(26)은 관통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홈(26)은 제2 벽체(21,21')의 결합돌기(25,25')에 형성된 것이나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제2 벽체(21,21')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위수납함체(10,10')들은 제1 벽체(11,11')들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0)은 끼움홈(22)에 끼움결합되는 복수 개의 끼움편(35)들과, 끼움편(35)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1)를 포함한다.
연결부(31)는 소정 너비를 갖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31)는 상호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두개의 제1 벽체(11,11')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된다.
끼움편(35)들은 연결부(31)의 너비방향을 따라 양 단부로부터 제2 벽체(21,21')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끼움편(35)들은 제2 벽체(21,21')들의 끼움홈(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홈(22)이 제2 벽체(21,21')의 두께방향에 대한 단면이 사각형인 것에 대응되도록 각 끼움편(35)들은 연장 방향에 대한 단면이 끼움홈(22)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며 연장방향에 대한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다. 끼움편(35)은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끼움편(35)은 복수 개의 단위함체(10,10')가 일측 또는 타측의 제1 벽체(11,11')들이 상호 면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면접하는 제1 벽체(11,11')들에 인접한 끼움홈(22,22')들에 각각 결합되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벽체(11,11')들이 이탈되지 않게 구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끼움홈(22,22')에 끼움편(35)을 삽입하여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들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길이 또는 형태를 연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단위수납함체(10,10')가 제1 벽체(11) 및 제2 벽체(21)들로 분해된 상태에서 결합홈(22)에 결합돌기(25,25')를 결합함으로써 특별한 도구 없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거나 사용을 하지 않을 시 간편하게 분해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각각의 단위수납함체(10,10')의 수용공간이 개방된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게 연결함으로써 각각 다른 방향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끼움편(35) 외의 다른 요소들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의 끼움편(35)은 제1 벽체(11,11')들이 상호 면접하도록 전방에 배치된 한쌍의 단위수납함체(10,10')들에 다른 한쌍의 단위수납함체들(10,10')이 후방에서 각 제2 벽체(21,21')가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한쌍의 단위수납함체(10,10')들의 끼움홈(22,22')에도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의 너비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연결부(31)의 너비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끼움부(35a,35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끼움부(35a,35b)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끼움부(35a,35b)는 연결부(31)의 너비방향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제1 끼움부(35a)와,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제2 끼움부(35b)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연결부(35)를 기준으로 전방에 각각의 제1 벽체(11,11')가 상호 면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가 한쌍의 제1 끼움부(35a)와 결합되고, 연결부(35)의 후방에 또다른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가 한쌍의 제2 끼움부(35b)에 결합됨으로써 단위수납함체(10,10')를 더욱 다양한 패턴과 형상을 갖도록 조립하여 독창적인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와 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들의 수용공간이 개방된 방향을 다르게 결합함으로써 각각 다른 방향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제2 벽체(21,21') 및 연결브라켓(3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브라켓(30)은 끼움편(35)이 끼움홈(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끼움홈(22)과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래칫돌기(38)을 더 구비한다.
래칫돌기(38)는 끼움편(35)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끼움편(35)마다 끼움편(35)의 연장방향을 따라 3개의 래칫돌기(38)가 형성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래칫돌기(3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칫돌기(38)는 끼움편(35)의 연장방향에 대해 일측에 끼움편(35)이 끼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반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평평한 경사면이 마련되고 타측에 후술할 걸림홈(23)에 걸리도록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지지단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래칫돌기(38)는 진행방향의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연장방향에 대해 타측이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벽체(21,21')는 끼움편(35)이 끼움홈(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끼움편(35)과 마주하는 끼움홈(22)의 일면으로부터 래칫돌기(38)가 수용될 수 있는 걸림홈(23)이 인입 형성된다. 걸림홈(23)은 끼움홈(22)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되 제2 벽체(21,21')의 두께보다 더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래칫돌기(38)는 끼움편(3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래칫돌기(38)는 끼움편(35) 보다 탄성변형이 용이한 별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30)의 래칫돌기(3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끼움편(3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끼움부(35a,35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시 각각의 제1 및 제2 끼움부(35a,35b) 마다 래칫돌기(38)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가 연결브라켓(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래칫돌기(38)는 끼움편(35)의 연장방향의 타측이 걸림홈(23)에 걸리게 되어 단위수납함체(10,10')에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으로 인해 끼움편(35)이 끼움홈(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브라켓(30)이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연결브라켓(3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브라켓(30)은 복수 개의 단위함체(10,10')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벽체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40)를 더 구비한다.
이탈방지부(40)는 연결부(3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재(41)와, 각 연장부재(41)들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핀(43)과, 이탈방지핀(4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45)를 포함한다.
연장부재(41)는 연결부(31)의 상부 및 하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재(41)는 각 끼움홈(22)으로부터 각 이탈방지홈(26,26') 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연장부재(41)의 방향은 각 끼움편(35)이 각 제2 벽체(21,21')의 끼움홈(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부(31)에 대한 각 이탈방지홈(26,26')의 상대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연장부재(41)는 각 결합편(35)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이탈방지홈(26,26')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장부재(41)는 두개의 단위함체(10,10')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0)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각 단위함체(10,10')의 이탈방지홈(26,26')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탈방지핀(43)은 각 연장부재(41)의 연장방향의 종단부로부터 끼움편(35)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탈방지핀(43)은 이탈방지홈(26,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탈방지홈(26,26')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핀(43)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의 직경보다 더 큰 외경을 형성하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과 일체로 형성될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별도의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의 곡면 부분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고정돌기(45)는 이탈방지핀(4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되 이탈방지핀(43)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될수록 작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10,10')가 연결브라켓(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핀(43)이 이탈방지홈(26,26')에 삽입됨으로써 하나의 단위수납함체(10)가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해 제2 벽체(21)가 제1 벽체(11)로부터 이탈되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 벽체(21)가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연장부재(41)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제2 벽체(21)가 제1 벽체(11)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이탈방지핀(4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단위수납함체(10,10')가 사용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수납가구는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 : 단위수납함체 11,11' : 제1 측벽
21, 21' : 제2 측벽 30 : 연결브라켓
31 : 연결부 35 : 끼움편

Claims (5)

  1.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쌍의 제1 벽체들과, 상기 제1 벽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벽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벽체들의 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각 상기 제1 벽체와 인접한 양 단부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끼움홈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벽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수납함체와;
    복수 개의 상기 단위수납함체가 일측 또는 타측의 각각의 상기 제1 벽체들이 상호 면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면접하는 상기 제1 벽체들에 인접한 상기 끼움홈들에 결합되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벽체들을 구속하는 복수 개의 끼움편들과, 상기 끼움편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수납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벽체들은 다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측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각 상기 제2 벽체들은 상기 제1 벽체들의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 상기 제1 벽체들과 인접한 양 단부에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수납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편은 상기 제1 벽체들이 면접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상기 단위수납함체들에 다른 한쌍의 단위수납함체들이 각 상기 제2 벽체가 마주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한 쌍의 단위수납함체들의 상기 끼움홈에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수납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끼움편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과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끼움편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래칫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벽체는 상기 끼움편이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래칫돌기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끼움편과 마주하는 상기 끼움홈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래칫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걸림홈이 인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수납가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벽체들과 인접한 상기 제2 벽체의 단부에 상기 제1 벽체가 진입할 수 있는 결합공간을 마련하도록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벽체는 상기 결합공간과 인접한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된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복수 개의 상기 단위수납함체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벽체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각 상기 끼움편이 각 상기 제2 벽체의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각 상기 이탈방지홈 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재와, 각 상기 연장부재로부터 상기 끼움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수납가구
KR1020200169891A 2020-12-07 2020-12-07 확장형 수납가구 KR10248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91A KR102482365B1 (ko) 2020-12-07 2020-12-07 확장형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91A KR102482365B1 (ko) 2020-12-07 2020-12-07 확장형 수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607A true KR20220080607A (ko) 2022-06-14
KR102482365B1 KR102482365B1 (ko) 2022-12-27

Family

ID=8198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891A KR102482365B1 (ko) 2020-12-07 2020-12-07 확장형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45B1 (ko) * 2023-03-02 2023-09-13 이선경 짜 맞춤 방식의 조립식 유아용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370U (ko) 2023-02-08 2024-08-16 장기욱 수납용 바구니의 설치구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33A (ja) * 2001-08-21 2003-03-05 Etsuro Koyanagi 樹脂製収納ケース
JP2007037865A (ja) * 2005-08-04 2007-02-15 Kensei Chin 骨壷収容棚の引き出しの構造
JP2009125095A (ja) * 2007-11-19 2009-06-11 Kodai Sangyo:Kk 家具用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由構成型家具
JP2012223251A (ja) * 2011-04-15 2012-11-15 Otsubo Kenichi 組合せ式家具、及び複数の組合せ式家具を組み合わせたユニット家具
KR200466499Y1 (ko) 2011-04-08 2013-04-24 주식회사 유퍼니 칸막이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수납가구
JP3199898U (ja) * 2015-07-03 2015-09-17 株式会社伸和 組立式整理棚
KR20160097837A (ko) *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KR20170100954A (ko) * 2016-02-26 2017-09-05 양동운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KR20190002448U (ko) 2018-03-22 2019-10-02 김성덕 범용 수납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898B2 (ja) * 1993-03-31 2001-08-20 株式会社東芝 開閉器の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33A (ja) * 2001-08-21 2003-03-05 Etsuro Koyanagi 樹脂製収納ケース
JP2007037865A (ja) * 2005-08-04 2007-02-15 Kensei Chin 骨壷収容棚の引き出しの構造
JP2009125095A (ja) * 2007-11-19 2009-06-11 Kodai Sangyo:Kk 家具用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由構成型家具
KR200466499Y1 (ko) 2011-04-08 2013-04-24 주식회사 유퍼니 칸막이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수납가구
JP2012223251A (ja) * 2011-04-15 2012-11-15 Otsubo Kenichi 組合せ式家具、及び複数の組合せ式家具を組み合わせたユニット家具
KR20160097837A (ko) *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JP3199898U (ja) * 2015-07-03 2015-09-17 株式会社伸和 組立式整理棚
KR20170100954A (ko) * 2016-02-26 2017-09-05 양동운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KR20190002448U (ko) 2018-03-22 2019-10-02 김성덕 범용 수납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45B1 (ko) * 2023-03-02 2023-09-13 이선경 짜 맞춤 방식의 조립식 유아용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365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908B2 (ja) コーナフィッティング
KR20220080607A (ko) 확장형 수납가구
ES2575675T3 (es) Conjunto conector para un mueble
CN115399584B (zh) 组合式置物架
CA2482219C (en) Gangable electrical box
JP4755237B2 (ja) 組立て式収納ボックス
JP2017121443A (ja) 引出しの仕切板取付構造
US20040068946A1 (en) Box-assembly device
US2006003299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n assembled type screen
US20040188293A1 (en) Bucket type tool box
JP7220054B2 (ja) 什器
US20050084323A1 (en) Securing device for rear walls of cabinet furniture
US9541967B1 (en) Hard disk and housing thereof
JP2021169326A (ja) 仕切体
JP2004049475A (ja) 仕切部材及びこれを装着した引き出し構造
KR20120028417A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KR20190002756U (ko) 수납장용 랙 구조
JP7408413B2 (ja) 屈曲部保護カバー
JP694922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816049B2 (ja) 仕切体
GB2368002A (en) Modular storage unit
AU2018101508A4 (en) A ceiling fan blade assembly structure
JP4127185B2 (ja) 縦仕切の取付構造
JP6565296B2 (ja) 収納ラック
TW202245650A (zh) 模組套件傢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